KR100795330B1 -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330B1
KR100795330B1 KR1020070006530A KR20070006530A KR100795330B1 KR 100795330 B1 KR100795330 B1 KR 100795330B1 KR 1020070006530 A KR1020070006530 A KR 1020070006530A KR 20070006530 A KR20070006530 A KR 20070006530A KR 100795330 B1 KR100795330 B1 KR 10079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frame
support member
wire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찬기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시 filed Critical (주)디에스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 내부에 설치되어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있어서,
바디 프레임 양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측면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대략 중앙을 기준으로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향하여 돌출되는 원호 또는 아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서포트 부재;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 및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를 상방으로 당기는 견인수단;
상기 원호의 중심에 상응하여 대략 길이방향의 중앙에 단차된 고정부를 구비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하되, 상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 플랜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바아;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의 각각의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수단의 케이블을 몸체 일측에 고정 지지하도록 고정편을 구비한 견인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부재 또는 바디프레임의 하부가 상방으로 견인되어 아크형으로 돌출될 때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에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회동 브라켓트, 견인블럭 및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은 고정핀 및 체결부재를 통하여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때문에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럼버서포트, 가이드바아, 견일블럭,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

Description

럼버서포트 지지구조{a supporting structure for lumbar supports in vehicle seats}
도 1은 종래 럼버서포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럼버서포트가 고정횡바에 설치되는 결착수단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견인블럭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회동 브라켓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서포트의 견인블럭에 의하여 서포트 부재가 원호를 이루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견인수단 11: 서포트부재
14: 바디프레임 15, 15a: 보강판
20: 가이드 바아 30: 견인블럭
40: 회동 브라켓트 50: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
51: 수평플레이트 53: 지지플레이트
60: 슬릿홈
본 발명은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시트 등받이 상에서 서포트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절곡하기 위해 대략 서포트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견인수단 마운팅 블럭을 기준으로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부가 상부측으로 슬라이딩 견인되도록 개량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 등받이 내부에는 신체상의 요추 부위 및 등 부위를 포함하는 허리부분 지지부를 인간공학적으로 안락하게 지지하도록 럼버서포트가 마련되어 있는 바, 이에 관한 기본적인 기술로서 잘 알려진 슈크라 게레테바우 게엠바하에 의한 한국공개특허 제1995-0703297호에는 승차자가 차량 시트에 앉을 때 요추 부위 및 등 부위에 맞도록 탄력성을 가진 럼버서포트의 볼록곡선부를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슈크라 게레테바우 게엠바하의 기술은 럼버서포트의 하부에 별도로 골반지지부를 마련하고, 차량시트의 프레임에 고정된 휭버팀목을 기준으로 럼버서포트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에 형성된 럼버서포트의 골반지지부가 승차자의 골반 부위를 향하여 유연한 원호 형상 또는 아크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아크 형상으로 절곡되는 과정에서 럼버서포트의 상부가 그 하부에 구성된 골반지지부 측으로 편향되게 돌출됨에 따라 오히려 승차자의 골반 부위 상측으로 연결되는 요추 부위 및 등 부위에 대해서는 럼버서포트의 돌출에 의한 압력이 불안정해지고, 장시간 승차시에는 승차자의 자세도 흐트러져 요추 부위에 무리가 발생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승차자의 요추 부위 및 엉치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럼버서포트에 관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03-64150호에 게재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럼버서포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트의 등받이(1)의 내부 상, 하로 구비되는 고정횡바(2)의 사이에 위치되어 승차자의 요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이 우수한 판스프링재로 성형되며, 양측부로는 절곡되게 형성되어 탑승자의 허리를 감싸지게 지지하는 서포트윙(3)이 다수 개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선택적으로 만곡 돌출되어 탑승자의 요추부를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4)가 구비된 서포트부재(5)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가 고정횡바(2)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수단(6)과;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의 일측부에서 선택적으로 만곡 돌출가능한 서포트플 레이트(4)의 돌출 높이를 무단 조절하는 견인수단(7)과;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단 양측으로는 서포트플레이트(4)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엉치부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엉치받침부재(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착수단(6)의 몸체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부에는 고정횡바(2)에 끼워져 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결착클립(6a)이 결착판(6d)에 대하여 소정의 틈새를 갖도록 벌어지게 절곡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케이블(8)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홈(6c)이 구비된 연결판(6b)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견인수단(7)의 조작에 의해 서포트플레이트(4)의 하부가 상방으로 인장 될 경우 서포트부재(5)가 만곡되게 돌출함과 동시에 엉치받침부재(8)도 함께 승차자의 등 부위를 향하여 돌출함으로써 착좌한 승차자의 요추 부위 및 엉치부를 지지한다.
그러나, 이 기술 역시 서포트부재가 아크 형상으로 절곡되는 과정에서 서포트부재의 상부가 그 하부에 구성된 골반지지부 측으로 더욱 치우쳐져 편중되게 돌출됨에 따라 승차자의 척추 및 등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서포트부재의 지지압력이 편중되게 이루어진다.
그러한 차량 시트에 장기간 착좌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압력 편중으로 인하여 승차자의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승차자에게 쉽게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 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포트부재가 아크형으로 돌출될 때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에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포트부재의 지지압력이 승차자에게 부드럽게 전달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견인수단이 서포트부재와 분리된 마운팅 블럭에 별도로 고정되어 견인부재를 조작시 가이드 바아를 따라 서포트부재의 하부가 슬라이드 하며 상방으로 이동하여 아크형으로 돌출됨으로서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에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시트 내부에 설치되어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있어서,
바디 프레임 양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측면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대략 중앙을 기준으로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향하여 돌출되는 원호 또는 아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서포트 부재;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 및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를 상방으로 당기는 견인수단;
상기 원호의 중심에 상응하여 대략 길이방향의 중앙에 단차된 고정부를 구비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하되, 상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 플랜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바아;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의 각각의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수단의 케이블을 몸체 일측에 고정 지지하도록 고정편을 구비한 견인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슬리이브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바아의 상부 일측 외주연을 고정하도록 몸체의 양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부재가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돌출시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 바아에 관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회동 브라켓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가이드 바아의 하부 일측 외주연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결합홀과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홀을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부재가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돌출시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 바아의 하부 일측 외주연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 프레임에 강도를 부가하도록 소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보강판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를 상기 보강판의 간격에 상응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바아가 상기 견인블럭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판의 몸체 일측에 휨응력이 집중되는 슬릿홈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판의 하부가 지지플레이트의 보강판 삽입홈에 압입되어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과 일체로 상기 서포트부재의 바디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홀과 상기 와이어 고정홀을 수평플레이트에 형성하되, 상기 결합홀은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 바아 끼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홀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대략 중앙에서 단차로 절곡된 케이블 지지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럼버서포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럼버서포트가 고정횡바에 설치되는 결착수단의 체결상태를 도시 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견인블럭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의 회동 브라켓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서포트의 견인블럭에 의하여 서포트 부재가 원호를 이루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는 서포트부재가 원호 또는 아크형으로 돌출될 때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에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 도면 부호 11은 서포트부재를 나타내며, 14는 아크 또는 원호 형상으로 절곡가능한 서포트부재의 바디 프레임, 15는 보강판, 17은 액츄에이터, 19는 와이어, 20은 가이드 바아, 30은 견인블럭, 40은 회동 브라켓트, 50은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 60은 보강판에 형성된 슬릿홈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 내부에 설치되어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있어서, 바디 프레임(14) 양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측면날개(13)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대략 중앙을 기준으로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향하여 돌출되는 원호 또는 아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서포트 부재(11);
액츄에이터(17)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19) 및 케이블(18)을 구비하며, 상 기 바디 프레임(11)의 하부(11a)를 상방으로 당기는 견인수단(10);
상기 서포트부재(11)가 절곡되는 원호의 중심에 상응하여 대략 길이방향의 중앙에 단차된 고정부(21)를 구비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하되, 상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상부 플랜지(12)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하부(11a)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바아(20); 및
상기 견인수단(10)에 연결된 와이어(19) 또는 케이블(18)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편(32)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20) 각각의 고정부(21)에 결합되는 견인블럭(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32)은 관통된 그루브(33)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19)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견인블럭(30)의 양측 선단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바아(20)의 고정부를 각각 결합하는 플랜지(31)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1)에 의하여 서포트부재(11)에 관한 견인블럭(30)의 고정위치가 대략 중앙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견인력 작용시 서포트부재(11)의 원호 형상이 승차자의 등 부위에 대략 상하 대칭적인 형태로 변형되며 지지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조립 및 고정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바아(20)를 상기 견인블럭(30)에 일체형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10)은 유성기어나 워엄기어 또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변형할 수 있으며, 차량 시트 일측에서 착석자가 조정가능한 조정스위치(미도시함)에 연결할 때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계적 구조의 버튼이나 전 동식의 조정 스위치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재(11)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얇은 금속재질로 제조하며, 소요되는 각 재질의 강도와 탄성계수에 따라 소정의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견인수단(10)의 견인력이 조정되어야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1)의 아크 형상은 승차자의 등 부위에 상응하도록 장방형으로 구획되는 바디프레임(14)과 요추 및 겨드랑이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바디프레임(14)으로 부터 연장된 다수의 측면날개(13a,13b,13c)를 가지며, 강도를 보강하는 비드(14a)가 그 표면에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11)의 아크 형상은 상기 가이드 바아(20)에 대하여 서포트부재(11) 상부가 원호를 이루게 되는 각도 α(도 6에 표기됨) 또는 상기 가이드 바아(20)에 대하여 서포트부재(11) 중앙부가 원호를 이루게 되는 각도 β(도 7에 표기됨)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1)는 견인부재(10) 작동에 의해 아크형으로 돌출시 내재된 탄성에 의해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에 지지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견인부재(10) 작동시 상기 서포트부재(11)의 중앙부분이 아크형으로 돌출되어 승차자의 척추부위 및 등 부위에 도달한 이후에는 서포트부재(11)의 지지압력이 바디 프레임(14)의 상부 및 하부 측으로 각각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견인블럭(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상부에 고정되는 슬리이브(12)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바아(20)의 상부 일측 외주연을 고정하 도록 몸체의 양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43)를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부재(11)가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돌출시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 바아(20)에 관하여 소정각도α를 이루도록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회동브라켓트(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브라켓트(40)의 상부에는 슬리브(42)를 통하여 고정핀(22)이 핀결합되며, 상기 슬리브(42)는 서포트부재(11) 상부의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바디프레임(14)을 구획하는 가로방향 테두리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하부(11a) 일측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가이드 바아(20)의 하부 일측 외주연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결합홀(52)과 상기 와이어(19)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홀(55)을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부재(11)가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돌출시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하부(11a)가 상기 가이드 바아(20)의 하부 일측 외주연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은 상기 결합홀(52) 및 와이어 고정홀(55)을 형성한 수평플레이트(51)와 체결부재(5b)에 의해 상기 서포트부재(11)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53)을 갖추고 있으며, 볼트 등의 체결부재(5b)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53)가 상기 서포트부재(11)의 하부(11a)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와이어 슬라이등 블럭(50)의 지지플레이트(53)는 상기 서포트부재(11)의 하부(11a)가 상방으로 견인될 때 상기 수평플 레이트(5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핀이나 슬리브(미도시함)을 포함하는 힌지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 경첩식으로 상호 고정하여 상기 서포트부재(11) 또는 바디프레임(14)의 하부(11a)의 지지와 결합홀(52)의 슬라이드 작용을 원할히 수행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 프레임(14)에 강도를 부가하도록 소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보강판(15)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20)를 상기 보강판(15)의 간격에 상응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5)은 바디프레임(14)이 승차자의 등부위에 상응하도록 장방형으로 구획되는 세로방향의 양측 경계부분에 용접이나 접착등을 통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20)는 상기 바디 프레임(14)의 양측 경계부분에 상응하여 병렬로 나란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일측에 슬릿홈(60)을 형성한 보강판(15a)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홈은 외부의 힘에 의해 보강판(15a)이 휘어질 때, 예를 들면 서포트 부재(11)의 아크 형상을 위해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 50a)이 와이어(19)에 의해 상방으로 견인될 때 휨응력이 보강판(15a)에서 발생하여 슬릿홈(60) 주위에 집중하게 된다. 이는 상기 보강판(15a)의 휨변형은 상기 슬릿홈(60) 주위에서 먼저 발생한 후에 보강판(15a) 전체적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슬릿홈(60)은 서로 분리된 장방형의 관통홀이나 다른 기하학적 형상으로 복수 개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는 상기 보강판(15a)의 상부나 하부로 편향되게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슬릿홈(60)의 변형은 상기 서포트부재(11)의 아크 형상에 의해 발생하는 힘 및 아크 형상으로 돌출할 때 승차자의 등 부위에 가해지는 힘을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판(15a)의 하부가 지지플레이트(53)의 보강판 삽입홈(57)에 압입되어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a)과 일체로 상기 서포트 부재(11)의 바디 프레임(14)에 고정된다. 상기 보강판(15a)의 하부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 또는 단차된 끼움부(6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a)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홀(58)과 상기 와이어 고정홀(55)을 수평플레이트(51)에 형성하되, 상기 결합홀(58)은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 바아 끼움부(58)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홀(55)은 상기 수평플레이트(51)의 대략 중앙에서 단차로 절곡된 케이블 지지부(59)에 형성한다.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a)의 지지플레이트(53)은 상기 서포트부재(11)의 바디 프레임(14) 상에 체결부재(5b)나 용접 접합을 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보강판 삽입홈(57)에 상기 보강판(15a)의 하부가 압입되는 반면에 상기 보강판(15a)의 상부는 체결부재(5b)를 적용하여 상기 서포트부재(11)의 바디 프레임(14) 상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a)이 상방으로 견인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홀(58)의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 바아(20)의 외주연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미설명 부호 19a는 와이어(19)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의한 작동과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는 서포트부재(11)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는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부재(11)의 상부 또는 바디프레임(14)의 상부는 회동브라켓(40)에 고정되고 서포트부재(11) 또는 바디 프레임(14)의 하부는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에 지지된다.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의 지지를 위하여 액츄에이터(17)가 구동되면, 가이드 바아(20)의 고정부(21)에 고정된 견인블럭(30)을 기준으로 와이어(19)가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을 상방으로 견인한다.
이때, 서포트부재(11)의 하부가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과 함께 슬라이딩하며 상방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아크형으로 돌출하는 과정에서 승차자의 엉치부위는 서포트부재(11) 또는 바디 프레임(14)과 밀착되지 않는 약간의 갭(gap)이 발생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11) 또는 바디 프레임(14)의 돌출 정도 및 액츄에이터의 소요 구동력은 가이드 바아(20)에 결합된 견인블럭(30)의 설치위치 및 서포트부재(11)의 탄성계수에 따라 미리 설정하여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1)는 견인부재(10) 작동에 의해 아크형으로 돌출시 내재된 탄성에 의해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에 소정의 지지압력을 가한다.
상기 견인부재(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포트부재(11)의 중앙부분이 충분히 아크형으로 돌출한 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부재(11) 또는 바디 프레임(14)이 대략 견인블럭(30)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의 원호를 이루게 되며, 그에 따라 승차자의 척추부위 및 등 부위에 밀착된 서포트부재(11)의 지지압력이 편중되지 않고 바디 프레임(14)의 상부 및 하부 측으로 각각 균등하게 분산되어 승차자의 등 부위를 감싸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홈(60)이 형성된 보강판(15a)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부재(11)의 아크형 돌출이 상기 슬릿홈(60)에 인접한 부위에서 먼저 발생한다. 이는 승차자의 척추부위 및 등 부위에 서포트부재(11)의밀착시 지지압력이 슬릿홈(60) 인접 부위부터 전달되게 작용함으로써, 승차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15a)은 지지플레이트(53)의 보강판 결합홈(57)에 하부(61)가 압입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회동브라켓트(40)은 고정핀(22)에 힌지 결합되고 견인블럭(30) 및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은 프레스 가공처리하거나 부분적인 소성 가공 처리를 통하여 가이드 바아(20)에 탈,부착 가능하게 때문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서포트부재(5)의 바디 프레임 상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 프레임(14) 및 서포트부재(11)의 강도 및 탄성계수를 고려하여 측면날개(13)나 보강판(15) 또는 비드(14a)의 구성을 변형할 경우에는 가이드 바아(20)의 고정부(21)나 견인블럭(30)의 고정 위치를 상하 변형할 수 있으나 액츄에이터(17)가 구동에 의해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50)을 상방으로 당김에 따라 서포트부재(11)의 하부가 상방으로 견인되어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향하여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돌출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의 설명부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럼버서포트 지지구조는 서포트부재 또는 바디프레임의 하부가 상방으로 견인되어 아크형으로 돌출될 때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에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릿홈이 형성된 보강판에 의하여 서포트부재의 지지압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승차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회동 브라켓트, 견인블럭 및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이 고정핀 및 체결부재를 통하여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때문에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차량 시트 내부에 설치되어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에 있어서,
    바디 프레임 양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측면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대략 중앙을 기준으로 승차자의 척추 부위 및 등 부위를 향하여 돌출되는 원호 또는 아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서포트 부재;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 및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를 상방으로 당기는 견인수단;
    상기 원호의 중심에 상응하여 대략 길이방향의 중앙에 단차된 고정부를 구비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하되, 상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 플랜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바아;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의 각각의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수단의 케이블을 몸체 일측에 고정 지지하도록 고정편을 구비한 견인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슬리이브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바아의 상부 일측 외주연을 고정하도록 몸체의 양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부재가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돌출시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 바아에 관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회동 브라켓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가이드 바아의 하부 일측 외주연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결합홀과,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홀을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부재가 원호 또는 아크 형상으로 돌출시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 바아의 하부 일측 외주연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 강도를 부가하도록 소정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보강판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를 상기 보강판의 간격에 상응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가 상기 견인블럭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몸체 일측에 휨응력이 집중되는 슬릿홈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하부가 지지플레이트의 보강판 삽입홈에 압입되어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과 일체로 상기 서포트부재의 바디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슬라이딩 블럭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홀과 상기 와이어 고정홀을 수평플레이트에 형성하되, 상기 결합홀은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 바아 끼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홀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대략 중앙에서 단차로 절곡된 케이블 지지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KR1020070006530A 2006-12-26 2007-01-22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KR100795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321 2006-12-26
KR20060133321 2006-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330B1 true KR100795330B1 (ko) 2008-01-21

Family

ID=3921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530A KR100795330B1 (ko) 2006-12-26 2007-01-22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189A2 (ko) * 2010-05-26 2011-12-01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용 컴포트매트
KR101199906B1 (ko) * 2010-06-24 2012-11-09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353624B1 (ko) 2012-10-12 2014-01-20 홍정명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003A (ja) * 2005-09-30 2007-04-12 Onkyo Corp 埋込型スピーカー取付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埋込型スピーカ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003A (ja) * 2005-09-30 2007-04-12 Onkyo Corp 埋込型スピーカー取付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埋込型スピーカ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7-0036525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189A2 (ko) * 2010-05-26 2011-12-01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용 컴포트매트
WO2011149189A3 (ko) * 2010-05-26 2012-02-23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용 컴포트매트
KR101199906B1 (ko) * 2010-06-24 2012-11-09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353624B1 (ko) 2012-10-12 2014-01-20 홍정명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3194B (en) Convexity adjustable support, in particular, lumbar support for seats and stretchers of all kinds
KR100644921B1 (ko) 진동형 척추 서포트
US7270378B2 (en) Chair having a suspension seat assembly
JP4530046B2 (ja) 腰部支持組立体および対応する座席構造体
US20080136240A1 (en) Vehicle seat
US8454090B2 (en) Pelvic and lumbar support system
JP2008543397A (ja) トラクション・ワイヤ取付具およびトラクション・ワイヤ取付具を用いた調整可能な支持組立体
US20050275273A1 (en) Seat for vehicle
US20120086250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gulating a Lateral Part of a Seat
KR100795330B1 (ko)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US20220340060A1 (en) Seat device
KR20200062927A (ko) 시트백
EP1762155B1 (e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JP2005525189A (ja) 座席組立体のサスペンション用の可調式アタッチメント及び張力調整組立体
KR100416698B1 (ko) 자동차시트용 람버서포트의 결착장치
EP0563709A2 (en) A seat with improved lumbar support,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20220340059A1 (en) Seat device
EP1945479A1 (en) Support element with adjustable lateral supports
KR100781115B1 (ko)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KR100906393B1 (ko) 시트용 척추 지지체
CN100534832C (zh) 腰部支撑装置及其制造方法
EP1918156B1 (en) Support assembly for a seat
KR101664949B1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JP2018039459A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7095277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