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978A - 관절형 개방 링 - Google Patents

관절형 개방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978A
KR20040038978A KR10-2004-7000342A KR20047000342A KR20040038978A KR 20040038978 A KR20040038978 A KR 20040038978A KR 20047000342 A KR20047000342 A KR 20047000342A KR 20040038978 A KR20040038978 A KR 2004003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arms
arm
connecting means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그도미니크마르코
Original Assignee
하트케이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트케이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트케이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3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9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2C-spring-type bracelets or wrist-watch hold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2Cases for special purposes, e.g. watch combined with ring, watch combined with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38Finger-rings openable or able to be broken for safety reasons
    • A44C9/0046Finger-rings openable or able to be broken for safety reasons comprising a hi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ornments (AREA)
  • Buck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착용자의 신체 부분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형태의 링으로서, 이 링은,
-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의 두 단부 중 제1 단부(10a, 12a)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2개의 강성 굴곡 아암(10, 12)과,
- 이들 아암을 연결하는 관절부(14)와,
- 상기 관절부(1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잠금 위치로 지칭되는 제1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지칭되는 제2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머리부(16)와,
- 상기 제1 아암 및 제2 아암에 상기 머리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연결 수단으로, 상기 머리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두 연결 수단 모두가 잠금 상태로 되며, 상기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두 연결 수단 중 적어도 제1 연결 수단이 물림 해제 상태에 있는 것인 제1 및 제2 연결 수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절형 개방 링{ARTICULATED OPEN RING}
이러한 형태의 링은 특히 "마르퀴스(marquise)"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손목 시계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아암이 강성이라는 점은 독창적인 미적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형태의 시계에서, 2개의 아암은 모두 서로를 근접시키는 경향이 있는 스프링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링의 복원력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복원력이 너무 약하다면, 아암이 무심코 벌어져 시계가 빠질 우려가 있다. 복원력이 너무 강하다면, 손목에서 시계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프랑스 특허 제FR 940 506호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 특허는,
- 움직일 수 있고 각각의 두 단부 중 제1 단부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2개의 강성 굴곡 아암 및 이들을 연결하는 관절부와,
- 상기 아암 중 하나에 피벗하도록 장착된 머리부,
- 상기 아암 중 다른 하나에 피벗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머리부와 협동하여 그 머리부와 체결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잠금부
를 구비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해법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잠금 해제의 위험성은 예를 들면 잠금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무시할 수 없다. 더욱이, 많은 수의 관절부는 떨림을 야기할 수 있고, 이러한 떨림은 착용자의 편안함과, 심지어는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링은 착용자의 신체 부분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형태이며,
-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의 두 단부 중 제1 단부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2개의 강성 굴곡 아암 및 이들을 연결하는 관절부와,
- 상기 관절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잠금 위치로 지칭되는 제1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지칭되는 제2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된 머리부,
- 상기 머리부를 상기 제1 아암 및 제2 아암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연결 수단으로, 상기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이들 두 연결 수단은 모두 잠겨지며, 상기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두 연결 수단 중 제1의 수단은 잠금이 해제되어 있는 것인 제1 및 제2 연결 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은,
- 제2 단부들이 떨어져, 벌어진 틈을 통해 상기 링이 착용자의 신체 부분에로 미끄러져 착용되거나 벗겨질 수 있는 개방 위치와,
- 상기 틈이 줄어들어, 상기 아암이 착용자의 신체 부분을 둘러싸게 되는 폐쇄 위치를 갖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관절형 링에 관한 것이다. 이 "링"이라는 용어는 광의의 의미로, 즉 거의 원통 형상의 신체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환형 형상의 물체로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신체 부분이 손목이라면, 링은 팔찌일 수 있지만, 한편 목이라면 목걸이거나, 손가락인 경우에는 반지일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강성 굴곡 아암과, 이들을 연결하는 관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아암은 움직일 수 있고, 이들 아암의 두 단부 중 제1 단부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형태의 링에 관한 것이다. 이 링은 두 가지 위치, 즉 제2 단부들이 떨어져 있어 그 링을 착용하는 사람의 신체 부분이 벌어진 틈을 통해 그 링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게 하는 개방 위치와, 제2 단부들 간의 틈이 줄어들어 상기 아암이 착용자의 신체 부분을 둘러싸게 되는 폐쇄 위치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4가지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첨자 a는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고, 첨자 b에서는 아암이 개방되고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하거나 벗기가 용이한 동시에, 착용자에게 높은 수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링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1 연결 수단이 제1 아암 및 머리부와 각각 관련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연결 수단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제1 아암 및 머리부와 각각 일체로 되거나, 이들에 추가되어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조립체의 적절한 강성을 보장하며, 의도하지 않은 잠금 해제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미적 견지에서의 수많은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결 수단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유리하게는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있을 때 서로 협동하고,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나가 잠금부로, 다른 하나가 훅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암 상에서의 머리부의 안정된 위치 결정을 보장하기 위해, 제1 연결 수단은, 상기 머리부를 그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제1 힘(F1)을 가함으로써 발생하고,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아암 중 하나의 아암에 가해지는 힘(F2)이 상기 잠금부와 훅 부분의 상호 작용을 매개로 하여 제1 힘(F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결과력(F3)을 머리부에 생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상기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는 한은 폐쇄 위치로 유지되며, 상기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서로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관절부의 양호한 작동 조건을 허용하기 위해, 관절부는 적어도 상기 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제1 피벗 축선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포함하며, 이 힌지는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가려지며,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된다.
제1 실시예에서, 관절부는 제1 축선에 대해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제2 힌지와, 이 제2 힌지에 제1 힌지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이들 힌지들 중 하나의 힌지는 상기 아암 중 하나 아암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힌지는 다른 하나의 아암에 고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 머리부는 상기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아암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아암에 대한 머리부의 적절한 위치 결정을 보장하기 위해, 잠금 위치에서, 상기 링은 한쪽에서는 머리부와, 다른 한쪽에서는 아암 중 하나와 협동하도록 배치된 스냅 결합식 위치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머리부는 제1 축선에 대해 직각인 제2 축선을 중심을 회전시킴으로써,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팔찌의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돌기를 포함하며, 머리부는 윙(wing)을 포함하며, 이들 중 하나가 잠금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가 훅 부분을 형성한다.
제4 실시예에서, 머리부는 상기 아암 중 하나의 아암에서 그 단부 중 하나의 단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축선에 대해 평행한 제3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장착되며, 다른 단부를 매개로 하여, 스냅 결합식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다른 아암과 협동한다.
링은, 유리하게는 손목시계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중요한 해법은, 2개의 구별된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계시 장치(timekeeping device)를 머리부에 배치하며, 머리부가 2개의 잠금 위치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잠금 위치 중 제1 잠금 위치와 제2 잠금 위치에서 각각 보일 수 있도록 연결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후술되는 상세한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시계 무브먼트(watch movement)가 수용되어 있는 케이스가 마련된 팔찌에 관한 것이다. 실시되는 기술적 수단은 스케일을 조절함으로써, 목걸이 또는 반지에 적용될 수 있다. 시계 무브먼트의 존재는 중요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팔찌는 각각 2개의 강성 굴곡 아암(10, 12)과, 첨자 a에 의해 구별되는 상기 아암들의 한쪽 단부를 통해 상기 아암들을 서로 연결하는 관절부(14)와, 시계 무브먼트(18)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형태를 갖는 가동형 머리부(16)를 포함한다.
도 1에서, 2개의 아암(10, 12)은 폐쇄 위치에서 각각 약 180°의 각도를 둘러싸며, 착용자의 손목을 수용하는 개구가 있는 링(20)을 함께 형성한다. 그들의 연결된 단부(10a, 12a)에는 동축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구멍에 축선 A-A를 갖는 핀이 힌지(19)를 형성하도록 맞물려, 관절부(14)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부는 각각 첨자 b로 구별되는 평면을 더 포함하고, 이들 평면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첨자 c로 구별되는 돌기는 관절부(14)의 양측에서 표면(10b, 12b)을 구획한다.
머리부(16)는 아암(10)의 단부(10a)에서 표면(10b)에 대해 직각인 축선(B-B)을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헤드가 있는 스터드(22)에 의해 장착되며, 이 스터드는 도 1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머리부에 고정되고, 아암(10)의 단부(10a)에서 형성된 구멍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스터드(22)는 아암(10)과 머리부(16) 사이의 연결 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머리부는 잠금 위치에서 표면(10b, 12b)에 인접하며 스터드(22)가 고정되어 있는 하측 평면(16a)과, 상측 돔형 표면(16b)과, 2개의 측면(16c)과, 돌기(10c, 12c)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윙(16d)을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표면(10b, 12b)에 있어서, 돌기(10c, 12c)는 훅 부분을 형성하고 2개의 윙(16d)은 잠금부를 형성하고, 이들 잠금부는 각각 훅 부분 중 하나와 협동하여, 머리부(16)를 아암(10, 12)에 고정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훅 부분과 잠금부는 각각 아암(10, 12)을 머리부(16)에 연결하는 수단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들 연결 수단은 머리부(16)가 도 1b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에 분리된다.
머리부가 도 1a에 도시한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머리부(16)는 팔찌의 전체적인 형상에 들어맞게 되고, 상측 표면(16b)이 연장하여 아암(10, 12) 및 힌지(19)를 덮게 된다. 머리부(16)와 아암(10, 12)을 분리시키기 위해, 힘(F1)이 도면의 지면(紙面)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측면(16c) 중 하나에 가해져, 윙(16d)이 돌기(10c, 12c)로부터 분리되도록 머리부(16)와 스터드(22)를 아암(10)에 대해 피벗시켜야 한다. 약 90°는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면,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 위치에서, 아암(10, 12)의 중간부에, 축선(A-A)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힘(F2)을 가하여, 그러한 축선에 대해 토크를 발생시키면, 아암(10, 12)은 떨어지게 되어 그 아암들 사이에 틈(24)을 형성하게 되며, 이 틈은 도 1b에 도시한 개방 위치에 이를 때까지 증가하여, 착용자의 손목을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아암이 폐쇄 위치에 있고, 머리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힘(F2)이 가해진다면, 이 힘은 표면(10b, 12b)에 의해 면(16a) 상에 가해지거나 돌기(10c, 12c)에 의해 윙(16d) 상에 가해지는 결과력(F3)을 생성한다. 협동하는 표면(12b)과 면(16a) 또는 돌기(10c)와 윙(16d)은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머리부를 아암(10)에 고정시키는 제2 연결 수단을 형성한다.
힘(F3)은 F1에 대해 수직이며, 표면(12b)과 면(16a)이 제2 연결 수단을 형성하고 있을 때, 축선 B-B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편,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경우에는 축선 B-B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F3은 스터드(22)에 응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갖지만, 이에 의해 머리부(16)가 아암(10, 12)에 대한 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머리부(16)는 잠금 상태로 있고, 아암(10, 12)은 폐쇄 상태로유지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은 개방 위치에 있고, 머리부(16)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아암(10, 12)이 폐쇄 위치로 될 때까지는 아암(10, 12) 상에 F2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되고, 아암(10, 12)의 자유 단부가 멈춤 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표면(10b, 12b)은 다시 동일 평면으로 되어, 다른 측면(16c) 상에 F1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그 힘이 머리부(16)를 잠금 위치로 복귀시킨다.
관절부(14)가 자유롭게 작동하는 한에 있어서만 아암(10, 12)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는 머리부(16)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표면(12b)과 힌지(19)를 완전히 해방시킨다면 가능하다. 따라서, 아암(12)은 그것의 이동이 더 이상 면(16a)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축선(B-B)과 연부(16c) 사이의 거리가 축선(A-A)과 축선(B-B) 사이의 거리보다 적을 경우에만 만족된다.
도시하지 않은 변형례에서, 아암은 마르퀴스 시계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이 스프링과 협동하여, 착용하였을 때 아암이 자동적으로 폐쇄 위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변형례에서, 머리부(16)를 아암(10)에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는 스터드(22) 및 아암(10)에 형성된 구멍을 베이요넷(bayonet)형 잠금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결합의 해제는, 유리하게는 90°보다 큰 각도로 회전한 후에 발생하여, 의도하지 않은 잠금 해제의 우려는 감소시키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머리부(16)의 대칭적 구조 및 그 관절부(14)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갖는다. 다른 특징부들은 유사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관절부(14)는 2개의 단부(10a, 12a)를 연결하고, 이들 단부와 함께 평행한 축선(A-A, A'-A')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2개의 힌지(28, 3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26)를 구비한다.
플레이트(26)는 아암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표면(10b, 12b)에서 연장되는 지지 표면(26a)를 구비한다. 표면(26a)은 머리부(16)의 폭과 동일하거나 보다 큰 변을 갖는 거의 정사각형 형상을 한다.
머리부(16)는 표면(26a)에 대해 수직이고 그 중앙을 통과하는 축선(B-B)을 중심으로 플레이트(26) 상에서 피벗하도록, 도 1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과 모든 면에서 유사한 스터드(22)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터드(22)는 머리부(16)와 플레이트(26) 간의 연결 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머리부(16)는 대칭형이기 때문에, 축선(B-B)을 중심으로 완전히 회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시간을 표시하는 2개의 시계 무브먼트(18)를 머리부(18)에 배치함으로써, 머리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표시되는 시간을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잠금 위치에서, 머리부(16)는 팔찌의 전체적인 형상에 들어맞게 되고, 상부 표면(16b)이 아암(10, 12)에서 연장하고 있다. 머리부(16)와 아암(10, 12)을 분리시키기 위해, 힘(F1)이 하나의 측면(16c) 상에서 도면의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가해져, 윙(16d)이 돌기(10c, 12c)에서 떨어지도록 머리부(16)와 스터드(22)를 플레이트(26) 상에서 피벗시켜야 한다. 약 90°는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면, 머리부는 잠금 해제 위치에 이르게 된다. 2개의 힌지(28, 30)가 노출되는 이 위치에서, 아암(10, 12)의 중간부에, 축선(A-A, A'-A')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힘(F2)을 가하여, 그러한 축선에 대해 토크를 발생시키면, 아암(10, 12)은 떨어지게 되어 그 아암들 사이에 틈(24)을 형성하게 되며, 이 틈은 도 2b에 도시한 개방 위치에 이를 때까지 증가하여, 착용자의 손목을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아암이 폐쇄 위치에 있고, 머리부(16)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힘(F2)이 가해지면, 이 힘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10b, 12b)에 의해 면(16a) 상에 가해지거나, 돌기(10c, 12c)에 의해 윙(16d)에 가해지는 결과력(F3)을 생성한다.
표면(10b, 12b)이 면(16a)과 협동하거나, 돌기(10c, 12c)가 윙(16d)과 협동하여, 머리부를 아암(10, 12)에 연결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머리부와 아암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 수단은 잠금 해제 위치에서 물림이 해제되고, 영구적인 연결 기능은 플레이트(26)에 장착된 스터드(22)에 의해 보장된다.
표면(10b, 12b)이 결과력(F3)을 생성하는 경우, 이 결과력은 F1과 F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축선(B-B)에 대해 평행하며, 스터드(22)에 응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갖지만, 이에 의해 머리부(16)가 아암(10, 12)에 대해 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머리부(16)는 잠금 상태로 되며, 아암(10, 12)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이 개방 위치에 있고 머리부(16)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 아암(10, 12)이 폐쇄 위치로 될 때까지 아암(10, 12) 상에 F2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되고, 아암(10, 12)의 자유 단부가 멈춤 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표면(10b, 12b)은 다시 동일 평면으로 되어, 다른 측면(16c) 상에 F1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그 힘이 머리부(16)를 잠금 위치로 복귀시킨다.
관절부(14)가 자유롭게 작동하는 경우에만 아암(10, 12)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는 머리부(16)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표면(10b, 12b)을 완전히 해방시켜, 상기 표면들의 이동이 더 이상 면(16a)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은, 축선(B-B)과 연부(16c) 사이의 거리가 축선(A-A, A'-A')과 축선(B-B) 사이의 거리보다 적을 경우에만 만족된다.
도 2에 참조로 도시된 팔찌의 머리부(16)가 대칭형이기 때문에, 180°의 회전에 의해 하나에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되는 두 가지의 잠금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머리부에 2개의 시계 무브먼트가 마련되고, 결과적으로 이중의 시간이 표시된다면, 두 가지 항목의 데이터, 예를 들면 두 가지 시간대의 시간이 표시될 수 있고,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의 전환은 머리부(16)를 간단히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또한, 머리부(16)는 베이요넷형 조립에 의해 플레이트(26)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는, 머리부(16)가 지지 표면(10b, 12b) 상에서 활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두 가지 예와는 다른 팔찌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관절부(14)는 도 1의 관절부와 동일한 것으로, 소정 간격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축선(A-A)을 중심으로 한 2개의 동축 힌지(30)로 형성되며, 이들 힌지 중 하나만을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이 도면에도 역시, 동일 부분은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머리부(16)는 전술한 두 가지 예에서와 같이, 잠금 위치에서 표면(10b, 12b)에 인접하고 스터드(22)가 고정되어 있는 하측 평면(16a)과, 상측 돔형 표면(16b)과, 2개의 측면(16c)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상측 표면(16b)은 각 단부에서 하측 면(16a)과 만나게 되어, 머리부(16)가 축선(A-A)에 대해 평행한 축선을 갖는 실린더의 세그먼트 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10b, 12b)에는 축선(A-A)에 대해 수직이면서 T형 단면을 갖고 홈(32)이 있고, 이 홈은 안내면으로서 기능을 한다. 스터드(22)에는 슬라이들 형성하도록 홈(32)과 맞물려 머리부(16)와 아암(10) 간에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돌출부(22a)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볼 끼워 맞춤식 멈춤쇠(34)가 아암(10)에 수용되어, 관절부(14)에 대해 반대쪽 단부에 인접하여 표면(10b)에서 돌출하고 있다. 원추형 구멍(36)이 면(16a)에 형성되어,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볼(34)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머리부가 도 3a에 도시한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머리부(16)는 팔찌의 전체적인 형상에 들어맞게 되고, 상측 표면(16b)이 아암(10, 12)에서 연장하고 있다. 스터드(22)는 홈(32)에서의 아암(10)과 관련된 부분에서 맞물려 있다. 머리부(16)는 볼(34)이 원추형 구멍(36)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위치에서 유지된다.
머리부(16)와 아암(10, 12)을 분리시키기 위해, 힘(F1)이 도면의 지면 내에서 홈(3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측 표면(16b) 상에 가해져야 한다. 이 힘(F1)은 볼(34)의 위치 결정 힘을 극복하여, 스터드(22)가 머리부(16)의 잠금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홈(32)의 다른 단부에 도달 할 때까지 머리부(16)가 미끄러지게 한다.
이 위치에서, 아암(10, 12)의 중간부에, 축선(A-A)에 대해 직각인 평면 내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힘(F2)을 가하여, 그 축선에 대해 토크를 발생시키면, 아암(10, 12)은 떨어지게 되어 그 아암들 사이에 틈(24)을 형성하게 되며, 이 틈은 도 3b에 도시한 개방 위치에 이를 때까지 증가하여, 착용자의 손목을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아암이 폐쇄 위치에 있고, 머리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힘(F2)이 가해진다면, 이 힘은 표면(10b, 12b)에 의해 면(16a) 상에 가해지고 F1에대해 수직한 결과력(F3)을 생성하며, 이러한 결과력은 스터드(22)에 응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갖지만, 이에 의해 머리부(16)가 아암(10, 12)에 대해 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표면(10b, 12b)은 면(16a)과 함께 머리부(16)와 아암(12)을 연결하는 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머리부(16)는 잠금 상태로 있고, 아암(10, 12)은 폐쇄 상태로 유지되며, 머리부(16)는 잠금부로서 기능을 하고 아암(10, 12)은 훅 부분으로서 기능을 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이 개방 위치에 있고 머리부(16)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 아암(10, 12)이 폐쇄 위치로 될 때까지는 아암(10, 12) 상에 F2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되고, 아암(10, 12)의 자유 단부가 멈춤 부재를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표면(10b, 12b)은 다시 동일 평면으로 되어, 상측 면(16c)의 다른 쪽에 F1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그 힘이 머리부(16)를 잠금 위치로 복귀시킨다.
관절부(14)가 자유롭게 작동하는 경우에만 아암(10, 12)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는 머리부(16)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표면(10b)과 힌지(30)를 완전히 해방시킨다면 가능하다. 그러면, 아암(10)의 이동이 더 이상 면(16a)에 의해 제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조건은, 홈(32)의 길이가 관절부(14)와, 힘(F1)이 가해지는 면(16a)의 단부 사이의 거리와 적어도 동일한 경우에만 만족된다.
도시하지 않은 변형례에서,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 머리부(16)를 회전시킴으로써 홈(32)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돌출부(22a)를 배치함으로써, 팔찌로부터 머리부(16)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홈(32)이 단지 아암(12)에만 형성되도록, 관절부(14)를 형성하는 힌지를 오프셋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표면(10b)은 표면(12b)보다 적게 된다. 게다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머리부(16)를 이동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아암(12)을 머리부(16)에 연결하는 수단은 머리부(16)의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모두에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공통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머리부(16)는 축선(A-A)에 대해 평행한 축선(C-C)을 중심으로 아암(12)의 단부(12a)에서 피벗하도록 힌지(36)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힌지는 아암(12)과 머리부(16) 간의 연결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머리부(16)에는, 잠금 위치에서 표면(10, 12)에 인접하는 하측 평면(16a)과, 상측 돔형 표면(16d)과, 2개의 측면(16c)과, 돌기(10c)와 협동하는 제1 윙(16d)과, 돌기(12c)와 함께 힌지(36)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2 윙(16e)이 있다.
돌기(10c)는 훅 부분을 형성하고 윙(16d)은 잠금부를 형성하며, 이들은 머리부(16)를 아암(10, 12)에 고정시키도록 서로 협동하여, 윙(16d)이 돌기(10c)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며, 이에 의해 머리부(16)와 아암(10) 간의 연결 수단의 기능을 보장한다. 이러한 스냅식 결합 구성은 돌기(10c)가 윙(16d)을 약간 덮게 하고, 아암(10, 12)은 머리부(16)가 해방되기에 필요한 변형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탄성을갖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로 언급한 것과 유사한 스프링-볼 끼워 맞춤식 멈춤쇠에 의해 그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다. 게다가, 힌지(36)는 아암(12)과 머리부(16) 간의 연결 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머리부가 도 4a에 도시한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머리부(16)는 팔찌의 전체적인 형상에 들어맞게 되고, 상측 표면(16b)이 아암(10, 12)에서 연장한다.
머리부(16)와 아암(10, 12)을 분리시키기 위해, 그 측면(16c)에서 머리부(16)를 파지하여, 힘(F1)을 상향으로 가해야 한다. F1은 머리부(16)가 힌지(36)에 의해 아암(12) 상에서 피벗하게 하여, 윙(16d)을 돌기(10c)로부터 분리시킨다. 윙(16d)이 돌기(10c)로부터 해방되는 순간, 머리부(16)는 잠금 해제된다.
이 위치에서, 아암(10, 12)의 중간부에, 축선(A-A)에 대해 직각인 평면 내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힘(F2)을 가하여, 그 축선에 대해 토크를 발생시키면, 아암(10, 12)은 떨어지게 되어 그 아암들 사이에 틈(24)을 형성하게 되며, 이 틈은 도 4b에 도시한 개방 위치에 이를 때까지 증가하여, 착용자의 손목을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아암이 폐쇄 위치에 있고,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힘(F2)이 가해진다면, 이 힘은 돌기(10c)에 의해 윙(16d) 상에 가해지는 결과력(F3)을 생성한다. 이 힘(F3)은 F1에 대해 수직이며, 힌지(36)에 응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갖지만, 이에 의해 머리부(16)가 아암(10, 12)에 대해 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머리부(16)는 잠금 상태로 있고, 아암(10, 12)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이 개방 위치에 있고 머리부(16)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 아암(10, 12)이 폐쇄 위치로 될 때까지는 아암(10, 12) 상에 F2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되고, 아암(10, 12)의 자유 단부는 멈춤 부재를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표면(10b, 12b)은 다시 동일 평면으로 되어, 상측 면(16b) 상에 F1에 대해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그 힘이 머리부(16)를 잠금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 아암(10)을 머리부(16)에 연결하는 제1 연결 수단만이 물림 해제된다.
전술한 네 가지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링에 수많은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다른 변형례도 구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팔찌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목걸이와 반지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암(10, 12)과 머리부(16)의 모든 형상은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표면(10b, 12b)과, 면(16a)이 평면일 필요는 없다. 이들은 처음 두 가지 실시예에서는 구형일 수 있고, 제3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제4의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머리부는 시계 무브먼트가 마련되기보다는 카보숑(cabochon) 또는 컷트 스톤(cut stone)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팔찌의아암 중 하나에 무브먼트를 고정하고, 그 무브먼트가 부분적으로 가려지거나 그렇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경우, 머리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디스플레이를 읽을 수 있지만, 그러한 이동으로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까지 가져가지는 않아 팔찌가 무심코 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의 변형례에서, 무브먼트(18)는 아암(12)에 수용될 수 있고, 머리부(16)는 무부먼트(18)의 하우징을 둘러싸, 베젤(bezel)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개의 아암(10, 12)은 180°보다 작은 각도로 둘러쌀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단부(10a, 12a)는 아암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멈춤 부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연결 수단이 아암(10, 12)과, 그리고 머리부(16)와 견고하게 조합되어 있는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상이한 각종 팔지 모두에 신뢰성 있는 조립 상태와, 특히 독창적인 미적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1)

  1. 착용자의 신체 부분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형태의 링으로서,
    -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의 두 단부 중 제1 단부(10a, 12a)에서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강성 굴곡 아암(10, 12) 및 이들 아암을 연결하는 관절부(14)와,
    - 상기 관절부(1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잠금 위치로 지칭되는 제1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지칭되는 제2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머리부(16)와,
    - 상기 제1 아암 및 제2 아암에 상기 머리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연결 수단으로, 상기 머리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두 연결 수단 모두가 잠금 상태로 되며, 상기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두 연결 수단 중 적어도 제1 연결 수단이 물림 해제 상태에 있는 것인 제1 및 제2 연결 수단
    을 포함하며,
    - 상기 아암의 제2 단부들이 떨어져, 벌어진 틈을 통해 상기 링을 착용자의 신체 부분에 착용하거나 그로부터 벗길 수 있는 개방 위치와,
    - 상기 틈이 줄어들어, 상기 아암이 착용자의 신체 부분을 둘러싸게 되는 폐쇄 위치
    를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인 링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아암 및 상기 머리부와 각각 견고하게 조합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중 하나의 부분은 잠금부(16d)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부분은 훅 부분(10c)을 형성하며, 이들 두 부분은 상기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서로 협동하며 상기 머리부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 서로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은, 상기 머리부(16)를 그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제1 힘(F1)을 가함으로써 발생하고, 상기 머리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아암(10, 12) 중 하나의 아암에 가해지는 힘(F2)이 잠금부(16d)와 훅 부분(16c)의 상호 작용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힘(F1)에 대해 거의 수직인 결과력(F3)을 머리부에 생성하여, 상기 머리부가 잠금 위치에 있는 동안에 상기 아암(10, 12)이 폐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머리부(16)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아암들이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14)는 상기 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고 제1 피벗 축선(A-A)을 규정하는 힌지(19, 28)를 적어도 구비하며, 이 힌지는 상기 머리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가려지고,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14)는 상기 제1 축선에 대해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제2 힌지(30)와, 상기 제1 힌지(28)를 제2 힌지(30)에 연결하는 플레이트(26)를 더 구비하며, 상기 힌지들 중 하나의 힌지(28)는 상기 아암 중 하나의 아암(1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힌지(30)는 다른 하나의 아암(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6)는 상기 아암 중 하나의 아암(12)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7. 제6항에 있어서, 한쪽에서는 상기 머리부(16)와 협동하고 다른 쪽에서는 상기 아암 중 하나의 아암(10)과 협동하여, 상기 아암에 대한 상기 머리부의 잠금 위치를 보장하는 스냅 결합식 위치 결정 수단(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제1 축선(A-A)에 대해 수직인 제2 축선(B-B)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아암(10)은 돌기(10c)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16)는 윙(16d)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와 윙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잠금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훅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6)는 상기 아암 중 하나의 아암(12)에서 그 단부 중 하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축선(A-A)에 대해 평행한 제3 축선(C-C)을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장착되며, 스냅 결합식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다른 단부를 매개로 다른 아암(10)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머리부(16)가 두 개의 잠금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들 잠금 위치 중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각각 볼 수 있는 2개의 구별된 디스플레이를 갖는 계시 장치(18)가 상기 머리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KR10-2004-7000342A 2001-07-11 2002-07-10 관절형 개방 링 KR20040038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116879A EP1275319A1 (fr) 2001-07-11 2001-07-11 Anneau ouvert articulé
EP01116879.6 2001-07-11
PCT/IB2002/002706 WO2003005850A1 (fr) 2001-07-11 2002-07-10 Anneau ouvert art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978A true KR20040038978A (ko) 2004-05-08

Family

ID=817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342A KR20040038978A (ko) 2001-07-11 2002-07-10 관절형 개방 링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17368B2 (ko)
EP (2) EP1275319A1 (ko)
JP (1) JP2004533897A (ko)
KR (1) KR20040038978A (ko)
CN (1) CN1236713C (ko)
AT (1) ATE341959T1 (ko)
DE (1) DE60215349D1 (ko)
TW (1) TW582995B (ko)
WO (1) WO2003005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012A (ko) * 2006-05-16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
US7799979B2 (en) * 2008-11-20 2010-09-21 Swartz Patrick Neil Plectrum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P3575887A1 (en) * 2011-10-05 2019-12-04 Suunto Oy Watch case and wrist watch device
US20140102136A1 (en) * 2012-10-12 2014-04-17 Michael K. Warren Jewelry piece with interchangeable rfid tag
JP2016512710A (ja) 2013-03-15 2016-05-09 ヒマンシュ シン リング保護装置
KR20160080821A (ko) * 2014-12-26 2016-07-0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마스크
CN106963352A (zh) * 2017-04-24 2017-07-21 苏州国科智策智能科技有限公司 压力可控的合体式智能健康指环
US11284685B2 (en) 2017-08-09 2022-03-29 Guaicaipuro Rodriguez Garcia Openable finger ring system
KR102082209B1 (ko) * 2018-05-24 2020-02-27 이연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재활용 블록을 이용한 팔찌
USD909230S1 (en) 2018-10-23 2021-02-02 Cecil James Pounder, III Article of jewelry
US11087724B1 (en) * 2018-11-08 2021-08-10 Cole Eshee Heve McBride Spring loaded thumb pick
US11800911B2 (en) 2021-04-12 2023-10-31 Steve Govea Suarez Radial watch
CN113349528B (zh) * 2021-07-01 2022-12-02 深圳市纳晶云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单手佩戴使用的智能手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084A (en) * 1913-05-27 1915-02-09 Charles S Wilcoxon Ring.
FR940506A (fr) * 1947-01-23 1948-12-15 Bracelet
US3182876A (en) * 1963-12-23 1965-05-11 Ibm Bursting device for multilayer webs
US3465543A (en) * 1966-03-08 1969-09-09 John T Baker Openable finger ring with pivoted locking element
US3566616A (en) * 1969-02-14 1971-03-02 Robert A Benedict Jr Ornamental finger ring having a separable connection in its band
US3736770A (en) * 1971-02-26 1973-06-05 J Kelrick Adjustable ring having bridge element and firmly secured notched latch bar
US4236384A (en) * 1978-09-01 1980-12-02 Daub Arthur R Locking assembly for article of jewelry
US4753087A (en) * 1985-11-12 1988-06-28 Annunzio Philip D Adjustable ring structure
DE3779921T2 (de) * 1987-10-26 1993-02-04 Premiere Tabbah Sa Schmuckstueck.
US4790148A (en) * 1987-12-10 1988-12-13 Gerard Faini Ring shank
US4879883A (en) * 1988-08-09 1989-11-14 Bruner Mates A Openable ring with unique locking and release means
GB8830050D0 (en) * 1988-12-23 1989-02-22 Creates Allan Finger ring
US5136858A (en) * 1991-05-03 1992-08-11 Bruner Mates A Openable ring with interleaving member
US5651273A (en) * 1993-06-29 1997-07-29 Davida Enterprises, Inc. Hinged finger ring
US5816073A (en) * 1997-02-11 1998-10-06 Marquesa, Inc. Hinged earring
US6085550A (en) * 1998-02-09 2000-07-11 Ishida; Mitsugi Adjustable article of jewelry and related method
DK175003B1 (da) * 1999-04-28 2004-04-19 Daniel Bentley Fingerring
US20020069670A1 (en) * 2000-12-11 2002-06-13 Edward Rosenberg System for sizing and re-sizing articles of jewelry
US6568214B2 (en) * 2001-03-16 2003-05-27 Michael Wolff Hinged ring that supports an ornament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4190A1 (fr) 2004-04-07
CN1236713C (zh) 2006-01-18
US20040172968A1 (en) 2004-09-09
EP1404190B1 (fr) 2006-10-11
ATE341959T1 (de) 2006-11-15
JP2004533897A (ja) 2004-11-11
DE60215349D1 (de) 2006-11-23
TW582995B (en) 2004-04-11
WO2003005850A1 (fr) 2003-01-23
EP1275319A1 (fr) 2003-01-15
CN1522117A (zh) 2004-08-18
US7017368B2 (en)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8978A (ko) 관절형 개방 링
US9122248B2 (en) Case for timepiece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US5158219A (en) Watch-case
US8289815B2 (en) Timepiece with a pivoting case
JP5279211B2 (ja) 可動部分を有する宝飾品
CN106802547B (zh) 包括连接至外壳的扣件的手表
KR20070086314A (ko) 다이버용 시계
KR920010706B1 (ko) 손목시계용 관절 접합식 장치
JP3657882B2 (ja) ブレスレットの留め具
CN108885429B (zh) 具有在多种构造的可翻转腕表
US7794139B2 (en) Wristwatch with an unfolding case
JP2015000339A (ja) 装身具又は腕時計用の留め金
JP3043338B1 (ja) 首飾りの装飾物固定環
JP2023070103A (ja) リストバンドの小型時計ケースへの組付け
JP2022034542A (ja) キャップを備えた時計コンポーネント
JP2005188961A (ja) 腕時計
CN101616614B (zh) 手表表带
JP2002139577A (ja) リバーシブル・ケースを有する腕時計
JP2022037325A (ja) 中留及び腕時計
JPH0537271Y2 (ko)
JP2022118342A (ja) 中留、バンド及びリスト機器
WO2017064597A1 (en) Closure for jewellery and/or costume jewellery items
JP7205525B2 (ja) バンド駒、バンド、および時計
US20230000219A1 (en) Buckle And Timepiece
JP2023083637A (ja) 連結構造及び装着型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