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244B1 -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244B1
KR101476244B1 KR1020130066516A KR20130066516A KR101476244B1 KR 101476244 B1 KR101476244 B1 KR 101476244B1 KR 1020130066516 A KR1020130066516 A KR 1020130066516A KR 20130066516 A KR20130066516 A KR 20130066516A KR 101476244 B1 KR101476244 B1 KR 10147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correction signal
phase
phase dela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491A (ko
Inventor
김승기
김세윤
김유진
최청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파워텍
Priority to KR102013006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2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는 노이즈 수신부; 상기 노이즈 수신부에서 수신한 노이즈 신호를 설정레벨로 전치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는 위상이 반전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 상기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정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합하여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방해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NOISE REMOVAL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NOISE REMOV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의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는 전력발생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항상 노이즈가 존재한다. 이러한 노이즈는 80~90dB 정도이며, 현장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에게도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중앙 상황실 등에서 작업과 관련한 작업지시를 행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는 무전기 등을 사용하는데, 이때 작업자에게 작업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고 신속하게 행하여져야 한다. 이때, 전력발생장치의 노이즈로 인하여 작업지시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들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지시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어 많은 불편함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아래의 특허문헌에서도 노이즈 제거장치를 소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장치 및 그 제거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3573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방해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는, 전력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는 노이즈 수신부; 상기 노이즈 수신부에서 수신한 노이즈 신호를 설정레벨로 전치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는 위상이 반전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 상기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정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합하여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레벨은 작업자가 착용한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레벨이다.
또한,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는 가변 버퍼 또는 가변 지연 라인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방법은, 노이즈 수신부에서, 전력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치 증폭부에서, 상기 노이즈 신호를 설정레벨로 전치 증폭하는 단계;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는 위상이 반전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상기 위상반전 보정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노이즈 제거부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합하여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정레벨은 작업자가 착용한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레벨이다.
또한,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에서는 가변 버퍼 또는 가변 지연 라인을 통해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방해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1000)는, 노이즈 수신부(100), 전치 증폭부(200),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 (300),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400), 및 노이즈 제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수신부(100)는 전력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수신한다. 전력발생장치(10)는 공장 등의 현장에 설치된 전력발전시설일 수 있다.
전치 증폭부(200)는 노이즈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노이즈 신호를 설정레벨로 전치 증폭한다. 전치 증폭부(200)는 전치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치 증폭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설정레벨은 작업자(A, B)가 착용한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레벨이다. 전치 증폭부(200)의 출력신호는 작업자(A, B)가 착용한 헬멧의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해 충분한 이득 레벨을 유지하므로 증폭을 행할 필요가 없다.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300)는 전치 증폭부(200)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는 위상이 반전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위상반전 보정신호가 노이즈 신호와 반대위상을 가져 서로 상쇄되기 위함이다.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400)는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300)에서 생성된 보정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이유는, 노이즈 신호와 위상반전 보정신호가 시간 또는 경로 상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위상지연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위상지연의 차이는 노이즈 신호와 위상반전 보정신호가 서로 반대위상을 가지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그 결과 양자 간에 효과적인 상쇄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지연시켜 노이즈 신호와 반대위상인 180도의 차이를 가지도록 한다.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400)는 가변 버퍼 또는 가변 지연 라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노이즈 제거부(500)는 전치 증폭부(200)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합하여 노이즈 신호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작업자(A, B)는 전력발생장치(10)가 설치된 현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방해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중앙 상황실(20) 등에서 작업자(A, B)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작업지시를 전달하는 경우, 노이즈가 혼합되지 않은 깨끗한 통신신호를 전달하게 됨으로써 작업자(A, B)에게 그 내용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1000)는 칩(chip)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앙 상황실(20) 등에 배치된 송신장치에 장착되어 작업자(A, B)에게 작업지시를 전달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작업자(A, B)끼리도 작업지시를 알려주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발생장치의 노이즈 제거방법은,
먼저, 노이즈 수신부(100)에서, 전력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수신한다(S100).
전치 증폭부(200)에서, 노이즈 신호를 설정레벨로 전치 증폭한다(S200). 설정레벨은 작업자가 착용한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레벨이다.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300)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는 위상이 반전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생성한다(S300).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400)에서, 위상반전 보정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한다(S400).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400)에서는 가변 버퍼 또는 가변 지연 라인을 통해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노이즈 제거부(500)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합하여 노이즈 신호를 제거한다(S500).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장치 및 그 제거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작업과정에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전력발생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방해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전력발생장치
20 : 중앙 상황실
100 : 노이즈 수신부
200 : 전치 증폭부
300 :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
400 :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
500 : 노이즈 제거부
1000 : 노이즈 제거장치
A, B : 작업자

Claims (6)

  1. 전력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는 노이즈 수신부;
    상기 노이즈 수신부에서 수신한 노이즈 신호를 설정레벨로 전치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는 위상이 반전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
    상기 위상반전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정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합하여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및 상기 설정레벨은 작업자가 착용한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레벨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는 가변 버퍼 또는 가변 지연 라인으로 구성된,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4. 노이즈 수신부에서, 전력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치 증폭부에서, 상기 노이즈 신호를 설정레벨로 전치 증폭하는 단계;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는 위상이 반전된 위상반전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에서, 상기 위상반전 보정신호의 위상을 지연시켜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노이즈 제거부에서, 전치 증폭된 노이즈 신호와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합하여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레벨은 작업자가 착용한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레벨인,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 보정신호 생성부에서는 가변 버퍼 또는 가변 지연 라인을 통해 위상지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방법.
KR1020130066516A 2013-06-11 2013-06-11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KR10147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516A KR101476244B1 (ko) 2013-06-11 2013-06-11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516A KR101476244B1 (ko) 2013-06-11 2013-06-11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91A KR20140144491A (ko) 2014-12-19
KR101476244B1 true KR101476244B1 (ko) 2014-12-24

Family

ID=5267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516A KR101476244B1 (ko) 2013-06-11 2013-06-11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2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296B1 (ko) * 2002-11-08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KR20090065577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과학기술원 그라운드 커플링 노이즈 제거 방법, 제거 회로 및 이를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296B1 (ko) * 2002-11-08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조파를 제거한 저잡음 증폭기 선형화 장치
KR20090065577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과학기술원 그라운드 커플링 노이즈 제거 방법, 제거 회로 및 이를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91A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23003A5 (ko)
ATE521064T1 (de) Verstärkung und spektralformenanpassung bei der verarbeitung von audiosignalen
ATE549799T1 (de) Mehrbandempfänger für die satellitennavigation
WO2007125132A3 (en) Method for feedback cancelling in a hearing device and a hearing device
WO2016116761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radio frequency signals of transceiver integrated circuits
DK2223487T3 (da) FSK-modtager til et høre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bearbejdning af et FSK-signal
WO2016060822A8 (en) Techniques for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based signaling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DE502007005312D1 (de) Zeit-adaptives Einstellen einer Hörhilfe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DK1239700T4 (da) Fremgangsmåde til drift af et høreapparat eller høreapparatsystem samt høreapparat til høreapparatsystem
JP2016517512A5 (ko)
GB2568821A (en) GNSS Message authentication
EP1648197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ktion von Rückkopplungen bei einem Akustiksystem
SE0103412L (sv) Metod och arrangemang för en effektförstärkare
KR101476244B1 (ko) 무선통신을 위한 노이즈 제거장치 및 그 노이즈 제거방법
RU2013141143A (ru) Способ характеризации передающей антенны орбитального спутник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WO2009014146A1 (ja) 無線基地局装置
MX2016000622A (es) Reduccion de la distorsion en señales amplificadas en herramientas de registro de pozos.
JP2015136103A5 (ko)
ATE521197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ückkopplungskompensation in einem akustischen verstärkungssystem, insbesondere in einem hörgerät
JP2014171046A5 (ko)
ATE497606T1 (de) Zeitlicher cw-nuller
KR101476243B1 (ko) 무선통신 헬멧
JP2009236881A (ja) Dme地上装置とその応答効率モニタ方法
WO2018101761A3 (ko) 수동상호변조왜곡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MY190094A (en) Wafer mark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