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208A -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208A
KR20040033208A KR1020020062147A KR20020062147A KR20040033208A KR 20040033208 A KR20040033208 A KR 20040033208A KR 1020020062147 A KR1020020062147 A KR 1020020062147A KR 20020062147 A KR20020062147 A KR 20020062147A KR 20040033208 A KR20040033208 A KR 2004003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low
free
shap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천
Original Assignee
고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천 filed Critical 고재천
Priority to KR102002006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3208A/ko
Publication of KR2004003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2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굴절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유롭게 원하는 방향으로 굴절이 가능하고 외압에 의해 한 번 굴절시키면 그 변형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자유굴절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적으로 내부에 제 1중공이 형성되도록 고압 튜브의 두께를 두껍게 가공하고, 2차적으로 고무 성형에 의해 철사 삽입을 위한 또 다른 크기의 제 2중공을 제 1중공의 주변에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제 2중공에 철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이 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튜브 내의 가장자리에 철사를 삽입시킴으로써 일단 튜브가 외력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굴절되면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스탠드 및 의료용 기기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Free bending tub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스탠드, 의료용 기기 등에 적용되어 자유롭게 원하는 방향으로 굴절이 가능하고 한 번 외압에 의해 굴절시키면 그 변형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자유굴절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도구로서 상수도 및 하수도, 등의 유체가 사용되는 모든 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도구이다.
튜브의 모양은 일반적으로 단면이 원형이면서 내부가 중공이고, 용도에 부합하도록 적당한 직경과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유체를 한 곳에서 원하는 곳까지 안내한다. 보통 재질로서는 황동 및 청동, 스테인레스, 철, 열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 천연고무, 천연고무의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튜브에서 재질에 따라 유동성이 있는 튜브와 유동성이 없는 튜브가 있는데 각 특성에 맞도록 적합한 용도에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튜브에 있어서 유동성이 있는 튜브에서 재질이 고무인 튜브는 일단 원하는 위치로 튜브를 굴절시키면 탄력에 의해 일반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러한 경향은 튜브의 적용범위에 많은 장점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튜브 내의 가장자리에 철사를 삽입시킴으로써 일단 튜브가 외력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굴절되면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발명은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적으로 내부에 제 1중공이 형성되도록 고압 튜브의 두께를 두껍게 가공하고, 2차적으로 고무 성형에 의해 철사 삽입을 위한 또 다른 크기의 제 2중공을 제 1중공의 주변에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제 2중공에 철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유굴절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자유굴절 튜브의 단면을 나타낸 실시예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브 본체12a,12b : 파이프
14 : 철자바라16a,16b,16c,18 : 중공(中空)
20 : 망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유굴절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자유굴절 튜브는 연질의 고무가 재질인 튜브 본체(10)와, 튜브 본체(10)의 외부 일부분에 굴곡에 의해 변형되는 철자바라(14) 및 상기 철자바라(14) 부분을 제외한 변형없는 구간을 감싸는 파이프(12a,1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자유굴절 튜브는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튜브 본체(10)내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원 형상의 중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8) 주변의 가장자리에는 또 다른 크기의 중공(16a,16b)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굴곡된 위치 고정을 위한 철사가 삽입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철자바라(14) 부분을 제외한 변형없는 구간을 감싸는 파이프(12a,12b) 삽입에 의해 튜브 나쁠의 압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자유굴절 튜브의 단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의 (a)는 모서리에 곡면을 갖는 삼각 형상의 자유굴절 튜브로서 튜브 본체(10)내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원 형상의 중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8) 주변의 가장자리에는 또 다른 크기의 중공(16a,16b,16c)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굴곡된 위치 고정을 위한 철사가 삽입되게 된다.
도 2의 (b)는 원형의 자유굴절 튜브로서 튜브 본체(10)내에 Y자 형상의 중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8) 주변의 가장자리에는 또 다른 크기의 중공(16a,16b,16c)이 형성되어 철사가 삽입되게 된다.
도 2의 (c)는 귀퉁이가 돌출된 원형의 자유굴절 튜브로서 튜브 본체(10)내에 원 형상의 중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8) 주변의 돌출된 부위에는 또 다른 크기의 중공(16a,16b,16c)이 형성되어 철사가 삽입되게 된다.
도 3의 (a)는 장방 형태의 자유굴절 튜브로서 튜브 본체(10)내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원 형상의 중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8) 주변의 가장자리에는 또 다른 크기의 중공(16a,16b)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굴곡된 위치 고정을 위한 철사가 삽입되게 된다.
도 3의 (b)는 원형의 자유굴절 튜브(10)로서 튜브 본체(10)내에 원 형상의 중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8) 주변의 가장자리에는 또 다른 크기의 중공(16a,16b,16c)이 형성되어 철사가 삽입되게 된다.
도 3의 (c)는 8자 형상의 자유굴절 튜브로서 튜브 본체(10)내에 원 형상의 중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8)과 대치되는 부분에 또 다른 크기의 중공(16)이 형성되어 철사가 삽입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자유굴절 튜브 본체(10) 내의 중공(18) 둘레에는 망사(20)가 형성되어 고압 튜브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구조의 자유굴절 튜브는 도 1에서의 압축성형과는 달리 인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즉, 1차적으로 내부가 중공(18)된 원형의 고압 튜브를 두껍게 가공하고, 2차적으로 고무 성형에 의해 철사 삽입을 위한 또다른 크기의 중공(16a,16b,16c)을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철사를 삽입하는 과정에 의해 튜브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유굴절 튜브(10)의 외형에는 무늬형상 즉, 칼라 또는 흑백 색상의 그림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튜브 본체(10) 내에 삽입되는 철사의 개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여기서, 1차적으로 성형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성형된 튜브에 편조로 보강하고 열경화성수지로 도포하여 일정한 건조시간을 거쳐 우레탄으로 코팅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아래와 같이 공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제 1공정 >
원자재입고(원자재 종류):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터수지로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와이어 열경화성접착제 희석제, 경화제
< 제 2공정 >
: 튜브압출공정
< 제 3공정 >
: 편조공정
< 제 4공정 >
: 열경화성수지 본딩 열경화성접착용 수지를 경화제와 희석제를 배합하여 편조된 튜브에 도포한 후에 일정한 시간 이상(상온에서 1시간 이상) 건조
< 제 5공정 >
: 폴리우레탄 접착공정
튜브에 도포된 열경화성수지 위에 우레탄 수지를 압출 코팅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 공정에 의해 유동성 및 탄력을 갖는 자유굴절 튜브가 제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유굴절 튜브에 따르면, 다양한 구조를 갖는 튜브 내의 가장자리에 철사를 삽입시킴으로써 일단 튜브가 외력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굴절되면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스탠드 및 의료용 기기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적으로 내부에 제 1중공이 형성되도록 고압 튜브의 두께를 두껍게 가공하고, 2차적으로 고무 성형에 의해 철사 삽입을 위한 또 다른 크기의 제 2중공을 제 1중공의 주변에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제 2중공에 철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의 형태는 원형 또는 Y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형태는 모서리에 곡면을 갖는 삼각 형상, 귀퉁이가 돌출된 원형상, 원 형상, 8자 형상 중에 임의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외형에는 칼라 또는 흑백 무늬 형상이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KR1020020062147A 2002-10-11 2002-10-11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KR20040033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147A KR20040033208A (ko) 2002-10-11 2002-10-11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147A KR20040033208A (ko) 2002-10-11 2002-10-11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208A true KR20040033208A (ko) 2004-04-21

Family

ID=3733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147A KR20040033208A (ko) 2002-10-11 2002-10-11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3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98B1 (ko) *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JP2019044916A (ja) * 2017-09-05 2019-03-22 株式会社カクイチ製作所 ホース状構造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789U (ko) * 1985-03-22 1986-09-30
JPS6362991A (ja) * 1986-08-29 1988-03-19 株式会社 トヨツクス 可撓性ホ−ス
JPH01216192A (ja) * 1988-02-19 1989-08-30 Kumamoto Pref Gov 弾力補強ホース
EP0385730A1 (en) * 1989-03-01 1990-09-05 Japan Gore-Tex, Inc. Composite plastics tube
KR200294940Y1 (ko) * 2002-07-30 2002-11-13 하동주 와이어가 내장된 호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789U (ko) * 1985-03-22 1986-09-30
JPS6362991A (ja) * 1986-08-29 1988-03-19 株式会社 トヨツクス 可撓性ホ−ス
JPH01216192A (ja) * 1988-02-19 1989-08-30 Kumamoto Pref Gov 弾力補強ホース
EP0385730A1 (en) * 1989-03-01 1990-09-05 Japan Gore-Tex, Inc. Composite plastics tube
KR200294940Y1 (ko) * 2002-07-30 2002-11-13 하동주 와이어가 내장된 호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98B1 (ko) *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JP2019044916A (ja) * 2017-09-05 2019-03-22 株式会社カクイチ製作所 ホース状構造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0569A (en) Flexible armored synthetic resin hose, more specially for showers
JPH07504757A (ja) 光ファイバのシース
KR900004290Y1 (ko) 가요관
JP2005510292A (ja) 可撓性管状材料に内側螺旋成形部を形成する方法
ATE139614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blasbaren verschlussstopfens für rohrleitungen
CN1266406C (zh) 软管和管箍组件
RU201111396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ждения дефектов сосудов
WO2008097053A1 (en) Pipe connector
US20090025814A1 (en) Flexible fluid l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DE60110624D1 (de) Flexible flüssigkeitskupplung
EA006588B1 (ru) Шланг, имеющий окружную поверхность, которая состоит из некоторого количеств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или трубок
KR20040033208A (ko) 자유굴절 튜브의 제조방법
US20080111319A1 (en) Sealing Ring For Push-Fit Socket Connections
KR0179026B1 (ko) 합성수지의 구조부재주형 및 그 제조방법
KR970702144A (ko) 합성수지로부터의 튜브 제조방법
US3006381A (en) Flexible conduit
CN1385936A (zh) 用于电源线的弯折保护套管
AU8366101A (en) Pipe fitting for inside coated pipes and method for its installation
KR20090019055A (ko)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KR200225726Y1 (ko) 휨 성이 자유로운 옷걸이
US20100050374A1 (en) Grommet and method of production
JP3146066U (ja) ダクト接続用継ぎ手
JP2003021280A (ja) 継手用パッキン及びこれを用いた管の接続構造
KR200341371Y1 (ko) 가요성을 갖는 나선형 경질관
JPH0520702U (ja) 内視鏡の可撓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