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209B1 -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3209B1 KR100753209B1 KR1020050130264A KR20050130264A KR100753209B1 KR 100753209 B1 KR100753209 B1 KR 100753209B1 KR 1020050130264 A KR1020050130264 A KR 1020050130264A KR 20050130264 A KR20050130264 A KR 20050130264A KR 100753209 B1 KR100753209 B1 KR 100753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keypad
- unit
- image data
- portable terminal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키패드를 출력하며, 상기 가상 키패드 눌림을 감지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가 눌려지면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시작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키 패드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키패드 공간을 줄임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문자 입력, 키패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LCD 터치 감지를 위한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LCD 상에 구현된 가상 키패드의 예시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의한 선택에 상응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
도 7b는 도 7a에 따른 문자 선택 동작에 상응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가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8b는 도 8a에 예시된 도면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디스플레이부
115 : 카메라부
120 : 이미지 처리부
125 : 저장부
135 :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통화 뿐만이 아니라 카메라 기능, MP3, 일정 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키 버튼을 직접 눌러 입력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복수개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버튼식 키 패드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키 버튼에 대한 금형 작업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키 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의 틈에 이물질이 끼거나 부착되어 키 버튼이 정상적으로 눌려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종 마모되어 키 버튼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키 패드 조형 및 제작을 위한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패드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키패드 공간을 줄임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여 키버튼의 마모로 인한 인식 오류가 없는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키패드를 구비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키패드를 출력하며, 상기 가상 키패드 눌림을 감지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가 눌려지면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시작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압되면 상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는 접촉 센서, 압력 센서 및 저항 발생 수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렌즈부와 상 기 렌즈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렌즈부를 회동시키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동된 렌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가능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상 키패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문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입력 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시작 위치는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된 영역을 분리하고, 각각의 영역의 밝기 성분을 각각 상이하게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추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패드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부가 눌려지면,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카메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 가능하도록 회동시키는 단계; 상기 가상 키패드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래 눌려진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 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된 영역의 밝기 성분 값을 각각 상이하게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상이한 밝기 성분이 적용된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 위치가 정해진 시간 내에 반복되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반복 입력되었다면, 상기 시작 위치의 반복 입력 횟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LCD 터치 감지를 위한 구조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LCD 상에 구현된 가상 키패드의 예시화면이고, 도 6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의한 선택에 상응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에 따른 문자 선택 동작에 상응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가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8b는 도 8a에 예시된 도면의 측면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부(115), 이미지 처리부(120), 저장부(125), )입력부(130) 및 제어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 처리부(120)는 제어부(135)의 내부에 포함되는 기능부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제어부(135)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문자, 숫자,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문자 입력 모드에 상응하여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어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나 디스플레이부(110)는 문자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 카메라부(1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미리 보기 및 영 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등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하는 경우, 저장부(125)에 미리 저장된 가상 키패드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키패드"는 복수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키 패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것으로 정의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상 키패드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a 내지 도 3b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눌렀을 경우(즉,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영역을 눌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0)에 구비된 터치 감지부(340A, 340B)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카메라부(115)로 전달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화면 보호판(310), 액정화면 패널(320) 및 도광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액정화면 보호판(310) 및 도광판(330)은 맞닿은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터치 감지부(340A, 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액정화면 보호판(310) 및 도광판(330)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340A, 340B)는 각각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가상 키패드의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가 눌려지게 되면(즉, 가압되면)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액정화면 보호판(310) 및 도 광판(330)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340A, 340B)가 서로 맞닿으며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5)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구현 방법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드가 문자 입력 모드에 상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각각의 터치 감지부(340A, 340B)가 맞닿은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5)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즉, 문자 입력 모드이외의 카메라 촬영 모드 등과 같이 다른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가압되어 각각의 터치 감지부(340A, 340B)가 맞닿더라도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감지부(340A, 340B)는 접촉 센서, 압력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의 서로 맞닿은 경우 전기적인 신호, 인터럽트 신호, 저항 등이 발생될 수 있는 수단이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된 액정화면 보호판(310) 및 도광판(330)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340A, 340B)가 서로 맞닿아 발생되어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5)로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모드인 경우, 카메라부(115)는 피사체를 촬상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방향(예를 들어, 정면)을 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이 입력되면, 카메라부(115)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 가능하도록 회동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부(110)에 출력된 가상 키패드의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촬상할 수 있다(도 2b에 카메라부(115)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할 수 있도록 회동된 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된 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가상 키패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으로 도 4에 보여지는 것과 다른 형식으로 출력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카메라 촬영 모드인 경우, 도 2a와 같이 카메라부(115)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115)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어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 도 2b와 같이, 카메라부(115)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 가능하도록 회동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15)는 렌즈부와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렌즈부는 카메라부(115)의 전단에 구비되어 피사체의 수광을 수행하는 수단인 렌즈와 렌즈로부터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광상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인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광상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로서, 광상에 관한 빛 신호를 전기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는 전하결합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 이하에서는 "CCD"라 칭함) 또는 상보성금속산화물 반도체(CMOS :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하에서는 "CMOS"라 칭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회동부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이 입력되면, 렌즈부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향하도록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모터 장치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부(115)는 도 8a 내지 도 8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840)에 탄성 부재(830)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830)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일 수 있으며, 이외의 탄성을 지닌 물체이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15)의 경사면(820)의 일면에 탄성 부재(830)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고정홈은 카메라부(115)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의 일면에 고정홈을 고정시키는 걸림 돌기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고정홈이 본체에 부착되고 걸림 돌기가 카메라부(115)의 일면에 부착된 형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840)에 스위치 형식의 고정 수단(예를 들어, 고정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고정 수단이 눌려지게 되면, 인장되어 있는 탄성 부재(830)의 인장 상태가 해제되며, 탄성 부재(830)는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어 카메라부(115)가 회동축(820)을 중심으로 돌출되게 된다. 여 기서, 카메라부(115)가 돌출되어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 가능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840)의 전면부가 깍여진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카메라부(115)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하도록 돌출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뿐 도 8a 내지 도 8b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이 입력되면, 카메라부(115)의 회동부는 카메라부(115)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여 가상 키패드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 가능하도록 회동되어 해당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5)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 영역으로 분리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시작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한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된 영역"은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가상 키패드의 임의의 문자를 선택하면, 해당 문자 영역 이외의 주변 영역도 사용자가 문자 선택을 위해 사용한 입력 도구(예를 들어, 손가락, 입력 펜)에 의해 가상 키패드 색상 이외의 다른 색상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택된 영역은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 이외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비선택 영역"은 영상 데이터에서 선택된 영역 이외의 가상 키패드 색 상 정보만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는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15)로부터 촬상되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의 밝기 성분 값을 각각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부(120)는 선택 영역의 밝기 성분은 해당 선택 영역의 색상 정보의 최대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하고, 비선택 영역은 해당 비선택 영역의 색상 정보의 최소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0)는 각각 상이한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0)는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에서 선택 영역의 시작 위치(또는 최상위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출력된 가상 키패드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410 영역을 가압하였다고 가정하자(즉,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10)는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카메라부(115)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입력받은 카메라부(115)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고 가상 키패드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도 6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이 포함된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촬상되어 입력된 영상 데이 터의 선택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이미지 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5)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문자 영역 패턴 정보와 마스크를 적용하여 각각의 문자 영역들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0)는 분리된 영역에서 선택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저장부(12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미리 저장된 문자 정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운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뿐만이 아니라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저장부(125)는 카메라부(115)로부터 촬상된 영상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미지 처리부(120)에서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 처리된(image processing) 영상 데이터,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와 같은 색상 정보 등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 문자 입력 등)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하나 이상의 기능 키(예를 들어, 메뉴 키, 통화 키, 확인 키, 무선 인터넷 접속 키 등)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입력부(130)도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따라 가상 키패드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자를 입력받는 것만을 중점으로 설명하며, 이하의 기능 키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측면 에 구비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부(115), 이미지 처리부(120), 저장부(125), 입력부(130)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시작 위치를 이용하여 정해진 문자 정보에 따른 범위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문자 출력 위치(405)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시작 위치가 문자 정보를 결정하기에 애매한 경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예를 들어, 도 4에서 각각의 문자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 영역) 저장부(125)에 미리 저장된 잘못된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메시지(예를 들어, "잘못된 입력입니다. 다시 선택하여 주십시오" 등)를 독출하여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이 잘못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5)는 키패드의 각각의 문자가 포함된 영역의 범위 정보와 각각의 범위 정보에 해당하여 미리 설정된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가상 키패드를 가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카메라부(115)에 의해 도 7b와 같은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어 이미지 처리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영상 데이터의 선택 영역이 두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선택 영역의 시 작 위치 또한 두개 이상으로 추출되어 제어부(135)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복수개의 시작 위치에서 최상위 위치를 포함하는 시작 위치에 상응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7b의 경우, 제어부(135)는 예를 들어, 410 영역을 최상위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7b에 예시된 영상 데이터에서 우측보다는 좌측을 상위인 것으로 정의하며, 하측보다는 상측을 상위인 것으로 정의하여 좌측상단(즉, 410 영역)이 최상위이며, 우측하단(즉, 465 영역)이 최하위에 위치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한글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부(130))을 통해 한글자모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어 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되어 있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한글자모 입력 방법만을 설명하나 이외의 영문자 대소, 특수 문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메뉴 선택도 가능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메뉴 선택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구현 방법에 따라 입력부(130)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되 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우선, 디스플레이부(110)에 도 4와 같이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410 영역을 가압한 것으로 가정하여 이후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0에서 사용자가 입력 도구(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입력용 펜)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출력된 가상 키패드의 임의의 영역을 가압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5)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감지부(340A, 340B)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가압되면 터치 감지부(340A, 340B)가 각각 맞닿아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액정화면 보호판(310), 도광판(330) 등)의 일면에 부착된 터치 감지부(340A, 340B)가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임의의 위치가 가압되면,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터치 감지부(340A, 340B)가 서로 맞닿게 되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15)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515에서 카메라부(115)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입력된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가 상 키패드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이 입력되면 카메라부(115)의 회동부에 의해 카메라부(115)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부(115)는 회동부에 구비된 회동 수단(예를 들어, 모터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 가능한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게 되어, 카메라부(115)는 가상 키패드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a과 같이 사용자가 한글자모의 'ㄱ' 영역(즉, 도 4의 410 영역)을 가압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카메라부(115)는 도 6b와 같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예로 도 6b와는 다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카메라부(115)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가상 키패드의 임의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를 가압하는 순간 터치 감지부(340A, 340B)에 의해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 가능하도록 정해진 소정 각도로 회동된 후 해당 디스플레이부(110)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카메라부(115)에 의해 촬상된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410 영역, 425 영역, 440 영역, 455 영역의 일부가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 도구를 포함하게 된다. 즉, 도 6b와 같은 영상 데이터가 카메라부(115)에 의해 촬상되어 생성되게 된다.
단계 520에서 이미지 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5)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시작 위치를 추출하여 제어부(135)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5)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예를 들어, 흰색, 베이지색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 영역의 밝기 성분 값을 각각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선택된 영역의 밝기 성분 값은 해당 선택된 영역의 색상 정보의 최대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비선택 영역의 밝기 성분 값은 해당 비선택 영역의 색상 정보의 최소 밝기 성분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0)는 각각 상이한 밝기 성분 값이 적용된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0)는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에서 선택된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경우, 도 6c와 같은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20)는 도 6c와 같은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에서 410 영역, 425 영역, 440 영역, 455 영역을 선택된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선택된 영역에서 410 영역을 시작 위치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부(120)는 추출한 시작 위치를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위치는 임의의 문자 영역의 범위 정보일 수도 있으며, 해당 문자가 포함된 영역의 좌표 정보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5)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경계값 알고리즘(예를 들어,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 마스크 패턴 적용, 필터링(filtering) 알고리즘, 영역 분할(segmentation), 히스토그램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예를 들어, 410, 415, …, 465)으로 분할하여 선택된 영역의 시작 영역 정보를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단계 525에서 제어부(135)는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시작 위치를 정해진 문자 정보에 따른 범위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시작 위치가 예를 들어, 410 영역을 지시하는 (1,1)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어부(135)는 시작 위치(예를 들어, (1,1))에 상응하여 설정된 문자 정보(예를 들어, "ㄱ", "ㅋ" 등)를 이용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제어부(135)는 해당 시작 위치(예를 들어, (1,1))가 정해진 시간 내에 최초 입력되었다면, "ㄱ"을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정해진 시간 동안 해당 시작 위치(예를 들어, (1,1))가 반복적으로 입력되었다면,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 내(예를 들어, 2초 이내)에 동일한 시작 위치(예를 들어, (1,1))가 두번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해당 시작 위치에 상응하여 설정된 문자 정보("ㄱ", "ㅋ" 등) 중 두번째로 설정된 문자(예를 들어, 'ㄱ'이 메인 문자로 설정되어 있고, 'ㅋ'이 세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ㅋ"을 입력 문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5)는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된 시작 위치의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135)는 결정된 입력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문자 출력 위치(405)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405 영역이 입력 문자를 출력하는 위치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의해 입력 문자를 입력받아 해당 문자 출력 위치(405)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키 패드 조형 및 제작을 위한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패드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키패드 공간을 줄임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여 키 버튼의 마모로 인한 인식 오류 없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 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가상 키패드를 출력하며, 상기 가상 키패드 눌림을 감지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가 눌려지면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부;상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키패드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시작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압되면 상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감지부는 접촉 센서, 압력 센서 및 저항 발생 수단 중 어느 하나인 휴대용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렌즈부를 회동시키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동된 렌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가능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돌출 가능하게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가상 키패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문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입력 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시작 위치는 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된 영역을 분리하고, 각각의 영역의 밝기 성분을 각각 상이하게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 추출되는 휴대용 단말기.
- 복수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가상 키패드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부가 눌려지면,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가상 키패드 촬상 명령에 상응하여 카메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 가능하도록 회동시키는 단계;상기 가상 키패드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영역의 시작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시작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정해진 가상 키패드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비선택된 영역의 밝기 성분 값을 각각 상이하게 적용하는 단계; 및상기 상이한 밝기 성분이 적용된 영상 데이터를 이진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상기 시작 위치가 정해진 시간 내에 반복되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반복 입력되었다면, 상기 시작 위치의 반복 입력 횟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반복 입력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0264A KR100753209B1 (ko) | 2005-12-27 | 2005-12-27 |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0264A KR100753209B1 (ko) | 2005-12-27 | 2005-12-27 |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8555A KR20070068555A (ko) | 2007-07-02 |
KR100753209B1 true KR100753209B1 (ko) | 2007-08-30 |
Family
ID=3850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0264A KR100753209B1 (ko) | 2005-12-27 | 2005-12-27 |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320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0699B1 (ko) * | 2009-02-26 | 2011-06-10 | (주)이월리서치 | 웹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3784A (ko) * | 2002-03-29 | 2002-07-05 | 정희성 |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
KR20040039763A (ko) * | 2002-11-04 | 2004-05-12 | 주식회사 팬택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KR20060085022A (ko) * | 2005-01-21 | 2006-07-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 가상 키패드 장치 및 방법 및 구조 |
KR20060122634A (ko) * | 2005-05-27 | 2006-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KR20070009207A (ko) * | 2005-07-15 | 2007-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 방법 |
-
2005
- 2005-12-27 KR KR1020050130264A patent/KR100753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3784A (ko) * | 2002-03-29 | 2002-07-05 | 정희성 |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
KR20040039763A (ko) * | 2002-11-04 | 2004-05-12 | 주식회사 팬택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KR20060085022A (ko) * | 2005-01-21 | 2006-07-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 가상 키패드 장치 및 방법 및 구조 |
KR20060122634A (ko) * | 2005-05-27 | 2006-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KR20070009207A (ko) * | 2005-07-15 | 2007-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 방법 |
Non-Patent Citations (5)
Title |
---|
공개 10-2002-0053784 |
공개 10-2004-0039763 |
공개 10-2006-0085022 |
공개 10-2006-0122634 |
공개 10-2007-0009207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0699B1 (ko) * | 2009-02-26 | 2011-06-10 | (주)이월리서치 | 웹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인증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8555A (ko) | 2007-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6203B1 (ko) |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0957336B1 (ko) |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휴대용 전자 장치 | |
KR101318579B1 (ko) | 정보 입력 표시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
US20070040810A1 (en) | Touch controlled display device | |
EP2469376A2 (en) |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 |
JP2014052852A (ja) | 情報処理装置 | |
JP2000298544A (ja) | 入出力装置と入出力方法 | |
KR20170063388A (ko) |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352462B1 (ko) | 이동 단말의 가상 키보드 | |
KR100810215B1 (ko) | 이동 핸드셋을 사용한 사진 촬영 방법 및 그 이동 핸드셋 | |
KR100753209B1 (ko) |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 |
JP2005268951A (ja) | 携帯電話機 | |
KR20190135794A (ko) | 이동 단말기 | |
JP2000032111A (ja) | 携帯型情報読取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 |
JP2002344681A (ja) | 複写装置 | |
KR20080020343A (ko) | 지문인식이 가능한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100753216B1 (ko) | 가상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문자 입력 방법 | |
KR100751093B1 (ko) | 디지털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 |
JP2003076495A (ja) | 仮想入力装置 | |
KR100640402B1 (ko) |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 |
JP4498345B2 (ja)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 | |
KR100686360B1 (ko) | 지문 인식 키 패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 |
JP5522728B2 (ja) |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7043772B2 (ja) | 携帯型情報読取装置 | |
JP2006086998A (ja) | 携帯端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