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615Y1 -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615Y1
KR830001615Y1 KR2019820008317U KR820008317U KR830001615Y1 KR 830001615 Y1 KR830001615 Y1 KR 830001615Y1 KR 2019820008317 U KR2019820008317 U KR 2019820008317U KR 820008317 U KR820008317 U KR 820008317U KR 830001615 Y1 KR830001615 Y1 KR 830001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evice
twist
roller
rolling mill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8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196U (ko
Inventor
히로아끼 시마다
Original Assignee
고도브끼 상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스즈끼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도브끼 상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스즈끼 도시야 filed Critical 고도브끼 상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8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615Y1/ko
Publication of KR830000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0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feeding rollers in roll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제1도는 압연기의 입구 안내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된 본 고안에 따른 압연기의 출구소재 안내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전체측면도.
제2도는 출구안내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출구안내장치를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본 정면도.
제4도는 제1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의 Ⅳ-Ⅳ선을 따라 취해 본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트위스트 안내장치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의 단면으로부터 본 트위스트 안내장치의 배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으로부터 취해 본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Ⅶ-Ⅶ선으로부터 취해본 단면도.
본 고안은 선재(線材), 조강(條鋼)등을 압연하는 압연기의 출구소재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의 압연기의 소재강의 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트위스트 안내장치와 압연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게끔 된 로울러 지지틀상의 평면 베어링과 상기 트위스트 안내장치의 출구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등으로 구성된 출구소재 안내장치는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다.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의 양자간의 거리는 전방의 압연기의 압연로울러의 마찰 등에 기인한 소재강의 단면변화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또는 트위스트 로울러 자체의 마모에 따른 직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또한 피압연소재의 변경에 따르기 위하여 조정해야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출구소재 안내장치에서는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를 압연선을 중심으로하여 대칭적으로 조정하기가 곤란할뿐 만 아니라 그 조정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따른 압연기의 출구소재 안내장치는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의 면간거리를 압연선을 중심으로 하여 극히 용이하고 또 정확하게 대칭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같은 출구소재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하의 트위스트로울러를 양측의 평면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에서 대칭적으로 편심이 가능한 편심축으로 축지(軸支)하여 양 편심축의 단부에 각각 고정시킨 위엄휘일에 회전조작할 수 있는 축봉에 장착된 오른쪽 나사 및 왼쪽 나사의 위엄을 맞물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은 도시되지 않은 제1압연기의 한쌍의 압연로울러를 가리킨다.
한쌍의 압연로울러(50)로부터 공급되는 소개강(W)(이 실시예에서는 편편한 장타원형 단면으로 도시됨)은 먼저 트위스트 안내장치(1)로 들어가며, 그 다음 2점 쇄선으로 도시된 한 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34)를 지나서 도시되지 않은 제2압연기로 상기 소재강을 안내해주는 입구 로울러 안내장치(60)로 들어가게된다. 압연로울러(50)에 의해 압연된 소재강(W)은 타원형의 장축이 수평인 상태로 트위스트 안내장치(1)내로 들어가서, 입구로울러 안내장치(60)로 들어가기전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트위스트 로울러(34)에 의해 예정된 비틀림각이 상기 소재강(W)에 주어지게 된다. 그 후에 소재강(W)은 점차적으로 비틀리면서 진행하여 입구로울러 안내장치(60)의 비틀림각과 일치하게 되고, 입구로울러 안내장치(60)를 나올 때에는 그 장축이 제1도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거의 수직으로 된다. 즉, 소재강이 제2압연기의 압연홈(roll groove)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수직이 되게끔 비틀리게 된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트위스트 안내장치(10) 내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안내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안내구멍(10)의 입구단에는 들어오는 소재강(W)을 포착하기 위한 한쌍의 상하 안내편(11)과, 상기 소재강이 압연로울러(50)의 압연홈에 밀착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한쌍의 상하 안내돌기(2)가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2)는 각각 압연로울러(50)의 압연홈의 면에 연하여 돌출함과 동시에 상기 로울러(50)의 압연홈의 면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면을 갖지만 그 면에는 접촉하지 않는 한도까지 접근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구멍(10)은 수평으로 길게 연장하는 실제크기의 입구(101)를 가지며, 또한 상기 안내구멍(10)은 트위스트 안내장치의 다소 큰 헤드부(1a)속으로 연장하여 급속하지만 원활하게 수축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비틀립구멍 속으로 이어진다. 안내구멍(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틀구멍은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관통구멍이다.
특히 비틀립관통구멍의 하반부의 약 절반(제6도의 우측 절반)은 소재강(W)의 단면의 우측 하반부와 동일한 원호상의 면(10a)으로 형성되는 반면, 하반부의 좌측절반은 상기 면(10a) 보다 더 깊게 형성된 원호상의 여유면(clearance surface)(10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틀립구멍의 상반부는 상기 하반부와 대칭형으로서 좌측절반은 원호상의 면(10a)이고 우측절반은 여유면(10b)으로 형성되어 있다(제6도 참조).
비틀림구멍의 상하에 형성된 원호상의 면(10a)은 그 입구측단부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축이 수평인 소재강(W)의 바깥면에 연한 각도로 경사가 진원호상의 면이지만, 출구단부(12)쪽으로 감에 따라 상기 원호상의 면(10a)은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제6도 및 제7도에서 처럼 점차적으로 크게 변화되면서 완만하게 비틀어져서 여기에 접하는 소재강(W)이 차례로 비틀리는 비틀림면으로 만들어져 있다.
여유면(10b)도 이와 함께 비틀어져서 안내구멍(10)의 출구측으로 가면서 완만하면서도 원활하게 비틀어지는 비틀림구멍이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면(10a, 10b)들 사이의 비틀림구멍의 양쪽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이 제공된다.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은 트위스트 안내장치가 상하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한 형태로 주조하므로서 제작되는 경우에 형성되며 이들이 결합될 때 비틀림면(10a)과 여유면(10b) 사이의 접합부분에 단이 생겨서 소재강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상하 두 개의 부분은 안내구멍(10)을 특별한 형상으로서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해 적당하게 조정된 위치에서 조립된다. 예를들면,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향의 조임틀은 4개의 지지비임(support beam)(41)을 적당히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헤드부의 전단부상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비임(41)은 안내장치의 몸체가 일체로 조립되도록 4개의 모퉁이에서 트위스트 안내장치의 몸체에 대하여 미리 지지된다.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몸체는, 제1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구멍(10)(즉, 비틀림구멍)의 출구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한 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43)에 충분히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출구단(12)의 상하부가 경사지게끔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위스트 안내장치의 몸체의 출구측의 대부분(1b)은 헤드부(1a)보다도 적게 만들어져 있는데, 이것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트위스트 로울러와의 결합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트위스트 로울러(34)는 견고한 안내상자(5) 상에 지지되는 로울러 지지틀(1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안내상자(5)의 하부에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대판(bed plate)(6)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대판(6)은 지지패드(2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상기 대판(6)의 한쪽단부는 지지패드(20)의 한쪽에 형성된 홈(24)에 튼튼하게 장착되고 다른쪽 단부는 U-자형 클램프(21)에 의해 상기 지지패드(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22는 U-자형 클램프(21)를 조여주는 너트이고 23은 상기 클램프(21)의 두개의 다리중 하나를 받아들이기 위해 지지패드(20)의 측면에 형성된 홈이다.
다시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로울러 지지틀(14)의 전단부에는 소재의 송출측단부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쌍의 평면베어링(33)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로울러(3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트위스트 로울러(34)는 각각 두개의 부분, 즉 반쪽은 원통형이고 나머지 반쪽은 그곳으로부터 넓게 벌어지는 원추형으로 구성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 로울러(34)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트위스트 로울러(34)의 원추형 부분의 경사면에 의해 소재강(W)이 효과적으로 비틀리게 된다.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트위스트 로울러(34)들은 양쪽의 평면베어링(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베어링 슬리이브 또는 부싱(38)(제3도에는 하나만 도시됨)에 상하 대칭으로 편심하여 고정된 한쌍의 편심축(32)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들 두개의 베어링 슬리이브(38)들은 서로 다른 수직위치에서 각각의 평면베어링(33)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오른쪽 나사 및 왼쪽 나사의 워엄휘일(35)(제2도 및 제3도)은 상부 및 하부 베어링슬리이브(38)의 외측단에 단단하게 고정되어서, 브라케트(39) 내에 축지된 축봉(37)상에 장착된 오른쪽 나사 및 왼쪽 나사의 워엄(36)에 각각 맞물려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축봉의 일단에 형성된 사각헤드에 렌치와 같은 그러한 공구를 사용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두 개의 트위스트 로울러(34)의 축들은 상하에서 서로 대칭으로 변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트위스트 로울러(34)의 쌍들을 지지해주는 로울러지지틀(14)은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관상 몸체부의 전방부분을 적당하게 받아들이기 위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부를 가진다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지지틀(14)의 중공의 원통형 부분은 원통형의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지지틀(14)의 전방단부에 인접하여 안내상자(5)상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브라케트(6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울러지지틀(14)의 전방단부에는 지지브라케트(65)의 전방단면상에 지지되는 방사형 플랜지(14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로울러 지지틀(14)이 지지브라케트(65)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정지볼트(19)가 마련되어 있다.
로울러지지틀(14)의 플랜지부(140)는 워엄휘일부(141)를 형성하기 위해 그 상부에서 상향하로 연장되어서, 지지브라케트(65)의 상부에 제공된 각각의 베어링 브라케트(15)의 양쪽 단부에 축지(軸支)된 축상에 단단하게 장착된 워엄(16)과 맞물리게끔 배치된다. 워엄축을 회전시키면 로울러지지틀(14)은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의 원통형 외주면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참조번호 17은 정4각형으로 형성된 워엄축의 양쪽 단부이고 18은 위치를 결정해 주는 너트를 가리킨다.
안내상자(5)는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트위스트 안내장치의 확대된 헤드부(1a)를 지지해주는 참조번호55는 U-자형 브라케트부의 상면에 볼트(7)로 고정된 누름판(retainer plate means)을 가리킨다.
상기 장치에서, 지지패드(20)의 상부에 고정된 안내상자(5)상에 로울러 지지틀(14)과 함께 지지된 트위스트 안내장치(1)는 그 안내구멍(10)의 축선이 압연기의 압연선과 일치될 뿐만 아니라 로울러 지지틀(14)의 중공의 원통형 부분의 축심에도 일치한다. 또한, 각각의 평면베어링(33)에 장착된 상하의 베어링 슬리이브(38)는 압연선에 대하여 상하 대칭으로 위치되게끔 지지된다.
따라서,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출구단(12)의 상하부를 경사지게끔하여 가능한한 트위스트 로울러(34)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해주면 안내구멍(10)의 출구중심은 상하 트위스트로울러(34)의 중앙을 통하는 압연선상에 거의 근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입구측 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안내돌기(2)가 제1압연기의 압연로울러(50)에 극히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지지패드(20)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한다.
압연로울러(50)로부터 나오는 소재강(W)은 즉시 트위스트 안내장치(1) 속으로 들어가서 비틀림면(10a)에 점하면서 진행하는 동안 예비적으로 비틀리게 된 다음,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출구단(12)으로 부터 출구단에 극히 인접하여 배치된 한쌍의 트위스트로울러(34)로 공급된다. 소재강(W)이 트위스트 안내장치(1) 내에서 받는 비틀림은 트위스트 로울러(34)가 통상적으로 소재강(W)에 주는 비틀림각보다 작다.
한쌍의 트위스트 로울러(34)는, 예를들면 베어링 슬리이브(38)의 회전이나 로울러 지지틀(14)의 선회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는 예정된 비틀림각을 소재강(W)에 준다.
트위스트 로울러(34)에 의해 소재강(W)에 주어지는 비틀림각은 트위스트 안내장치(1)에 의해 예비적으로 주어지는 비틀림각 보다 더 크기 때무에, 소재강(W)이 트위스트 로울러(34)에 도달한 후에는 거의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비틀림면에 게하강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트위스트 로울러(34)를 나은 소재강(W)은 마지막으로 주어진 비틀림각에 따라 비틀리면서 진행하여 주어진 비틀림각이 정확한한 제2압연기의 입구측에 장축이 수직으로 되어 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연기의 출구소재 안내장치에 따라서,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34)의 면간거리, 다시말하면 트위스트 로울러(34)의 지지축(32)의 축간거리의 조정은 양지지축, 즉 편심축(32)에 고정된 워엄휘일(35)과 맞물리는 오른쪽나사 및 왼쪽나사의 워엄(36)이 장착된 축봉(37)을 조작해 주므로서 이루어지므로, 그 고정작업은 극히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34)의 면간거리 변위조정이 정확하게 행하여질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향상에도 극히 유익한 것이다.

Claims (1)

  1. 압연기의 소재강의 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트위스트 안내장치(1)와 압연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게끔된 로울러지지틀상(14)의 평면베어링(33)과 상기 트위스트 안내장치(1)의 출구측단부(1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상하 트위스트 로울러(34)로 구성되는 출구소재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하의 트위스트 로울러(34)를 양측의 평면베어링(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에서 대칭적으로 편심이 가능한 편심축(32)으로 축지하여 양편심축(32)의 단부에 각각 고정시킨 워엄휘일(35)에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축봉(37)에 장착된 오른쪽 나사 및 왼쪽 나사의 워엄(36)을 각각 맞물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출구소재 안내장치.
KR2019820008317U 1979-03-23 1982-10-22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KR830001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317U KR830001615Y1 (ko) 1979-03-23 1982-10-22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893 1979-03-23
KR2019820008317U KR830001615Y1 (ko) 1979-03-23 1982-10-22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893 Division 1979-03-23 1979-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96U KR830000196U (ko) 1983-04-30
KR830001615Y1 true KR830001615Y1 (ko) 1983-08-26

Family

ID=7251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8317U KR830001615Y1 (ko) 1979-03-23 1982-10-22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6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96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223050C2 (de) Vorrichtung zum Formschneiden vorlaufender Werkstoffbahnen
KR830001615Y1 (ko) 압연기의 출구 소재 안내장치
EP0013671B1 (en) A centering and cramping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learance between sub-guide rollers, for use in a material guiding apparatus of a rolling mill
AU606568B2 (en) Apparatus for tensioning and deforming saw blades
US4212181A (en) Mechanism for automatically centering sub-guide rollers and for adjusting clamping condition of sub-guide rollers, for use in material guiding apparatus of rolling mill
GB2156726A (en) Rotary cutter
JP3655399B2 (ja) 帯刃の曲げ加工装置
KR100876184B1 (ko) 선재 횡행 가이드장치
DE2365515A1 (de) Vorrichtung zum anbiegen der enden von blechen
DE2307134A1 (de) Vorrichtung zum anbiegen der enden von blechen
JPH0446646B2 (ko)
EP0016237B1 (en) Twist roller guide device for rolling mill use
DE2709024A1 (de) Einrichtung zum trennen von rohren und stangen
JP2584003Y2 (ja) 帯板のエッジ処理装置
DE19827499C2 (de) Drückwalzrollen-Vorrichtung
DE3514464C2 (ko)
JP2706185B2 (ja) シャフト支持機構及び三方ロール装置
US4197729A (en) Hold down roll assembly for aligning longitudinal tubular edges in a tube forming apparatus
JP2809333B2 (ja) 型鋼矯正機
JPH0560630U (ja) ガイドローラーの位置決め用カラーおよびガイドローラー装置
JPH06169Y2 (ja) ローラガイドの芯間調整装置
JPH049046Y2 (ko)
JPS60191614A (ja) 搬送ロ−ラテ−ブル
US2209337A (en) Rod and tube straightening machine
JPH07116903A (ja) 開先加工機における倣い切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