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216B1 -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216B1
KR100753216B1 KR1020050130259A KR20050130259A KR100753216B1 KR 100753216 B1 KR100753216 B1 KR 100753216B1 KR 1020050130259 A KR1020050130259 A KR 1020050130259A KR 20050130259 A KR20050130259 A KR 20050130259A KR 100753216 B1 KR100753216 B1 KR 10075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image data
portable termin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551A (ko
Inventor
이혜란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2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가 가압되면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입력 버튼; 가상 키패드 및 상기 입력 버튼에 상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여 상기 최상위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여 키버튼의 마모로 인한 인식 오류가 없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문자 입력, 키패드

Description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Portable terminal for having virtual key-pad and text input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LCD 상에 구현된 가상 키패드의 예시화면.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동작을 예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에 상응하여 카메라부가 촬상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동작을 예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에 상응하여 카메라부가 촬상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가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7b는 도 7a에 예시된 도면의 측면을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카메라부
115 : 디스플레이부
120 : 입력부
125 : 이미지 처리부
130 : 저장부
135 :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통화뿐만이 아니라 카메라 기능, MP3, 일정 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키 버튼을 직접 눌러 입력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복수개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버튼식 키 패드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키 버튼에 대한 금형 작업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키 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의 틈에 이물질이 끼거나 부착되어 키 버튼이 정상적으로 눌려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종 마모되어 키 버튼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키 패드 조형 및 제작을 위한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패드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키패드 공간을 줄임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여 키버튼의 마 모로 인한 인식 오류가 없는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키패드를 구비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가 가압되면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입력 버튼; 가상 키패드 및 상기 입력 버튼에 상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여 상기 최상위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렌즈부를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동된 렌즈부는 상기 입력 버튼의 전면을 촬상하여 영 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가능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패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문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입력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위 위치는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 영역으로 분리되어 상기 선택된 영역의 최초 시작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 버튼의 임의의 위치가 눌려지면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상 명령에 상응하는 카메라부를 상기 입력 버튼을 촬상 가능하도록 회동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상위 위치에 상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위 위치가 정해진 시간 내에 반복되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반복 입력되었다면, 상기 최상위 위치의 반복 입력 횟수를 생성하는 단 계; 및 상기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위 위치는 상기 선택된 영역의 최초 시작 좌표 정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LCD 상에 구현된 가상 키패드의 예시화면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 상응하여 카메라부가 촬상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상응하여 카메라부가 촬상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가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예시된 도면의 측면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메라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입력부(120), 이미지 처리부(125), 저장부(130) 및 제어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부(110)는 렌즈부와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렌즈부는 카메라부(110)의 전단에 구비되어 피사체의 수광을 수행하는 수단인 렌즈와 렌즈로부터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광상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인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부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외부 영상을 촬상하는 장치로 정의하며, 회동부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렌즈부를 회동하는 수단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센서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광상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로서, 광상에 관한 빛 신호를 전기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는 전하결합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 이하에서는 "CCD"라 칭함) 또는 상보성금속산화물 반도체(CMOS :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하에서는 "CMOS"라 칭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회동부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입력부(120)를 촬상하도록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모터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선택 모드(예를 들어, 촬영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등) 중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5)는 해당 모드에 상응하여 카메 라부(110)에 포함된 회동부에 렌즈부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제어 명령(이하에서는 "카메라 회전 명령"이라 칭하기로함)을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회동부가 렌즈부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부(115)는 도 7a 내지 도 7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740)에 탄성 부재(730)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730)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등일 수 있으며, 이외의 탄성을 지닌 물체이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15)의 경사면(720)의 일면에 탄성 부재(730)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고정홈은 카메라부(115)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의 일면에 고정홈을 고정시키는 걸림 돌기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고정홈이 본체에 부착되고 걸림 돌기가 카메라부(115)의 일면에 부착된 형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740)에 스위치 형식의 고정 수단(예를 들어, 고정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고정 수단이 눌려지게 되면, 인장되어 있는 탄성 부재(730)의 인장 상태가 해제되며, 탄성 부재(730)는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어 카메라부(115)가 회동축(720)을 중심으로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카메라부(115)가 돌출되어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 가능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740)의 전면부가 깍여진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카메라부(115)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 (110)를 촬상하도록 돌출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뿐 도 7a 내지 도 7b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키패드"는 복수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키 패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것으로 정의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상 키패드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된 가상 키패드를 보면서 입력부(120)의 임의의 위치를 누르면, 입력부(120)는 제어부(135)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입력부(120)를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35)는 이에 상응하여 버튼 촬상 명령을 카메라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카메라부(110)에 포함된 회동부는 입력부(120)를 촬상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렌즈부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렌즈부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는 입력부(120)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5)로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문자, 숫자,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5)는 액정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 모드가 문자 입력 모드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디스플레이부(115)는 카메라부(110)에 정해진 시간 단위(예를 들어, 2초)로 입력부(120)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5)로부터 입력받아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즉, 미리 보기(preview)의 형태로 입력부(120)를 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예를 들어, 촬영, 문자 입력 등)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문자 입력을 위한 하나의 버튼과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등)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문자 입력을 위한 하나의 버튼(이하에서는 "입력 버튼"이라 칭하기로 함)은 종래의 각각의 문자에 상응하여 구획된 키버튼과는 달리 문자에 따라 각각의 영역이 구별되지 않은 통합된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을 위해 입력 버튼이 눌려지면, 입력 버튼은 미리 정해진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하게 된다. 입력 버튼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35)는 해당 인터럽트 신호를 분석하여 촬상 명령을 생성하여 카메라부(110)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카메라부(110)는 사용자가 입력 버튼의 임의의 영역을 가압한 동작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5)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기능키는 입력 버튼과는 구별되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면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패드와 같이 가상 기능키(하나의 기능키에 상응하여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문자 입력 방법을 중점으로 설명하며 가상 기능키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입력부(120)가 하나 이상의 기능키와 입력 버튼을 통합하는 하나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 버튼과 기능키가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20)의 임의의 위치가 가압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이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110)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 카메라부(110)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 버튼을 촬상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0)에 포함된 회동부가 의해 렌즈부를 정해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켜 입력버튼을 촬상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 모드인 경우, 카메라부(110)는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도록 피사체의 방향(예를 들어, 정면)을 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되면, 카메라부(110)는 도 2b와 같이 입력 버튼을 촬상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폴더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폴더형 단말기 이외에도 슬라이드형 단말기, PMP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미지 처리부(125)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에 상응하는 시작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한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 영역"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 버튼 영역(즉, 420 영역) 중 입력 도구에 의해 가려진 부분(즉, 410 영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선택 영역은 입력 버튼 촬상 시점에 입력 도구에 의해 가려진 영역으로 입력 버튼의 색상 정보와는 다른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선택 영역"은 도 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선택 영역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비선택 영역은 입력 버튼 촬상 시점에 입력 도구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으로 입력 버튼의 색상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10)로부터 촬상되어 입력된 영상 데이터(즉, 입력 버튼의 임의의 위치를 사용자가 입력 도구(예를 들어, 손가락, 입력용 펜 등)를 이용하여 가압한 동작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에서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5)는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10)로부터 촬상되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5)는 선택 영역의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25)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정해진 일정 크기의 영상 데이터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25)는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 영역, 비선택 영역을 각각 상이한 색상 정보 또는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한 후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상된 영상 데이터의 경우, 카메라부(110)의 위치에 의해 왜곡되어 촬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부(125)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정해진 크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a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 버튼을 가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선택 영역이 도 5b와 같이 두개 이상의 영역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선택 영역의 시작 위치도 선택 영역의 개수와 동일하게 두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 처리부(125)는 각각 상이한 값을 포함하는 시작 위치 중 최상위 위치를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여기서, 운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뿐만이 아니라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입력부(120)에 포함된 입력 버튼의 색상 정보, 입력 버튼의 크기 정보, 입력 버튼에 상응하는 문자 영역 정보, 입력 버튼의 범위 정보,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셋에 상응하는 가상 키패드 이미지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카메라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입력부(120), 이미지 처리부(125), 저장부(130)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5)는 입력부(120)에 포함된 입력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입력부(12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촬상 명령을 생성하여 카메라 부(110)로 전달하여 입력 버튼을 촬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5)로부터 입력된 최상위 위치를 이용하여 정해진 문자 정보에 따른 범위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될 문자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패드가, 3
Figure 112005076527781-pat00001
4 배열로 구현되었으며, 입력부(120)의 입력 버튼의 크기가 예를 들어, 60
Figure 112005076527781-pat00002
80 픽셀로 구현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되는 입력 버튼과 가상 키패드가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보면서 입력 버튼 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된 가상 키패드 내의 임의의 문자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입력 버튼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카메라부(110)는 입력 버튼의 해당 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작을 포함하여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5)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은 이미지 처리부(125)는 미리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을 분리하고, 선택 영역의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5)로부터 입력된 최상위 위치가 포함되는 범위를 결정하여 결정된 범위에 상응하여 매핑된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5)로부터 입력된 시작 위치가 문자 정보를 결정하기 애매한 경계 범위에 포함되면(예를 들어, 각각의 문자의 범위를 결정하는 경계 영역)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잘못된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메시 지((예를 들어, "잘못된 입력입니다. 다시 선택하여 주십시오" 등)를 독출하여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이 잘못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5)에 한글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 키패드와 입력 버튼의 미리 보기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합성되어 출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에 선택 모드(촬영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등)가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0)가 입력 버튼을 촬상하도록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한글자모 입력 방법만을 설명하나 이외의 영문자 대소, 특수 문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메뉴 선택도 가능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메뉴 선택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구현 방법에 따라 입력부(130)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이하에서는 카메라부(110)가 입력 버튼을 촬상할 수 있는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어 있으며,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 버튼의 미리 보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해당 미리 보기 영상 데이터와 가상 키패드가 합성되어 출력된 이후 사용자 가 입력 버튼을 누르는 동작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610에서 사용자는 입력 도구(예를 들어, 손가락, 입력용 펜)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5)를 보면서 입력 버튼의 임의의 위치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입력 버튼은 촬상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0)로 전달한다.
단계 615에서 카메라부(110)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입력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5)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 버튼의 미리 보기 영상과 가상 키패드가 합성되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5)를 보면서 입력 버튼상의 위치를 이동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출력된 영역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상의 위치에서 입력 버튼을 가압하게 된다. 입력 버튼은 가압됨에 상응하여 촬상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촬상 명령을 입력받은 카메라부(110)는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를 가압한 동작을 포함하여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5)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상된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4b, 도 5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 버튼을 가압함으로 인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이미지 처리부(125)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을 분리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5)는 설정된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명확한 인식을 위해, 이미지 처리부(125)는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의 밝기 성분 값을 각각 상이하게 변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5)는 선택 영역의 밝기 성분을 해당 선택 영역의 색상 정보의 최대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하고 비선택 영역의 밝기 성분은 해당 비선택 영역의 색상 정보의 최소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5)는 각각 상이하게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선택 영역 및 비선택 영역의 인식을 명확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경계값 알고리즘(예를 들어,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 마스크 패턴 적용, 필터링(filtering) 알고리즘, 영역 분할(segmentation), 히스토그램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예를 들어, 410, 415, …, 465)으로 분할하여 선택된 영역의 시작 영역 정보를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단계 625에서 이미지 처리부(125)는 선택 영역에서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한다.
여기서, 최상위 위치는 임의의 문자 영역의 범위 정보일 수도 있으며, 해당 선택 영역에서 최상위 위치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선택 영역이 두개 이상이면, 이미지 처리부(125)는 각각의 선택 영역에 대한 최상위 위치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부(125)는 각각 추출된 최상위 위치를 비교하여 보다 상위에 해당하는 최상위 위치 를 결정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125)는 각각의 선택 영역에서 추출된 최상위 위치를 모두 제어부(135)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5)가 이미지 처리부(125)로부터 입력된 두개 이상의 최상위 위치를 비교하여 하나의 최상위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5)로부터 입력된 최상위 위치에 상응하여 정해진 문자 정보에 따른 범위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위 위치가 331 영역 내의 좌표 정보라고 가정하자. 즉, 입력 버튼이 예를 들어, 60 EMBED Equation.3
Figure 112005076527781-pat00003
80 픽셀이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가상 키패드가 3
Figure 112005076527781-pat00004
4 배열이라면, (1,1) 영역은 예를 들어, x축으로 20픽셀 이내, y축으로 20 픽셀 이내의 범위이며, (1,2) 영역은 x축으로 20 ~40픽셀 이내, y축으로 20 픽셀 이내의 범위이고, (1,3) 영역은 x축으로 40 ~ 60 픽셀 이내, y 축으로 20 픽셀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전체 픽셀을 각각의 배열에 상응하도록 x축으로 3등분하고, y축으로 4 등분하여 각각의 영역에 상응하는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5)는 입력된 최상위 위치에 상응하는 범위에 상응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1,1) 영역에 설정된 문자 정보가 예를 들어, "ㄱ", "ㅋ"이라고 가정하자. 제어부(135)는 입력된 최상위 위치가 (1,1)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 문자를 "ㄱ" 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정해진 시간 동안 동일한 최상위 위치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35)는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 내(예를 들어, 2초 이내)에 동일한 시작 위치(예를 들어, (1,1))가 두번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해당 시작 위치에 상응하여 설정된 문자 정보("ㄱ", "ㅋ" 등) 중 두번째로 설정된 문자(예를 들어, 'ㄱ'이 메인 문자로 설정되어 있고, 'ㅋ'이 세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ㅋ"을 입력 문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5)는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된 시작 위치의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35에서 제어부(135)는 결정된 입력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15)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키 패드 조형 및 제작을 위한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패드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키패드 공간을 줄임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여 키 버튼의 마모로 인한 인식 오류 없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가 가압되면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입력 버튼;
    가상 키패드 및 상기 입력 버튼에 상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여 상기 최상위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렌즈부를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동된 렌즈부는 상기 입력 버튼의 전면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가능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게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패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문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입력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위치는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 영역으로 분리되어 상기 선택된 영역의 최초 시작 좌표 정보인 휴대용 단말기.
  6.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 버튼의 임의의 위치가 눌려지면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상 명령에 상응하는 카메라부를 상기 입력 버튼을 촬상 가능하도록 회동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 버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상위 위치에 상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위치가 정해진 시간 내에 반복되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반복 입력되었다면, 상기 최상위 위치의 반복 입력 횟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위치는 상기 선택된 영역의 최초 시작 좌표 정보인 문자 입력 방법.
KR1020050130259A 2005-12-27 2005-12-27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75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259A KR100753216B1 (ko) 2005-12-27 2005-12-27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259A KR100753216B1 (ko) 2005-12-27 2005-12-27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551A KR20070068551A (ko) 2007-07-02
KR100753216B1 true KR100753216B1 (ko) 2007-08-30

Family

ID=3850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259A KR100753216B1 (ko) 2005-12-27 2005-12-27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2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784A (ko) * 2002-03-29 2002-07-05 정희성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KR20040039763A (ko) * 2002-11-04 2004-05-1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85022A (ko) * 2005-01-21 200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 가상 키패드 장치 및 방법 및 구조
KR20060122634A (ko) * 2005-05-27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70009207A (ko) * 2005-07-15 200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784A (ko) * 2002-03-29 2002-07-05 정희성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KR20040039763A (ko) * 2002-11-04 2004-05-1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85022A (ko) * 2005-01-21 200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 가상 키패드 장치 및 방법 및 구조
KR20060122634A (ko) * 2005-05-27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70009207A (ko) * 2005-07-15 200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 10-2002-0053784
공개 10-2004-0039763
공개 10-2006-0085022
공개 10-2006-0122634
공개 10-2007-00092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551A (ko) 200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65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7643742B2 (en) Electronic camer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computer program
JP4724890B2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JP4450783B2 (ja) 撮影装置
EP2469376A2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CN107273004B (zh)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US92077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user interaction
KR100735262B1 (ko) 휴대단말기의 자동표시방법
JP2004318826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1352462B1 (ko) 이동 단말의 가상 키보드
EP0863475A2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KR100753216B1 (ko)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JP2000032111A (ja) 携帯型情報読取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753209B1 (ko)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751093B1 (ko) 디지털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40402B1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KR100687690B1 (ko) 카메라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디지털 처리 장치및 그 입력 방법
KR200383899Y1 (ko) 광학식 문자판독(오씨알)이 가능한 디지탈 카메라
US1149501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0686360B1 (ko) 지문 인식 키 패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JP636960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709013A (zh) 终端设备控制方法、终端设备控制装置及存储介质
KR100751095B1 (ko)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방법 및 장치
JP200633121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対象範囲指定方法、画像処理範囲指定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範囲指定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KR10131022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