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398A -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398A
KR20070056398A KR1020050114966A KR20050114966A KR20070056398A KR 20070056398 A KR20070056398 A KR 20070056398A KR 1020050114966 A KR1020050114966 A KR 1020050114966A KR 20050114966 A KR20050114966 A KR 20050114966A KR 20070056398 A KR20070056398 A KR 2007005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tag
band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855B1 (ko
Inventor
구지훈
강우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855B1/ko
Priority to US11/515,724 priority patent/US20070120675A1/en
Priority to JP2006322360A priority patent/JP4384654B2/ja
Publication of KR2007005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frequency domain, e.g. by hopping from one frequency to the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측파 대역(Single Side Band)의 커맨드(Command) 신호를 무선 식별 태그(RF-ID Tag)로 송출한 이후, 단측파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시프트(Shift)시켜 무선 식별 태그로부터 주파수 대역이 시프트된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판독기가 단측파대(SSB)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더라도, RF-ID 태그로부터 채널 선택도에 위배되지 않고 인접 채널에 간섭을 주지 않는 안정적인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단측파 대역, 양측파 대역, RF-ID, 판독기, 무선 식별, 커맨드 신호, 응답 신호,

Description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Single side band response metho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도 1a는 종래 판독기가 DSB를 사용하는 경우의 커맨드 신호와 응답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종래 SSB 커맨드 신호와 DSB 응답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에서, 판독기의 커맨드 신호와 RF-ID 태그의 응답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리스트 작성부 320 : 저장부
330 : 제어부 340 : 송신필터
350 : 수신필터 360 : RF 회로
370 : 송/수신부 CF, CF' : 캐리어 주파수
본 발명은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측파 대역(Single Side Band)의 커맨드(Command) 신호를 무선 식별 태그(RF-ID Tag)로 송출한 이후, 단측파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시프트(Shift)시켜 무선 식별 태그로부터 주파수 대역이 시프트된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식별 시스템의 경우 다중 판독기(Multi-Reader) 환경에서 판독기 간에 간섭을 주지 않는 동작을 위해, 사용 주파수를 채널 수 만큼 분리하여 사용하는 기술 기준 및 표준이 나오고 있다.
국내의 경우, 주파수 대역을 908.5 ~ 914 MHz로 사용하는 경우, 각 채널 당 대역폭(Band Width)을 200 KHz로 하면 27 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역폭을 갖는 채널을 이용하게 될 때, 판독기는 다른 채널에게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마스크(Transmit Mask)를 수행하게 된다. 즉, 중간 주파수를 기준으로 0 채널에서는 0 dB 채널로, 제1 채널(CH 1)과 제1 역채널(CH -1)에서는 -20 dB 채널로, 제2 채널(CH 2)과 제2 역채널(CH -2)에서는 -50 dB 채널로 송신 마스크를 수행한다. 또한, 제3 채널(CH 3)과 제3 역채널(CH -3)에서는 -60 dB 채널로, 제4 채널(CH 4)과 제4 역채널(CH -4)에서는 -65 dB 채널로 송신 마스크를 수행하며, 이와 같은 과정으로 다른 송신 채널들에 대해서도 송신 마스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판독기는 다른 채널에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채널 선택도(Channel Selectivity)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통신환경 채널 선택도 채널 이격도 비 고
멀티리더 5 dBc 1 채널 사용채널의 인접±1채널
35 dBc 2 채널 사용채널의 인접±2채널
45 dBc 3 채널 사용채널의 인접±3채널
55 dBc 4 채널 이상 사용채널의 인접±4채널 이상
밀집리더 18 dBc 1 채널 사용채널의 인접±1채널
47 dBc 2 채널 이상 사용채널의 인접±1채널 이상
UHF 대역의 RF-ID 판독기는 주파수 영역에 대해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게 되며, 그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Channel)을 선택하고, 양측파대(DSB:Double Side Band) ASK 또는 단측파대(SSB:Single Side Band) ASK를 사용하여 RF-ID 태그와 통신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판독기가 DSB를 사용하는 경우의 커맨드 신호와 응답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a에서, (a)는 판독기가 RF-ID 태그로 송신하는 커맨드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b)는 RF-ID 태그가 판독기로 송신하는 응답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UHF RFID 표준에서, 판독기와 RF-ID 태그 간의 링크 주파수는 도 1a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주파수(CF)를 기준해 40 KHz이며, 그 이상 넘어가게 되면 국내 규격의 송신 마스크인 200 KHz를 지키기 어렵게 된다.
또한, RF-ID 태그의 응답 신호도 캐리어 주파수(CF)를 기준으로 ±40 KHz 만큼 이격되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최저 40 KHz 이상 넘어가면 인접 채널에서 응답 신호가 나타나게 되어 채널 선택도에 위배된다.
한편, 판독기는 DSB의 사용보다 커맨드 신호의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측파대(SSB)를 사용하게 된다. 도 1b에서, (a)는 단측파대에서의 커맨드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b)는 단측파대 커맨드 신호에 대한 양측파대 응답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기가 단측파대(SSB)를 사용하게 되면, 캐리어 주파수(CF')에 대해 송신 마스크인 200 KHz 내에서 "40 KHz + α"만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에 대해 RF-ID 태그는 도 1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를 판독기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는 도 1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주파수(CF')를 기준으로 ±40 KHz 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인접 채널에서 응답 신호(CF'-40 KHz)를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채널 선택도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국내 규격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측파 대역(SSB)의 커맨드 신호를 무선 식별 태그(RF-ID Tag)로 송출한 이후, 단측파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시프트(Shift)시켜 무선 식별 태그로부터 주파수 대역이 시프트된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은, (a) 단측파 대역의 커맨드 신호를 무선 식별 태그로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단측파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시프트(Shift)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무선 식별 태그로부터 주파수 대역이 시프트된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단측파 대역의 커맨드 신호는 캐리어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 α"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측파 대역의 커맨드 신호는 송신 마스크 200 KHz 이내의 주파수 대역을 갖고, 상기 단측파 대역의 커맨드 신호는 송신 마스크 200 KHz 내에서 원래의 양측파대(DSB) 신호에서 하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된 신 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시키는 것이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는 캐리어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만큼 이격되고, 하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만큼 이격된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무선 식별 태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RF-ID 태그는 상품 재고의 파악, 톨게이트 통행료 징수와 관련된 자동 선별장치, 보안 시스템, 전자카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는 페인트, 물, 쓰레기, 먼지, 심지어 인체, 콘크리트 등을 통하거나 태그 된 물건 자체를 통 해서 판독되기 때문에 바 코드(Bar code) 레이블(lable) 보다는 훨씬 더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RF-ID 태그는 고주파 태그 판독기(Reader)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이 고주파 태그 판독기는 근접한 범위에서 RF-ID 태그를 동작시키게 하는 연속파형(CW: Continuous Wave)의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캐리어를 생성한다. RF-ID 태그는 수동소자이고 내부에 전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RF-ID 태그는 내부에 저장된 디지털 코드를 판독하는 내부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해 연속파형 고주파(CWRF: Continuous Wave Radio Frequency)에 어떤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RF-ID 태그의 동작에 의해 그것의 내부에 저장된 디지털 코드를 태그 판독기로 무선 신호로 전송한다.
RF-ID 태그는 연속파형(CW)에 동조된 공진회로를 로딩과 언로딩 시킴으로써 판독기의 연속파형(CW) 캐리어의 진폭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는 연속파형 고주파 캐리어의 주파수에 동조된 병렬 공진회로와 고주파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고주파를 직류로 바꾸어주는 디씨 컨버터(DC Converter), 병렬 공진회로와 고주파 안테나를 로딩과 언로딩 하기 위한 회로, 내부 디지털 코드를 저장하고 판독하게끔 하는 로직을 포함한다. 그리고 RF-ID 태그는 병렬 공진회로와 고주파 안테나를 로딩과 언로딩 하기 위한 회로가 내부에 저장된 디지털 코드와 함께 동작되게끔 한다.
RF-ID 태그는 로직 회로와 센서의 전원공급이 직류로 사용되기 때문에, 연속파형 고주파와 초고주파(UHF)/마이크로파와 같이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주는 회로가 내부에 갖추어져 있다.
RF-ID 태그가 태그 판독기에 근접해 있을 때, RF-ID 태그가 동조회로에 부하를 걸었기 때문에 동조회로의 전압 진폭이 감소된다. 만일 RF-ID 태그의 동조회로가 그 내부 회로에 의해 공진 상태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RF-ID 태그는 동조회로에 부하를 걸지 않고, 동조회로에 걸린 전압 진폭이 종전 RF-ID 태그가 근접해 있을 때 발생한 진폭 상태까지 다시 증가된다. 이에 따라, RF-ID 태그는 온/오프 펄스신호를 실은 직렬 데이터 워드 비트스트림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동조회로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태그 판독기는 이러한 연속파형 고주파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여 RF-ID 태그로부터의 정보를 직렬 데이터 워드 비트스트림에서 이용되는 온/오프 신호로 바꾸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a)는 판독기가 RF-ID 태그로 송신하는 커맨드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b)는 RF-ID 태그가 판독기로 송신하는 응답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판독기가 송신 마스크인 200 KHz 내에서 도 2의 (a)와 같은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를 송신하고, 이어 사용 주파수 대역을 도 2의 (b)와 같이 시프트(Shift)시켜,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가 모두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가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 존재하므로 다른 채널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도 2의 (a)와 같이 판독기가 RF-ID 태그로 송신하는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는 캐리어 주파수(CF')를 기준으로 "40 KHz + α"만큼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α는 정수이다. 또한, 판독기가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신호는 캐리어 주파수(CF)를 기준으로 ±40 KHz 만큼 이격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판독기는 리스트 작성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 송신필터(340), 수신필터(350), RF 회로(360), 및 송/수신부(370)를 포함한다.
리스트 작성부(310)는 RF-ID 태그로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펄스폭에 대한 리스트인 펄스폭 리스트를 작성하며, RF-ID 태그로부터 응답 신호가 있는 경우에 해당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용 펄스폭으로 하여 가용 펄스폭 리스트를 작성한다.
저장부(320)는 리스트 작성부(310)에서 작성한 펄스폭 리스트 및/또는 가용 펄스폭 리스트를 저장한다.
제어부(330)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고, 이에 따라 RF-ID 태그로 소정의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330)는 RF-ID 태그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나, RF-ID 태그로 커맨드 신호를 송신할 때 단측파대(SSB)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커맨드 신호를 RF-ID 태그로 송신한 이후, 즉시 사용 주파수 대역을 도 2의 (b)와 같이 시프트(Shift)시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가 모두 사용 주파수 대역 이내로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송신필터(340)는 제어부(330)로부터 생성된 커맨드 신호를 필터링하여 RF 회로(160)로 전달하며, 수신필터(340)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어부(330)로 전달한다.
RF 회로(360)는 주파수 혼합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330)로부터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시프트 명령에 따라 사용 주파수 대역을 도 2의 (b)와 같이 시프트(Shift)시켜, 송/수신부(370)로 전달한다.
송/수신부(370)는 RF-ID 태그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RF 회로(36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60)로부터의 커맨드 신호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에서, 판독기의 커맨드 신호와 RF-ID 태그의 응답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판독기는 리스트 작성부(310)를 통해 통신환경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송할 커맨드 신호의 펄스폭 리스트를 작성한다.
여기서, 펄스폭 리스트는 기본값(Default Value)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에 따라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소정의 간격은 임계 신호 펄스폭(Critical Signal Pulse Width)의 오차 허용범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작성되는 펄스폭 리스트상의 펄스폭의 개수는 'N' 개가 되며, 작성된 펄스폭 리스트는 저장부 (320)에 저장된다.
판독기는 사용 주파수 대역을 단측파(SSB) 대역으로 하여 연속파(CW:Continuous Wave)를 RF-ID 태그로 송신한다(S410). 여기서, 연속파는 RF-ID 태그의 공진회로가 연속파(CW)에 동조되도록 하여 RF-ID 태그의 공진회로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이어, 판독기는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를 RF-ID 태그로 송신하게 된다(S420).
이때, 판독기는 국내 규격의 송신 마스크인 200 KHz 내에서 도 2의 (a)와 같이 캐리어 주파수(CF')를 기준으로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 α"만큼 이격된 커맨드 신호(CF'+40 KHz+α)를 RF-ID 태그로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는 송신 마스크인 200 KHz 내에서 원래의 양측파대(DSB) 신호에서 하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된 신호이다.
한편,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를 송신한 판독기는 RF-ID 태그로부터 200 KHz 이내의 정상적인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시킨다(S430).
따라서, RF-ID 태그에서는 판독기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에 대해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된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RF-ID 태그에서는 수신된 커맨드 신호에 대해 조건에 맞는 경우 백스 캐터링(Backscattering) 기술을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판독기로 송신한다. 이때, 판독기로부터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된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였으므로, 판독기로 송신하는 응답 신호도 도 2의 (b)와 같이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한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를 판독기로 송신하게 된다(S440).
이에 따라, 판독기에서는 도 2의 (b)와 같이 200 KHz 이내에서 캐리어 주파수(CF)를 기준으로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만큼 이격되고, 하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만큼 이격된(±40 KHz) 응답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판독기는 RF-ID 태그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펄스폭을 가용 펄스폭으로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따라서, 판독기가 단측파대(SSB) 커맨드 신호를 RF-ID 태그로 송신하더라도, 판독기는 RF-ID 태그로부터 채널 선택도에 위배되지 않고 인접 채널에 간섭을 주지 않는 안정적인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측파 대역(SSB)의 커맨드 신호를 무선 식별 태그(RF-ID Tag)로 송출한 이후, 단측파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시프트시켜 무선 식별 태그로부터 주파수 대역이 시프트된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독기가 단측파대(SSB)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더라도, RF-ID 태그로부터 인접 채널에 간섭을 주지 않는 안정적인 양측파대(DSB)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채널 선택도에 위배되지 않고 국내 규격에 적용할 수 있는 무선 식별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a) 단측파 대역(Single Side Band)의 커맨드(Command) 신호를 무선 식별 태그(RF-ID Tag)로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단측파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시프트(Shift)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무선 식별 태그로부터 주파수 대역이 시프트된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단측파 대역의 커맨드 신호는 캐리어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 α"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측파 대역의 커맨드 신호는 송신 마스크 200 KHz 이내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측파 대역의 커맨드 신호는 송신 마스크 200 KHz 내에서 원래의 양측 파대(DSB) 신호에서 하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만큼 시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양측파 대역의 응답 신호는 캐리어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만큼 이격되고, 하위 주파수 대역으로 40 KHz 만큼 이격된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KR1020050114966A 2005-11-29 2005-11-29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KR100737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966A KR100737855B1 (ko) 2005-11-29 2005-11-29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US11/515,724 US20070120675A1 (en) 2005-11-29 2006-09-06 SSB response method of RFID tag
JP2006322360A JP4384654B2 (ja) 2005-11-29 2006-11-29 無線識別タグの単側波帯域応答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966A KR100737855B1 (ko) 2005-11-29 2005-11-29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398A true KR20070056398A (ko) 2007-06-04
KR100737855B1 KR100737855B1 (ko) 2007-07-12

Family

ID=3808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966A KR100737855B1 (ko) 2005-11-29 2005-11-29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20675A1 (ko)
JP (1) JP4384654B2 (ko)
KR (1) KR100737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359B1 (ko) * 2007-09-07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인식 리더기 및 그것의 무선 주파수 전송 방법
JP2009290644A (ja) * 2008-05-30 2009-12-10 Sony Corp 応答器、質問器および通信装置
CN114938240B (zh) * 2022-05-19 2023-04-14 电子科技大学 多阅读器反向散射通信系统的干扰消除接收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658B1 (ko) * 1996-10-21 1999-12-01 윤종용 고선명 텔레비젼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시간을 줄이는 방법
US6456668B1 (en) * 1996-12-31 2002-09-24 Lucent Technologies Inc. QPSK modulated backscatter system
FR2772164B1 (fr) * 1997-12-10 2000-02-11 Frederic Pagnol Procede d'identification d'une pluralite de transpondeurs, dispositif d'analyse et transpondeurs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US6343207B1 (en) * 1998-11-03 2002-01-29 Harris Corporation Field programmabl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equipment including a configurable if circuit, and method therefor
CA2277264A1 (en) * 1999-07-09 2001-01-09 Telecommunications Research Laboratories A self-configuring radio network
US6492933B1 (en) * 1999-09-02 2002-12-10 Mcewan Technologies, Llc SSB pulse Doppler sensor and active reflector system
US6377203B1 (en) * 2000-02-01 2002-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lision arbi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multip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US7193504B2 (en) * 2001-10-09 2007-03-20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dentification
JP2004291560A (ja) * 2003-03-28 2004-10-21 Toshiba Tec Corp 印字装置及び印字装置に用いられる消耗品
JP3841793B2 (ja) * 2004-02-26 2006-11-01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無線光融合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変換方法及び基地局
US7408466B2 (en) * 2004-04-13 2008-08-05 Impinj, Inc. Adjusting RFID waveform shape in view of detected RF energy
US7417548B2 (en) * 2004-04-13 2008-08-26 Impinj, Inc. Adjusting RFID waveform shape in view of signal from an RFID tag
US7391329B2 (en) * 2004-04-13 2008-06-24 Impinj, Inc. Performance driven adjustment of RFID waveform shape
US7436308B2 (en) * 2004-04-13 2008-10-14 Impinj, Inc. Adjusting RFID waveform shape in view of signal from another reader
US7432814B2 (en) * 2004-04-13 2008-10-07 Impinj, Inc. Reconstructing RFID waveform shape for reuse in individual channel
JP4020096B2 (ja) 2004-05-11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8505418A (ja) * 2004-07-01 2008-02-21 パワリッド・リミテッド 電動補助後方散乱rfidトランスポンダ
US7107022B1 (en) * 2005-03-04 2006-09-12 Impinj, Inc. Single RF oscillator single-side band modulation for RFID readers using tone insertion during reader reception
US7382257B2 (en) * 2005-03-04 2008-06-03 Impinj, Inc. Single RF oscillator single-side band modulation for RFID readers with frequency translation and filtering
KR100717881B1 (ko) * 2005-09-23 2007-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rfⅰd 리더 및 그 제어 방법
US8552835B2 (en) * 2005-10-28 2013-10-08 Mojix, Inc. RFID system with low complexity implementation and pallet coding error correction
KR100732667B1 (ko) * 2005-10-31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리더기
US8154386B2 (en) * 2005-11-03 2012-04-10 Lg Innotek Co., Ltd. RFID reader and RFID system
US20090146791A1 (en) * 2005-11-24 2009-06-11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listen-before-talk" measurement to enable identifying of one or more unoccupied RF sub-bands
US7893834B2 (en) * 2005-12-01 2011-0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wer control method for mobile RFID reader and RFID reader using the same
US20080001724A1 (en) * 2006-06-28 2008-01-03 Symbol Technologies, Inc. Using read lock capability for secure RFID authentication
US7696875B2 (en) * 2006-10-31 2010-04-13 Motorola, Inc. Antenna interfaces for mobile RFID readers
US7538679B2 (en) * 2006-11-07 2009-05-26 Symbol Technologies, Inc. RFID tag test antenna with two ports that excite perpendicular modes
US7986931B2 (en) * 2006-12-12 2011-07-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FID reader and circuit and method for echo cancellation thereof
US20080297309A1 (en) * 2007-05-29 2008-12-04 Marc Loyer Waveform synthesis in rfid interrogators
KR101407359B1 (ko) * 2007-09-07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인식 리더기 및 그것의 무선 주파수 전송 방법
US20090096585A1 (en) * 2007-10-12 2009-04-16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Configuration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84654B2 (ja) 2009-12-16
KR100737855B1 (ko) 2007-07-12
JP2007151132A (ja) 2007-06-14
US20070120675A1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790B2 (en) Hybrid on-chip-off-chip transformer
US20060181395A1 (en) Techniques to configure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s
WO2004034309A2 (en) Rfid interrogator
KR20080097115A (ko)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
JP4604964B2 (ja) 送受信装置、変調集積回路およびrfidリーダライタ
JP2006262055A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CN101964074A (zh) 无线射频电子标识、无线射频标识系统及其实现方法
KR100988813B1 (ko) 멀티 모드 알에프아이디 리더 구조
JP4463574B2 (ja) Icタグ用リーダ/ライタ及びicタグ用リーダ/ライタを有する装置
KR100737855B1 (ko) 무선 식별 태그의 단측파 대역 응답 방법
JP4850025B2 (ja) 通信装置
US8354916B2 (en) Radio interrogator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KR100760304B1 (ko) Rfid 리더기의 afe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rfid 리더기
JP5137128B2 (ja) Rfidリーダライタ
JP2008187227A (ja) Rfidリーダ
US20090109001A1 (en) Wireless IC tag, wireless IC ta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wireless IC tag
KR100836469B1 (ko) Rfid 리더 및 rfid 시스템
KR101189325B1 (ko) Lbt방식의 rfid 송수신 시스템
KR100961672B1 (ko) 비접촉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 위한 모듈레이터 장치
WO2001054049A3 (de) Kommunikationsendgerät
Song et al. Implementation of HF multi-standard RFID transceiver for compact mobile devices
JPH07154275A (ja) 無線周波符号識別方法
JP2006237932A (ja) 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タグ読み取り装置
JPWO2004051879A1 (ja) 非接触icカードシステムにおける質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