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5Y1 -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335Y1 KR200400335Y1 KR20-2005-0022619U KR20050022619U KR200400335Y1 KR 200400335 Y1 KR200400335 Y1 KR 200400335Y1 KR 20050022619 U KR20050022619 U KR 20050022619U KR 200400335 Y1 KR200400335 Y1 KR 2004003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k
- locking
- forklift
- shaft
- coupling pi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05—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리지의 중간부에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어있는 축봉을 형성하고, 상기 축봉상에 복수개의 결합관을 끼워 결합하며, 상기 결합관에 포크의 수직부 끝단에 'U'자 형으로 휘어져 형성된 걸림부를 걸어서 장착하되, 걸림부의 상측으로 고정핀을 삽입하여 결합관과 결합되도록 하고,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레버 또는 조작스위치 조작에 따라 포크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켜 운전자가 승차상태에서 간편하게 포크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간편한 레버 또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포크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들려져 접혀짐에 따라 지게차의 이동시 포크를 접은상태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축봉의 외주면상에 그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된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에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므로서 유압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관에 장착된 포크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간편한 레버 또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포크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들려져 접혀짐에 따라 지게차의 이동시 포크를 접은상태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축봉의 외주면상에 그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된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에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므로서 유압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관에 장착된 포크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하물(何物)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공간내에서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1)가 제공되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레일(2)이 설치된다. 그리고, 마스트레일(2)에는 상기 마스트레일(2)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캐리지(10)가 조립되며, 이 캐리지(10)에 하물을 받치는 한쌍의 포크(20)가 설치된다.
도 2 는 상기한 지게차의 포크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캐리지(10)의 중간부에 상하로 나란하게 상부보드(12)와 하부보드(14)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보드(12)와 하부보드(14)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보드(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보드(12)의 상면과 하부보드(14)의 밑면에는 한 쌍의 포크(20)가 이동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레일(12a,14a)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보드(12)의 조립레일(12a)에는 포크(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홈(18)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크(20)는 수직부(22)와, 수직부(2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뻗어 있는 수평부(24)로 구성된다. 특히 수직부(22)의 후면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캐리지(10)의 상부보드(12)와 하부보드(14)의 조립레일(12a,14a)에 걸어지는 상부후크(26)와 하부후크(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크(20)는 캐리지(10)의 상부보드(12)와 하부보드(14)를 따라 이동하면서 그 간격이 조절되며, 그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캐리지(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하는 포크고정핀(30)이 포크(20)의 수직부(22)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크고정구조는 단순히 포크가 캐리지(10)의 상부보드(12)에 걸려진 구조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포크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접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인해 지게차가 위치 이동을 위해 도로를 주행할때에는 포크가 전방을 향해 펴진 상태로 주행할 수 밖에 없어서 매우 위험하고, 자칫 잘못하면 포크에 의해 타 차량이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캐리지의 중간부에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어있는 축봉을 형성하고, 상기 축봉상에 복수개의 결합관을 끼워 결합하며, 상기 결합관에 포크의 수직부 끝단에 'U'자 형으로 휘어져 형성된 걸림부를 걸어서 장착하되, 걸림부의 상측으로 고정핀을 삽입하여 결합관과 결합되도록 하고,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레버 또는 조작스위치 조작에 따라 포크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켜 운전자가 승차상태에서 간편하게 포크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간편한 레버 또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포크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들려져 접혀짐에 따라 지게차의 이동시 포크를 접은상태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축봉의 외주면상에 그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된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에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므로서 유압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관에 장착된 포크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 제 1 항에 의하여,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캐리지에 한쌍의 포크가 결합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0)의 중간부에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52)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축봉(50)을 끼워 결합하고, 캐리지(10)의 측면부에 상기 축봉(50)을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유압모터(56)를 형성하며, 상기 축봉(50)상에 복수개의 결합관(54)을 일정간격으로 끼워 결합하고, 상기 결합관(54)에 포크(60)의 수직부(62) 끝단에 'U'자 형으로 휘어져 형성된 걸림부(63)를 걸어서 장착하되,
상기 걸림부(63)의 상측으로 고정핀(65)을 삽입하여 결합관(54)과 걸림부(63)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관(54)의 일측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끼움홈(52)에 끼워져 결합관(54)이 축봉(50)에 록킹되도록 하는 제 1 록킹핀(74)을 구비한 제 1 록킹수단(70)을 형성하며, 상기 포크(60)의 수직부(62) 중간부에는 하부보드(53)의 록킹홈(53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포크(60)가 하부보드(53)에 록킹되도록 하는 제 2 록킹수단(8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항에 의하여,
상기 제 1 록킹수단(70)은 결합관(54)의 하단 일측으로 제 1 록킹핀(74)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73)를 구비하면서 그 상측으로 핀홀(76)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7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71) 내부에 리턴스프링(75)에 의해 끼움홈(52)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있는 제 1 록킹핀(74)을 형성하며, 상기 록킹핀(74)의 일측으로 일정길이의 와이어 결속바(77)를 돌출 형성하고, 이 와이어 결속바(77)에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와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0)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항에 의하여,
상기 제 2 록킹수단(80)은 포크(60)의 수직부(62) 중간부 배면에 하부보드(5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정길이의 수평바(81)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81)의 상면에는 와이어인출홀(84)이 형성된 커버(83)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커버(82)의 내측으로 리턴스프링(87)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제 2 록킹핀(85)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보드(53)의 상면에는 제 1 록킹핀(85)이 끼워져 결속되기 위한 록킹홈(53a)을 형성하되,
상기 록킹핀(85)의 상부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와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1)가 결합되기 위한 고리(8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항에 의하여,
지게차의 운전석에 별도의 조작스위치(97)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스위치(97)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정역회전하는 모터(95) 및 그 모터(95)의 구동축상에 축지된 권취롤러(96)를 형성하되, 상기 권취롤러(96)에 제 1 및 제 2 록킹수단(70,80)과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0,91)를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항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는 고정핀이 끼워지기 위한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에는 고정핀이 삽입되기 위한 핀홈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항에 의하여,
상기 축봉의 외주면에는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는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봉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결합관의 내주면에는 숫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축봉이 일방향으로 회전할때 축봉에 결합된 결합관이 외곽으로 벌어지거나 중심을 향해 오므라들면서 포크의 설치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0 은 캐리지를 나타내고, 상기 캐리지(10)에는 한쌍의 포크(60)가 걸려져 장착된다.
상기 캐리지(10)의 중간부분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일정길이의 축봉(50)을 수평하게 끼워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축봉(50)의 외주면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홈(52)을 요입 형성하며, 상기 축봉(50)의 하측으로는 포크(6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보드(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캐리지(10)의 일측에는 상기 축봉(50)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유압모터(56)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보드(53)의 중간부와 축봉(50)의 중간부를 중심지지부(57)로서 상호 연결하되, 상기 중심지지부(57)의 상측부가 축봉(50)의 중심부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중심지지부(57)가 축봉(50)을 지지토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축봉(50)의 양측에는 결합관(54)을 끼워 결합하는데, 상기 결합관(54)의 상부면에는 후설하는 고정핀(65)이 삽입되기 위한 핀홈(64a)이 형성된다.
한편, 포크(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부(61)와 수직부(6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직부(62)의 끝단부에는 결합관(54)외측으로 걸려지기 위한 걸림부(63)가 'U'자 모양으로 휘어져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63)의 상부에는 고정핀(65)이 삽입되기 위한 핀홀(6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상기 포크(60)의 걸림부(63)를 축봉(50)의 외주연에 끼워져있는 결합관(54)에 걸어준 상태에서 핀홀(64)로 고정핀(65)을 끼워넣어 결합관(54)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어 있는 핀홈(64a)에 삽입되도록 하므로서, 포크(60)가 결합관(54)에 걸려지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관(54)의 상단 일측에는 결합관(54)이 축봉(50)에 결속되도록 하여 포크(60)의 젖혀짐 동작이 가능토록하는 제 1 록킹수단(7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록킹수단(7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관(54)의 하단 일측으로 제 1 록킹핀(74)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73)를 구비하면서 그 상측으로 핀홀(76)이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슬릿홈(7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7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71) 내부에는 리턴스프링(75)에 의해 끼움홈(52)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제 1 록킹핀(7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핀(74)의 일측으로 일정길이의 와이어 결속바(77)를 돌출시켜 슬릿홈(72)을 통해 하우징(71) 외부로 돌출되도록하고, 이 와이어 결속바(77)에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와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에따라, 와이어(90)가 당겨지지 않은 평상시, 즉, 포크(60)를 접지 않을때에는 도 6 과같이 제 1 록킹핀(74)이 리턴스프링(75)의 탄성에 의해 끼움홈(52)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존재하여 포크(60)의 접혀짐 동작이 구현되지 않게되며, 사용자가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레버(93)를 조작하여 와이어(90)를 당겨주게되면 도 7 과같이 제 1 록킹핀(74)이 리턴스프링(75)의 탄성을 이기고 상승하여 끼움홈(52)에 끼워짐으로서 축봉(50)의 회전에 의해 포크(60)가 상측으로 들려져 접혀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는 포크(60)를 펼친상태로 사용할때 포크(60)의 흔들림이나 유동 및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록킹수단(8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록킹수단(80)은 포크(60)의 수직부(62)상에,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부(62)의 중간부 배면에 하부보드(5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정길이의 수평바(81)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81)의 상면에는 와이어인출홀(84)이 형성된 커버(83)를 돌출 형성하여 이 커버(83)의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바(81)에는 제 1 록킹핀(85)이 통과할 수 있는 핀홀(8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82)의 내측으로 리턴스프링(87)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제 2 록킹핀(85)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보드(53)의 상면에는 제 2 록킹핀(85)이 끼워져 결속되기 위한 록킹홈(53a)을 형성하되,
상기 록킹핀(85)의 상부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와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1)가 결합되기 위한 고리(86)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91)를 고리(86)에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레버(93) 조작에 의해 와이어(91)가 당겨짐에 따라 제 2 록킹핀(85)이 하부보드(53)의 록킹홈(53a)으로 부터 이탈되어 포크(60)의 젖혀짐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 1 록킹수단(70)과 제 2 록킹수단(80)은 기구식 또는 자동식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와같이 제 1 록킹수단(70)과 제 2 록킹수단(80)에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0,91)를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에 연결함에 따라 운전석에 탑승한 사용자가 조작레버(93)를 조작하여 와이어(90,91)를 당겨줌에 따라 제 1 록킹수단(70)의 제 1 록킹핀(74)은 끼움홈(52)에 끼워지고 제 2 록킹수단(80)의 제 2 록킹핀(85)은 하부보드(53)의 록킹홈(53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포크(60)의 젖혀짐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 10 과같이 운전석에 별도의 온/오프 조작스위치(97)를 설치하고, 이 조작스위치(97)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정역회전 작동하는 모터(95)를 형성하며, 상기 모터(95)의 구동축에 와이어(90,91)의 일단이 권취된 권취롤러(96)를 축결합한 상태에서 와이어(90,91)의 타단을 제 1 및 제 2 록킹수단(70,80)에 연결하므로서,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로 조작스위치(97)를 온동작시킴에 따라 모터(9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롤러(96)를 회전시켜 와이어(90,91)가 당겨지도록 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록킹수단(70,80)이 작동하여 포크(60)의 젖혀짐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90,91)는 록킹수단(70,80)에서 운전석의 조작레버(93) 또는 권취롤러(96)에 연결될때 지게차의 요소요소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러(92)에 의해 안내되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 또는 조작스위치(97)를 조작함에 따라 와이어(90,91)가 당겨지면서 제 1 록킹핀(74)이 축봉(50)의 끼움홈(52)에 끼워지고, 제 2 록킹핀(85)이 하부보드(53)의 록킹홈(53a)으로 부터 이탈되므로서, 포크(60)의 젖혀짐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미도시된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유압모터(56)를 90도 회전시키게되면, 상기 유압모터(56)의 구동에 의해 축봉(50)이 90도 회전하게되고, 이에의해 상기 축봉(50)에 제 1 록킹핀(74)이 결속된 결합관(54)이 연동회전하게되므로 도 5 와같이 포크(60)가 축봉(50)과 함께 90도 회전하여 상측을 향하도록 접혀지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포크(60)가 90도 회전하여 상측으로 접혀지게되면, 지게차가 도로상을 주행할때 포크(60)가 하늘을 향해 접혀진 상태를 도로주행을 실시할 수 있게되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축봉(50)에 걸려진 포크(60)의 설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된다.
이를위해 상기 축봉(50)의 외주면에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는 숫나사부(58,59)를 형성하고, 상기 축봉(5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결합관(54)의 내주면에는 숫나사부(58,59)에 대응하는 암나사부(55)를 형성하여 유압모터(56)의 회전에 의해 축봉(5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때 축봉(50)에 결합된 결합관(54)이 외곽으로 벌어지거나 중심을 향해 오므라들면서 포크(60)의 설치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축봉(5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상기 축봉(50)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숫사사부(58,59)가 가공되어 있으므로 축봉(50)에 끼워져있는 2개의 결합관(54)이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포크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은 본 고안은 지게차 사용중 포크의 구조상 가장 취약한 부위를 현재 널리 사용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포그에 엘보우상태 그래도 유지하므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종래에는 포크의 수직부 끝단에 걸림체를 용접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포크의 수직부 끝단에 걸림부를 'U'자형으로 벤딩하여 더욱 안정성 및 강도가 확보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포크(60)를 접을때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하차하지 않고 탑승상태에서 간편하게 조작레버(93) 또는 조작스위치(97)를 조작하여 포크(60)가 접힘 가능상태로 전이되도록 한 후 포크(60)를 접어줄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포크(60)를 접어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캐리지의 중간부에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어있는 축봉을 형성하고, 상기 축봉상에 복수개의 결합관을 끼워 결합하며, 상기 결합관에 포크의 수직부 끝단에 'U'자 형으로 휘어져 형성된 걸림부를 걸어서 장착하되, 걸림부의 상측으로 고정핀을 삽입하여 결합관과 결합되도록 하고,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레버 또는 조작스위치 조작에 따라 포크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켜 운전자가 승차상태에서 간편하게 포크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간편한 레버 또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포크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들려져 접혀짐에 따라 지게차의 이동시 포크를 접은상태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축봉의 외주면상에 그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된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에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므로서 유압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관에 장착된 포크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지게차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지게차의 포크 고정구조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고안의 지게차의 포크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접혀짐이 가능한 포크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접혀짐이 가능한 포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제 1 록킹수단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제 1 록킹수단의 록킹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제 2 록킹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리지, 50: 축봉,
52: 끼움홈, 53: 하부보드,
54: 결합관, 55: 암나사부,
56: 유압모터, 57: 중심지지부,
58,59: 숫나사부, 60: 포크,
61: 수평부, 62: 수직부,
63: 걸림부, 64: 핀홀,
65: 고정핀, 70: 제 1 록킹수단,
71: 하우징, 72: 슬릿홈,
73: 공간부, 74: 제 1 록킹핀,
75: 리턴스프링, 76: 핀홀,
80: 제 2 록킹수단, 95: 모터,
Claims (6)
-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캐리지에 한쌍의 포크가 결합되는 지게차에 있어서,상기 캐리지(10)의 중간부에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52)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축봉(50)을 끼워 결합하고, 캐리지(10)의 측면부에 상기 축봉(50)을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유압모터(56)를 형성하며, 상기 축봉(50)상에 복수개의 결합관(54)을 일정간격으로 끼워 결합하고, 상기 결합관(54)에 포크(60)의 수직부(62) 끝단에 'U'자 형으로 휘어져 형성된 걸림부(63)를 걸어서 장착하되,상기 걸림부(63)의 상측으로 고정핀(65)을 삽입하여 결합관(54)과 걸림부(63)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관(54)의 일측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끼움홈(52)에 끼워져 결합관(54)이 축봉(50)에 록킹되도록 하는 제 1 록킹핀(74)을 구비한 제 1 록킹수단(70)을 형성하며, 상기 포크(60)의 수직부(62) 중간부에는 하부보드(53)의 록킹홈(53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포크(60)가 하부보드(53)에 록킹되도록 하는 제 2 록킹수단(8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록킹수단(70)은 결합관(54)의 하단 일측으로 제 1 록킹핀(74)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73)를 구비하면서 그 상측으로 핀홀(76)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7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71) 내부에 리턴스프링(75)에 의해 끼움홈(52)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있는 제 1 록킹핀(74)을 형성하며, 상기 록킹핀(74)의 일측으로 일정길이의 와이어 결속바(77)를 돌출 형성하고, 이 와이어 결속바(77)에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와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0)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록킹수단(80)은 포크(60)의 수직부(62) 중간부 배면에 하부보드(5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정길이의 수평바(81)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81)의 상면에는 와이어인출홀(84)이 형성된 커버(83)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커버(82)의 내측으로 리턴스프링(87)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제 2 록킹핀(85)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보드(53)의 상면에는 제 1 록킹핀(85)이 끼워져 결속되기 위한 록킹홈(53a)을 형성하되,상기 록킹핀(85)의 상부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93)와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1)가 결합되기 위한 고리(8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지게차의 운전석에 별도의 조작스위치(97)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스위치(97)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정역회전하는 모터(95) 및 그 모터(95)의 구동축상에 축지된 권취롤러(96)를 형성하되, 상기 권취롤러(96)에 제 1 및 제 2 록킹수단(70,80)과 연결된 상태의 와이어(90,91)를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걸림부(63)의 상부에는 고정핀(65)이 끼워지기 위한 핀홀(6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54)에는 고정핀(65)이 삽입되기 위한 핀홈(64a)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축봉(50)의 외주면에는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는 숫나사부(58,59)를 형성하고, 상기 축봉(5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결합관(54)의 내주면에는 숫나사부(58,59)에 대응하는 암나사부(55)를 형성하여 유압모터(56)의 회전에 의해 축봉(5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때 축봉(50)에 결합된 결합관(54)이 외곽으로 벌어지거나 중심을 향해 오므라들면서 포크(60)의 설치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619U KR200400335Y1 (ko) | 2005-08-04 | 2005-08-04 |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619U KR200400335Y1 (ko) | 2005-08-04 | 2005-08-04 |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1235A Division KR100615457B1 (ko) | 2005-06-16 | 2005-08-04 |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35Y1 true KR200400335Y1 (ko) | 2005-11-04 |
Family
ID=4370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2619U KR200400335Y1 (ko) | 2005-08-04 | 2005-08-04 |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33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74021B2 (en) | 2018-04-06 | 2022-03-15 | The Raymond Corporation | Multi-position load detection systems and meihods |
-
2005
- 2005-08-04 KR KR20-2005-0022619U patent/KR2004003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74021B2 (en) | 2018-04-06 | 2022-03-15 | The Raymond Corporation | Multi-position load detection systems and meihods |
US11958731B2 (en) | 2018-04-06 | 2024-04-16 | The Raymond Corporation | Multi-position load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32944A1 (en) | Automatic Folding Fork Device for Forklift Trucks | |
EP3521159B1 (fr) | Atterrisseur a contrefiche a lumiere | |
CN102712271B (zh) | 用于交通工具座椅的靠背翻转机构 | |
US9683387B2 (en) | Canopy shelter link point | |
CA2987736A1 (en) | Rolling tarp enclosure system | |
CA2519516C (en) | Line magazine | |
KR200400335Y1 (ko) |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
KR20070014499A (ko) | 버스 승객용 손잡이 | |
KR100615457B1 (ko) | 자동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 |
JP2006273314A (ja) | 自転車の前後両立スタンド | |
CN203111421U (zh) | 自行车拖车上的车轮装置 | |
KR200395852Y1 (ko) | 지게차의 접혀짐이 가능한 포크장치 | |
JP2009154792A (ja) | 建設機械のサイドミラー装置 | |
KR100615453B1 (ko) | 지게차의 접혀짐이 가능한 포크장치 | |
JPH0563658B2 (ko) | ||
KR20190129344A (ko) | 맨홀용 안전 사다리 | |
JP3715820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折畳みロック装置 | |
KR100916591B1 (ko) | 포크의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 회전 구동장치 | |
JP4628259B2 (ja) | 自転車用補助車装置 | |
JP4807510B2 (ja) | 折り畳み自在搬送用台車の荷支持台係止装置 | |
EP1905665A2 (en) | Infinitley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
KR200444278Y1 (ko) | 포크의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 구동장치 | |
KR100534424B1 (ko) | 루프랙의 크로스바 간격 조절 구조 | |
JP4316079B2 (ja) | 可動梯子 | |
KR200370234Y1 (ko) | 스티어링 롤 커넥터의 중립핀 이탈 방지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