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569A -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위한 모듈레이터 - Google Patents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위한 모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569A
KR20040034569A KR10-2003-7006556A KR20037006556A KR20040034569A KR 20040034569 A KR20040034569 A KR 20040034569A KR 20037006556 A KR20037006556 A KR 20037006556A KR 20040034569 A KR20040034569 A KR 20040034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arrier frequency
time interval
split
predetermined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672B1 (ko
Inventor
올리비어 파라울트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케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케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에이에스케이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4003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서 비접촉 물체에 대하여 전자기파 방사를 사용하는 자료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송된 자료 비트는 전자기파가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에서 전송되는 동안의 첫째 시간 간격과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에서 전자기파의 전송이 끊긴 동안의 둘째 스플릿팅 시간 간격의 교대에 대응한다. 상기 둘째 시간 간격동안 발생수단(40,42,44,46,48)은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의 두 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고 그것에 의하여 안테나에 의해 방사된 장의 감쇠를 일으키며 상기 감쇠는 30 dB 와 같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게 된다.

Description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 위한 모듈레이터{Modulator for electromagnetic signals transmitted by a contactless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비접촉 물체와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사이의 정보교환은 일반적으로 비접촉 물체에 위치한 첫째 안테나와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위치한 둘째 안테나 사이의 원격 전자기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그 물체는 다른 구성요소들중에서, 무선주파수 부분,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제공되는 정보와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고 받은 정보를 진행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논리 기능들이 있는 메모리를 가진 전기적 칩과 연결된 첫째 안테나를 특색으로 하는 전기적 모듈을 갖추고 있다.
티켓 또는 신용카드 형식의 카드일 수 있는 비접촉 물체는 점점 더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운송 분야에서, 사용후 버릴수 있는 비접촉 티켓과 비접촉 스마트 카드는 비정기적 사용자와 정기적 사용자 모두를 위한 지불수단으로서 발전되었다. 전자 지갑에 대해서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많은 회사들도 역시 비접촉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직원들의 신원확인 수단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현재, 판독기(reader)로 일컬어지는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과 비접촉 스마트 카드들사에의 자료전송들은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준을 필요로 한다. 가장 널리 퍼진 것중에서, 국제표준기준 14443은 스마트카드와 판독기 또는 판독기와 스마트카드간의 무선을 통한 자료전송과 관련된다. 이 기준은 A형의 전송 프로토콜(protocol)과 B형의 전송 프로토콜로 알려진 두개의 전송 프로토콜들에 미친다. 이러한 두개의 비접촉 자료전송 프로토콜인 A 형과 B 형은 판독기와 다른 편의 카드사이의 그리고 카드와 다른 편의 판독기사이의 무선 주파수 통신에 사용되는 변조 방식(type of modulation)에 있어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는 판독기로부터 카드로 전송되는 신호들만을 다루게 될 것이다.
판독기로부터 카드로의 자료전송 방향에 있어서, 프로토콜 B 형은 방사된 신호 또는 전송된 자료에 의한 전자기적 운반파(carrier wave)의 10퍼센트의 변조속도에 상응하는 진폭 변조를 제공하는 반면 프로토콜 A형에서는 전송된 자료에 의한 그것의 진폭의 100퍼센트에서 전자기적 운반파가 변조된다. 두 경우에 있어서, 방사된 주기적인 전자기적 운반파의 진폭은 첫째 시간 간격 t1 동안 그리고 둘째 시간 간격 동안 디폴트값(default)에 의해 최대이며, 첫째의 경우에 대해서는 그것은 변조 동안의 최대 진폭의 거의 82 퍼센트와 같은 반면에 둘째 경우에 대해서는 그것은 변조시간 동안 최대 진폭의 0 퍼센트와 같다.
현재, 증가하는 표준의 수는 비접촉 판독기가 A형과 B형의 전송 프로토콜 모두와 양립할 수 있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표준화된 전자기적 운반파 주파수는 양 프로토콜에 공통되며 일반적으로 13.56 MHz 와 같다.
판독기에 대한 주요 실행 기준의 하나는 가능한 한 큰 전자기장의 범위이다. 따라서 생산자들은 전압원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지 않고 그들의 전송시스템의 범위를 발전시키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범위의 증가가 카드가 판독기 근처에 위치되었을 때 카드를 포화시키거나(saturating) 파괴하는 위험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실행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요소들 중의 하나는 높은 과전압(overvoltage)비를 갖는 안테나의 사용이다. 공진 주파수에서, 전자기적 운반파의 원천이 되는 인덕턴스 말단들(terminals)에서의 전압(rms값)은 회로의 말단들에서의 전압의 Q배와 실질상 같다(Q는 과전압 요소임). 이런식으로, 안테나가 높은 과전압 비율을 제공하면 할수록 그것의 방사되는 장(field)의 범위도 더욱 커진다.
진폭의 100퍼센트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변조를 얻기 위하여 현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전자기적 운반파의 전송을 막기위하여 프로토콜 A형에 따른 장(field)의 스플릿(split)에 대응하는 시간동안 회로의 터미널에서 전압원을 끄는 데에 있다.
실제에 있어서, 제너레이터(generator)를 끄는 것은 상당하게 안테나의 동력전달 회로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키지만 전압을 제로까지 드랍(drop)시킨다. 이것은안테나가 회로에 축적된 부하 때문에 방사(emit)를 계속하게 하는데 이는 스플릿팅시간보다 큰 시간동안 댐픈드되고(dampened) 오실레이팅(oscillating)한 방사된 전자기적 운반파가 되게 한다. 그 결과 신호 스플릿 동안 카드를 향해 방사된 장(field)의 진폭은 제로가 아니고 안테나에 의한 방사된 장은 따라서 전자기적 운반파의 진폭의 100퍼센트의 변조에 상응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이론적인 스플릿 시간 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나며, 방사된 신호의 최대진폭의 5퍼센트보다 작거나 같은 정도이다.
그 결과로서, 높은 과전압비를 가진 안테나의 사용은 B형의 판독기와 양립가능하다. 그러한 판독기에 대하여 전자기적 운반파는 A형 판독기와 잘 양립하지 않는 것이어도 진폭의 단지 10퍼센트에서 변조되기에 항상 액티브(active)하다. 더욱이 높은 과전압비를 가진 안테나를 가지고 얻어지는 작은 댐픈닝(dampening) 효과는 단지 미약하게 그 진폭의 10퍼센트에서 변조된 파의 형태에 영향을 끼친다.
양쪽 모두의 판독기형에 양립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기 위하여, 첫째 해결책은 감소된 과전압비를 가진 그리고 표준 B 하에서 실행특성을 감수하지만 표준 A 의 요구 사항과 양립하는 감폭특성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둘째 해결책은 양극 트랜지스터들(bipolar transisters)를 가진 선형 증폭기(amplifier)를 사용하는데 있다. 이것은 안테나에 의해 방사된 신호를 축소(dampend)하여 방사된 장(field)이 스플릿 시간동안 제로가 되게 한다. 이 해결책은 예상되는 감폭(damping)이 수율(yield)을 희생하여 얻어지게 한다. 회로는 높은 성극 전류(polarization currents)를 요구하지만 일정한 출력 임피던스를 갖게 된다.
셋째 해결책은 손실을 감소시키고 B 형의 판독기의 범위를 불리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스위칭(switching)에 대하여 장(field)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한 트랜지스터들을 열림(open)과 닫힘(closed)위치사이에서 회로를 스위치하고 최대 방사장(radiated field)이 회로가 실질적으로 열림상태이지만 A형의 프로토콜에 경우에 파형을 희생시키는 때에 존재하는 임피던스의 증가시킴으로써 얻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 판독기에 위치한 전자기 신호전송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의 비접촉 물체에 대하여 전자기 신호를 보내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특별하게는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기 신호를 위한 모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 대상, 그리고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고려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프로토콜 A에 따라 방사된 장의 외연과 운반파의 주파수의 스플릿팅에 의해 얻어진 외연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된 장의 외연을 나타낸다.
도 3은 받은 신호의 주파수와 관련하여 안테나에 의해 방사된 장의 진폭 커브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발명의 제 1 목적은 A형 프로토콜 신호가 방사되는 동안 최대 실행 조건하에서 판독기의 안테나로부터 비접촉 스마트 카드로의 전자기적 운반파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제 2 목적은 A형과 B형의 프로토콜 신호들이 방사되는 동안 최대 실행조건하에서 판독기의 안테나로부터 비접촉 스마트 카드로의 전자기적 운반파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 물체에 대하여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의 전자기파 방사를 사용하고 전자기파들이 미리 정해진 운반 주파수에서 방사되는 처음의 시간 간격과 미리 정해진 운반 주파수에서 전자기파의 전송에 있어 스플릿이 있는 둘째의 스플릿팅 시간 간격의 교대(alternation)에 대응하는 자료 비트(bits)를 사용하는 자료 전송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둘째의 스플릿팅 시간 간격동안 안테나에 의해 어떤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게 방사장(radiated field)의 감쇠를 일어나게 하는 스플릿의 기본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발생수단을 포함한다.
자료는 현재 표준에 부합하는 A형과 B형의 두 개가 자료전송 프로토톨에 따라 판독기로부터 고주파(RF)신호를 경유하여 스마트 카드로 전송된다. A형 프로토콜은 진폭의 100퍼센트에서 판독기에 의해 방사된 전자기파를 변조한다. 주기적인 운반 주파수파의 진폭은 시작 시간 간격동안 최대이고 일정하나 둘째 시간 간격동안에는 제로가 된다. B형의 프로토콜은 그 진폭의 10퍼센트에서 판독기에 의해 방사된 전자기파를 변조한다. 주기적인 운반 주파수파의 진폭은 초기 시간 간격동안은 최대이고 일정하며 둘째 시간 간격동안은 최대 진폭의 10퍼센트와 같다. 실질적인 표준으로서 전자기적 운반파의 주파수는 현제 13.56 MHz이며 이것은 이 값이 이문서에서 기준값으로 선택된 이유이다. 그러나 전자기적 운반파의 주파수는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를 수 있다.
A형의 자료 전송 프로토콜에 따르면, 전자기적 운반파는 13.56 MHz 전송 주파수의 스플릿팅에 의해 시간 간격 t 동안 스플릿한다.
판독기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장(field)의 외연(envelope)은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운반파의 주파수가 13.56 MHz 일 때 방사되는 장(10)은 최대이다. 주파수가 스플릿될 때 방사되는 장은 점진적으로 커브(12)에 따라서 그것이 시간 간격 t의 끝부분에서의 제로가 아닌 최소값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시간 간격 t의 끝부분에서 운반파의 주파수는 다시 13.56 MHz와 같아지고 방사되는 장의 진폭은 그 최대치까지 도달할 때까지 커브(14)에 따라서 증가한다. 이런식으로 운반파의 진폭으로부터 얻어지는 변조는 최대진폭의 100퍼센트에서의 변조인 경우에는 만족스러운 것이 못된다. 그러한 변조는 시간 간격 t에서 어떤 시간 동안 방사된 장의 진폭의 최소 값이 얻어지는 경우(통용적으로 표준은 최대진폭의 5퍼센트보다 작은 것을 요구한다) 얻어진다. 이제, 커브(12)에 나타난 운반파 주파수가 스플릿할 때 방사되는 장의 감소는 최대진폭의 100퍼센트에서 변조의 관점에서 만족스러운 파형을 얻기 위하여 상당히 충분한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한 판독기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된 장의 외연을 나타낸다. 운반파의 주파수가 13.56 MHz와 같을 때 방사되는 장(20)은 최대치이다. 시간 t 동안 운반파의 진폭의 스플릿을 얻기 위하여 안테나로 보내지는 신호의 주파수는 그리하여 시간 t 동안 공진주파수의 배가 된다. 따라서 안테나는27.12 M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받으며 이 주파수는 안테나의 대역폭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장은 없다. 실제로, 주파수가 변화하는 동안 얻어지는 방사되는 장은 그것이 상당한 시간 t'동안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값에 도달할 때가지 매우 진폭이 줄어든 커브(22)를 따라 급속하게 감소한다. 전자기적 운반파의 주파수가 13.56 MHz일 때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장(24)은 그것이 그 최대치(20)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 얻어지는 파형은 따라서 최대 진폭의 100퍼센드에서 변조되는 관점에서 만족스럽다. 이러한 결과는 안테나의 대역폭의 범위를 벗어나서 방사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갖거나 스플릿의 기본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얻어질 수 있다.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장은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도 3에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장은 공진 주파수 fR에서 최대가 된다. 주파수 f1보다 작거나 같은 주파수에 대하여, 방사되는 장의 진폭은 공진 주파수 fR에서 방사되는 장의 진폭의 5퍼센트보다 작다. 같은 방법으로, f2는 공조 주파수에서 방사되는 장의 진폭의 5퍼센트보다 작은 방사되는 장의 진폭위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프로토콜 A형에 따라서 다양한 장 스플릿을 얻는 것을 만족시키는 스플릿동안 발생한 주파수에서 안테나에 위해 방사되는 장의 진폭은 방사되는 장의 최대진폭의 5퍼센트보다 작아야만 한다. 컷오프(cut-off)동안 발생된 주파수는 따라서 그러하여 방사되는 장의 감쇠가 일어나 미리 정해진 값과 같아지고 이 값은 바람직하게는 30 dB이다. 스플릿동안 발생된 주파수는 f1보다 작고 제로는 아니거나 f2보다 크다.바람직한 실시예는, 그것이 fR의 두 배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플릿동안 발생되는 주파수는 공조 주파수의 2 배인 27.120 MHz 와 같은 값이다.
도 4의 블록다이어그램 형식에서 보여지는 전기 장치는 자료신호(42)가 두 위치 스위치(48)를 조절하도록 하는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위치는 신호의 주파수가 클럭(44)에 의해 제공되는 스플릿 동안 발생한 27.120 MHz와 같은 주파수에 대응한다. 둘째 위치는 주파수 디바이더(46)에 의해 생성된 13.56 MHz 의 표준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와 대응된다. 상기 수단은 프로그램된 논리수단(40)에 포함되며 출력신호(50)은 두개의 입력에 의한 전원스위칭 단계에 적용되며 입력(52)는 프로그램된 논리수단(40)의 출력신호에 대응되며, 또 다른 입력(54)는 전환스위치(53)에 의하여 전환된 출력신호이다. 전원 스위칭단계(56)은 두 개의 입력(52,54) 각각과 연결된 두 개의 장 효과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두개의 입력중 하나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로 스위치하도록 의도되어 있고 트랜지스터중의 하나가 열림이면 다른 하나는 닫힘을 나타낸다. 전원 스위칭단계로부터의 양 출력 신호들은 단지 기본 주파수신호만을 통과시키도록 디자인된 저역통과 필터(62)에 의해 필터되기 전에 두개의 리지스터(58,60)를 통과한다. 필터(62)의 출력에서 두개의 신호들이 안테나(64)에 의해 비접촉 카드로 방사된다.

Claims (9)

  1. 둘째 스플릿팅 시간 간격동안, 미리 결정된 값보다 더 크게 안테나에 의해 방사장의 감쇠를 일으키는 스플릿의 기본주파수보다 더 큰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자료 비트는 전자기파가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에서 방사되는 동안인 첫째 시간 간격과 상기의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에서 전자기파의 전송에서 스플릿이 있는 동안의 둘째 스플릿팅 시간 간격의 교대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 비접촉 물체에 대하여 전자기파 방사를 사용하는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플릿이 30 dB와 같거나 작은 동안에 발생된 상기 주파수에서 방사되는 장의 상기 감쇠가 있는 자료 전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플릿동안 발생된 상기 주파수는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상기 장의 진폭이 상기의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에서 방사된 장의 진폭의 5퍼센트보다 크거나 같은 것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 f1 내지 f2 를 벗어나는 자료 전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플릿동안 발생한 상기 주파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의 두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료 전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시작 시간 간격에 대한 상기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에서 첫째 신호와 둘째 시간 간격동안 상기의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의 두 배의 주파수를 갖는 둘째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논리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첫째 신호와 상기 둘째 신호사이의 전환은 자료신호(42)에 의해 조절되는 자료 전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운반 주파수는 13.56 MHz 인 자료 전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논리수단(40)은 27.12 MHz 에서 작동되는 클록(44)과 상기 클록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의 미리 결정된 운반 주파수(13.56 MHz)와 상기의 배가 되는 주파수(27.12 MHz)를 제공하는 주파수 디바이더(46)를 포함하는 자료 전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중의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는 폐쇄되도록, 상기 프로그램 논리수단(40)의 출력들에 의해 조절되는 두 개의 장 효과 트랜지스터의 특징이 있는 전원 스위칭단계(56)을 포함하는 자료 전송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자료는, 자료비트가 방사되는 전자기장의 스플릿에 의해 생성되는 A형의 프로토콜에 따라 자료 전송 표준인 ISO 14443 와 부합되는 자료 전송 장치.
KR1020037006556A 2001-09-14 2002-09-13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 위한 모듈레이터 장치 KR100961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1917A FR2829853B1 (fr) 2001-09-14 2001-09-14 Modulateur pour signaux electromagnetiques emis par un systeme d'emission/reception sans contact
FR0111917 2001-09-14
PCT/FR2002/003130 WO2003025832A1 (fr) 2001-09-14 2002-09-13 Modulateur pour signaux electromagnetiques emis par un systeme d'emission/reception sans cont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69A true KR20040034569A (ko) 2004-04-28
KR100961672B1 KR100961672B1 (ko) 2010-06-09

Family

ID=886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56A KR100961672B1 (ko) 2001-09-14 2002-09-13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 위한 모듈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177361B2 (ko)
EP (1) EP1435062B1 (ko)
JP (1) JP4203923B2 (ko)
KR (1) KR100961672B1 (ko)
CN (1) CN1273921C (ko)
AT (1) ATE427533T1 (ko)
AU (1) AU2002339053B2 (ko)
BR (1) BR0205984A (ko)
CA (1) CA2429331C (ko)
DE (1) DE60231818D1 (ko)
FR (1) FR2829853B1 (ko)
HK (1) HK1064482A1 (ko)
IL (2) IL155883A0 (ko)
MX (1) MXPA03004196A (ko)
RU (1) RU2299468C2 (ko)
TW (1) TW583590B (ko)
WO (1) WO2003025832A1 (ko)
ZA (1) ZA2003030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476B2 (ja) 2004-02-03 2010-08-0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WO2008103870A1 (en) 2007-02-23 2008-08-28 Newpage Wisconsin System Inc. Multifunctional paper identification label
FR2974962B1 (fr) 2011-05-02 2013-10-18 Ask Sa Procede et dispositif de modulation en amplitude d'un signal electromagnetique emis par un systeme d'emission/reception sans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958A (en) * 1993-05-21 1995-09-19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Dual standard RF-ID system
DE19526998B4 (de) * 1994-07-26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Kadoma Erkennungssystem für bewegliche Objekte
US6122492A (en) * 1999-02-08 2000-09-19 Motorola, Inc. Adjustable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transmitter
FR2811108B1 (fr) * 2000-06-29 2002-09-27 A S K Dispositif peripherique d'affichage sans contact pour objet portable sans contact
FR2811109B1 (fr) * 2000-06-29 2002-12-27 A S K Objet portable sans contact comportant un ou plusieurs dispositifs peripheriques sans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303027B (en) 2003-10-28
EP1435062B1 (fr) 2009-04-01
ATE427533T1 (de) 2009-04-15
US20040051627A1 (en) 2004-03-18
EP1435062A1 (fr) 2004-07-07
CN1483182A (zh) 2004-03-17
BR0205984A (pt) 2003-10-21
US7177361B2 (en) 2007-02-13
CA2429331C (fr) 2012-08-28
DE60231818D1 (de) 2009-05-14
IL155883A (en) 2008-11-26
FR2829853A1 (fr) 2003-03-21
JP4203923B2 (ja) 2009-01-07
JP2005503704A (ja) 2005-02-03
WO2003025832A1 (fr) 2003-03-27
CA2429331A1 (fr) 2003-03-27
CN1273921C (zh) 2006-09-06
KR100961672B1 (ko) 2010-06-09
FR2829853B1 (fr) 2004-01-02
IL155883A0 (en) 2003-12-23
TW583590B (en) 2004-04-11
HK1064482A1 (en) 2005-01-28
AU2002339053B2 (en) 2008-07-03
MXPA03004196A (es) 2004-04-20
RU2299468C2 (ru) 2007-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4344B2 (en) Non-contact IC card reading/writing apparatus
EP1596320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US7822388B2 (en) Transceiver, modulation integrated circuit, and RFID reader/writer
EP1494162A2 (en) Noncontact IC card reader/writer
US11960955B1 (en) Fast frequency switching for RFID applications
WO2000046917A1 (en) Adjustable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transmitter
KR20010043643A (ko) 데이터의 무접촉 전송 장치
KR20080097115A (ko)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
US7671748B2 (en)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RFID) affixed to an object to be identified
KR20130134570A (ko) 근접장 무선 송수신 회로 및 모바일 단말기
KR20010007102A (ko) 송수신 장치
KR100961672B1 (ko)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 위한 모듈레이터 장치
US691187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ceiving two frequencies using a common one turn antenna
JP4414093B2 (ja) 非接触型データキャリヤと端末との間の通信方法
KR20070056398A (ko)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EP1388932B1 (en) Switching modulator
KR20070074018A (ko) 노이즈와 간섭을 줄이는 rfid 리더기
US20220190792A1 (en) Wave-shaping for over- and undershoot prevention
JPH0918381A (ja) Rfidシステム
KR20020001757A (ko) 통신 터미널
EP1512118B1 (en) Passive data carrier with signal evaluation means for evaluating information of a self-clocking signal
JP2000251032A (ja) 送受信回路、送受信回路システム
GB2333665A (en) Transaction system
JPH1188240A (ja) 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
JPH1174939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