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714A - 광통신용 송신모듈 - Google Patents

광통신용 송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714A
KR20040033714A KR1020020062942A KR20020062942A KR20040033714A KR 20040033714 A KR20040033714 A KR 20040033714A KR 1020020062942 A KR1020020062942 A KR 1020020062942A KR 20020062942 A KR20020062942 A KR 20020062942A KR 20040033714 A KR20040033714 A KR 20040033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ntegrated circuit
optical
circuit device
optical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철
권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일진
Priority to KR102002006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3714A/ko
Publication of KR2004003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광통신용 송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조를 일부 달리하여 광집적회로소자를 몸체에 고정할 경우 상기 몸체의 제1접점패턴을 통해 주어지는 전기신호를 광집적회로소자까지 전달하는 제1전극과 제3전극의 연결이 별도의 구성에 의하지 않고 직접 접촉상태로 연결되도록 함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에 형성된 볼록부 양측면 형태와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양측면 형태를 테이퍼진 경사상태로하여 상기 광집적회로소자를 몸체에 고정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볼록부를 오목부 내로 끼울 때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의 하방 이동위치가 처음부터 정확하지 못하더라도 그 끼워짐이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몸체(1)의 상부면에 광집적회로소자(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위치 정열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6)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하부면에는 오목부(6)와 함께 광집적회로소자(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위치 정열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볼록부(7)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에는 광집적회로소자(4)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1전극(9) 및 제2전극(11)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에는 제1,2전극(9)(11)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4)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3전극(13) 및 제4전극(14)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제3,4전극(13)(14)중 제3전극(13)이 몸체(1)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가 몸체(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전극(13)이 제1전극(9)에 직접 접촉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오목부(6)의 양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오목경사면(6a)이 형성됨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4)에 형성된 볼록부 (7)양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볼록경사면(7a)이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가 몸체(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오목경사면(6a)과 볼록경사면(7a)이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고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통신용 송신모듈{tramsmitting module for optical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광통신용 송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일부 달리하여 송신을 위한 광신호의 흐름이 전극의 집적적인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송신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큰 폭으로 줄어들도록 함과 함께 조립과정에서 몸체에 광집적회로소자를 결합할 때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의 파손도 방지되도록 함에 따라 불량률도 큰 폭으로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을 위해서는 전기신호를 받아 광신호로 바꾼 다음 이를 송신하는 송신모듈과, 상기 송신모듈에 의해 광신호로 바뀌어진 광신호를 받아 이를 다시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신하는 수신모듈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최근 정보화시대가 도래하면서 많은 량의 정보를 신속히 전송할 수 있는 광통신기술이 보편화되고 있어 광통신에 대한 모듈 관련기술의 개발 또한 급속화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 광통신을 위한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중 전기신호를 받아 광신호로 바꾼 다음 이를 송신하는 송신모듈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송신모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여러 구성요소를 탑재하기 위한 몸체(101)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 전방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송신을 위한 광신호를 수신모듈 쪽으로 전송하는 광화이버(102)와, 상기 몸체(101)의 상부면 후방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받아 구동되면서 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활성층(103)을 통해 출광시켜 주는 광집적회로소자(10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몸체(101)의 상부면 전방부에 V자형상의 요입부(105)가 수평되게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로 광화이버(102)의 일단부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몸체(101)의 상부면 전방부에 광화이버(102)가 결합된다.
또한 몸체(101)의 상부면 후방부에 양측면이 수직상태를 이루는 오목부(106)가 형성되고, 광집적회로소자(104)의 하부면에는 양측면이 수직상태를 이루는 볼록부(107)가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의 볼록부(107)가 몸체(101)의 오목부(106)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몸체(101)의 상부면 후방부에 광집적회로소자(104)가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01)의 상부면중 오목부(106)와 일정간격 이격된 일측 적소에는 제1접점패턴(108)과 이어되게 제1전극(109)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에 형성된 오목부(106) 내에는 제2접점패턴(110)과 이어지게 제2전극(111)이 형성되며,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의 상부면에는 리드와이어(112)에 의해 제1전극(109)과 연결되게 제3전극(11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의 볼록부(107) 하부면에는 제2전극(111)과 직접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게 제4전극(1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광통신용 송신모듈의 조립과정에 대해 먼저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101)의 상부면 전방부에 형성된 V자형의 요입부(105)로 광화이버(102)의 일단부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광화이버(102)를 다른 수단을 이용해 몸체(101)에 고정시킨다.
이후 몸체(101)의 상부면 후방부에 형성된 오목부(106)로 광집적회로소자(104)의 볼록부(107)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볼록부를 오목부(106)에 솔더로서 고정하면 광집적회로소자(104)는 몸체(10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 되는데,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의 볼록부(107)를 몸체(101)의 오목부(106)에 끼워 솔더로서 고정하는 과정에서는 광집적회로소자(104)를 좌,우로 수평이동시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의 활성층(103) 중심이 광화이버(102)의 중심과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의 활성층(103)을 광화이버(102)에 정합(整合) 시키는 위치정열 과정도 함께 거쳐야 한다.
상기에서 광집적회로소자(104)를 몸체(10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상부면 후방부에 형성된 오목부(106)로 광집적회로소자(104)의 볼록부(107)를 끼워 넣을 때와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의 활성층(103) 중심이 광화이버(102)의 중심과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를 좌,우로 수평이동시킬 때는 상기 광집적회로소자를 별도의 자동화장치로서 클림핑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과정에 의해 광집적회로소자(104)가 몸체(101)에 고정 완료되고 나면, 상기 몸체의 상부면중 오목부(106)와 일정간격 이격된 일측 적소에 제1접점패턴(108)과 이어되게 형성된 제1전극(109)으로 리드와이어(112)의 일단을 접촉시킨 다음 솔더로서 연결함과 함께 상기 몸체(101)에 형성된 오목부(106) 내에 제2접점패턴(110)과 이어지게 형성된 제2전극(111)으로 리드와이어(112)의 타단을 접촉시킨 다음 솔더로서 연결하면 결국 종래 광통신용 송신모듈이 동작 가능한 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이와 같은 여러 과정을 거쳐 조립 완료된 종래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사용하여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꾼 다음 송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광집적회로소자(104)의 구동을 위한 외부의 전기신호가 몸체(101)에 형성된 제1접점패턴(108)과 함께 제2접점패턴(110)을 통해 주어지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중 제1접점패턴(108)을 통해 주어진 전기신호는 상기 제1접점패턴과 이어진 상태로 몸체(101)의 상부면 적소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전극(107)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1전극에는 리드와이어(112)의 일단이 접촉되어 솔더로서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104)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3전극(113)에는 상기 리드와이어(112)의 타단이 접촉되어 솔더로서 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제1전극(107)으로 전달된 전기신호가 계속해서 리드와이어(112)를 통해 제3전극(113)으로 전달되면서 광집적회로소자(104)로 공급되고, 제2접점패턴(110)을 통해 주어진 전기신호는 상기 제2접점패턴과 이어진 상태로 몸체(101)의 오목부(106)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111)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2전극에는 광집적회로소자(104)의 볼록부(107) 하부면에 형성된 제4전극(114)이 접촉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제2전극(111)으로 전달된 전기신호가 계속해서 제4전극(114)으로 전달되면서 광집적회로소자(104)로 공급되는데, 이때 광집적회로소자가 상기 전달된 전기신호에 따라 구동하면서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에서 발생된 빛은 활성층(103)을 통해 수평상태로 출광되고, 상기 출광된 빛은 몸체(101)의 상부면 전방부에 형성된 V자형의 요입부(105)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광화이버(102)에 입광된 후 상기 광화이버를 통해 전송되므로 결국 전기신호가 광신호로 바뀌어 송신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광통신용 송신모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몸체(101)에 형성된 제1전극(107)과 광집적회로소자(104)에 형성된 제3전극(113)이 리드와이어(112)로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중 상기 제1전극(107)과 이어진 상태로 형성된 제1접점패턴(108)을 통해 주어진 전기신호가 광집적회로소자(104)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율이 높아 고속 광통신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은 물론 조립과정에서는 리드와이어(112)의 연결을 위한 작업이 쉽지가 않아 조립작업성의 저하로 인해 생산성도 떨어진다.
둘째, 광집적회로소자(104)에 형성된 볼록부(107) 양측면이 수직형태를 이루고 있고, 몸체(101)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106)의 양측면 또한 수직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를 몸체(101)에 고정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볼록부(107)를 오목부(106) 내로 끼울 때 상기 광집적회로소자(104)의 하방 이동위치가 처음부터 정확하지 못하다면 이동되는 어느 순간 볼록부(107)의 하단 일부가 몸체(101)에 간섭되면서 깨지게 되어 결국 송신모듈이 불량으로 나타나고, 상기 불량율이 높아지면 하나의 송신모듈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지출이 늘어나 제품의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광집적회로소자를 몸체에 고정할 경우 상기 몸체의 제1접점패턴을 통해 주어지는 전기신호를 광집적회로소자까지 전달하는 구성요소인 제1전극과 제3전극의 연결이 별도의 구성에 의하지 않고 집적 연결되도록 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광집적회로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율이 최소화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집적회로소자에 형성된 볼록부 양측면 형태와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양측면 형태를 테이퍼진 경사상태로하여 상기 광집적회로소자를 몸체에 고정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볼록부를 오목부 내로 끼울 때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의 하방 이동위치가 처음부터 정확하지 못하여 이동되는 어느 순간 볼록부의 하단 일부가 몸체에 간섭되더라도 자연스럽게 곧바로 미끄러지면서 무리없이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불량율이 낮아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결합상태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결합상태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4. 광직접회로소자
5. 요입부 6. 오목부
6a. 오목경사면 7. 볼록부
7a. 볼록경사면 9. 제1전극
11. 제2전극 13. 제3전극
14. 제4전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몸체의 상부면에 광집적회로소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위치 정열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의 하부면에는 오목부와 함께 광집적회로소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위치 정열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광집적회로소자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에는 제1,2전극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3전극 및 제4전극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제3,4전극중 제3전극이 몸체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가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전극이 제1전극에 직접 접촉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양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오목경사면이 형성됨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에 형성된 볼록부 양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볼록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가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오목경사면와 볼록경사면가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고 있도록 한 광통신용 송신모듈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결합상태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 송신모듈은 여러 구성요소를 탑재하기 위한 몸체(1)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 전방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송신을 위한 광신호를 수신모듈 쪽으로 전송하는 광화이버(2)와, 상기 몸체(1)의 상부면 후방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받아 구동되면서 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활성층(3)을 통해 출광시켜 주는 광집적회로소자(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몸체(1)의 상부면 전방부에 V자형상의 요입부(5)가 수평되게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로 광화이버(2)의 일단부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몸체(1)의 상부면 전방부에 광화이버(2)가 결합된다.
또한 몸체(1)의 상부면 후방부에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소록 내향경사지게 오목경사면(6a)을 갖는 오목부(6)가 형성되고, 광집적회로소자(4)의 하부면에는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볼록경사면(7a)을 갖는 볼록부(7)가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볼록부(7)가 몸체(1)의 오목부(6)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몸체(1)의 상부면 후방부에 광집적회로소자(4)가 결합된다.
상기에서 오목부(6)의 오목경사면(6a) 경사각도는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오목부(6)의 내부에 제2전극(11)을 충분히 형성할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이 확보되는 범위내이면서 볼록부(7)의 볼록경사면(7a)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적당히 설정하면 되는데, 상기 오목경사면(6a)의 각도가 임의의 수직선상에 대해 너무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면 제2전극(11)을 형성하는 부분인 오목부(6)의 내부면적이 너무 좁아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몸체(1)의 상부면중 오목부(6)와 일정간격 이격된 일측 적소에는 제1접점패턴(8)과 이어되게 제1전극(9)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오목부(6) 내에는 제2접점패턴(10)과 이어지게 제2전극(11)이 형성되며,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하부면 일측에는 제1전극(9)과 직접 접촉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3전극(13)이 형성되고,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볼록부(7) 하부면에는 제2전극(1)과 직접 접촉되게 연결된 상태로 제4전극(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광통신용 송신모듈의 조립과정에 대해 먼저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상부면 전방부에 형성된 V자형의 요입부(5)로 광화이버(2)의 일단부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광화이버를 다른 수단을 이용해 몸체(1)에 고정시킨다.
이후 몸체(1)의 상부면 후방부에 형성된 오목부(6)로 광집적회로소자(4)의볼록부(7)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볼록부를 오목부(6)에 솔더로서 고정하면 광집적회로소자(4)는 몸체(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 되는데,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볼록부(7)를 몸체(1)의 오목부(6)에 끼워 솔더로서 고정하는 과정에서는 광집적회로소자(4)를 좌,우로 약간씩 수평이동시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의 활성층(3) 중심이 광화이버(2)의 중심과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활성층(3)을 광화이버(2)에 정합(整合) 시키는 위치정열 과정도 함께 거쳐야 한다.
상기에서 광집적회로소자(4)를 몸체(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상부면 후방부에 형성된 오목부(6)로 광집적회로소자(4)의 볼록부(7)를 끼워 넣을 때와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활성층(3) 중심이 광화이버(2)의 중심과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를 좌,우로 수평이동시킬 때는 상기 광집적회로소자를 별도의 자동화장치로서 클림핑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광집적회로소자(4)를 몸체(1)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에 형성된 볼록부(7)를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오목부(6)로 끼우는 과정에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하부이동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 볼록부(7)의 하단 일부가 몸체(1)에 일단 간섭되더라도 상기 오목부(6)는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오목경사면(6a)을 갖고 있음은 물론 볼록부(7)도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볼록경사면(7a)을 갖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볼록부(7)는 이후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오목부(6)에 원활히 끼워짐에 따라 광집적회로소자(4)를 몸체(1)에 결합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에 형성된 볼록부(7)가 파손되거나 하는 일은 거의 발생되지 않게된다.
또한 광집적회로소자(4)가 몸체(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3전극(13)이 몸체(1)의 상부면에 제1접점패턴(8)과 이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전극(9)과 직접 접촉되어 연결됨은 물론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볼록부(7) 하부면에 형성된 제4전극(14)이 몸체(1)의 오목부(6) 내에 제2접점패턴(10)과 이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11)과 직접 접촉되어 연결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 광통신용 송신모듈이 동작 가능한 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이와 같은 여러 과정을 거쳐 조립 완료된 본 고안 광통신용 송신모듈을 사용하여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꾼 다음 송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집적회로소자(4)의 구동을 위한 외부의 전기신호가 몸체(1)에 형성된 제1접점패턴(8)과 함께 제2접점패턴(10)을 통해 주어지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중 제1접점패턴(8)을 통해 주어진 전기신호는 상기 제1접점패턴과 이어진 상태로 몸체(1)의 상부면 적소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전극(9)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1전극에는 광집적회로소자(4)에 형성된 제3전극(13)이 직접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제1전극(9)으로 전달된 전기신호가 계속해서 제3전극(13)으로 전달되면서 광집적회로소자(4)로 공급되고, 제2접점패턴(10)을 통해 주어진 전기신호는 상기 제2접점패턴과 이어진 상태로 몸체(1)의 오목부(6)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11)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2전극에는광집적회로소자(4)의 볼록부(7)에 형성된 제4전극(14)이 직접 접촉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제2전극(11)으로 전달된 전기신호가 계속해서 제4전극(14)으로 전달되면서 광집적회로소자(4)로 공급되는데, 이때 광집적회로소자가 상기 전달된 전기신호에 따라 구동하면서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에서 발생된 빛은 활성층(3)을 통해 수평상태로 출광되고, 상기 출광된 빛은 몸체(1)의 상부면 전방부에 형성된 V자형의 요입부(5)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광화이버(2)에 입광된 후 상기 광화이버를 통해 전송되므로 결국 전기신호가 광신호로 바뀌어 송신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 몸체(1)에 형성된 제1전극(9)과 광집적회로소자(4)에 형성된 제3전극(13)이 직접 접촉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중 상기 제1전극(9)과 이어진 상태로 형성된 제1접점패턴(8)을 통해 주어진 전기신호가 광집적회로소자(4)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율이 매우 낮아 고속 광통신에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함은 물론 조립과정에서는 종래에서 처럼 별도로 리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작업성의 향상으로 인해 생산성도 향상된다.
둘째, 광집적회로소자(4)에 형성된 볼록부(7)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볼록경사면(7a)을 이루고 있고, 몸체(1)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6)의 양측면 또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오목경사면(6a)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를 몸체(1)에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볼록부(7)를 오목부(6) 내로 끼울 때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하방 이동위치가 처음부터 정확하지 못하여 이동되는 어느 순간 볼록부(7)의 하단 일부가 몸체(1)에 간섭되더라도 곧바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끼워짐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광집적회로소자(4)의 볼록부(7)가 깨지거나 하지 않아 결국 송신모듈의 불량율이 낮아지고, 이는 하나의 송신모듈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지출이 줄어들어 제품의 가격을 낮출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몸체의 상부면에 광집적회로소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위치 정열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의 하부면에는 오목부와 함께 광집적회로소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위치 정열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광집적회로소자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광집적회로소자에는 제1,2전극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3전극 및 제4전극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제3,4전극중 제3전극이 몸체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가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전극이 제1전극에 직접 접촉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양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오목경사면이 형성됨과 함께 광집적회로소자에 형성된 볼록부 양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향경사지게 볼록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광집적회로소자가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오목경사면과 볼록경사면이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고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용 송신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목부의 오목경사면과 볼록부의 볼록경사면의 경사각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용 송신모듈.
KR1020020062942A 2002-10-15 2002-10-15 광통신용 송신모듈 KR20040033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942A KR20040033714A (ko) 2002-10-15 2002-10-15 광통신용 송신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942A KR20040033714A (ko) 2002-10-15 2002-10-15 광통신용 송신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714A true KR20040033714A (ko) 2004-04-28

Family

ID=3733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942A KR20040033714A (ko) 2002-10-15 2002-10-15 광통신용 송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37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732B1 (ko) * 2006-09-29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배선 커넥터 모듈 및 그 모듈을 포함한 광전 통신 모듈
KR100927592B1 (ko) * 2007-08-10 2009-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 인쇄회로 모듈 및 그 모듈을 포함하는 광전 동시 통신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243A (ja) * 1996-05-31 1997-12-16 Kyocera Corp 光混成集積回路装置
JP2001015814A (ja) * 1999-06-30 2001-01-19 Kyocera Corp 光部品実装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モジュール
JP2001284696A (ja) * 2000-03-30 2001-10-12 Kyocera Corp 光実装基板および光モジュール
JP2001345455A (ja) * 2000-04-28 2001-12-14 Kyocera Corp 光半導体素子キャリア及びその実装構造
US6454468B1 (en) * 1998-09-24 2002-09-24 Lg. Cable & Machinery,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aser diode chip, optical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and method for aligning posi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243A (ja) * 1996-05-31 1997-12-16 Kyocera Corp 光混成集積回路装置
US6454468B1 (en) * 1998-09-24 2002-09-24 Lg. Cable & Machinery,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aser diode chip, optical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and method for aligning positions thereof
JP2001015814A (ja) * 1999-06-30 2001-01-19 Kyocera Corp 光部品実装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モジュール
JP2001284696A (ja) * 2000-03-30 2001-10-12 Kyocera Corp 光実装基板および光モジュール
JP2001345455A (ja) * 2000-04-28 2001-12-14 Kyocera Corp 光半導体素子キャリア及びその実装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732B1 (ko) * 2006-09-29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배선 커넥터 모듈 및 그 모듈을 포함한 광전 통신 모듈
US8363988B2 (en) 2006-09-29 2013-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o-electronic connector module and opto-electronic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same
KR100927592B1 (ko) * 2007-08-10 2009-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 인쇄회로 모듈 및 그 모듈을 포함하는 광전 동시 통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1250B (zh) 電氣至光學及光學至電氣轉換頭插頭
US7263256B2 (en) Optical connection block, optical module, and optical axis alignment method using the same
US6843608B2 (en) Transparent substrate and hinged optical assembly
US4744626A (en) Connector for optical fiber and receiving or emitting photoelement and method of positioning an optical fiber endface relative to photoemitter
US20040105630A1 (en) Parallel fiber optics communications module
KR101930977B1 (ko) 광소자모듈 및 광정렬결합구조를 구비하는 광커넥터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플러그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179171A (ja) 集積マウント、集積マウントアセンブリ、光電子パッケージおよび集積マウントの製造方法
US20170261701A1 (en) Optical module
JP2005182053A (ja) 光学バックプレーン・システムのためのカプラ・アセンブリ
CN105334586A (zh) 光学收发器
US20230418004A1 (en) Multi-fiber interface apparatus for photonic integrated circuit
EP1202095B1 (en) Electro-optical connection module
US20140092565A1 (en) Optical module with an electronic connector aligned with a substrate and a method to assemble the same
KR20040033714A (ko) 광통신용 송신모듈
US4438338A (en) Low profile optical coupling for an optoelectronic module
CN1154745A (zh) 光学小型密封壳
US6659657B2 (en) Easily assembled transceiver module with high yield rate
US69023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parallel optical transceiver package
JP3818107B2 (ja) 光通信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3029094A (ja) 光伝送装置
CN105093435B (zh) 光传输模块
JP3348122B2 (ja) 光伝送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916419B (zh) 用于光电模块的电耦合配件和方法
CN115441949B (zh) 光电讯号转换传输装置
CN215682290U (zh) 光电讯号转换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