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055A -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055A
KR20090019055A KR1020070083188A KR20070083188A KR20090019055A KR 20090019055 A KR20090019055 A KR 20090019055A KR 1020070083188 A KR1020070083188 A KR 1020070083188A KR 20070083188 A KR20070083188 A KR 20070083188A KR 20090019055 A KR20090019055 A KR 20090019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curved
crimping
co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홍
윤한경
Original Assignee
이수홍
윤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홍, 윤한경 filed Critical 이수홍
Priority to KR102007008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055A/ko
Publication of KR2009001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때 배관 이음 부분의 누수 또는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및/또는 금속링을 매개로 압착하여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압착형 연결 배관에 있어서, 제품의 출하 상태 및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식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압착부에 유색의 커버가 설치된 압착형 배관과, 상기 배관 연결을 위한 이음부 압착시 미압착 또는 불안전 압착과 같은 압착 불량률을 감소시켜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압 압착시 금속링 측보다 고무링 측의 압축률을 더 크게 하는 배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성 측면에서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양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 압착부(31)를 갖는 연결배관(30)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압착부(31)에 외주연이 상기 압착부와 동일한 형태로 커버되는 만곡부(41)와, 상기 만곡부(41)의 내주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원형의 플레이트(43)로 이루어진 커버(40)를 씌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착 불량률 및 가압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관의 연결 방법으로서는, 연결배관(30)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만곡 압착부(31) 내에 금속링(51)과 고무링(52)을 각각 교번하여 삽입하거나 고무링을 연속하여 삽입하고, 내주면에 상기 각 압착부(31)와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요홈 가압부를 가지는 프레스(50)로 가압하되, 상기 금속링 압착부(31-1) 측의 가압력보다 고무링 압착부(31-2) 측의 가 압력이 크도록 압축률을 조절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Pressing type pipe with contractility film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때 배관 이음 부분의 누수 또는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및/또는 금속링을 매개로 압착하여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압착형 연결 배관에 있어서, 제품의 출하 상태 및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식별 가능하도록 압착 면 측에 유색의 커버가 설치된 압착형 배관과, 상기 배관 연결을 위한 이음부 압착시 미압착 또는 불안전 압착과 같은 압착 불량률을 감소시켜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압 압착시 금속링 측보다 고무링 측의 압축률을 더 크게 하는 배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와 같이 금속제 배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압착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압착형 연결배관의 연결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연결하기 위해 각 배관(10)(20) 사이에 연결배관(30)이 개재되며, 그 조립 순서는 지지대(60) 상에 놓인 제1배관(10)에 연결배관(30)의 일측을 삽입한 다음 압착 고정하고, 제2배관(20)은 연결배 관(30)의 타측을 삽입한 다음 압착 고정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배관(30)의 양측 단부 내면과 상기 각 배관(10)(20)의 외주면 접촉부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금속링과 고무링이 개재되고, 이 부분을 프레스(압착공구)로 압착하면 각 배관(10)(20)의 연결 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배관이 스테인리스와 같이 금속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관보다 견고성과 내구성이 좋고 따라서 각 연결부위의 접촉부분에 금속링과 고무링이 삽입, 압착되더라도 수밀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누수 등의 방지를 위해 금속링과 고무링을 동시에 압착하는 경우, 압착 공정에서의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과 함께, 연결배관의 중복 사용 여부를 현장 설치 전에는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금속링과 고무링은 서로 다른 재질로 되고, 탄성, 물성 등이 전혀 다른 재료임에도 프레스(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압착할 때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압력으로 압착을 하는데, 예컨대 가압 압력을 금속링 재질에 맞춘 경우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있는 고무링 측의 압착력이 적어서 기밀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고무링 재질을 고려하여 가압 압력이 조절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적은 금속링 측에 탄성 한도 이상의 무리한 압력이 작용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 적절한 가압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가압 압착 작업에서 수밀성 저하나 파손 등의 불량률이 높다.
더욱이 한번 사용하였던 연결 배관(30)을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측 단부의 이음부와 각 배관(10)(20)의 접촉성이 현저히 저하되는바, 그러나 연결 배관(30)의 재사용 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 1측면은 압착형 연결배관을 제작한 다음, 그 양측 단부, 즉 압착 구간 측에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연결배관의 사용상태, 즉 출하된 제품이 새 제품인지 또는 이미 사용된 제품인지 여부를 대리점이나 취급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측면은, 연결배관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배관을 연결할 때 각 배관의 이음 접촉 부분의 압착시 미압착 또는 불안전 압착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압착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배관의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측면이 고려된 본 발명은,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양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 압착부(31)를 갖는 연결배관(30)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압착부(31)에 외주연이 상기 압착부와 동일한 형태로 커버되는 만곡부(41)와, 상기 만곡부(41)의 내주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원형의 플레이트(43)로 이루어진 커버(40)를 씌우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측면에 의해 압착 불량률 및 가압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관 의 연결 방법은 연결배관(30)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만곡 압착부(31)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링(51)과 고무링(52)을 각각 교번 삽입하고, 내주면에 상기 각 압착부(31)와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요홈 가압부를 가지는 프레스(50)로 가압하되, 상기 금속링 압착부(31-1) 측의 가압력보다 고무링 압착부(31-2) 측의 가압력이 크도록 압축률을 조절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에 의하면, 연결배관의 제조 후 출하시 양측 단부에 해당하는 압착부 측에 커버가 설치되어 출하되므로, 연결배관의 사용 여부를 대리점이나 취급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또한 유통과정에서의 충격시 커버가 충격을 흡수하므로 압착부가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되며 압착구 측으로의 먼지 유입 등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착공구로 압착시 공구의 압착 면과 연결배관의 미끄러짐을 원활하게 하여 연결배관의 씹힘 현상을 방지하므로 작업 과정에서의 불량률이 감소할 뿐 아니라 불량으로 인한 재시공을 예방할 수 있다.
게다가 압착 작업시 고무링과 금속링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무링 가압 부분과 금속링 가압 부분의 가압 압력을 서로 다른 비율로 가압함으로써 양측 모두 적절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가압 압착시의 누수 불량률이 감소하여 유통상 및 시공상의 편리성과 안정성, 효율성 등을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이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고,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임의 정의된 것으로, 당해 분야에서 통상,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분해된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탈리되는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연결배관(30)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로 제조된 것으로서, 길이방향 중앙에 내측 중심으로 단차를 가지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폭이 축소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다단의 만곡 압착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31) 외면에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커버(40)가 결합된다.
연결배관(30)의 단부인 압착부(31)에 커버(40)가 씌워져 있는 경우, 연결배관(30)이 제작된 상태에서 출하(出荷)된 원형 그대로의 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고, 반대로 커버(40)가 없는 경우에는 이미 연결배관이 사용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40)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그 재질은 예컨대 비닐이나 셀룰로이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들 열거된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40)의 형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열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압착부(31)에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상기 압착부(31)와 동일한 형태로되는 만곡부(41)와, 상기 만곡부(4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도록 원형으로 된 플레이트(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43)와 만곡부(41)의 연결 위치 및/또는 만곡부(41)의 길이방향으로 도시된 점선 표시와 같이 절취부(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취부(42)는 점선 형태로 절개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절취 가능하다.
이와 연계적으로 플레이트(43)의 외측 면과 만곡부(41)의 경계에는 상기 플레이트(43)를 절취하기 위해 잡아당기기 위한 고리(4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45)를 잡아당기면 상기 절취부(42)가 절개되면서 플레이트(43)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배관(30)에 커버(40)를 설치함에 따라 제1배관(10)을 연결배관(30)의 일측 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압착부(31)를 가압할 때 프레스(압착공구)의 슬라이드를 원활하게 하여 제품의 씹힘이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물론, 압착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31)로부터 만곡부(41)를 제거,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다른 형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로서, 예시된 커버(4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 형태의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된 커버(40)는, 외주연이 연결배관(30)의 만곡 압착부(31)를 커버하도록 하는 덮개부(46)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46)의 내주연에는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도록 원형으로 된 플레이트(43)가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이때 커버(40)가 연결배관(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덮개부(46)의 선단에 상기 만곡 압착부(31)의 내측에 걸려서 결속되게 하는 걸림턱(47)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43) 내면에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 내주면에 결속되도록 돌출된 걸림환턱(48)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47)과 걸림환턱(48)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결속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양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43) 외면에도 고리(45)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사출 성형된 커버(40)는 연결 배관(30)의 일측 단부에 결속되어 이음 연결에 사용되기 전까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배관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배관(30)을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할 때, 제1배관(10)은 연결배관(3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고, 이때 만곡 압착부(31) 내부에는 금속링(51)과 고무링(52)이 각각 삽입되는데, 이들 압착부(31)의 만곡 개수 등은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금속링(51)과 고무링(52) 각 1개와, 고무링(52)-금속링(51)-고무링(52)의 조립 관계 및 고무링(52)-고무링(52)-금속링(51)의 각 조립 관계를 예시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제1실시예의 압착공정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9는 도 8 공정 후의 압착형 배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과 같이 압착부(31) 내에 금속링(51)과 고무링(52)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이들의 단면적은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압착부(31)를 가압하기 위해 도넛 형태의 프레스(50)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부(31) 외측 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면, 도 9와 같이 압착부(31)가 압착되면서 금속링(51)과 고무링(52)이 압축되어 제1배관(10)의 외주면과의 기밀성이 유지되고, 동시에 연결배관(30)과 제1배관(10)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50)는 내주면에 상기 압착부(31)와 대응하는 요홈 형태의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금속링 압착부(31-1)를 가압하는 금속링 가압부(50-1)와, 고무링 압착부(31-2)를 가압하는 고무링 가압부(50-2)로 구분되며, 각 가압부(50-1)(50-2)는 요홈의 깊이나 만곡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어 각 압착부(31-1)(31-2)의 가압력이 상이하게 작용한다.
이는 금속링(51)과 고무링(52)의 재질 차이를 고려하여 각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압축시키기 위한 것인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고무는 금속에 비하여 탄성과 유연성이 크므로, 고무링(52)의 압축률을 금속링(51)에 비해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률은 각 금속링(51) 및 고무링(52)의 최초 단면적(가압하기 전의 단면적)에 대해 상기 프레스(50)의 각 가압부(50-1)(50-2)에 의한 가압 성형 후 압축 변화된 각 금속링(51) 및 고무링(52)의 압축 단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예컨대 최초 단면적이 100㎟인 상태에서, 프레스 가 압 후 85㎟로 감소하였다면, 이 압축률은 15%이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금속 가압부(50-1)의 경우 비교적 압축률을 작게 하기 위해 고무 가압부(50-2)보다 요홈이 깊고, 만곡 정도가 큰게 제작하고, 상대적으로 고무 가압부(50-2)는 요홈 깊이가 낮고 만곡 정도가 작게 설계한다.
그 결과, 도 9에서 최초 압착부(31)의 외면 상태를 나타낸 점선 표시와 압축된 각 금속링(51) 및 고무링(52)을 대비하여 보면, 고무링 압착부(31-2)가 금속링 압착부(3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압력(압력 크기를 화살표의 크기로 나타냄)을 받고, 따라서 고무링(52)의 압축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각 링의 바람직한 압축률로서, 금속링(51)의 경우 3~10% 범위 내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7~8%가 불량률 발생이 적으며, 고무링(52)의 경우 8~20% 범위 내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8~15%가 기밀성 유지에 가장 적합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제2실시예의 압착공정 및 그 후의 기밀 상태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제3실시예의 압착공정 및 그 후의 기밀 상태를 보인 순서도로서, 이들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된 것으로, 즉 금속링(51) 또는 고무링(52)이 더 부가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의 제2실시예의 경우, 3단의 만곡 압착부(31) 내에 고무링(52)-금속링(51)-고무링(52)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각 대응 가압부(50-2)(50-1)(50-2)를 가지는 프레스(50)에 의해 가압되어 각 압착부(31-2)(31-1)(31-2)가 재질에 따라 다른 비율로 압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1의 제3실시예의 경우 에는 고무링(52)-고무링(52)-금속링(51)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링(51)과 고무링(52)의 순서와 개수는 제한이 없고, 기밀성의 정도나 배관의 지름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첨부된 도면과 그 설명에 기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 나타난 기술사상에 의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경 실시의 도출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압착형 연결배관의 연결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분해된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탈리되는 상태의 압착형 배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다른 형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배관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제1실시예의 압착공정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 공정 후의 압착형 배관의 기밀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제2실시예의 압착공정 및 그 후의 기밀 상태를 보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형 배관의 제3실시예의 압착공정 및 그 후의 기밀 상태를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연결배관 31 : 압착부
40 : 커버 41 : 만곡부
42 : 절취선 43 : 플레이트부
45 : 고리 50 : 프레스
51 : 금속링 52 : 고무링

Claims (13)

  1.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양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 압착부(31)를 갖는 연결배관(30)에 있어서,
    일측 압착부(31)에 커버(40)가 덮여지되, 상기 커버(40)는,
    외주연이 상기 만곡 압착부(31)와 동일한 형태로 커버되는 만곡부(41)와,
    상기 만곡부(41)의 내주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원형의 플레이트(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41)와 플레이트(43)가 접하는 둘레 및/또는 만곡부(41)의 길이방향에 점선 형태의 절취선(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3)의 외측 면에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고리(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비닐, 셀룰로이드,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5.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양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 압착부(31)를 갖는 연결배관(30)에 있어서,
    일측 압착부(31)에 커버(40)가 덮여지되, 상기 커버(40)는,
    외주연이 상기 만곡 압착부(31)를 커버하도록 하는 덮개부(46)와,
    상기 덮개부(46)의 내주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원형의 플레이트(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6)의 선단에 상기 만곡 압착부(31)에 결속되는 걸림턱(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3) 내면에 상기 연결배관(30)의 개방 단부 내주면에 결속되는 걸림환턱(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3)의 외측 면에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고리(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9.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비닐, 셀룰로이드,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10.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11. 압착형 연결배관(30)을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연결배관(30)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만곡 압착부(31)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링(51)과 고무링(52)을 각각 교번 삽입하고, 내주면에 상기 각 압착부(31)와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요홈 가압부를 가지는 프레스(50)로 가압하되,
    상기 금속링 압착부(31-1) 측의 가압력보다 고무링 압착부(31-2) 측의 가압력이 크도록 압축률을 조절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형 배관의 연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률은 각 금속링(51) 및 고무링(52)의 최초 단면적에 대해 상기 프레스(50)의 각 가압부(50-1)(50-2)에 의한 가압 후 변화된 압축 단면적의 비율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형 배관의 연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만곡 압착부(31) 내에 고무링(52)을 이중으로 연속하여 삽입, 압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형 배관의 연결방법.
KR1020070083188A 2007-08-20 2007-08-20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KR20090019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188A KR20090019055A (ko) 2007-08-20 2007-08-20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188A KR20090019055A (ko) 2007-08-20 2007-08-20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864A Division KR20090019755A (ko) 2008-12-17 2008-12-17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55A true KR20090019055A (ko) 2009-02-25

Family

ID=4068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188A KR20090019055A (ko) 2007-08-20 2007-08-20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90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22B1 (ko) * 2010-06-16 2011-04-08 김학건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관
KR101032096B1 (ko) * 2010-03-23 2011-05-02 국제산업주식회사 고무링과 스토퍼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KR102324649B1 (ko) * 2021-01-28 2021-11-10 (주)삼양패키징 훼럴 블랭크 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096B1 (ko) * 2010-03-23 2011-05-02 국제산업주식회사 고무링과 스토퍼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KR101028122B1 (ko) * 2010-06-16 2011-04-08 김학건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관
KR102324649B1 (ko) * 2021-01-28 2021-11-10 (주)삼양패키징 훼럴 블랭크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4320A (ko) 파이프 피팅
CN107002916B (zh) 联接件和密封件
WO2009023824A3 (en) Lateral sealing gasket and method
JP4674205B2 (ja) 接合されたptfeラジアルシャフトシール
KR20090019055A (ko)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 및 그 배관의 연결방법
JP2017523358A (ja) 回転可能な、軸線方向に固定状態の、耐圧の導管結合
AU2015288886A1 (en) Sealing Member Having Projection Part for Pipe Connection
KR20010103656A (ko)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KR100877141B1 (ko) 합성수지제 환기용 덕트 연결관
KR20090019755A (ko) 커버가 부착된 압착형 배관의 연결방법
KR100938438B1 (ko) 압착형 연결배관의 압착공구
KR101485063B1 (ko) 다중실링 버터플라이 밸브
US20150013903A1 (en) Coupling device for tube with annular corrugations
KR10118704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6574045B2 (ja) 油圧機器用シールリング
KR100926361B1 (ko) 관이음부재의 패킹 결합구조
KR200274963Y1 (ko) 배관용 튜브 연결구
KR101856509B1 (ko) 배관 연결부 밀봉 장치
WO2006112604A1 (en) Rubber packing for pipe connection
KR101673243B1 (ko) 힌지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체결하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JP2006342821A (ja) ダイヤフラム
KR200492249Y1 (ko) 관 이음구용 고무링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JP2005069408A (ja) ホース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06

Effective date: 201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