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763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763A
KR20040039763A KR1020020067937A KR20020067937A KR20040039763A KR 20040039763 A KR20040039763 A KR 20040039763A KR 1020020067937 A KR1020020067937 A KR 1020020067937A KR 20020067937 A KR20020067937 A KR 20020067937A KR 20040039763 A KR20040039763 A KR 2004003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6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763A/ko
Publication of KR2004003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7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는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하여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서이동부와;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커서이동부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화면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은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가상키패드 모드일 경우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하여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메뉴를 입력하기 위해 커서를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함으로써, 소형화된 단말기의 키를 누르기 위한 불편을 해소함과 아울러 원하는 데이터를 최소의 시간으로 검색하여 선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신속하게 직접 이동하여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화 추세에 있으며, 그로 인해 키패드(keypad) 버튼의 크기 또한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성인이나 외국인의 경우 단말기의 키패드가 작기 때문에 전화를 걸거나 SMS(Small Message Service), 인터넷 등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작은 키패드를 보완하기 위해 단말기 내의 인터넷관련 기능 및 그 관련 키를 없애고 다른 키패드를 크게 조정하거나, 조그 다이얼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숫자,문자, 또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조그 다이얼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조그 다이얼을 돌려가며 화면상에 표시된 데이터를 검색하여야 하고,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데이터까지 일일이 검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관련 기능 및 그 관련 키를 없앨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주고객층인 10대 내지 20대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및 단말기 사업자에게는 경제적 손실이 따르게 됨과 아울러 단말기의 키패드가 커졌다 하더라도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두 번 이상의 상하좌우 방향키를 눌러야 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그 다이얼과 같은 것을 사용할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원하지 않는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메뉴까지 조그다이얼을 돌려 일일이 검색하여야 하므로, 데이터 입력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신속하게 직접 이동하여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서이동부200 : 제어부
210 : 입력부220 : 임시저장부
230 : 출력판단부300 : LCD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하여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서이동부와;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커서이동부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화면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가상키패드 모드일 경우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하여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하여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서이동부(100)와;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커서이동부(100)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화면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200)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입력부(210), 임시저장부(220), 메모리(230) 및 출력판단부(240)를 구비한다. 입력부(210)는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커서이동부(100)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임시저장부(220)는 상기 입력부(210)에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230)에 저장하며, 출력판단부(240)는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의 화면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LCD제어부(300)는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출력판단부(240)에서 결정된 화면상의 위치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커서이동부(100)는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 할 수 있는데, 일예로 트랙포인터 또는 멀티키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트랙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이동부(10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트랙포인터의 중앙을 2초간 누르면 가상키패드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다시 중앙을 2초간 누르면 가상키패드 모드를 해제 하는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일단, 가상키패드 모드로 진입하면 미리 설정된 창이 단말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이때 트랙포인터를 사용하여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자유로이 이동시킨 후 트랙포인터를 클릭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또한, 멀티키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이동부(10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응용되던 멀티키에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는 키를 부가하여 실시하면 되는데, 이 경우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방향의 키 구동에 의해 사용자는 화면상에서 커서를 자유로이 움직여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는 도2와 같이 동작을 수행한다. 입력부(210)는 제1단계(S210)의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여 가상키패드 모드일 경우, 제2단계(S220) 및 제3단계(S2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서이동부(100)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임시저장부(220)로 전달하고, 상기 임시저장부(220)는 메모리(230)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출력판단부(240)는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다이얼모드 인지, SMS 모드 인지, 전화번호부 모드 인지 등을 판단하여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의 화면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한다(S240 내지 S270). 여기서, 가상키패드 모드일 때 화면 상에는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상기 3가지 모드 외에도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중 상기 커서이동부(100)에서 선택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예외처리루틴으로 보내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LCD제어부(300)는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출력판단부(240)에서 결정된 위치 대로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또는문자 또는 메뉴를 입력하기 위해 커서를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함으로써, 소형화된 단말기의 키를 누르기 위한 불편을 해소함과 아울러 원하는 데이터를 최소의 시간으로 검색하여 선택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메뉴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가상키패드 모드일 경우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하여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2.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직접 이동하여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서이동부와; 가상키패드 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커서이동부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화면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이동부는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트랙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이동부는 원터치에 의하여 상하좌우 및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키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
KR1020020067937A 2002-11-04 2002-11-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39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937A KR20040039763A (ko) 2002-11-04 2002-11-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937A KR20040039763A (ko) 2002-11-04 2002-11-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763A true KR20040039763A (ko) 2004-05-12

Family

ID=3733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937A KR20040039763A (ko) 2002-11-04 2002-11-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7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16B1 (ko) * 2005-12-27 2007-08-30 엠텍비젼 주식회사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753209B1 (ko) * 2005-12-27 2007-08-30 엠텍비젼 주식회사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753041B1 (ko) * 2006-05-29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모드다이얼을 구비한 휴대단말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16B1 (ko) * 2005-12-27 2007-08-30 엠텍비젼 주식회사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753209B1 (ko) * 2005-12-27 2007-08-30 엠텍비젼 주식회사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753041B1 (ko) * 2006-05-29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모드다이얼을 구비한 휴대단말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800B2 (en) Method for inputting different characters by multi-directionally pressing a single key more than one time
USRE44913E1 (en)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200400677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text
KR20070010226A (ko) 다기능 단축키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JP2002149308A (ja) 情報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KR20080079191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장치 및 방법
EP233513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user input interface opposite a display
WO2007086371A1 (ja) 文字入力装置
KR20040054048A (ko) 북마크 단축실행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북마크단축실행방법
JP3171169B2 (ja) シーソーキーによる携帯電話機の文字入力方法及び装置
US20040179041A1 (en) Method for defining functions of keys of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JP4334009B2 (ja) データ入力の方法
KR1007353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EP1734727B1 (en) Application dependent keystroke mapping in mobile device having multiple keyboards
RU2413986C2 (ru) Улучшенный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KR200400397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JP2005269567A (ja) 携帯端末
KR100455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60109578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쿼티 키패드 문자입력모드 전환방법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424470B1 (ko)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60675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35267B1 (ko) 입력장치의 키배열 방법
KR100868358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104261B1 (ko) 특수 기능 키를 문자 편집에 활용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