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483A -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교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교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483A
KR20040039483A KR10-2004-7004963A KR20047004963A KR20040039483A KR 20040039483 A KR20040039483 A KR 20040039483A KR 20047004963 A KR20047004963 A KR 20047004963A KR 20040039483 A KR20040039483 A KR 20040039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ntainer
container
vessel
carriage
arc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베르트만프레트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3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21C5/5211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in an alternating current [AC] electric arc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46Means to facilitate repair or replacement or prevent quick wearing
    • F27D2001/005Removable part or structure with replaceabl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 F27D2003/127Charging cars, lift trolleys for carrying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 덮개를 들어올려 바깥쪽으로 선회시키거나 노 덮개를 들어올리고, 분해 시에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상부 용기(3) 및/또는 하부 용기(2)로부터 분리시키며, 조립 후에 다시 결합시키는 형식으로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적재 능력을 갖는 장전 크레인에 의해 작업을 해나가고, 교체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그를 위해, 상부 용기(3)를 하부 용기(2)로부터의 분리 후에 그 위치에 그대로 남겨두거나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의 분리 후에 들어올려 장전 크레인에 의해 밖으로 빼내고, 하부 용기(2)를 들어올렸다가 내려놓고서 이송 캐리지(6)에 의해 밖으로 빼내며, 용기를 라이닝하고 하부 용기(2)를 안으로 집어넣은 후에 상부 용기(3)와 하부 용기(2)를 다시 서로 결합시키되, 사전에 분리된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다시 연결하는 조치를 취한다.

Description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 교체 장치{REPLACEMENT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ODULES OF AN ELECTRIC ARC FURNACE}
노 용기를 장전 크레인에 의해 교체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장전 바스켓의 조작에 대한 것보다 훨씬 더 위에 있는, 예컨대 120 t 대신에 250 t에 달하는 허용 한계 하중을 갖는 크레인 시스템만이 그와 같이 교체하는데 고려되고 있다. 그 경우, 교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 노 덮개를 들어올려 바깥쪽으로 선회시키는 단계,
-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상부 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 용기 이송 트래버스를 장전 크레인에 설치하는 단계,
- 상부 용기를 장전 크레인에 의해 들어서 하치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하부 용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를 장전 크레인에 의해 들어서 하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 새로이 라이닝한 하부 용기를 들어서 크래들 프레임 상에 올려놓는 단계,
- 상부 용기를 들어서 하부 용기 상에 올려놓는 단계, 및
-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에 연결하는 단계.
그러한 방법 형식은 예컨대 EP 0 049 926 A1에 따른 상부 용기에서의 작업과 관련하여 적용된다.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조립 또는 분해하는 공지의 방법 형식은 높은 적재 능력을 갖는 장전 크레인을 필요로 하고, 많은 시간 동안 지속되는 작업을 그 전제로 한다. 따라서, 그러한 공지의 방법은 매우 더디고, 장치 기술상으로 매우 복잡하다. 장전 크레인 및 그에 수반되는 크레인 트랙은 미리 그러한 작업에 맞춰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노 덮개를 들어올려 바깥쪽으로 선회시키거나 노 덮개를 들어올리고, 분해 시에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상부 용기 및/또는 하부 용기로부터 분리시키며, 조립 후에 다시 결합시키는 형식으로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영점 위치에 있는 전기 아크로를 그에 배속된 이송 캐리지와 함께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 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와 관련된 각종의 위치에 있어서 용기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6 은 하부 용기와 함께 이송 캐리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 은 도 6에 상응하는 정면도이며,
도 8 은 로킹 가능한 피봇 베어링을 구비한 선택적 실시 형태 및 확대된 세부 "X"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는 상부 용기의 분리 시에 선회에 의해 들어올려진 하부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은 용기 리프팅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 은 하부 용기의 인도 시에 진입된 이송 캐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는 하부 용기를 받친 채로 빠져나온 이송 캐리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은 경사 프레임에 로킹 가능한 피봇 베어링이 없는 선택적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 는 회전 디스크와 라이닝 스탠드로 향하는 레일과 함께 주상을 통한 레일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는 횡 방향 캐리지에 의해 주상에서 라이닝 스탠드로 레일을 통해 안내하는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 은 라이닝 스탠드로서의 독립적 이송 캐리지의 정면도이고,
도 17 은 하부 용기가 올려 놓여진 도 16에 속한 평면도이며,
도 18 은 하부용기가 없는 이송 캐리지의 평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경사 프레임2 하부 용기
3 상부 용기4 실린더/피스톤 유닛
5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6 이송 캐리지
7 용기 리프팅 장치8 피봇 베어링
11 제련소 바닥 평면12 크래들 베어링 장치
13 노 용기14 라이닝 스탠드
15 피스톤/실린더 유닛16 피스톤/실린더 구동 장치
17 피스톤 로드18 높이 조정 수단
19 결합 장치20 결합 장치
21 베이스 블록22 용기 하단
23 아치형 지지면24 장전장
25 주상25a 레일
26 회전 디스크27 제1 라이닝 스탠드
28 제2 라이닝 스탠드29 횡방향 캐리지
30 이송 캐리지31 U자 기본형
31a U자 다리부31b U자 다리부
32 횡단 프레임33 조립 또는 분해 위치
34 보기차 바퀴35 구동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적재 능력을 갖는 장전 크레인에 의해 작업을 해나가고, 교체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그러한 설정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로부터의 분리 후에 그 위치에 그대로 남겨두거나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의 분리 후에 들어올려 장전 크레인에 의해 밖으로 빼내고, 하부 용기를 들어올렸다가내려놓고서 이송 캐리지에 의해 밖으로 빼내고, 용기를 라이닝하고 하부 용기를 안으로 집어넣은 후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다시 서로 결합시키고, 사전에 분리된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다시 연결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럼으로써, 하부 용기용의 높은 적재 능력을 갖는 장전 크레인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부 용기를 노 위치에 그대로 남겨두어 상부 용기의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분리시켰다가 다시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교체 시간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기본 원리의 구성에서는 다음의 단계에 의해 특징져지는 제1 방법 형식이 제공된다:
- 하부 용기와 상부 용기를 영점 위치(수평 위치)로부터 들어올리는 단계,
-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를 하부 용기 아래의 분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와 상부 용기를 용기 리프팅 장치에 의해 이송 캐리지에 내려놓는 단계,
-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로부터 분리시켜 용기 리프팅 장치에 의해 다시 들어올리는 단계, 및
- 하부 용기를 이송 캐리지에 의해 밖으로 빼내는 단계.
그럼으로써, 상부 용기에 대한 크레인 작업이 생략되고, 별개로 작업되는 이송 캐리지에 의거하여 시간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하부 용기를 다시 한 번 바꿔 실을 필요가 없이 하부 용기가 라이닝 스탠드로 향하는 경로로 옮겨지기까지 한다.선택적으로, 하부 용기를 이송 캐리지에 의해 통상적으로 하부 용기에 대한 충분한 적재 능력을 제공하는 주조 크레인의 이동 구역으로 가져가서 그 주조 크레인에 의해 라이닝 스탠드로 이송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출탕 구역에 대기 위치로 준비되어 있는 이송 캐리지 상에서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을 하부 용기 전방의 인도 높이로 세팅하는 조치를 취한다.
그 경우, 둘레에 지지된 용기 리프팅 장치에서 하부 용기 및/또는 상부 용기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각각의 분리 가능한 볼트(A, B)를 피스톤 로드에 의해 작동시키는 형식으로 필요한 해당 힘을 도입한다. 그럼으로써, 양자의 용기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그와 관련된 구성은 볼트(B)의 인입 시에 상부 용기를 들어올리는 것이다.
그에 상응하는 구성에서는 볼트(A, B)의 인입 시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들어올리거나 볼트(A)의 인입 시에 하부 용기를 이송 캐리지에 내려놓고서 밖으로 빼내는 조치를 취한다. 상부 용기를 들어올리고(볼트(B)가 인입됨) 하부 용기를 이송 캐리지에 내려놓았을(볼트(A)가 인출됨, 즉 분리됨) 때에 하부 용기를 밖으로 빼낼 수 있다.
기본 원리의 구성에서는 다음의 단계에 의해 특징져지는 제2 방법 형식이 바람직하다:
- 경사 프레임의 피봇 베어링을 로킹하는 단계,
-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분리시킴이 없이 상부 용기를 들어올리는 단계,
- 하부 용기를 영점 위치로부터 크래들 베어링 장치 또는 피봇 베어링 장치 상의 경사 위치로 경사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를 하부 용기 아래의 분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가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 상에 올려 놓여질 때까지 경사 프레임을 다시 영점 위치로 선회시키는 단계, 및
- 하부 용기를 이송 캐리지에 의해 라이닝 스탠드로 빼내는 단계.
그럼으로써, 병렬 작업되는 장치에 의해 역시 시간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개별 부분 조립품의 조작이 간단해지게 된다.
제2 방법 형식의 구성에서는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를 출탕 구역에 대기 위치로 유지시키는 조치도 취한다.
따라서, 제2 방법 형식에서는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을 구비한 특정의 이송 캐리지를 단 한 번 준비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송 캐리지는 레이들 이송 캐리지로 이뤄질 수도 있다.
용기를 풀어내거나 후속 장치에 인도하기 위한 낮은 리프팅 높이는 용기 둘레에 지지된 용기 리프팅 장치에서 하부 용기 및/또는 상부 용기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각각의 개별 볼트(A, B)를 피스톤 로드에 의해 작동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 경우에도 역시 양자의 용기 부분 조립품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용기 리프팅 장치도 역시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에 대해 그룹별로 마련될 수 있다.
제강소에서 주조 크레인으로부터 이송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다음의 단계에 의해 특징져지는 또 다른 방법 형식(제3 방법 형식)이 제공된다:
- 하부 용기를 이송 캐리지 상에서 장전장(charging hall)으로부터 주상(cast house)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이송 캐리지를 회전 디스크 상에서 회전시켜 일직선상에 있는 레일 상에서 제1 라이닝 스탠드로 가져가는 단계, 및
- 하부 용기를 내려서 제1 라이닝 스탠드에 내려놓은 단계.
그럼으로써, 주상에서 크레인의 자리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 애초부터 회피되고, 최소의 리프팅 작업으로도 이미 하부 용기가 라이닝 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하부 용기를 크레인 작업을 필요로 함이 없이 라이닝 스탠드로 이송하기 위해, 또 다른 방법 형식(제4 방법 형식)에서는 2개의 라이닝 스탠드 사이에 있는 주상에서 하부 용기를 횡 방향 캐리지에 내려놓고, 횡 방향 캐리지를 하나의 라이닝 스탠드로 이동시켜 하부 용기를 내려놓는 조치를 취한다. 그럼으로써, 2개 이상의 하부 용기가 동시에 라이닝 스탠드로 옮겨져 처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 덮개용 지브(jib), 베어링 면에서 구르는 경사식 노 용기용 크래들 베어링(또는 피봇 베어링), 및 용기 부분 조립품용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설정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노 용기가 경사 프레임에 작용하는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에 의해 및/또는 노 용기의 둘레에 둘러 분포되고 하부 용기및/또는 상부 용기와 결합될 수 있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용기 리프팅 장치에 의해 분해 또는 조립 위치로 세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 및 용기 리프팅 장치는 바람직하게도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고, 베이스 또는 경사 플랫폼에 각각 지지되며, 단지 적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고 단지 적은 비용만을 소요한다.
그 경우, 하부 용기를 인도하는 것은 경사 프레임에 그 높이 방향 위치에 맞춰 장전장과 주상 사이의 레일 상에서 왕복 운행하는 이송 캐리지가 배속되도록 함으로써 해결된다.
또 다른 구성도 역시 하부 용기를 신속하게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러한 구성에서는 이송 캐리지가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과 함께 제련소 바닥 평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진다.
또한, 부가의 조작 방식에서는 이송 캐리지가 다수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에 의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이송 캐리지로부터 인도하는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용기 리프팅 장치는 그 용기 리프팅 장치가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구동 장치로 이뤄지고, 피스톤/실린더 구동 장치의 피스톤 로드에 높이 조정 수단 및 하부 용기 및/또는 상부 용기에 대한 분리가 가능한 결합 수단이 마련되도록 하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최소의 행정으로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부가의 구성에서는 경사 프레임이 로킹이 가능한 피봇 베어링에 의해 경사실린더/피스톤 유닛에 대향된 채로 베이스 블록 상에 지지되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진다. 로킹은 용기 교체 동안 이뤄지고, 이송 캐리지가 하부 용기 아래로 이동되었을 때에 경사시키는데, 즉 인도하는데 사용된다. 용해 작업 중에는 로킹이 열린다.
하부 용기가 아치형 지지 면을 형성하는 용기 하단에 의해 경사 프레임 상에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약간의 호도만큼의 작은 경사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용기 리프팅 장치에 의한 작은 선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 한에는 장전장으로부터 주상 레일 상으로 진입될 수 있는 이송 캐리지가 회전 디스크에 의해 제1 라이닝 스탠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 캐리지가 추가의 기능을 떠맡을 수 있는데, 제1 라이닝 스탠드에서는 하부 용기가 이송 캐리지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에 의해 내려 놓여지거나 다시 들려질 수 있다.
그러한 이송 캐리지의 기능은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하부 용기가 이송 캐리지에 의해 제2 라이닝 스탠드로 이동될 수 있고, 거기서 이송 캐리지로부터 횡 방향 캐리지로 넘겨질 수 있으며, 그 횡 방향 캐리지로부터 제2 라이닝 스탠드에 내려 놓여지거나 다시 들려질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진다.
또한, 횡 방향 캐리지가 대향된 2개의 라이닝 스탠드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라이닝 스탠드에서의 선택 가능성이 주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의 구성은 이송 캐리지가 U자 기본형으로 된 이동 가능한 라이닝 스탠드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하부 용기의 인수 또는 인도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이뤄질 수 있다. 이송 캐리지는 장전장 또는 주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스테이션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 경우, 하부 용기를 분해하였다가 다시 조립하는 것만이 필요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도 라이닝 스탠드를 형성하는 이송 캐리지의 각종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U자 기본형으로 하여 하부 용기가 2개의 U자 다리부 및 그 U자 다리부를 결합시키는 횡단 프레임 상에 받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하부 용기가 U자 다리부 사이에서 조립 위치 또는 분해 위치로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분해 방향 또는 조립 방향이 감안되게 된다. 노 스탠드 쪽으로 오는 것이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그 후에 단지 조립 행정만이 행해지면 되게 된다.
그에 상응하게 보기차 바퀴가 정향된다. 그를 위해, 이송 캐리지의 보기차 바퀴가 짝을 지어 U자 다리부의 단부 구역에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진다.
또한, 적어도 U자 기본형의 U자 다리부에 보기차 바퀴용 구동 장치가 배치되도록 하는 형식으로 기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후 그에 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에서는 노 덮개를 지브에 의해 들어올려 바깥쪽으로 선회시키거나 들어올리기만 하여 상부 용기(3) 위에 있는 공간을 비운다.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상부 용기(3) 및/또는 하부 용기(2)로부터 분리시키고, 조립 후에 다시 결합시킨다. 그러한 방법에서는 기본적으로 상부 용기(3)를 하부 용기(2)로부터의 분리 후에 그 위치에 그대로 남겨두거나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의 분리 후에 들어올려 장전 크레인에 의해 밖으로 빼내고, 하부 용기(2)를 내려놓고서 이송 캐리지에 의해 밖으로 빼내며, 용기를 라이닝하고 하부 용기(2)를 안으로 집어넣은 후에 상부 용기(3)와 하부 용기(2)를 다시 서로 결합시키고, 사전에 분리된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다시 연결하는 조치를 취한다. 그 경우(도 1), 노 용기(13)는 경사 프레임(1) 상에 놓여지는데, 그 경사 프레임(1)은 베어링 장치, 예컨대 크래들 베어링 또는 피봇 베어링(12)에 의해 베이스 블록(21) 상에 지지된다. 경사 프레임(1)은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4)에 의해 선회 위치로 세팅될 수 있다. 노 용기(13)에는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6)가 배속되는데, 그 이송 캐리지(6)는 제련소 바닥 평면(11) 상에서 이동된다. 노 용기(13) 교체 시의 조치는 다음과 같다:
- 하부 용기(2)와 상부 용기(3)를 도시된 영점 위치(도 1)로부터 들어올리고;
- 하부 용기(2)를 드는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6)를 하부 용기(2) 아래의 분해 위치로 이동시키며;
- 하부 용기(2)와 상부 용기(3)를 용기 리프팅 장치(7)(도 2)에 의해 들어올려(도 3) 함께 내려놓고(도 4);
- 상부 용기(3)를 들어올려(도 5) 장전 크레인에 의해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며;
-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에 의해 밖으로 빼낸다.
그 경우, 출탕 구역(도 1)에 대기 위치로 준비되어 있는 이송 캐리지(6) 상에서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하부 용기(2) 아래의 인도 높이로 세팅한다.
하부 용기(2)가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 상에 놓여진 이송 캐리지(6)를 주상(25)으로 옮긴다(도 6 및 도 7).
그러한 조작은 둘레에 분포된 경사 실린더/피스톤 구동 장치(16)로 이뤄진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용기 리프팅 장치(7)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용기 부분 조립품에 대한 결합은 분리 가능한 볼트(A, B)에 의해 이뤄지는데, 그러한 볼트(A. B) 중에서 결합 수단(19)(볼트(A))은 높이 조정 수단(18), 즉 피스톤 로드(17)에 고정된 유지 레일에 맞물린다.
그 경우, 하부 용기(2)의 제1 횡 방향 레일이 결합 수단(19)에, 그리고 상부 용기(3)의 제2 힝 방향 레일이 결합 수단(20)(볼트(B))과 결합된다.
볼트(B)의 인입 시에는 상부 용기(3)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볼트(A)의 인입 시에는 하부 용기(2)를 들어올리고, 이송 캐리지(6)를 집어넣은 후에 그 이송 캐리지(6) 상에 하부 용기(2)를 내려놓고서 밖으로 빼낼 수 있다.
제2 방법 형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계(도 8)를 행한다:
- 노 용기(13)를 받치는 경사 프레임(1)의 피봇 베어링(8)을 로킹하는 단계;
-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분리시킴이 없이 상부 용기(3)를 들어올리는 단계,
- 하부 용기(2)와 상부 용기(3)를 영점 위치로부터 크래들 베어링 장치(12) 상의 경사 위치(도 9)로 선회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6)를 하부 용기(2) 아래의 분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2)가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 상에 올려 놓여질 때까지 경사 프레임(1)을 다시 영점 위치로 선회시키는 단계, 및
-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에 의해 라이닝 스탠드(27 또는 28)로 옮기는 단계.
제2 방법 형식에서도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6)를 출탕 구역(도 8)에 대기 위치로 유지시킨다.
도 8의 세부 "X"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하단(22)은 경사 프레임(1)에 대한 아치형 지지 면(23)을 구비한다.
그러는 동안 선회용 피봇 베어링(8)이 로킹되었다가 용해 작업 동안에는 로킹이 해제되어 용해 작업이 통상대로 진행된다. 피봇 베어링(8)은 베이스 블록(21) 상에 놓인다. 경사 프레임의 선회는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4)(도 9)에 의해 이뤄진다. 상부 용기(3)를 하부 용기(2)로부터 분해하는 것(분리 및 들어올림)은 피스톤/실린더 구동 장치(16)와 피스톤 로드(17)를 구비한 용기 리프팅 장치(7)에 의해 행해진다.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4)을 이동시키면, 크래들 베어링 장치(12)가 풀려날 정도로 경사 프레임(1)이 들어내어지고, 피스톤/실린더 유닛(16)의 피스톤 로드(17)에 의해 상부 용기(3)(하부 용기(2)로부터의 분리가 행해진 후)가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그 경우에도 역시 볼트(B)의 인출 시에 상부 용기(3)를 해제하고, 볼트(A)의 인입 시에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에 내려놓고서 밖으로 빼낸다(도 10).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4)을 영점 위치로 되돌린 후에 이송 캐리지(6)를 밖으로 빼낸 상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 상태에서 이송 캐리지(6)는 제련소 바닥 평면(11) 상에서 이동될 준비를 갖추고, 도 12에 따라 하부 용기(2)만을 적재한 채로 이동된다.
도 13에 따르면, 이송 캐리지(6)는 선택적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용기 교체 프레임(5)에 작용하는 자체의 피스톤/실린더 유닛(15)을 구비한다.
또 다른 방법 형식(제3 방법 형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행한다:
-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 상에서 장전장(24)으로부터 주상(25)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이송 캐리지(6)를 회전 디스크(26) 상에서 회전시켜 일직선상에 있는 레일(6) 상에서 제1 라이닝 스탠드(27)로 가져가는 단계; 및
- 하부 용기(2)를 내려서 제1 라이닝 스탠드(27)에 내려놓은 단계.
2개의 라이닝 스탠드(27) 사이에 있는 주상(25)에서 하부 용기(2)를 횡 방향 캐리지(29)에 내려놓고서 횡 방향 캐리지(29)를 하나의 라이닝 스탠드(27)로 이동시키고, 하부 용기(2)를 예컨대 피스톤/실린더 유닛(15) 및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에 의해 내려놓을 수 있다.
도 15에 따르면, 하부 용기(2)는 이송 캐리지(6)에 의해 선택적 라이닝 스탠드(28)로 이동될 수 있고, 거기서 이송 캐리지(6)로부터 횡 방향 캐리지(29)로 넘겨질 수 있으며, 그 횡 방향 캐리지(29)는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라이닝 스탠드(29)로 이동될 수 있고, 거기에 하부 용기(2)가 전술된 바와 같이 내려놓여진다. 라이닝 스탠드(28)는 주상의 레일(25a)의 중심 진로에서 횡 방향 캐리지(29)가 라이닝 스탠드에 이미 위치된 하부 용기(2)를 방해함이 없이 대향된 2개의 라이닝 스탠드(28)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도록 형성된다.
도 16 내지 도 18에는 이동 가능한 라이닝 스탠드(14)로서 형성된 이송 캐리지(3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라이닝 스탠드(14)는 U자 기본형(31)을 갖는데, 그 기본형(31)에서는 하부 용기(2)가 2개의 U자 다리부(31a, 31b) 및 U자 다리부(31a, 31b)를 결합시키는 횡단 프레임(32) 상에 받쳐져 놓인다. 그 경우, 밖으로 빼내진 하부 용기(2)는 그 조립 또는 분해 위치(33)에 받쳐지고, 나중에 회전될 필요가 없이 다시 집어넣어질 수 있다. 이송 캐리지(30)의 보기차 바퀴(34)는 U자 다리부(31a, 31b)의 단부 구역에 짝을 지어 회전 지지된다. 도 18에 하부 용기(2)가 없이 도시된 "라이닝 스탠드"로서의 이송 캐리지(30)는 U자 기본형(31)의 U자 다리부(31a, 31b)에서 보기차 바퀴(34)의 구동 장치를 수납할 충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이송 캐리지(30)는 필요한 공급 에너지 및 라이닝 재료의 공급이 용이하게가용될 수 있는 주상(25)의 임의의 스테이션에서 라이닝 스탠드로서 스테이션화될 수 있다.

Claims (26)

  1. 노 덮개를 들어올려 바깥쪽으로 선회시키거나 노 덮개를 들어올리고, 분해 시에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상부 용기 및/또는 하부 용기로부터 분리시키고, 조립 후에 다시 결합시키는 형식으로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부 용기(3)를 하부 용기(2)로부터의 분리 후에 그 위치에 그대로 남겨두거나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의 분리 후에 들어올려 장전 크레인에 의해 밖으로 빼내고, 하부 용기(2)를 들어올렸다가 내려놓고서 이송 캐리지(6)에 의해 밖으로 빼내며, 용기를 라이닝하고 하부 용기(2)를 안으로 집어넣은 후에 상부 용기(3)와 하부 용기(2)를 다시 서로 결합시키고, 사전에 분리된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다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변경된 단계로서,
    - 하부 용기(2)와 상부 용기(3)를 영점 위치로부터 들어올리는 단계,
    -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6)를 하부 용기(2) 아래의 분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2)와 상부 용기(3)를 용기 리프팅 장치(7)에 의해 이송 캐리지(6) 상에 내려놓는 단계,
    - 상부 용기(3)를 하부 용기(2)로부터 분리시키고, 용기 리프팅 장치(7)에 의해 다시 들어올리는 단계, 및
    -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에 의해 밖으로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출탕 구역에 대기 위치로 준비되어 있는 이송 캐리지(6) 상에서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하부 용기(2) 아래의 인도 높이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둘레에 지지된 용기 리프팅 장치(7)에서 하부 용기(2) 및/또는 상부 용기(3)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각각의 분리 가능한 볼트(A, B)를 피스톤 로드(17)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B)의 인입 시에 상부 용기(3)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A, B)의 인입 시에하부 용기(2)와 상부 용기(3)를 들어올리거나 볼트(A)의 인입 시에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에 내려놓고서 밖으로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 경사 프레임(1)의 피봇 베어링(8)을 로킹하는 단계,
    - 매체 라인, 에너지 공급 라인, 및 계측 라인을 분리시킴이 없이 상부 용기(3)를 들어올리는 단계,
    - 하부 용기(2)를 영점 위치로부터 크래들 베어링 장치 또는 피봇 베어링 장치(12) 상의 경사 위치로 경사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6)를 하부 용기(2) 아래의 분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하부 용기(2)가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 상에 올려 놓여질 때까지 경사 프레임(1)을 다시 영점 위치로 선회시키는 단계, 및
    -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에 의해 라이닝 스탠드(27 또는 28)로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한 이송 캐리지(6)를 출탕 구역에 대기 위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둘레에 지지된 용기 리프팅 장치(7)에서 하부 용기(2) 및/또는 상부 용기(3)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각각의 분리 가능한 볼트(A, B)를 피스톤 로드(17)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 하부 용기(2)를 이송 캐리지(6) 상에서 장전장(24)으로부터 주상(25)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이송 캐리지(6)를 회전 디스크(26) 상에서 회전시켜 일직선상에 있는 레일 상에서 제1 라이닝 스탠드(27)로 가져가는 단계, 및
    - 하부 용기(2)를 내려서 제1 라이닝 스탠드(27)에 내려놓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2개의 라이닝 스탠드(27; 27) 사이에 있는 주상(25)에서 하부 용기(2)를 횡 방향 캐리지(29)에 내려놓고, 횡 방향 캐리지(29)를 하나의 라이닝 스탠드(27; 27)로 이동시켜 하부 용기(2)를 내려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분해 또는 조립 방법.
  12. 노 덮개용 지브, 베어링 면에서 구르는 경사식 노 용기용 크래들 및 용기 부분 조립품용 인출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교체 장치에 있어서,
    노 용기(13)는 경사 프레임(1)에 작용하는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4)에 의해 및/또는 노 용기(13)의 둘레에 둘러 분포되고 하부 용기(2) 및/또는 상부 용기(3)와 결합될 수 있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용기 리프팅 장치(7)에 의해 분해 또는 조립 위치로 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교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경사 프레임(1)에 그 높이 방향 위치에 맞춰 장전장(24)과 주상(25) 사이의 레일(25a) 상에서 왕복 운행하는 이송 캐리지(6)가 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이송 캐리지(6)는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과 함께 제련소 바닥 평면(11)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이송 캐리지(6)는 다수의 피스톤/실린더 유닛(15)에 의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하부 용기 교체 프레임(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리프팅 장치(7)는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구동 장치(16)로 이루어지고, 피스톤/실린더 구동 장치의 피스톤 로드(17)에 높이 조정 수단(18) 및 하부 용기(2) 및/또는 상부 용기(3)에 대한 분리가 가능한 결합 수단(19, 2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 프레임(1)은 로킹이 가능한 피봇 베어링(8)에 의해 경사 실린더/피스톤 유닛(4)에 대향된 채로 베이스 블록(21)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용기(2)는 아치형 지지 면(23)을 형성하는 용기 하단(22)에 의해 경사 프레임(1) 상에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전장(24)으로부터 주상 레일(25a) 상으로 진입될 수 있는 이송 캐리지(6)는 회전 디스크(26)에 의해 제1 라이닝 스탠드(27)로 이동될 수 있고, 이송 캐리지(6)의 피스톤/실린더 유닛(15)에 의해 제1 라이닝 스탠드에 내려 놓여지거나 그로부터 다시 들려질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20.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용기(2)는 이송 캐리지(6)에 의해 제2 라이닝 스탠드(28)로 이동될 수 있고, 거기서 이송 캐리지(6)로부터 횡 방향 캐리지(29)로 넘겨질 수 있으며, 횡 방향 캐리지(29)로부터 제2 라이닝 스탠드(28)에 내려 놓여지거나 다시 들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21.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 방향 캐리지(29)는 대향된 2개의 라이닝 스탠드(28)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이송 캐리지(30)는 U자 기본형(31)으로 된 이동 가능한 라이닝 스탠드(14)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U자 기본형(31)에서 하부 용기(2)는 2개의 U자 다리부(31a, 31b) 및 그 U자 다리부(31a, 31b)를 결합시키는 횡단 프레임(32) 상에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하부 용기(2)는 U자 다리부(31a, 31b) 사이에서 조립 위치 또는 분해 위치(33)로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캐리지(30)의 보기차 바퀴(34)는 짝을 지어 U자 다리부(31a, 31b)의 단부 구역에 회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U자 기본형(31)의 U자 다리부(31a, 31b)에 보기차 바퀴(34)용 구동 장치(3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의 교체 장치.
KR10-2004-7004963A 2001-10-06 2002-09-13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교체 장치 KR20040039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9367A DE10149367B4 (de) 2001-10-06 2001-10-06 Verfahren und Wechseleinrichtung zum Aus- oder Einbauen von Baugruppen eines Elektrolichtbogenofens
DE10149367.3 2001-10-06
PCT/EP2002/010266 WO2003033981A1 (de) 2001-10-06 2002-09-13 Verfahren und wechseleinrichtung zum aus- oder einbauen von baugruppen eines elektrolichtbogenof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483A true KR20040039483A (ko) 2004-05-10

Family

ID=770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963A KR20040039483A (ko) 2001-10-06 2002-09-13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교체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40247012A1 (ko)
EP (1) EP1432954B1 (ko)
JP (1) JP2005505741A (ko)
KR (1) KR20040039483A (ko)
CN (1) CN1564928A (ko)
AT (1) ATE319061T1 (ko)
CA (1) CA2462926A1 (ko)
DE (2) DE10149367B4 (ko)
ES (1) ES2256549T3 (ko)
RU (1) RU2294495C2 (ko)
TW (1) TW576913B (ko)
UA (1) UA78723C2 (ko)
WO (1) WO2003033981A1 (ko)
ZA (1) ZA2004011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9624B1 (fr) * 2004-12-17 2007-03-02 Ile Barbe Davene Soc Civ Cuve suspendue pour reacteur metallurgique
DE102006041421A1 (de) * 2006-09-04 2008-03-06 Fuchs Technology Ag Schmelzofen, insbesondere Lichtbogenofen
DE102008017010A1 (de) * 2007-07-18 2009-01-29 Sms Demag Ag Modularer Elektro-Reduktionsofen
CN101984078B (zh) * 2010-12-01 2012-01-11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高炉中间段炉壳快速拆除更换的安装方法
DE102011075003C5 (de) * 2011-04-29 2017-06-01 Primetals Technologies Germany Gmbh Elektroschmelzofen
DE102011083822B3 (de) * 2011-09-30 2012-12-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Lichtbogenofen mit auf Schienen verfahrbarem Wiegerahmen
KR102021452B1 (ko) * 2017-08-03 2019-09-1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핵연료 취급을 위한 모듈형 하부 이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핵연료 교체방법
CN108413772A (zh) * 2018-05-10 2018-08-17 湖州职业技术学院 一种适用于陶艺教学的窑
CN113883900B (zh) * 2021-10-22 2023-07-28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双竖井电炉竖井框架组对安装方法
CN115341070B (zh) * 2022-08-01 2024-01-23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炉体平移更换式电炉结构及炉体更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45A (en) * 1907-11-09 1911-01-03 Marcus Ruthenburg Furnace.
US3312544A (en) * 1965-12-16 1967-04-04 Kerm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teel
US3984613A (en) * 1975-05-19 1976-10-05 Reese Thurston F Electric furnace with tiltable and removable hearth
EP0049926B1 (de) * 1980-10-09 1984-07-25 BBC Aktiengesellschaft Brown, Boveri & Cie. Kippbarer Lichtbogenofen
FR2591725B1 (fr) * 1985-12-13 1989-11-24 Clecim Sa Procede et installation d'entretien du revetement d'une cuve de four
DE4104910C3 (de) * 1991-02-18 2000-02-24 Schloemann Siemag Ag Stahlnachbehandlungsanlage
IT1289008B1 (it) * 1996-10-21 1998-09-25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supporto e basculamento del tino in un forno elettrico
DE19753184A1 (de) * 1997-11-21 1999-06-10 Mannesmann Ag Schmelzofen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9061T1 (de) 2006-03-15
CA2462926A1 (en) 2003-04-24
ZA200401128B (en) 2004-06-09
CN1564928A (zh) 2005-01-12
EP1432954B1 (de) 2006-03-01
RU2294495C2 (ru) 2007-02-27
TW576913B (en) 2004-02-21
DE10149367B4 (de) 2007-08-09
EP1432954A1 (de) 2004-06-30
RU2004113654A (ru) 2005-06-10
ES2256549T3 (es) 2006-07-16
UA78723C2 (en) 2007-04-25
US20040247012A1 (en) 2004-12-09
DE10149367A1 (de) 2003-04-24
DE50205960D1 (de) 2006-04-27
JP2005505741A (ja) 2005-02-24
WO2003033981A1 (de) 200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07B1 (ko) 롤을 교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059011A (en) Low pressure die-casting plant with improved production capacity
KR20040039483A (ko) 전기 아크로의 부분 조립품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 및교체 장치
JP4382983B2 (ja) リング支持形リフトクレーン
US33125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teel
CN108463298B (zh) 用于铸造的装置
US81875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change converter unit of an oxygen steel-making plant
JP2002248560A (ja) レードルターレットの軸受交換設備および方法
US4390168A (en) Crane and hoist for steel manufacturing mill
JPH09164456A (ja) 取鍋ターレット兼鋳型アセンブリ交換装置および鋳型アセンブリ交換方法
CN206392808U (zh) 一种用于射芯机的自动装模小车
CN112923726A (zh) 用于冶炼炉的自动加料系统
JP2003326358A (ja) 鋳造方法及び鋳造ライン
US409277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newing sliding gate valve units for casting ladles
JP2996362B2 (ja) 粉末回収容器の搬出入装置
CN211739857U (zh) 用于冶炼炉的自动加料系统
RU23494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ертыван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ковшей
JP4085293B2 (ja) 高炉の組立解体装置及び組立解体方法
CN220196315U (zh) 一种高效换板的落砂机
US4268014A (en) Transport lift truck for metallurgical vessels, particularly steel mill converters
JPH0832336B2 (ja) 圧延機のロール組替装置
JP4530841B2 (ja) 熱風環状管の設置方法
CN115847354A (zh) 一种用于更换环冷机台车车体的装置以及更换方法
JPH0818054B2 (ja) 圧延機のロール交換装置
JPH08188394A (ja) 長尺材用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