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565A -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565A
KR20040037565A KR1020020066112A KR20020066112A KR20040037565A KR 20040037565 A KR20040037565 A KR 20040037565A KR 1020020066112 A KR1020020066112 A KR 1020020066112A KR 20020066112 A KR20020066112 A KR 20020066112A KR 20040037565 A KR20040037565 A KR 2004003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ge
rails
arm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407B1 (ko
Inventor
임연희
Original Assignee
임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희 filed Critical 임연희
Priority to KR102002006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4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1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in alternative ways, e.g. glueing, welding, form-f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01B7/08Other constructions of tongues, e.g. til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rail, movable tongue block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과 작동이 동일한 한쌍의 록킹 및 검지장치를 대향방향으로 구비하여 기본레일(R1,R2)이 배설되는 침목(SP) 사이 또는 침목(SP)에 설치되고,
상기 기본레일(R1,R2)에 대하여 텅레일(T1,T2)의 어느 하나를 접속 또는 이탈시키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A1)는, 개략 세장박스형의 록킹케이지(1), 상기 록킹케이지(1) 상방에 일부 폐쇄되고 개방 단부에 록킹부(2')를 가지는 록킹가이드플레이트(2),
상기 록킹케이지(1) 내방에 수용되어 슬라이딩가동하며 다른 록킹 장치(A1')의 연결아암(30')과 연결되는 연결아암(30)으로 연결구동되는 가이드케이지(10),
상기 가이드케이지(10) 내방에 수용되고 그 상방에 텅레일(T1,T2)의 하나를 가지는 커넥팅멤버(20), 상기 커넥팅멤버(20)와 힌지축연결되는 아암멤버(21),
상기 가이드케이지(10)와 아암멤버(21)를 힌지축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멤버(22,22'),
상기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록킹부(2)와 록킹되도록 상기 아암멤버(21)의 단부로서 일체로 구성되는 록킹훅부(21')를 가지는 링크구성체이고;
상기 검지장치(A2)는 상기 록킹케이지(1) 상방에 장착된 검지브라켓(60)에록킹훅부(21')의 진입을 검지하는 록킹검지용의 검지스위치(61)와,
기본레일(R1,R2)에 대한 텅레일(T1,T2)의 접근을 검지하는 접속검지용의 검지스위치(62)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Locking and detecting apparatus for turning-out system of railway}
본 발명은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철도, 전철 등의 다양한 종류와 규격의 레일을 사용하는 철도시스템에 적용하여 록킹 및 검지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레일을 기본적인 급로수단으로서 하는 철도시스템에서는 운행하는 철도차량의 방향을 선로 상에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로 부터 다양한 구성과 작동의 분기기(分岐器)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철도차량용의 분기기는 철로의 근간을 구성하는 기본레일(stock rail)에 대하여, 인력 또는 전기모우터, 공유압실린더 등의 외력에 의하여 상대변위가 가변할 수 있는 텅레일(tongue rail)을 가동시킴으로서 철도의 선로를 변환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로 부터의 분기기는 기본레일에 대하여 텅레일을 배설하고, 이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접속 및 이탈하게 함으로서 레일의 내측궤도면과 접속하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텅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게 함으로서 철로의 변환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선로변경을 위하여 가동하게 위한 수단으로서 선로 변경 방향 측의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접속 및 이탈 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텅레일을 동시에 가동시키도록 연결바아를 사용하고,
이 연결바아를 레버 등의 수동조작 또는 전기적인 모우터, 공유압실린더에 의한 자동조작으로서 철로의 변환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로 부터의 구성의 분기기에서 철로변환의 목적 외에 중요하게 요구되는 또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텅레일은 기본레일에 대하여 가동하여 접속 또는 이탈하여야 하나 만일 어떤원인으로서 한 쌍의 텅레일을 동시 구동하는 연결바아가 절단 또는 파단되는 경우에, 선로변경 방향을 위하여 접속하는 텅레일이 기본레일에 대하여 강고하게 접속하지 않고 이탈하는 상황이 유발되면,
텅레일과 다른 기본레일이 구성하는 차륜간의 거리가 철도차량의 표준 차륜간 거리 이상으로 되어 버려 철도차량은 탈선하거나 또는 주행속도와 차륜구속에 따른 모우멘트로서 대파되어 버리는 크나큰 위험을 가지게 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고속전철 등의 경우에는 매우 중요한 설계관점이 아닐 수 없다.
종래에도 선로변경을 위하여 기본레일에 대하여 접속한 텅레일의 작동위치에서 강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고 유럽 방식 등의 것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로 부터의 텅레일의 기본레일에 대한 록킹장치는 훅 등의 수단으로서 한 쌍의 텅레일을 록킹하는 구성이 대부분으로서 장치의 크기가 크고, 설치비 또한 상당한 것이었다.
또한 록킹작동을 위한 행정거리가 길어 설치부위의 노출부위가 많고 반복되는 진동과 주행충격으로서 고장이 유발된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더욱 중요한 문제점은 록킹장치의 대부분이 철로 상에 노출되어 있음 해서 부식 및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이러한 충격 등에 의한 연결바아의 파손이 유발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버려 주행중의 철도 차량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고 대부분 수입품으로서 고가의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로 부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는 컴팩트하면서도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경제성이 극히 높고, 유지관리 또한 용이한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오작동의 우려를 기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철도시스템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고속전철과 같은 고속주행 차량에 대한 적응성과 응용성이 높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가 적용되는 철도레일시스템의 기본적인 설명을 위한 분기점에서의 철도레일의 레이아웃도.
도 2 는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가 적용되는 철도레일시스템의 기본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1 의 A-A,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C-C 선 상에 철도 차량의 차륜이 위치하는 순간의 단면도.
도 4 는 철도분기기용 록킹장치로서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된 구성의 개념적인 장치의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가 레일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D-D 선을 따라 취한 전체 구성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서의 기본레일을 따라 철도 차량이 정상주행하게 되는 상태로서 텅레일이 이탈된 상태의 구성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서, 도 7 에 대향하는 측의 록킹 및 검지장치에서 텅레일을 따라 철도 차량이 선로를 변경하기 위한 상태로서 텅레일이 접속완료된 상태의 구성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서의 텅레일을 따라 선로를 변경하기 위한 작동완료상태로의 이행의 시작과 종료점 정도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단면도.
도 10 A,B,C 는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서 텅레일의 기본레일로 록킹상태로의 이행과정을 도시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1,R2: 기본레일
T1,T2: 텅레일(tongue rail)
1: 록킹케이지
2: 록킹가이드플레이트
20: 커넥팅멤버
21: 아암멤버
22: 링크멤버
21': (아암멤버의 단부인) 록킹훅부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는;
구성과 작동이 동일한 한 쌍의 록킹 및 검지장치를 대향방향으로 구비하여 기본레일이 배설되는 침목 사이, 또는 침목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본레일에 대하여 텅레일의 어느 하나를 접속 또는 이탈시키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개략 세장박스형의 록킹케이지, 상기 록킹케이지 상방에 일부 폐쇄되고 개방 단부에 록킹부를 가지는 록킹가이드플레이트, 상기 록킹케이지 내방에 수용되어 슬라이딩가동하며 다른 록킹 장치의 연결아암과 연결되는 연결아암으로 연결구동되는 가이드케이지,
상기 가이드케이지 내방에 수용되고 그 상방에 텅레일의 하나를 가지는 커넥팅멤버, 상기 커넥팅멤버와 힌지축연결되는 아암멤버, 상기 가이드케이지와 아암멤버를 힌지축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멤버, 상기 록킹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록킹부와 록킹되도록 상기 아암멤버의 단부로서 일체로 구성되는 록킹훅부를 가지는 링크구성체이고;
상기 검지장치는 상기 록킹케이지 상방에 장착된 검지브라켓에 록킹훅부의 진입을 검지하는 록킹검지용의 검지스위치와,
기본레일에 대한 텅레일의 접근을 검지하는 접속검지용의 검지스위치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본적인 원리와 종래 구성과 대비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는 기존에 부설된 철도레일에 즉각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가 적용되는 기본적인 원리 및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의 록킹장치를 도 1 내지 4 를 들어 우선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가 적용되는 철도레일시스템의 기본적인 설명을 위한 분기점에서의 철도레일의 레이아웃도, 도 2 는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가 적용되는 철도레일시스템의 기본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1 의 A-A,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C-C 선 상에 철도 차량의 차륜이 위치하는 순간의 단면도. 도 4 는 철도분기기용 록킹장치로서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된 구성의 개념적인 장치의 설명도이다.
철도시스템의 레일은 한 쌍의 기본레일(R1,R2)을 가지고 이 기본레일(R1,R2) 상을 주행하는 철도 차량의 선로를 변환하기 위하여 기본레일(R1,R2)에 대하여 상호 접속 또는 이탈하는 한쌍의 텅레일(T1,T2)을 구비한다.
텅레일(T1,T2)은 기본적으로 연결바아(B)로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수동 또는 모우터구동 등의 도시하지 아니하는 구동장치로서 기본레일(R1,R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동함으로서 연결바아(B)에 고정되는 텅레일(T1,T2)을 동시에 가동함으로서 기본레일(R1,R2)에 접속 또는 이탈시켜 선로를 변경하게 된다.
이는 레일 상에 운행하는 철도차량의 차륜(W)이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의 내측면과 접속하여 구동하는 인너콘타입이므로 레일의 내면을 따라서 구동하기 때문에 텅레일의 하나와 기본레일의 하나의 조합 만으로서 선로를 구성할 수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연결바아(B)가 파손 또는 절단되면 일측의 텅레일(T1 또는 T2) 만이 이동하여 접속 또는 이탈하게 된다면 레일의 표준 간격을 벗어나게 되므로 탈선 등의 대형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로 부터도 기본레일(R1,R2)에 대한 텅레일(T1,T2)의 접속 시에 록킹하는 장치가 필요하여 도 4 에서의 구성과 같은 장치물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록킹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인 도 4 에서는 기본레일(R1,R2)에 대한 텅레일(T1,T2)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연결바아(B)와 연동하는 가동아암(A)이 훅모양의 록킹훅(H)이 힌지축(S)에 힌지고정되어 있고, 이 록킹훅(H)의 회동에 따른 록킹작동에 따라서 텅레일(T1,T2)을 기본레일(R1,R2)에 대하여 가압록킹함으로써 록킹을 수행하는 장치 등 다양한 구성의 록킹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하는 구성의 종래의 철도분기기용 록킹장치는 그 크기가 크고록킹훅(H)이 선회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며 대부분의 작동부재가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부식 또는 주행진동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설치공간이 크므로 장치가 과대하게 되고 록킹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는 단지 육안 만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록킹 상태의 감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부수된 도면과 함께 구성과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가 레일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D-D 선을 따라 취한 전체 구성의 단면도, 도 7 은 기본레일을 따라 철도 차량이 정상주행하게 되는 상태로서 텅레일이 이탈된 상태의 구성단면도, 도 7 에 대향하는 측의 록킹 및 검지장치에서 텅레일을 따라 철도 차량이 선로를 변경하기 위한 상태로서 텅레일이 접속완료된 상태의 구성단면도, 도 9 는 텅레일을 따라 선로를 변경하기 위한 작동완료상태로의 이행의 시작과 종료점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단면도, 도 10 A,B,C 는 텅레일의 기본레일로 록킹상태로의 이행과정을 도시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TS)는 컴팩트한 구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록킹케이지(1)에 수납되는 구성으로서 구현되고, 평행한 한 쌍의 기본레일(그중 하나를 R1, 다른 하나를 R2 라 한다.)에 대하여 좌우 한쌍 동일한 구성의 록킹장치(A1) 및 검지장치(A2)를 가지므로 하나에 대하여서만 설명을 수행하고 작동은 함께 설명한다. 즉, 록킹장치(A1) 및 검지장치(A2)가 일 측기본레일(R1)에 다른 록킹장치(A1') 및 검지장치(A2')가 다른 기본레일(R2)과 협동하여 작동하여 전체적인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TS)를 구성하는 것이다.
록킹 및 검지장치(TS)는 임의의 선로분기점에 설치되고 통상적인 기본레일(R1,R2)의 하단에 배설되는 침목(SP) 사이, 또는 침목(SP)에 매몰되는 형태 등으로 배설된다.
록킹케이지(1)는 강고한 철판 등으로 구성되며 개략 단면 'ㄷ' 형상으로 상방이 일부 개방되고 기본레일(R1,R2)과 접하면서 고정되는 면만 록킹가이드플레이트(2)를 구성하고 록킹가이드플레이트(2)를 제외한 상방은 개방된 길이가 긴 세장박스형을 구성하고 있다.
록킹가이드플레이트(2)는 후술하는 작동을 위하여 각각의 기본레일(R1,R2) 하단에서 접속고정하고 있고 기본레일(R1,R2) 측 면은 예각으로 가공되어 후술하는 아암멤버(21)의 단부인 록킹훅부(21')와 협동하는 록킹부(2')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록킹케이지(1) 내방에는 작동부재들이 수납되게 되고, 록킹케이지(1)내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한 가이드케이지(10)는 상방이 개방된 개략 길이가 긴 'ㄷ' 형상의 부재로써 후단부의 케이지커넥터(10')에 연결아암(30)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결아암(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내부의 록킹장치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시킨다.
가이드케이지(10) 내에 수납되어 가이드케이지(10)와 함께 록킹케이지(1)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수납되는 부재로서 커넥팅멤버(20), 그 단부에 개략 "ㄱ" 형상의 걸림부재인 록킹훅부(21')를 일체로 구성하여 가지는 아암멤버(21) 및 한쌍의 링크멤버(22,22')를 가진다.
상기의 가이드케이지에는 후단부의 케이지커넥터(10')를 통하여 커넥팅멤버(20)에는 반대향의 록킹장치(A1') 및 검지장치(A2')와 연동하도록 연결아암(30)이 고정되고 연결아암(30)은 반대향의 록킹장치(A1') 및 검지장치(A2')의 연결아암(30')과 중간부에서 커넥팅플랜지(31) 등의 연결수단으로 강고하게 연결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아암(32)에 작동바아(33)가 연결된다.
또한, 커넥팅멤버(20)의 상방에는 텅레일(T1)의 하나를 기본레일(R1)의 하나 측으로 대향하도록 고정한 고정브라켓(50)이 볼트(51) 등의 수단으로 강고하게 고정되어 커넥팅멤버(20)와 텅레일(T1)은 같이 가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바아(33)는 연장되어 도시하지 아니하는 종래의 수동조작 또는 전기모우터, 공유압실린더 등에 의한 구동계로 연결되며 그러한 구동계는 다양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있고 공지의 기술이 많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한다.
커넥팅멤버(20)의 힌지축부(20')에 끼워지면서 힌지축고정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로운 아암멤버(21)는 좌우 한쌍의 링크멤버(22,22')의 일측 힌지축부(22-1,22'-1)에 의하여 가이드케이지(10)의 내벽과 축연결되어 가이드케이지(10)와 같은 직선방향의 힘을 받아 구동하게 된다.
링크멤버(22,22')의 타 측의 힌지축부(22-2,22'-2)에는 개략 'ㄱ' 형상의 록킹훅부(21')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아암멤버(21)에 축지지연결된다. 아암멤버(21)와 일체인 록킹훅부(2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킹케이지(1)의 높이(h)와 조금 작은 정도의 높이를 가짐으로서 슬라이드가동하게 되는 부재이다.
상기에서 아암멤버(21)의 단부에서 힌지축부(22-1,22'-1)에 의하여 힌지축에 지지되는 한 쌍의 링크멤버(22,22')에서 록킹훅부(21') 측의 힌지축부(22-2,22'-2)의 위치가 아암멤버(21) 측의 힌지축부(22-1,22'-1)보다 높고, 가이드케이지(10)와 연결되는 링크멤버(22,22')의 힌지축부(22-1,22'-1')의 위치보다는 낮게 설정하는 것이 후술하는 작동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커넥팅멤버(20)-아암멤버(21)-한쌍의 링크멤버(22,22')-가이드케이지(10)는 상호 연결되는 링크구성을 구성하게 되고 이들 부재는 모두 가이드케이지(10)에 수납되고 가이드케이지(10)는 링크멤버(22,22')의 일측 힌지축부(22-1,22'-1)에 연결되어 있어 모두 함께 록킹케이지(1) 내에서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커넥팅멤버(20)를 구동하기 위하여 연결아암(30)에 고정된 구동아암(32)의 작동바아(33)의 작동에 의한 기본레일(R1,R2)에 대한 텅레일(T1,T2)의 가동스트로우크(행정거리:L)는 도 7 의 본레일을 따라 정상주행하기 위한 상태도면에서와 같이 완전히 기본레일(R1,R2)로부터 텅레일(T1,T2)이 이탈한 위치에서 도 8 의 텅레일을 따라 선로를 변경하기 위한 작동완료상태인 록킹위치까지의 거리가 되고 그에 따라서 위의 다관절링크기구에 의한 록킹이 긴밀한 치수로서 계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관절링크를 구성하는 커넥팅멤버(20)-아암멤버(21)-한쌍의 링크멤버(22,22')-가이드케이지(10)-아암멤버(21)의 룩킹훅부(21')의 작동을 도 9, 10 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도 7 의 기본레일을 따라 정상주행하기 위한 상태도면에서와 같은 작동개시점(도10A)에서 작동아암(32)의 기본레일(R1,R2)로의 이동으로서(즉 도 5의 좌측으로 구동), 연결아암(30)-가이드케이지(10)-링크멤버(22,22')-아암멤버(21)의 이동작동으로서 룩킹훅부(21')는 밀려서 가이드케이지(10) 내에서 상방의 록킹가이드플레이트(2)를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되고(도10B),
록킹훅부(21')는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의 저면을 따라 가동하면서 텅레일(T1)의 가동의 종점에서는 전진하는 가이드케이지(10)가 계속 밀게되는 추력에 따라서 아암멤버(21)의 힌지축부(22-1,22'-1)을 중심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밀려올라가게 된다.
이것은 아암멤버(21)의 단부에서 힌지축부(22-1,22'-1)에 의하여 힌지축지지되는 한 쌍의 링크멤버(22,22')에서 록킹훅부(21') 측의 힌지축부(22-2,22'-2)의 위치가 가이드케이지(10) 측의 힌지축부(22-1,22'-1)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록킹훅부(21')를 밀게 되면서 아암멤버(21)와 링크멤버(22,22'), 록킹훅부(21')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힘의 분력도가 형성되어 힘(F)으로 록킹훅부(21')을 지속적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리려는 기복력이 유발되기 때문이고,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의 저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된 록킹훅부(21')은 록킹가이드플레이트(2)가 개방되는 점 즉, 록킹부(2')에서 개방된 부분을 따라 상방으로 기복하여 록킹부(2')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케이지(10)의 전진은 기구학적으로 중지하게 되고 더 이상의 진행없이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검지장치(A2)는 록킹케이지(1) 상방에 장착된 검지브라켓(60)에 설치된다. 검지브라켓(60)에는 록킹위치에서 감응할 수있도록 위치설정이 되어 있는 다양한 작동 및 비작동감응 방식 등의 검지스위치(61)가 록킹훅부(21')의 진입에 따른 록킹상태를 검지하여 별도의 전기회로에 의하여 신호를 발하여 록킹상태임을 검지하게 하고,
또 다른 검지스위치(62)는 다양한 접근센서로서 구성하여 기본레일(R1)에 대한 텅레일(T1)의 접근,이탈을 감지하게 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장계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과정에서 타 측의 록킹 및 검지장치(T2)는 반대되는 작동을 하면서 록킹이 해지되어 지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에 부가하여 우려되는 외부의 힘으로 인위적인 록킹을 해제하려는 의도를 방지할 목적으로서의 스토퍼장치(70)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9 에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킹훅부(21')가 상승하여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기립하여 있는 힌지멤버(22,22')의 전후에 또는 후방에 확대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은 스토퍼장치(70)를 부가할 수도 있다.
스토퍼장치(70)는 록킹케이지(1)의 저면바닥부에 천공 또는 삽입된 별도의 작동관체(71) 내방에 저탄성계수의 작동스프링(72)과 작동스프링(72)에 탄발하는 스토핑볼(73)이 볼걸림돌기(74)에 의하여 작동면 측으로 소정높이 돌출하여 탄발고정된 형태로서 구성된 스토핑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록킹상태를 인위적으로 해제하고자 하여 록킹훅부(21) 및 아암멤버(21) 등을 해제하려고 하여도 작동스프링(72)에 의하여 설정된 힘 이상을 인가하지 않으면 스토핑볼(73)을 기복하여 넘어갈 수 없으므로 록킹이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장치는 기타 솔레노이드 등으로 작동하는 잠금장치 등 다양한 것이 안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의 구성으로 선로의 변경을 위한 분기기의 작동에 있어서 선로변경 측으로의 텅레일(T1)의 기본(R1)레일에 대한 이동 접속 시에 접속된 텅레일(T1)은 강고하게 기본레일(R1)에 대하여 접속상태를 유지하고 반대향의 텅레일(T2)의 기본레일(R2)에 대한 접속해제에 따른 이탈은 확실하게 이루어 지게 함으로써 선로의 변경 시에 유발될 수 있는 레일 폭의 증대에 따른 문제점을 기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체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기존의 레일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저렴한 장치의 보급이 가능하고, 검지장치의 존재로 인하여 접속록킹의 확인을 육안 또는 기타 전기적인 시그널로 가능하게 하여 자동화장치와 연계하여 유용하게 구성될 수 있다.

Claims (9)

  1. 구성과 작동이 동일한 한 쌍의 록킹 및 검지장치를 대향방향으로 구비하여 기본레일(R1,R2)이 배설되는 침목(SP) 사이 또는 침목(SP)에 설치되고, 상기 기본레일(R1,R2)에 대하여 텅레일(T1,T2)의 어느 하나를 접속 또는 이탈시키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A1)는,
    개략 세장박스형의 록킹케이지(1), 상기 록킹케이지(1) 상방에 일부 폐쇄되고 개방 단부에 록킹부(2')를 가지는 록킹가이드플레이트(2), 상기 록킹케이지(1) 내방에 수용되어 슬라이딩가동하며 다른 록킹 장치(A1')의 연결아암(30')과 연결되는 연결아암(30)으로 연결구동되는 가이드케이지(10),
    상기 가이드케이지(10) 내방에 수용되고 그 상방에 텅레일(T1,T2)의 하나를 가지는 커넥팅멤버(20), 상기 커넥팅멤버(20)와 힌지축연결되는 아암멤버(21), 상기 가이드케이지(10)와 아암멤버(21)를 힌지축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멤버(22,22'), 상기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록킹부(2)와 록킹되도록 상기 아암멤버(21)의 단부로서 일체로 구성되는 록킹훅부(21')를 가지는 링크구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아암(30)-가이드케이지(10)-링크멤버(22,22')-아암멤버(21)-아암멤버(22,22')의 록킹훅부(21')의 연동 작동으로서, 상기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의 록킹부(2')와 가동행정단부에서 상기 록킹훅부(21')가 기복하면서 걸림록킹함으로서,
    상기 기본레일(R1,R2)에 대하여 텅레일(T1,T2)의 어느 하나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2. 구성과 작동이 동일한 한쌍의 록킹 및 검지장치를 대향방향으로 구비하여 기본레일(R1,R2)이 배설되는 침목(SP) 사이 또는 침목(SP)에 설치되고, 상기 기본레일(R1,R2)에 대하여 텅레일(T1,T2)의 어느 하나를 접속 또는 이탈시키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A1)는,
    개략 세장박스형의 록킹케이지(1), 상기 록킹케이지(1) 상방에 일부 폐쇄되고 개방 단부에 록킹부(2')를 가지는 록킹가이드플레이트(2), 상기 록킹케이지(1) 내방에 수용되어 슬라이딩가동하며 다른 록킹 장치(A1')의 연결아암(30')과 연결되는 연결아암(30)으로 연결구동되는 가이드케이지(10),
    상기 가이드케이지(10) 내방에 수용되고 그 상방에 텅레일(T1,T2)의 하나를 가지는 커넥팅멤버(20), 상기 커넥팅멤버(20)와 힌지축연결되는 아암멤버(21), 상기 가이드케이지(10)와 아암멤버(21)를 힌지축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멤버(22,22'), 상기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록킹부(2)와 록킹되도록 상기 아암멤버(21)의 단부로서 일체로 구성되는 록킹훅부(21')를 가지는 링크구성체이고;
    상기 검지장치(A2)는 상기 록킹케이지(1) 상방에 장착된 검지브라켓(60)에 록킹훅부(21')의 진입을 검지하는 록킹검지용의 검지스위치(61)와,
    기본레일(R1,R2)에 대한 텅레일(T1,T2)의 접근을 검지하는 접속검지용의 검지스위치(62)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케이지(1)는 개략 세장형의 박스체로서 상방이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에 의하여 행정거리가 상방 폐쇄되고, 상기 록킹케이지(1) 상에 기본레일(R1,R2)의 어느 하나가 안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케이지(1)는 그 내방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한 가이드케이지(10)를 상방이 개방된 개략 길이가 긴 'ㄷ' 형상의 부재로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케이지(10) 내방에 커넥팅멤버(20), 아암멤버(21), 링크멤버(22,22')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훅부(21')은 아암멤버(21)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개략 "ㄱ "형상체의 걸림부재로써, 상기 록킹케이지(1)의 높이(h)와 조금 작은 정도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의 저면과 접속하면서 슬라이드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멤버(21)의 단부에서 힌지축부(22-1,22'-1)에 의하여 힌지축지지되는 한 쌍의 링크멤버(22,22')에서 록킹훅부(21') 측의 힌지축부(22-2,22'-2)의 위치가 가이드케이지(10) 측의 힌지축부(22-1,22'-1)보다 높게 설정하여
    상기 부재들의 가동에 따라서 상기 록킹훅부(21')에 인가되는 힘의 합력이 상방향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케이지(10)의 가동시에 행정단부에서 상기 록킹훅부(21')을 상방으로 기복시켜 상기 록킹가이드플레이트(2)의 록킹부(2')와 록킹걸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레일(R1,R2)에 대한 텅레일(T1,T2)의 가동스트로우크(행정거리:L)는 기본레일(R1,R2)의 어느 하나로부터 텅레일(T1,T2)의 어느 하나가 상기 록킹훅부(21')에 의한 접속-록킹에서 완전이탈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8.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록킹훅부(21')의 록킹상태의 인위적인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의 기립한 힌지멤버(22,22')의 전후, 또는 후방에 스토퍼장치(70)를 더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시 스토퍼장치(70)는 상기 록킹케이지(1)의 저면바닥부에 천공 또는 삽입된 별도의 작동관체(71) 내방에 작동스프링(72)과 작동스프링(72)에 탄발하는 스토핑볼(73)이 볼걸림돌기(74)에 의하여 작동면 측으로 소정높이 돌출하여 탄발고정되고, 상기 작동스프링(72)의 탄성계수는 인적작동력 이하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KR1020020066112A 2002-10-29 2002-10-29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KR10057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12A KR100578407B1 (ko) 2002-10-29 2002-10-29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12A KR100578407B1 (ko) 2002-10-29 2002-10-29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565A true KR20040037565A (ko) 2004-05-07
KR100578407B1 KR100578407B1 (ko) 2006-05-11

Family

ID=3733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112A KR100578407B1 (ko) 2002-10-29 2002-10-29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4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17B1 (ko) * 2008-09-08 2009-12-23 한국철도공사 선로전환기의 접촉식 검지기
CN103924487A (zh) * 2014-03-12 2014-07-16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道岔转辙器滚轮安装装置及工作方法
KR20170003583U (ko) 2016-04-07 2017-10-17 윤중근 레저용 텐트
AU2017261622B2 (en) * 2016-11-21 2023-01-05 Bharat Forge CDP GmbH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switching of a railway swi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359B1 (ko) 2019-12-23 2020-07-22 주식회사 동양엔지니어링 열차 진입 가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 진입 가이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8198B (de) * 1987-06-09 1989-05-10 Voest Alpine Ag Weichenbetaetigungsvorrichtung
JPH05213199A (ja) * 1992-02-06 1993-08-24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ディジタル式ロック狂い検出器
DE19502105C5 (de) * 1995-01-24 2004-12-30 Carl Dan. Peddinghaus Gmbh & Co Kg Verschlußvorrichtung für Weichenzungen
JPH11148102A (ja) * 1997-11-17 1999-06-02 Nakata Seisakusho:Kk 鎖錠式転轍機
JP3896220B2 (ja) * 1998-11-26 2007-03-22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ロック狂い検出器、及びロック狂い判定値の設定方法
KR100448203B1 (ko) * 2002-01-16 2004-09-10 삼표케이알티 주식회사 레일 분기기의 록킹장치
KR100426664B1 (ko) * 2002-01-16 2004-04-14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레일 분기기의 크로싱부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17B1 (ko) * 2008-09-08 2009-12-23 한국철도공사 선로전환기의 접촉식 검지기
CN103924487A (zh) * 2014-03-12 2014-07-16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道岔转辙器滚轮安装装置及工作方法
CN103924487B (zh) * 2014-03-12 2016-04-27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道岔转辙器滚轮安装装置及工作方法
KR20170003583U (ko) 2016-04-07 2017-10-17 윤중근 레저용 텐트
AU2017261622B2 (en) * 2016-11-21 2023-01-05 Bharat Forge CDP GmbH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switching of a railwa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407B1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099B1 (ko) 철로 및 전차 궤도 전철용 전철기
RU2460656C2 (ru) Ворота платформы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станций
US20090114775A1 (en) Junction for Guideways of Vehicles, in Particular of Magnetic Levitation Railways
US10260202B2 (en) Railway points, railway points operating apparatus and railway track crossing
KR100900907B1 (ko)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AU2012203437B2 (en) Railway, tramway or the like turnout of so-called English type
JP2757186B2 (ja) 軌動案内鉄道車両および磁気車両による共通使用を目的とした複式切替システム
KR100578407B1 (ko)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CN108032872A (zh) 跨座式单轨交通整体转辙式道岔的锁定装置
US3927619A (en) Double tiered conveyor track and safety switch
KR200426905Y1 (ko)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KR102231715B1 (ko)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의 선로전환기 블록 쇄정장치
KR100503670B1 (ko)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장치
AU759649B2 (en) Pivotable guidebeam switch
KR100967139B1 (ko) 분기기용 밀착쇄정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48203B1 (ko) 레일 분기기의 록킹장치
KR101192661B1 (ko) 선로 분기 시스템
SU1770509A1 (ru) Шахтный рельсовый путь
KR20020018653A (ko) 가이드웨이 절환스위치
KR101109659B1 (ko) 스크린도어 잠금장치
CN210971066U (zh) 轨道交通系统
KR200322460Y1 (ko) 탈선 열차 복귀장치
EP1470983A1 (en) Point regulator
KR100528095B1 (ko) 철도차량 승강장의 브러쉬형 안전장치
US825740A (en) De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