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218A -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 Google Patents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218A
KR20040041218A KR1020020069329A KR20020069329A KR20040041218A KR 20040041218 A KR20040041218 A KR 20040041218A KR 1020020069329 A KR1020020069329 A KR 1020020069329A KR 20020069329 A KR20020069329 A KR 20020069329A KR 20040041218 A KR20040041218 A KR 2004004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biner
low noise
noise amplifi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296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2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휴대단말기의 저잡음증폭기(LNA)에서 고조파를 제거하여 선형성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저잡음 증폭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1 결합기와;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저잡음 증폭하여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2 결합기와;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1 지연기와;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추출된 신호와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추출된 신호를 입력하여 고조파 성분만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선형부와; 상기 제1 지연기와 상기 선형부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고조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컴바이너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낮은 증폭율의 저잡음증폭기를 사용하여 큰 증폭율의 저잡음증폭기와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가격을 싸게 하고, 전력소모를 줄이며, 크기를 작게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고조파에 의한 잡음없이 증폭 출력하므로, 가입자 통신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무선 송수신되는 신호의 신뢰도가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A LOW NOISE AMPLIFIER WITH EXCLUDE HARMONICS FOR LINEARITY}
본 발명을 이동통신 시스템 수신단에 사용되는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의 선형성(LINEARITY)을 개선하는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저잡음증폭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HARMONICS)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선형성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접속하는 것으로, 운용특성상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기지국(BS)으로부터 수신된 미약한 신호를 저잡음 상태로 증폭하여 처리가능한 일정한 레벨의 신호로 만든 후, 하향변환(DOWN-CONVERTING) 등의 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은 저잡음증폭기(LNA)는, 입력되는 신호가 어느 정도 일정한 입력레벨 범위에 있는 경우 선형성 있게 소정 비율로 비례하여 증폭 출력하지만, 일정한 레벨이 넘게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경우는 소정 비율로 비례하여 증폭 출력하지 못하고 고조파(HARMONICS) 성분을 발생시키므로, 수신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레벨이 넘는 입력신호에 대하여서도, 고조파를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서 동작하는 저잡음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이 높아야 되고, 부피가 커지며 가격이 비싸지는 동시에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휴대단말기에서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로 남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저잡음 증폭기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경우는 선형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수신기의 성능을 제고하고 가격을 낮추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고조파 신호가 제거되는 휴대단말기의 저잡음 증폭기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저잡음 증폭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저잡음 증폭기 기능 구성도 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수신부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와,
상기 안테나(10)에 접속되어 송신(TX)되는 고주파 신호와 수신(RX)되는 고주파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의 경로(PATH)로 전송하는 듀플렉서(DUPLEXER)(20)와,
상기 듀플렉서(20)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부(LNA)(30)와,
상기 저잡음 증폭부(3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RF) 신호를 하향변환(DOWN-CONVERTING)하여 출력하는 하향변환부(4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수신부를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안테나(ANTENNA)(10)는 송신되는 고주파(RF) 신호와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듀플렉서(20)는 송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기 안테나(10)로 인가하고, 상기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LNA)(30)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일종의 여파기 또는 필터(FILTER)이다.
상기와 같이 듀플렉서(20)로부터 미약한 레벨의 고주파(RF)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저잡음 증폭기(LNA)(30)는 저잡음으로 증폭하여 일정한 레벨로 키워서 출력하므로 상기 하향변환부(40)에서 처리가능하게 되고, 상기 하향변환부(40)에서는 중간주파(IF)와 저주파 또는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로 단계적 하향변환하게 된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30)는 입력신호의 레벨이 어느 정도 레벨 이상이면, 소정의 이득(GAIN)으로 증폭하여 출력하지 못하는 동시에 고조파(HARMONICS) 성분 신호를 발생하는 비선형 특성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저잡음 증폭기(10)의 입출력신호에 의한 비선형 특성을, 일 예로,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E0= 저잡음 증폭기 출력
E1= 저잡음 증폭기 입력
K1= 1차 고조파 상수
K2= 2차 고조파 상수
K3= 3차 고조파 상수
상기와 같은 수학식1에 의하여 저잡음 증폭기(30)의 입력과 출력을 표시하는경우, 다른 일 예로, 입력되는 신호가 두 개의 주파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즉 입력되는 신호가 E1= A(COS W1t + COS W2t) 인 경우는 출력되는 신호 E0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표현된다.
E0= K1A(COS W1t + COS W2t) + K2A2(COS W1t + COS W2t)2+ K3A3(COS W1t + COS W2t)3+ .....
= K1A2+ K2A2COS(W1-W2)t + (K1A + 9/4K3A3)COS W1t + (K1A + 9/4K3A3)COS W2t + 3/4K3A3COS(2W1- W2)t + 3/4K3A3COS(2W2- W1)t + K2A2COS(W1+ W2)t + 1/2K2A2COS W1t + 1/2K2A2COS2 W2t + 3/4K3A3COS(2W1+ W2)t + 3/4K3A3COS(2W2+ W1)t + 1/4K3A3COS3 W1t + 1/4K3A3COS3 W2t + ...
상기와 같은 식을 분석하면, (2W1- W2) 성분과 (2W2- W1) 성분은 입력신호인 W1과 W2를 왜곡(DISTORTION)시키는 고조파(HARMONICS) 성분이다.
상기와 같은 성분의 고조파 신호는 이동통신 휴대단말기의 저잡음증폭기(30) 성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수신기능을 저하시키고 전송되는 데이터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므로써, 저전력을 소모하며 크기를 작게하고 선형성을 제고하는 낮은 가격의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저잡음 증폭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1 결합기와;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저잡음 증폭하여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2 결합기와;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1 지연기와;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추출된 신호와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추출된 신호를 입력하여 고조파 성분만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선형부와; 상기 제1 지연기와 상기 선형부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고조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컴바이너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휴대단말기 수신부 저잡음 증폭기 기능 구성도,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기능 구성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잡음 증폭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선형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5 : 안테나20,25 : 듀플렉서
30,100 : 저잡음증폭부40,45 : 하향변환부
110 : 제1 결합기120 : 저잡음증폭기
130 : 제2 결합기140 : 제1 지연기
150 : 제1 컴바이너160 : 선형부
170 : 제2 지연기180 : 제2 컴바이너
190 : 위상변환기200 : 증폭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잡음 증폭부의 상세 기능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선형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를 설명하면, 안테나(15)에서 수신된 고주파(RF) 신호가 듀플렉서(25)에 인가되어 잡음신호가 여파되고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저잡음증폭부(100)에 인가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저잡음증폭부(100)는, 듀플렉서(25)로부터 인가된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1 결합기(110)와, 상기 제1 결합기(110)로부터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저잡음(LOW NOISE) 증폭하여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LNA)(120)와, 상기 저잡음증폭기(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2 결합기(130)와,
상기 제2 결합기(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기 선형부(160)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1 컴바이너(150)에 입력되는 고조파 신호와의 위상(PHASE)이 반전되도록 상기 제2 결합기(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지연(DELAY)시켜 출력하는 제1 지연기(140)와,
상기 제1 결합기(110)로부터 추출된 신호와 상기 제2 결합기(130)로부터 추출된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고조파 성분만을 검출하고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결합기(110)로부터 추출되어 인가되는 입력신호를 지연(DELAY)시키는 제2 지연기(170); 상기 제2 결합기(130)로부터 추출되어 인가되는 신호와 상기 제2 지연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고조파 신호만을 검출하는 제2 컴바이너(180); 상기 제2 컴바이너(180)로부터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의위상(PHASE)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위상변환기(190); 상기 위상변환기(190)로부터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지는 선형부(160)와,
상기 제1 지연기(140)와 상기 선형부(16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고조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지연기(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상기 선형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고조파 신호를 더함으로써 고조파 신호가 상쇄되고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컴바이너(1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형부(160)를 구성하는 제2 지연기(170)는, 상기 제1 결합기(110)에서 출력되고 저잡음증폭기(120)와 제2 결합기(130)를 통하여 상기 제2 컴바이너(180)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위상과, 상기 제1 결합기(110)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제2 컴바이너(180)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위상(PHASE)이 반전된 상태로 동기되도록 하는 구성이고, 상기 위상변환기는, 상기 제1 지연기(140)를 통하여 상기 제1 컴바이너(150)에 입력되는 고조파 신호의 위상(PHASE)과 상기 증폭기(200)를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 제1 컴바이너(150)에 입력되는 고조파 신호의 위상(PHASE)이 반전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상기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안테나(15)에 의하여 수신되고 듀플렉서(25)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저잡음증폭부(100)에 인가된 신호는, 제1 결합기(DC: DIRECTIONAL COUPLER)(110)에 의하여 일부의 신호가 추출되고 상기 추출된 일부의 신호가 선형부(160)에 인가되며, 나머지 신호는 모두 저잡음증폭기(120)에 인가되어 저잡음으로 증폭되므로써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상기 저잡음증폭기(120)로부터 저잡음(LOW NOISE) 특성으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2 결합기(DC)(130)에 인가되어 일부의 신호가 추출되며, 상기 추출된 일부의 신호는 선형부(160)에 인가되고 나머지 신호는 모두 제1 지연기(140)에 인가되어 소정 크기만큼 위상이 지연(DELAY) 조정되어 제1 컴바이너(COMBINER)(150)에 입력된다.
상기 선형부(160)는 제1 결합기(110)에서 추출된 것으로, 입력신호의 일부 추출신호와 제2 결합기(130)에서 추출된 것으로, 상기 저잡음증폭기(120)에서 증폭되어 고조파(HARMONICS)가 포함된 신호를 일부 추출하여 각각 입력받는다.
상기 제1 결합기(110)에 의하여 일부가 추출된 입력신호는, 선형부(160)의 제2 지연기(170)에 인가되어 소정 크기로 위상(PHASE)이 지연(DELAY)되어 제2 컴바이너(180)에 입력되는 것으로써, 상기 제2 결합기(130)에 의하여 증폭된 입력신호와 위상이 반전상태로 동기(SYNCHRONOUS)되도록 지연(DELAY)한다.
즉, 상기 제2 컴바이너(180)는 제2 지연기(17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와 제2 결합기(13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가 반전상태로 동기(SYNCHRONOUS)되어 입력되므로, 서로 상쇄(OFFSET)되어 없어지고, 상기 저잡음증폭기(120)에 의하여 증폭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고조파 신호만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컴바이너(180)에 의하여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는 위상변환기(190)에 인가되어 위상이 지연(DELAY) 또는 조정되어 상기 증폭기(200)에 출력되고, 상기 증폭기(200)에 의하여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는 제1 컴바이너(150)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기(130)로부터 증폭되어 고조파를 포함하는 신호는 제1 지연기(140)에 의하여 위상이 지연(DELAY)된 후에 상기 제1 컴바이너(150)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선형부(160)의 위상변환기(190)와 제1 지연기(140)는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크기 많큼 위상지연(PHASE DELAY) 시키어 출력하는데, 특히 상기 위상변환기(190)는 고조파(HARMONICS) 신호의 위상(PHASE)을 지연시켜 출력하므로, 상기 제1 지연기(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고조파 위상과 반전된 상태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컴바이너(150)는, 제1 지연기(140)로부터 인가되는 것으로 고조파 신호가 포함된 입력신호를 입력하고, 동시에 상기 선형부(160)에 의하여 위상이 반전된 상태로 인가되는 고조파 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더하므로써, 상기 제1 지연기(1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고조파 신호의 성분이 서로 상쇄되어 제거되고, 순수한 입력신호만이 출력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학식 2에서의 고조파 성분인 (2W1- W2)와 (2W2- W1)이 상기 제1 컴바이너(150)에서 상쇄되어 소멸되는 것으로, 즉, 상기 제1 지연기(140)로부터 출력되는 고조파 성분 (2W1- W2) 및 (2W2- W1)와 선형부(160)로부터 출력되는 고조파 성분 (2W1- W2) 및 (2W2- W1)은 위상이 서로 반전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컴바이너(150)에서 더해지는 경우 서로 상쇄되어 제거된다.
그러므로, 상기 위상변환기(190)는 상기 제1 지연기(140)로부터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의 위상과 정확하게 반전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저잡음증폭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RF) 신호는 저잡음증폭기(120)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조파(HARMONICS) 신호가 상쇄되어 제거되므로, 선형성이 개선되어 출력되고 휴대단말기 수신기의 성능이 개선되므로, 저증폭율 또는 저 이득(GAIN)의 저잡음증폭기(120)를 사용하여도 되고, 크기를 작게하며, 적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수신부를 구성하는 저잡음증폭기(LNA)의 선형성(LINEARITY)이 개선되어 낮은 증폭율로도 수신성능이 제고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낮은 증폭율의 저잡음증폭기를 사용하여 큰 증폭율의 저잡음증폭기와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가격을 싸게 하고, 전력소모를 줄이며, 크기를 작게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저잡음증폭기 선형성이 개선되고, 수신되는 신호를 고조파에 의한 잡음없이 증폭 출력하므로, 가입자 통신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무선 송수신되는 신호의 신뢰도가 제고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단말기 수신부의 저잡음 증폭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1 결합기와,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저잡음 증폭하여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경로로 별도 출력하는 제2 결합기와,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1 지연기와,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추출된 신호와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추출된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고조파 성분만을 검출하고 출력하는 선형부와,
    상기 제1 지연기와 상기 선형부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고조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컴바이너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기는,
    상기 선형부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1 컴바이너에 입력되는 고조파 신호와의 위상이 반전되도록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는,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추출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제2 지연기와,
    상기 제2 결합기로부터 추출되어 인가되는 신호와 상기 제2 지연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고조파 신호만을 검출하는 제2 컴바이너와,
    상기 제2 컴바이너로부터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의 위상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위상변환기와,
    상기 위상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조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연기는,
    상기 제1 결합기에서 출력되고 저잡음증폭기와 제2 결합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컴바이너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위상과 상기 제1 결합기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제2 컴바이너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위상이 반전된 상태로 동기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변환기는,
    상기 제1 지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컴바이너에 입력되는 고조파 신호의 위상과 상기 증폭기를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 제1 컴바이너에 입력되는 고조파 신호의위상이 반전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바이너는,
    상기 제1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상기 선형부로부터 출력되는 반전된 고조파 신호를 더함으로써 고조파 신호가 상쇄되고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KR10-2002-0069329A 2002-11-08 2002-11-08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KR10051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29A KR100511296B1 (ko) 2002-11-08 2002-11-08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29A KR100511296B1 (ko) 2002-11-08 2002-11-08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218A true KR20040041218A (ko) 2004-05-17
KR100511296B1 KR100511296B1 (ko) 2005-08-31

Family

ID=3733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329A KR100511296B1 (ko) 2002-11-08 2002-11-08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97B1 (ko) * 2006-04-12 2008-10-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펄스 변조를 이용한 고효율 선형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44B1 (ko) * 2013-06-11 2014-12-24 주식회사 제이케이파워텍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280B1 (ko) * 1995-12-14 1998-11-02 양승택 간섭신호 제거용 수신기
KR19990075248A (ko) * 1998-03-18 1999-10-15 김영환 선형 가변 감쇄기를 이용한 단일 톤/상호 변조 왜곡 성능 개선장치
KR20000066112A (ko) * 1999-04-13 2000-11-15 안동식 혼 변조 왜곡 신호 궤환형 선형화기
US6717980B1 (en) * 1999-05-24 2004-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duction of transmitter induced cross modulation in a receiver
KR100357531B1 (ko) * 2000-12-29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 단말기의 수신 이득 제어 방법
KR20020078901A (ko) * 2001-04-11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저잡음 증폭기
KR20030031377A (ko) * 2001-10-15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장치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97B1 (ko) * 2006-04-12 2008-10-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펄스 변조를 이용한 고효율 선형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296B1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7123B (zh) 用于接收器的跟踪滤波器
US11159195B2 (en) Methods for operating radio frequency devices having transmit loopback functionality
CN108233952B (zh) 通信模块
US11444362B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s device
EP1968201A1 (en) Predistortion with asymmetric usage of available bandwidth
US9596120B2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distortion compensation apparatus,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5654560B2 (ja) スプール減衰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60541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multiple frequencies simultaneously
EP1185009B1 (en) Circuit for the detection of the ratio of the leak power to the signal power
JPH11308143A (ja) 通信装置
US10637525B2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511296B1 (ko)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JP3578957B2 (ja) 増幅装置
US20100007415A1 (en) Signal nonlinear distoration magnitud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US8032093B1 (en) Power detection arrangement with harmonic suppressor
JP4777168B2 (ja) 無線信号受信装置
KR20100008290A (ko)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한 안테나 분리형 무선 시스템
US20070280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signals and wireless multimode wideband receiver
JP2002151973A (ja) 送信装置及び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歪補償方法
JP2009218930A (ja) 通信装置、歪み補償回路、および歪み補償方法
KR20060099210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
KR101679851B1 (ko) 송신 및 수신장치
KR100746106B1 (ko) 신호처리용 디지털 보드의 마스터클럭 제거 장치
CN113472299A (zh) 一种信号收发前端电路
JPH0697854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