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207A -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207A
KR20040034207A KR1020020064295A KR20020064295A KR20040034207A KR 20040034207 A KR20040034207 A KR 20040034207A KR 1020020064295 A KR1020020064295 A KR 1020020064295A KR 20020064295 A KR20020064295 A KR 20020064295A KR 20040034207 A KR20040034207 A KR 2004003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ircumferential surface
holder
wire rod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184B1 (ko
Inventor
최승동
이종화
강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1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Metal Roll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압연기의 최종압연라인인 사상압연롤에서 선재코일을 안내하는 입출구 가이드롤러 및 최종 압연된 직선의 선재코일을 나선형으로 형성시키는 귄취기에 의해 소정 기울기로 이루어진 곡선라인중 소재와 동반하여 직선방향 및 횡방향으로 소재를 동시에 유도시키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취될 선재용 소재가 이송되는 사상압연기 혹은 곡선가이드 전후방측에 설치고정된 원통형상의 외부홀더와; 상기 외부홀더의 내주면에 전후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그 내주면 일부에는 결합홈이 요입형성된 내부홀더와; 상기 내부홀더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된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일정각도를 두고 각각 설치된 내부회전롤과; 상기 회전몸체의 후면에 인출되는 소재를 3점 지지하여 안내인출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권취과정에서 유발되는 횡력을 억제하여 소재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또한 다수 설치된 안내롤들의 파손을 방지하여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등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WIRE HORIZONTAL MOVING GUIDER}
본 발명은 선재압연기의 최종압연라인인 사상압연롤에서 선재코일을 안내하는 입출구 가이드롤러 및 최종 압연된 직선의 선재코일을 나선형으로 형성시키는 귄취기에 의해 소정 기울기로 이루어진 곡선라인중 소재와 동반하여 직선방향 및 횡방향으로 소재를 동시에 유도시키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빌레트를 소재로 하는 선재압연은 다수의 압연롤을 거쳐 최종 선재코일로 생산되게 되면 권취기를 통해 나선형으로 권취된 후 열처리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적정한 직경을 갖는 소재가 조압연, 중간조압연 및 사상압연을 거쳐 최종 선재코일로 생산되게 되는 바, 입출구가이드롤(1)을 통해 사상압연롤(2)로 안내된 소재는 최종압연됨과 동시에 수냉대를 거쳐 적정온도로 냉각된 후 핀치롤(3)에 의해 곡선가이드(4)로 안내되고 이어 곡선롤러(5)를 통해 권취기(6)로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코일형태로 권취되게 된다.
그런데, 선재코일의 후단부가 상기 입출구가이드롤(1)을 통과할 때와 곡선롤러(5)를 통과할 때 코일의 진행방향으로만 안내되게 되어 심한 비틀림(횡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곡선롤러(5)가 파손되거나 혹은 베어링의 회전불량을 야기하여 코일의 외경에 스크래치나 이물압착현상을 일으켜 품질불량을 초래하는 문제를 불러 일으켰다.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패스라인을 벗어나 돌출되면서 곡선가이드(4)의 상부와 마찰되어 파열되거나 연속작업에 장애를 일으켜 생산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단점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선재코일이 입출구가이드롤과 곡선롤러를 통과할 때에 유발되는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횡행 가이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비파손, 생산장애, 품질불량의 문제를 일소시킬 수 있도록 한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선재 사상압연롤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선재 권취 안내를 위한 곡선가이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조립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조립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사상압연롤 4....곡선가이드
110....외부홀더 210....내부홀더
220....핸들 300....회전몸체
310....편심축 330....내부회전롤
350....가이드롤 360....코일안내가이드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권취될 선재용 소재가 이송되는 사상압연기 혹은 곡선가이드 전후방측에 설치고정된 원통형상의 외부홀더와; 상기 외부홀더의 내주면에 전후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그 내주면 일부에는 결합홈이 요입형성된 내부홀더와; 상기 내부홀더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된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일정각도를 두고 각각 설치된 내부회전롤과; 상기 회전몸체의 후면에 인출되는 소재를 3점 지지하여 안내인출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조립상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선재코일이 입출구가이드롤과 곡선롤러를 통과할 때에 유발되는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들의 입출구측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00)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외부홀더(11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홀더(110)의 내경에는 내부홀더(210)가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홀더(110)의 내경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홀더(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는 대응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홀더(210)의 일측면, 예컨대 선단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핸들(220)을 잡고 돌리면 상기 내부홀더(210)가 외부홀더(110)를 따라 회전되면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하여, 상기 내부홀더(210)와 사상압연롤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외부홀더(11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는 냉각수홀(112)과 내부홀더(2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후술할 내부회전롤(320)의 회전상태를 용이하게 외부홀더(110) 외측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줌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홀더(210)의 길이방향 내주면 일부에는 일정폭의 결합홈(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230)에는 상기 내부회전롤(320)이 끼워진 후 회전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내부홀더(210)의 내경에는 두개의 선후단베어링(330,3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회전몸체(300)가 끼워지며, 특히 상기 후단베어링(340)의 인접 전방에는 상기 회전몸체(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342)이 끼워진다.
이는 상기 내부홀더(210)의 형상이 핸들(220)이 구비된 그 선단측은 내경의 입구가 좁아 선단베어링(330)의 이탈이 불가능하지만 후단측을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개방되어 있어 스냅링(342)이 요구된다.
상기 회전몸체(300)의 축 중심은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여기에는 대략 콘형상의 코일안내가이드(360)가 끼워진 후 볼트체결된다.
아울러, 회전몸체(300)의 외주면에는 대략 120°간격을 두고 지지브라켓(30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편심축(310)이 고정되며, 상기 편심축(310)에는 베어링(312)이 개재된 채 내부회전롤(320)이 결합된다.
상기 편심축(310)의 일측 혹은 양측단면에는 치공구를 통해 이를 회전조작시킬 수 있도록 일자형 혹은 십자형태의 홈이 가공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축(310)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내부회전롤(320)의 위치, 즉 상기 회전몸체(300)의 전체 회전반경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몸체(300)의 후단면에는 상기 코일안내가이드(360)를 통해 진입안내되고 인출되는 와이어를 3점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롤(350)이 120°를 두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사상압연롤(2) 전후측에 한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곡선가이드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적정한 직경을 가진 소재가 조압연기, 중간압연기를 거쳐 사상압연기를 통하여 최종 선재코일로 형성될 때 상기 사상압연기 혹은 곡선가이드의 전후측에 설치된 본 발명 장치를 통과하게 된다.
즉, 코일안내가이드(360)를 통해 내부홀더(210)의 축 중심으로 인입된 소재는 가이드롤(350)에 의해 3점 지지된 채 회전되면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소재는 인출되면서 횡력(비틀림력)을 받게 되는데, 소재의 후단부가 인출될 때 가장 큰 횡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횡력이 발생되게 되면 가이드롤(350)의 인접측인 회전몸체(300) 상에 구비된 내부회전롤(320)이 내부홀더(210)의 내주면을 따라 횡력에 대응되게 비틀림되면서 회전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횡력은 신속하게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소재의 표면 긁힘이나 횡력에 의해 유발되던 힘이 가이드롤(350)이나 내부홀더(210)에 미치지 못하게 됨으로써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고 소재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횡력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치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편심축(310)의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내부회전롤(320)의 위치, 즉 회전몸체(300)로부터 그 반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내부회전롤(320)의 축중심을 이동시켜 내부홀더(210) 내에서의 회전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에 의해 소재의 인출시 유발되는 횡력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권취과정에서 유발되는 횡력을 억제하여 소재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또한 다수 설치된 안내롤들의 파손을 방지하여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등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권취될 선재용 소재가 이송되는 사상압연기(2) 혹은 곡선가이드(4) 전후방측에 설치고정된 원통형상의 외부홀더(110)와;
    상기 외부홀더(110)의 내주면에 전후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그 내주면 일부에는 결합홈(230)이 요입형성된 내부홀더(210)와;
    상기 내부홀더(21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된 회전몸체(300)와;
    상기 회전몸체(3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일정각도를 두고 각각 설치된 내부회전롤(320)과;
    상기 회전몸체(300)의 후면에 인출되는 소재를 3점 지지하여 안내인출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롤(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300)의 관통된 축중심에는 소재를 안내하는 콘형상의 코일안내가이드(360)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롤(320)은 편심축(310)에 의해 그 축중심이 회전몸체(300)의반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KR1020020064295A 2002-10-21 2002-10-21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KR100876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295A KR100876184B1 (ko) 2002-10-21 2002-10-21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295A KR100876184B1 (ko) 2002-10-21 2002-10-21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207A true KR20040034207A (ko) 2004-04-28
KR100876184B1 KR100876184B1 (ko) 2008-12-31

Family

ID=3733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295A KR100876184B1 (ko) 2002-10-21 2002-10-21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1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40B1 (ko) * 2006-12-22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소재 안내 장치
CN114669625A (zh) * 2022-04-26 2022-06-28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导向装置及弧形导槽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469B1 (ko) * 2018-05-23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가이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8901B2 (ja) * 1996-07-22 2003-06-2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ミル用ガイド装置及びブロックミル、並びに線材又は線の圧延方法
JPH10272508A (ja) * 1997-03-28 1998-10-13 Kawasaki Steel Corp 線材・棒鋼用圧延機のローラガイド装置及びガイド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40B1 (ko) * 2006-12-22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소재 안내 장치
CN114669625A (zh) * 2022-04-26 2022-06-28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导向装置及弧形导槽结构
CN114669625B (zh) * 2022-04-26 2024-01-05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导向装置及弧形导槽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184B1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78904A (ja) 冷間圧延用ガイド装置
EP0720875B1 (en) Round steel bar guide apparatus and method
KR100876184B1 (ko)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US4070887A (en) Roll former for tube mill
US3848447A (en) Rolling method and a rolling mill for carrying out the method
BRPI0621813A2 (pt) laminador de mandril retido para tubos sem costura
US6035685A (en) Rolling unit
EP0013671B1 (en) A centering and cramping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learance between sub-guide rollers, for use in a material guiding apparatus of a rolling mill
US1882655A (en) Machine for rolling or piercing billets
JP2016097479A (ja) 切断装置
KR100928581B1 (ko) 선재 권취기의 분할 곡선 가이드
US5443221A (en) Take-out arbor for a strip accumulator
JP3297994B2 (ja) 穿孔圧延機およびキャノン取り換え方法
KR100506346B1 (ko) 바-인 코일 핀치롤 입구 가이드 제어장치
JP2578307B2 (ja) 帯状材の進行方向変更装置
US20020023471A1 (en) Reversible guideless rolling mill
EP3028783B1 (en) Rod-shaped steel material guiding device
JP3361375B2 (ja) プレリダクション装置
KR19990027991U (ko) 선재 생산 라인의 바인 코일 권취 장치
EP0726100B1 (en) Rolling unit
JPH07185712A (ja) 螺旋状山付きロッドの製造方法
KR101417228B1 (ko) 압연 장치
JP4123550B2 (ja) 圧延機のガイド交換装置およびその交換方法
WO2019092946A1 (ja) 傾斜圧延機
KR830001615Y1 (ko)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