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968A -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 Google Patents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968A
KR20040039968A KR1020020068227A KR20020068227A KR20040039968A KR 20040039968 A KR20040039968 A KR 20040039968A KR 1020020068227 A KR1020020068227 A KR 1020020068227A KR 20020068227 A KR20020068227 A KR 20020068227A KR 20040039968 A KR20040039968 A KR 20040039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ube
insulator
insul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732B1 (ko
Inventor
장성조
윤을재
김준엽
이왕근
강전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2-006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73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12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capacitive pick-u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97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vibratory elements
    • G01P15/1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vibratory elements by vibratory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 나사 절연장치(110)는 나사(100)의 일측에 외측절연관(104)이 삽입되고, 반대쪽에는 그 외측절연관(104)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측절연관(106)이 슬라이딩식으로 삽입결합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내,외측절연관(106)(104)의 외측에 가속도 센서(111)가 조립되므로, 가속도 센서(111)의 하우징(112)과 나사(100) 사이에 완전한 절연이 이루어진다. 또한, 그와 같이 절연이 이루어진 나사(100)에 의해 조립된 센서조립체(132)는 상기와 같이 가속도 센서(111)가 조립된 나사(100)의 단부에 마운팅 플레이트(131)를 체결하여 진동시험을 위한 센서조립체(132)를 구성하는데, 이때 마운팅 플레이트(131)와 나사(100)는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으나 나사(100)와 가속도센서(111)는 내,외측절연관(106)(104)에 의해 완전한 절연이 이루어져 있어서 절연불량에 의한 진동시험의 측정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 센서조립체{SCREW INSULATING APPARATUS AND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이 요구되는 부품의 취부시 2개의 절연관이 서로 중첩되도록 삽입결합되어 나사를 감싸도록 조립됨으로써 그 절연된 나사의 외측에 결합되는 부품과 완벽한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소자를 이용한 가속도계 센서는 하우징 내측에서 압전소자를 하우징과 절연시키는 것은 하우징과 압전소자의 용량성 결합(capacitive coupling)으로 인하여 잡음에 취약한 결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코자 센서에 있는 동축 케이블의 바깥도선이 하우징과 내부에서 연결된 가속도계 센서가 있다. 이 가속도계 센서는 절연나사를 이용하여 하우징을 외부의 마운팅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나사의 절연은 나사에 절연슬리브 관을 삽입하고, 그 외측에 절연와셔를 삽입한 후, 상기 절연 슬리브 관의 외측에 가속도계 센서를 삽입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나사와 가속도계 센서의 전기적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절연나사를 이용하여 가속도계 센서가 취부된 상태가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나사 몸체(1a)의 후단부에 나사머리(1b)가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에 수나사부(1c)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1)의 몸체(1a) 외측면에 절연슬리브관(2)이 밀착되도록 삽입하여 끼워져 있다.
그리고, 그 절연슬리브관(2)의 외측에는 절연와셔(3)가 삽입되어 나사머리(1b)의 내측면에 밀착되어지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가속도계 센서(4)의 하우징(5)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홀(5a)에 상기 나사(1)가 삽입되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삽입된 나사(1) 수나사부(1c)가 형성된 부분에 절연와셔(6)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나사부(1c)부분이 마운팅 플레이트(7)의 탭(7a)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절연나사를 이용하여 가속도계 센서(4)를 마운팅 플레이트(6)에 결합할때는 먼저 절연슬리브관(2)이 외측면에 삽입되어 있는 절연 나사(1)를 가속도계 센서(4)의 고정홀(5a)에 삽입하고, 그 가속도계 센서(4)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수나사부(1c)부위에 절연와셔(6)를 결합함과 아울러 마운팅 플레이트(7)의 탭(7a)에 나사결합한다. 그런후 그와 같이 결합된 마운팅 플레이트(7)를 진동시험하고자 하는 측정부위에 부착하여 진동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절연나사를 이용한 가속도계 센서(4)의 취부구조에서는 나사(1)가 마운팅 플레이트(7)에 전기적으로 도통된 상태에서 수나사부(1c)부분과 가속도계 센서(4)의 하우징(5)간에 직접접촉 또는 이물질(습기 또는 먼지)에 의한 간접접촉에 의해 전기적인 도통이 이루어져서 정확한 진동시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가 원할하게 취부되도록 함과 아울러 가속도계 센서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나사의 외측이 완전히 절연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 센서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절연나사에 가속도 센서가 취부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나사 절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나사 절연장치를 이용한 가속도 센서의 고정구조를 보인 조립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나사 101 : 나사머리
101a : 내측면 102 : 수나사부
103,105 : 플랜지 103a : 외측면
104 : 외측절연관 104a : 단차부
106 : 내측절연관 111 : 가속도 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사의 나사머리측에 삽입되며 나사머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부품의 내경 일정부분과 일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외측절연관과,
상기 외측절연관의 반대쪽에서 외측절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단부의 수나사부측에 위치되어 부품의 내경 나머지 부분과 타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내측절연관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나사의 나사머리측에 삽입되며 나사머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부품의 내경 일정부분과 일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외측절연관과,
상기 외측절연관의 반대쪽에서 외측절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단부의 수나사부측에 위치되어 부품의 내경 나머지 부분과 타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내측절연관과,
상기 외측절연관과 내측절연관의 외측에 삽입결합되는 시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조립체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의해 조립된 센서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나사 절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나사 절연장치(110)는 나사(100)의 일단부에 나사머리(10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수나사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같은 나사(100)에는 나사머리(101) 내측면(101a)에 밀착되어 부품의 내경 일정부분과 일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103)가 형성된 원형관체상의 외측절연관(104)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절연관(104)의 반대쪽에서 외측절연관(104)의 내측(104b)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나사(100)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02)측에 위치되어 가속도 센서(111)의 홀(112a) 나머지 부분과 타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105)가 형성된 원형관체상의 내측절연관(10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외측절연관(104)과 내측절연관(106)의 재질은 수지이며, 외측절연관(104)의 내측에는 내측절연관(106)이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단차부(10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나사 절연장치(110)를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111)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나사(100)의 나사머리(101) 내측면(101a)에 플랜지(103)의 외측면(103a)이 밀착되도록 외측절연관(104)을 나사(100)를 슬라이딩식으로 삽입한다.
그런다음, 그와 같이 외측절연관(104)이 삽입된 나사(100)를 가속도 센서(111)의 하우징(112)에 형성된 홀(112a)에 삽입하여 외측절연관(104)이 홀(112a)의 내측 일정부분까지 삽입되어지는 동시에 외측절연관(104)의 플랜지(103) 내측면(103b)에 가속도 센서(111)의 하우징(112) 일측면(112b)이 밀착되도록 결합한다.
그런다음, 그 나사머리(101)의 반대쪽에서 내측절연관(106)을 나사(100)에 삽입함과 아울러 외측절연관(104)의 내측 단차부(104a)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하여 외측절연관(104)과 내측절연관(106)이 일정길이 겹치는부분(130)이 발생되도록 결합함과 아울러 내측절연관(106)의 플랜지(105) 내측면(105a)이 가속도 센서(111)의 하우징(112) 타측면(112c)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내측절연관(10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100)의 수나사부(102)에 마운팅 플레이트(131)를 체결하며, 그와 같이 조립된 센서 조립체(132)를 진동시험을 하고자 하는 기기에 취부하여 진동시험을 실시하게 되는데, 그와 같이 나사(100)에 조립되는 가속도 센서(111)는 외측절연관(104)과 내측절연관(106)에 의해 나사(100)와 완전히 절연이 이루어지므로 절연불량에 의한 진동시험의 측정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 센서조립체는 나사의 일측에 외측절연관이 삽입되고, 반대쪽에는 그 외측절연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도록 내측절연관이 슬라이딩식으로 삽입결합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내,외측절연관의 외측에 가속도 센서가 조립되므로, 가속도 센서의 하우징과 나사 사이에 완전한 절연이 이루어져서 절연불량에 의한 진동시험의 측정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진동시험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나사의 나사머리측에 삽입되며 나사머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부품의 내경 일정부분과 일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외측절연관과,
    상기 외측절연관의 반대쪽에서 외측절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단부의 수나사부측에 위치되어 부품의 내경 나머지 부분과 타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내측절연관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연관과 내측절연관은 수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연관의 내측에는 내측절연관이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연관과 내측절연관은 결합시 겹치는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연장치.
  5. 나사의 나사머리측에 삽입되며 나사머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부품의 내경 일정부분과 일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외측절연관과,
    상기 외측절연관의 반대쪽에서 외측절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단부의 수나사부측에 위치되어 부품의 내경 나머지 부분과 타측면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내측절연관과,
    상기 외측절연관과 내측절연관의 외측에 삽입결합되는 시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센서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조립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조립체.
KR10-2002-0068227A 2002-11-05 2002-11-05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KR10044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27A KR100440732B1 (ko) 2002-11-05 2002-11-05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27A KR100440732B1 (ko) 2002-11-05 2002-11-05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968A true KR20040039968A (ko) 2004-05-12
KR100440732B1 KR100440732B1 (ko) 2004-07-19

Family

ID=3733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227A KR100440732B1 (ko) 2002-11-05 2002-11-05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78B1 (ko) * 2008-08-28 2010-03-22 주식회사 오키 단자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35A (ko) * 2014-11-14 2016-05-2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2143048B1 (ko) * 2017-12-14 2020-08-10 (주)엘지하우시스 홀더 장착용 지그
KR20220095762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Led 등기구용 철재 나사못 절연 마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7238A (en) * 1967-07-27 1969-12-30 Gulton Ind Inc Ceramic transducer elements and accelerometers utilizing same
JPH0697185B2 (ja) * 1988-06-22 1994-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振動検出器
JP2522581B2 (ja) * 1990-04-17 1996-08-07 株式会社東芝 巻線吊り上げ装置
JPH09243653A (ja) * 1996-03-12 1997-09-19 Tokin Corp 衝撃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78B1 (ko) * 2008-08-28 2010-03-22 주식회사 오키 단자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732B1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190B1 (ko) 동축접촉장치
US8323054B2 (en) Coaxial connector
US9500512B2 (en) Probe Unit
AU738716B2 (en) A connector for a coaxial radio frequency cable
US20080119088A1 (en) Shield connector and shield connector set having the same
KR100440732B1 (ko)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JP6565990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36800A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KR20180078662A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US7843699B2 (en)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4230865A (ja) 電気試験プローブ
US5226841A (en) Clamping device for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US20030110863A1 (en) Vibration pickup and an insulating disk for a vibration pickup
KR100326519B1 (ko) 동축케이블 유닛, 케이블 단자 및 고정판
US8419481B2 (en) Audio plug and audio connector using the same
CA2456361C (en) Electrical safety device
KR880001072A (ko)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JP2007053074A (ja) 圧力検出機能付きスパークプラグ、スパークプラグ用電圧供給部品及び圧力検出機能付きプラグ一体型点火コイル
JP2001091538A (ja) 接触ピン
US20100176796A1 (en) Apparatus for tes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JP2531319B2 (ja) センサ―内蔵プレハブ型接続部
KR100797221B1 (ko)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US3351890A (en) Electrical connector
JPS6225703Y2 (ko)
JP2008258003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