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044A -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범퍼 조립체용 비임, 및 자동차용범퍼 조립체 - Google Patents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범퍼 조립체용 비임, 및 자동차용범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044A
KR20040033044A KR10-2004-7003599A KR20047003599A KR20040033044A KR 20040033044 A KR20040033044 A KR 20040033044A KR 20047003599 A KR20047003599 A KR 20047003599A KR 20040033044 A KR20040033044 A KR 2004003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energy absorber
bumper assembly
bumper system
automo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504B1 (ko
Inventor
트라페아담케이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3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 B60R2019/185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of reinforced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60R2019/1866Cellul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20)가 상술된다. 범퍼 조립체는 비임(24)과 에너지 흡수체(22)를 포함한다. 범퍼 조립체는 50% 이상의 효율을 갖는다.

Description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범퍼 조립체용 비임, 및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BUMPER BEAM AND BUMPER ASSEMBLY INCLUDING A BUMPER BEAM}
범퍼는 대체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에 장착된다. 에너지 흡수 범퍼 시스템은 차량의 레일 부하 한계를 초과함이 없이 충격 에너지 및 침입을 조절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차량 손상을 감소시킨다.
범퍼로서 강철 비임이 대체로 사용된다. 강철 비임은 매우 단단하며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강철 비임은 무겁다. 또한, 강철 비임은 크러시(crush)되거나 버클링(buckle)될 수 있으며, 충돌동안 단면 계수(section modulus)를 유지하지 못한다.
일부 범퍼 조립체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s)를 포함한다. 이러한 쇽 업소버는 예를 들면 강철 범퍼 비임과 차량 레일 사이에 위치된다. 쇽 업소버는 충돌에 의한 에너지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쇽 업소버를 범퍼 조립체에 부가함으로써 강철 비임과 비교해 비용의 증가 및 복잡성을 초래한다. 또한, 이 쇽 업소버는 범퍼 조립체에 중량을 가중시키는데, 이러한 가중된 중량은 차량의 전반적인 연료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공지된 에너지 흡수 범퍼 시스템은 비임과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한다. 비임은 대체로 강철이다. 일반적으로 강철 비임과 함께 사용되는 에너지 흡수체는 폼(foam)이다. 폼 기재 에너지 흡수체(foam based energy absorbers)는 충돌시 대체로 슬로우 로딩(slow loading)을 가지며, 이 슬로우 로딩은 높은 변위를 초래한다. 또한, 폼은 60% 또는 70% 정도로 압축되며, 이 지점을 지나서는 폼은 비압축성으로 되어 충돌 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되지 않는다. 나머지 충돌 에너지는 비임 및/또는 차량 구조체의 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범퍼 시스템 또는 조립체의 효율은 거리와 관련해 흡수된 에너지량, 또는 부하와 관련해 흡수된 에너지량으로서 규정된다. 고효율의 범퍼 시스템은 저에너지 흡수체보다 보다 짧은 거리와 관련해 보다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고효율은 레일 부하 한계 바로 아래까지 부하를 신속히 축적시킴으로써 및 충돌 에너지가 소산될 때까지 이러한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폼 에너지 흡수체를 구비한 강철 비임을 포함하는 공지된 충격완화(shockless) 범퍼 시스템은 대체로 50% 보다 낮은 효율을 갖는다.
발명의 요약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용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이 제공된다. 범퍼 시스템은 열가소성 비임과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한다. 이 범퍼는 50% 이상의 효율을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범퍼 조립체용 비임이 제공된다. 이 비임은 글라스 매트 열가소성물질(glass mat thermoplastic)을 포함하고, 그에 부착된 열가소성 에너지 흡수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범퍼 시스템은 충돌이 발생하는 동안 단면 계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비임을 포함한다. 이 조립체는 비임에 연결된 에너지 흡수체와, 에너지 흡수체에 부착된 패시아(fascia)를 더 포함하며, 이 패시아는 비임 및 에너지 흡수체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본 발명은 범퍼, 특히 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 범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충돌 전 상태(pre-impact condition)를 나타내는 공지된 에너지 흡수체의 단면도,
도 2는 충돌 후 상태(post-impact condition)를 나타내는 공지된 에너지 흡수체의 단면도,
도 3은 압축 성형된 I-비임과 사출 성형된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전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범퍼 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너지 흡수체중 일부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너지 흡수체중 일부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너지 흡수체중 일부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충돌 후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너지 흡수체의 단면도,
도 9는 다양한 윈도우 구성의 부분 확대 사시도를 나타내는 에너지 흡수체의 사시도,
도 10은 스냅 끼워맞춤(snap fit) 및 억지 끼워맞춤(tight fit) 특징부를 나타내는 에너지 흡수체중 일부의 사시도.
압축 성형된 글라스 매트 열가소성물질(glass mat thermoplastic : GMT) 비임을 포함하는 범퍼 시스템이 자세히 상술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논-폼 형태(non-foam type)의 에너지 흡수체가 비임에 부착된다. 고 강성 열가소성 비임을 논-폼 형태의 에너지 흡수체와 조합함으로써 범퍼 시스템이 되며, 이 범퍼 시스템은 충돌시 신속한 로딩(loading) 및 효과적인 에너지 흡수를 달성한다. 특히, 저속 충돌시의 충돌력은 충돌시의 운동 에너지가 흡수될 때까지 에너지 흡수체 및 비임을 변형시킴으로써 단지 소정 레벨 이하로 유지된다. 저속 충돌이 멈추면, 에너지 흡수체는 실질적으로 그의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 이후 충돌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보존 상태를 유지한다.
GMT 압축 성형된 비임의 고 강성 특성과 열가소성 에너지 흡수체의 효과적인 에너지 흡수 특성의 조합을 조합시킴으로써 폼 에너지 흡수체를 갖는 종래의 금속 비임에 비해 향상된 충돌 흡수 성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에너지 흡수체와 GMT 비임의 조합은 열가소성 에너지 흡수체를 갖는 강철 비임 또는 폼에너지 흡수체를 갖는 GMT 비임보다 더욱 효과적인 충돌 흡수를 제공한다.
특정 재료[예를 들면, Azdel(등록상표) 재료(미국 노쓰 캐롤나이나주 쉘바이 소재의 아즈델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비임용으로서 시중에서 입수가능하며, 이 비임은 미국 특허 제 5,643,989 호에 개시됨) 또는 에너지 흡수체용 Xenoy(등록상표) 재료(미국 메사추세츠주 피트필드 소재의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로부터 시중에서 입수가능함)]를 참조하여 범퍼 시스템이 하기에 상술되었지만, 이 시스템은 이러한 재료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임이 GMT 압축 성형된 비임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재료 및 제조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흡수체는 효과적인 에너지 흡수를 달성하는 재료중에서 선택되며, 비임 재료 및 제조 기술은 강성 비임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는 보강 비임(12)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공지된 에너지 흡수체(10)의 단면도이다. 에너지 흡수체(10)는 상측 플랜지(14)와 하측 플랜지(16)를 구비하며, 이 플랜지(14, 16)는 설치시에 비임(12)의 일부와 중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10)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 및 소산에 저항하도록 버클링되는 경향이 있다.
도 3은 범퍼 시스템(20)의 일 실시예의 전개 사시도이다. 시스템(20)은 에너지 흡수체(22)와 비임(24)을 포함한다. 에너지 흡수체(22)가 비임(24)과 패시아(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고, 패시아는 조립시에 차량 범퍼를 형성한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임(2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패시아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차량 페인팅 및/또는 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마무리 작업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일반적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패시아는 에너지 흡수체(22)와 보강 비임(24) 양자를 둘러싸므로, 차량에 부착되었을 때에 어떠한 구성요소도 보이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비임(24)은 압축 성형된 글라스 매트 열가소성물질(GMT)이며 I-비임으로 구성된다. I-비임인 기하학적 형상 이외의 기하학적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자형 또는 W자형 단면 형상이 사용되어, 비임이 사용되는 특정 적용에 따라 소망의 단면 계수를 제공할 수 있다.
비임(24)은 연속적인 상측 플랜지(26)와 하측 플랜지(28)를 포함한다. 또한, 비임(24)은 개구(32)를 갖는 레인 부착 섹션(30)을 구비하여,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이를 관통하여 범퍼 시스템(20)을 프레임 레일에 고정시킨다. 비임(24)은 강성화를 위한 횡단 리브(cross-ribs)(34)를 더 포함한다. 비임의 상측면(36)상의 리브(3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리브(도시되지 않음)가 비임(24)의 하측면(38)상에 또한 존재한다. 상측 플랜지(26)내의 로케이터 절취부(locator cut-outs)(4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에너지 흡수체(22)를 비임(24)상에 위치시는 것을 돕는다.
에너지 흡수체(22)는 제 1 및 제 2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52, 54)를 갖는 프레임(50)을 포함하며, 이 플랜지(52, 54)는 비임(24)과 중첩된다. 플랜지(52)는 u자 형상으로 되고, 플랜지(54)는 핑거(56)를 포함하며, 이 핑거는 비임(24)의 플랜지(28)와 더불어 스냅 끼워맞춤부를 형성, 즉 핑거(56)가플랜지(28)의 단부 위에 물린다.
흡수체(22)는 프레임(5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몸체(60)를 더 포함하고, 이 몸체(60)는 횡벽(62, 64) 사이에서 연장하는 다수의 조정가능한 크러시 박스(crush boxes)(66)를 갖는 제 1 횡벽(62)과 제 2 횡벽(64)을 포함한다. 횡벽(62, 64)은 상승 영역(68)과 하강 영역(70)이 교호된 물결형(rippled)으로 되고, 이 영역(68, 70)은 충돌시 변형에 저항하는 증가된 강성도를 갖는 횡벽을 제공한다. 리플(ripples)의 폭 및 깊이 치수는 소망하는 상이한 강성 특성을 달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크러시 박스는 측벽(72), 외벽(74) 및 개방 영역(76)을 포함하며, 이 개방 영역(76)은 내측 프레임(50)까지 연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크러시 박스(66)는 차량에 대한 충돌 에너지 요구치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중 몇개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크러시 박스(66)는 상부(80)와 바닥부(82)를 연결하는 종방향 횡부재 부분(84)과 더불어, 제 1 횡벽(62)에 인접한 날개 또는 상부(80)와, 제 2 횡벽(64)에 인접하고 제 1 상부(80)와 평행한 바닥 날개부(82)를 갖는 대체로 3차원 I-형상을 갖는다. 에너지 흡수체(22)의 크러시 박스(66)는 충돌동안 에너지 흡수체(22)를 안정화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크러시 박스(66)는 미연방 자동차 안전규격(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 FMVSS) 및 캐나다 자동차 안전규격(Canadian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 CMVSS)에 따른 양 배리어 및 진자 충격시에 축방향 크러시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크러시 박스(66)는 소망의 충격 하중 변형 평가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강성 조정성을 제공한다. 즉, 목표 평가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특정한 변형이 소정 적용을 위한 크러시 박스(66)에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러시 박스(66)는 측벽(72)과 외벽(74)에 다수의 윈도우(86, 88)를 포함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86, 88)는 특정 적용에 따른 다수의 상이한 형상중 하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크러시 박스(66)의 조정성은 측벽 두께 및 후방벽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특정 적용에 대해 맞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72) 및 외벽(74)의 공칭 벽 두께는 약 1.75㎜ 내지 약 3.0㎜로 광범위할 수 있다. 특히, 특정한 저 충돌시, 공칭 벽 두께는 대체로 약 1.75㎜ 내지 약 2.0㎜ 범위일 수 있으며, 다른 적용시, 특히 5mph FMVSS 또는 CMVSS 시스템에 대해, 측벽 및 후방벽의 공칭 벽 두께는 약 2.5㎜ 내지 3.0㎜ 범위일 수 있다.
에너지 흡수체(22)를 적절히 조정할 때의 다른 관점은 사용될 열가소성 수지의 선택이다. 사용되는 수지는 필요에 따라 낮은 모듈러스 재료, 중간 모듈러스 재료 또는 높은 모듈러스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변수를 주의 깊게 고려함으로써, 소망의 에너지 충돌 목표를 만족시키는 에너지 흡수체가 제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성형된 연결 부재(90)가 제 1 횡벽(62)과 제 2 횡벽(64)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 부재(9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둥(92)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기둥(92)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둥(94) 양자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90)의 구조에 관계없이, 연결 부재(9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기둥(92)의 내벽(96)을 따라서 1:5의 최소 평균 폭 대 높이 비를 가질 수 있으며, 높이는 제 1 횡벽(62)과 제 2 횡벽(64)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다. 연결 부재(90)가 윈도우(98)를 가질 경우, 폭 대 높이 비는 1:3이다. 에너지 흡수체(22)가 비임에 부착될 경우, 내벽(96)은 비임(24)의 외면에 인접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에너지 흡수체(22)가 이론적인 충돌 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너지 흡수체(22)는 찌부러지지만 비임(24)과 접촉한 채로, 특히 제 1 종방향 플랜지(52) 및 제 2 종방향 플랜지(54)를 따라서 유지되어야 한다.
도 9 및 크러시 박스(66)의 조정성을 참조하면, 크러시 박스의 소망 강성을 달성하기 위해 윈도우(86, 88)는 참조부호(100, 102, 104, 10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치수의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형상, 그리고 참조부호(108)로 도시된 바와 같은 눈물 방울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인 몰드(mold)는 약 5°의 개방 드래프트 각도(draft angle)를 가져서, 적절한 제조 상태를 얻는다.
도 10은 스냅 끼워맞춤 및 억지 끼워맞춤 특징부를 도시하는 에너지 흡수체(22)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흡수체 플랜지(52)는 u자 형상이다. 플랜지(52)로부터의 연장부(150)는 비임(24)과의 억지 끼워맞춤부를 형성한다. 즉, 연장부(150)는 가요성이며 비임(24)의 플랜지(26)의 두께 공차를 조절하여(도 4 참조), 흡수체(22)가 비임(24)과의 억지 끼워맞춤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랜지(54)는 핑거(56)를 포함하며, 이 핑거는비임(24)의 플랜지(28)와의 스냅 끼워맞춤부를 형성, 즉 핑거(56)는 플랜지(28)의 단부 위에 물린다.
에너지 흡수체(2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은 높은 인성(toughness)/연성(ductility), 열 안정성, 높은 에너지 흡수 용량, 양호한 모듈러스 대 신장 비, 및 재활용성을 갖는다. 에너지 흡수체가 세그먼트들로 성형될 수 있는 반면, 이 흡수체는 인성 플라스틱 재료(tough plastic material)로 제조된 단일 구조로 될 수도 있다. 흡수체용의 예시적인 재료는 위에서 참조된 제노이(Xenoy)이다. 물론, 다른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engineering thermoplastic resins)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 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ABS 혼합물, 코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copolycarbonate-polyester), 아크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crylic-styrene-acrylonitrile : ASA),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폴리프로필렌 디아민 변형된)-스티렌(AES), 페닐렌 에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의 혼합물[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의 NORYL GTX(등록상표)], 폴리카보네이트/PET/PBT의 혼합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임펙트 변경자(impact modifier)[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의 XENOY(등록상표) 수지], 폴리아미드, 페닐렌 황화물 수지, 폴리비닐 염화물 PVC, 하이 임펙트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 HIPS), 저/고 밀도 폴리에틸렌(low/high density polyethylene : l/hdpe), 폴리프로필렌(pp), 및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 olefins : tpo)을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에너지 흡수체를 강성 비임과 연결시킴으로써 향상된 에너지 흡수 효율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아즈델(Azdel) I-비임을 제노이(Xenoy) 에너지 흡수체와 조합시킴으로써 50% 이상의 효율이 달성됨을 알 수 있다. 향상된 충돌 성능은 저속 "펜더 밴더(fender benders)" 수리시의 비용 감소, 및 고속 충돌시의 감소된 차량 손상을 가져온다. 또한, 에너지 흡수체 및 비임 양자가 단일의 일체형으로 성형된 열가소성 엔지니어링 수지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흡수체 및 비임 양자는 용이하고 자유롭게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폼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변 온도에 걸쳐서 충돌 성능의 높은 컨시스턴시(consistency)가 달성될 수 있다.
에너지 흡수체의 조정가능한 크러시 캔(cans)을 따라서 I-비임의 강도는 효과적이고, 신속한 로딩 및 제어된 충돌 결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높은 효율은 차량 구조체에 전달되는 하중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차량 범퍼 오프셋(offsets)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I-비임/에너지 흡수체 조합은 FMVSS 및 IIHS 요구치를 만족시키는 경량의, 충돌에 유효한 및 저렴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여러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열가소성 비임과 상기 열가소성 비임에 연결된 에너지 흡수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범퍼 시스템은 50% 이상의 효율을 갖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사출 성형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I-비임이며, 제 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플랜지와, 제 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의 다수의 강화 리브를 포함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압축 성형된 글라스 매트 열가소성물질을 포함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상기 비임에 부착된 플랜지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제 1 횡벽, 상기 제 1 벽과 이격된 제 2 횡벽, 및 상기 벽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다수의 조정가능한 크러시 박스를 포함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횡벽은 물결형으로 되고(rippled), 상기 크러시 박스는 상기 몸체를 따라 이격되고 그들 사이에 배치된 개방 영역을 갖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시 박스는 전반적으로 3차원 I 형상을 가지며, 측벽 및 후방벽을 포함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후방벽은 소정 형상 및 사이즈의 윈도우를 포함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상기 비임과의 스냅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상기 비임과의 억지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11. 범퍼 조립체용 비임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글라스 매트 열가소성물질을 포함하고, 그에 부착된 열가소성 에너지 흡수체를 갖도록 구성되는
    범퍼 조립체용 비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I 비임이며, 제 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플랜지와, 제 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의 다수의 강화 리브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용 비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압축 성형되는
    범퍼 조립체용 비임.
  14.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에 있어서,
    충돌동안 단면 계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열가소성 비임과,
    상기 비임에 연결된 에너지 흡수체와,
    상기 비임 및 상기 에너지 흡수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에너지 흡수체에 부착가능한 패시아(fascia)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이 압축 성형되고,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사출 성형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I-비임이며, 제 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플랜지와, 제 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중 적어도 하나의표면상의 다수의 강화 리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압축 성형된 글라스 매트 열가소성물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단일의 기다란 에너지 흡수체이고, 상기 비임에 부착되는 플랜지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제 1 횡벽과, 상기 제 1 벽과 이격된 제 2 횡벽과, 상기 벽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다수의 조정가능한 크러시 박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횡벽은 물결형으로 되고, 상기 크러시 박스는 상기 몸체를 따라 이격되고 그들 사이에 배치된 개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크러시 박스는 전반적인 3차원 I 형상을 갖고, 측벽 및 후방벽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상기 비임과의 스냅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KR1020047003599A 2001-09-12 2001-09-12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범퍼 조립체용 비임, 및 자동차용범퍼 조립체 KR100770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1/028453 WO2003022638A1 (en) 2001-09-12 2001-09-12 Bumper beam and bumper assembly including a bumper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44A true KR20040033044A (ko) 2004-04-17
KR100770504B1 KR100770504B1 (ko) 2007-10-25

Family

ID=2773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599A KR100770504B1 (ko) 2001-09-12 2001-09-12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범퍼 조립체용 비임, 및 자동차용범퍼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69251B2 (ko)
EP (1) EP1427608B1 (ko)
JP (1) JP2005502521A (ko)
KR (1) KR100770504B1 (ko)
CN (1) CN100488812C (ko)
AT (1) ATE334022T1 (ko)
DE (1) DE60121833T2 (ko)
ES (1) ES2267813T3 (ko)
WO (1) WO200302263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320B1 (ko) * 2015-06-29 2017-01-0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방 범퍼 빔 구조
WO2017003070A1 (ko) * 2015-06-29 2017-01-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 수지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후방 범퍼 빔
KR20170021154A (ko) * 2015-08-17 2017-02-2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 후방 범퍼 빔 사출성형용 폴리올레핀 수지
KR101983998B1 (ko) * 2017-11-23 2019-05-30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차량의 범퍼용 스티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003696L (sv) * 2000-10-13 2001-10-22 Ssab Hardtech Ab Stötfångararrangemang
US6874832B2 (en) * 2001-04-16 2005-04-05 Netshape International, Llc Bumper system with face-mounted energy absorber
US8123263B2 (en) 2001-09-27 2012-02-28 Shape Corp. Energy management beam
WO2005012043A1 (en) * 2003-07-03 2005-02-10 Netshape International, Llc Bumper system incorporating thermoformed energy absorber
US6663150B1 (en) * 2002-06-06 2003-12-16 Netshape Corporation Bumper with integrated energy absorber and beam
US6866313B2 (en) * 2002-07-30 2005-03-15 General Electric Co. Bumper assembly including and energy absorber
US6923494B2 (en) * 2002-08-23 2005-08-02 General Electric Company Pedestrian energy absorber for automotive vehicles
US6994384B2 (en) * 2002-11-20 2006-02-07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solitary bumper beam
JP2004210040A (ja) * 2002-12-27 2004-07-29 Honda Motor Co Ltd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
US20050097004A1 (en) * 2003-10-29 2005-05-05 Eduardo Masse Blume Method of advertising and related products
SE526613C2 (sv) * 2004-02-25 2005-10-18 Ssab Hardtech Ab Stötfångare för fordon
DE602005027693D1 (de) * 2004-05-13 2011-06-09 Accra Teknik Ab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ormen und abschrecken eines trägers
US7073831B2 (en) * 2004-06-23 2006-07-11 Netshape International Llc Bumper with crush cones and energy absorber
CA2511270C (en) * 2004-07-01 2014-03-11 Magna International Inc. Bump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7228723B2 (en) * 2004-07-01 2007-06-12 Netshape Energy Management Llc Bumper impact-testing device
US6966806B1 (en) 2004-08-10 2005-11-22 Brunswick Corporation Replaceable leading edge for a marine drive unit
US7086690B2 (en) * 2004-08-24 2006-08-08 General Electric Company Bumper assembly including twin energy absorbers
US7163243B2 (en) * 2004-12-13 2007-01-16 Netshape International, Llc Bumper for pedestrian impact having thermoformed energy absorber
FR2880319B1 (fr) * 2004-12-30 2008-07-04 Valeo Thermique Moteur Sas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chocs pour une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face avant comportant ce dispositif
US7163242B2 (en) 2005-01-05 2007-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Bumper system with energy absorber
DE102005017956B4 (de) * 2005-04-18 2013-04-04 Ise Automotive Gmbh Stoßenergieaufnahmevorrichtung
FR2885096B1 (fr) * 2005-04-27 2007-06-08 Renault Sas Agencement d'un dispositif d'absorption de 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US7278667B2 (en) * 2005-05-23 2007-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Bumper assembly with energy absorber
FR2895341B1 (fr) * 2005-12-23 2008-04-04 Plastic Omnium Cie Systeme d'absorption d'energi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JP4316575B2 (ja) * 2006-02-24 2009-08-1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衝撃吸収構造体及びその取付構造
US7625036B2 (en) 2006-04-04 2009-12-01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Multi-sectional modular energy absorber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WO2008097834A1 (en) * 2007-02-02 2008-08-14 Netshape Energy Management, Llc Energy absorber with crush boxes and back straps
JP4533924B2 (ja) 2007-11-26 2010-09-0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衝撃吸収構造体
US8505990B2 (en) * 2007-12-21 2013-08-1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rner energy absorber and bumper system
US8016331B2 (en) * 2008-02-14 2011-09-13 Shape Corp. Energy absorber with sidewall stabilizer ribs
US7866716B2 (en) 2008-04-08 2011-01-11 Flex-N-Gate Corporation Energy absorber for vehicle
US20090315346A1 (en) * 2008-06-20 2009-12-24 David William Schelberg Bumper reinforcement extension
US7806448B2 (en) * 2008-11-04 2010-10-0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Vehicle bumper system with energy absorber
FR2949407B1 (fr) * 2009-08-26 2011-11-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upport de pare-choc et pare-choc a deformations controlees.
ES2531562T3 (es) * 2009-11-06 2015-03-17 Shape Corp. Absorbedor de energía con salientes que proporciona un impacto uniforme contra el peatón
US8356857B2 (en) 2010-03-05 2013-01-22 Shape Corp. Hood pedestrian energy absorber
US20120032458A1 (en) * 2010-08-04 2012-02-09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Bumper system with friction-fit energy absorber and method
US9302638B2 (en) 2010-10-29 2016-04-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Unitary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5711942B2 (ja) * 2010-11-19 2015-05-0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カウルトップカバー
US8480143B2 (en) 2010-12-10 2013-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bumper
WO2012122256A2 (en) 2011-03-09 2012-09-13 Shape Corp. Vehicle energy absorber for pedestrian's upper leg
JP5727883B2 (ja) * 2011-07-05 2015-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構造
US8851539B2 (en) * 2012-01-06 2014-10-0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Energy absorbing assembly
US8876179B2 (en) 2012-02-01 2014-11-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731669B2 (en) * 2012-02-28 2017-08-1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ing system
US9033380B2 (en) 2012-05-23 2015-05-19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er with staggered, vertically oriented crush lobes
USD696169S1 (en) 2012-06-01 2013-12-2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Element of a vehicle bumper system
KR101481232B1 (ko) * 2012-11-20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범퍼 레일
US8973957B2 (en) 2013-04-22 2015-03-10 Shape Corp. Bumper energy absorber with sensor and configured lobes
CN103287381B (zh) * 2013-06-18 2016-01-20 延锋彼欧汽车外饰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的吸能装置
US9415708B2 (en) 2014-02-18 2016-08-16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Conformable energy absorber
CN104842911B (zh) * 2015-04-28 2017-04-12 杭州云乐车辆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用吸能式防撞装置
US9580029B2 (en) * 2015-06-05 2017-02-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umper assemblies including a bumper cover reinforcement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WO2016193935A1 (en) * 2015-06-05 2016-12-0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682675B2 (en) 2015-08-31 2017-06-20 Flex-N-Gate Corporation Blind spot monitor arrangement for a vehicle bumper
US10065587B2 (en) 2015-11-23 2018-09-04 Flex|N|Gate Corporation Multi-layer energy absorber
DE102016000515A1 (de) * 2016-01-19 2017-07-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toßfängermodul
US9764704B1 (en) 2016-03-03 2017-09-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mper
US9932005B2 (en) * 2016-04-13 2018-04-03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Vehicle bumper assembly
CN106218735A (zh) * 2016-10-09 2016-12-14 芜湖瑞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aes/pp汽车扰流板及其制备方法
WO2018091947A1 (en) 2016-11-18 2018-05-24 Arcelormittal Bumper beam having ribs on several walls of the bumper beam
KR102150320B1 (ko) * 2017-12-06 2020-09-01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범퍼 빔 구조체
KR102202379B1 (ko) * 2017-12-11 2021-01-12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범퍼 빔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6778287B2 (ja) * 2019-02-15 2020-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吸収構造
WO2020173113A1 (en) * 2019-02-28 2020-09-03 Yanfeng Plastic Omnium Automotive Exterior Systems Co., Ltd. M-shaped crash box structure for an automobile front end and assembly thereof
US11052847B2 (en) 2019-11-18 2021-07-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mpact beam for vehicles
CN111002934B (zh) * 2019-12-23 2021-05-25 南昌华翔汽车内外饰件有限公司 一种可伸缩式逐级分层缓冲汽车保险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455A (en) * 1972-04-19 1975-05-20 Mccord Corp High efficiency energy absorber
US3938841A (en) 1973-12-07 1976-02-17 Ford Motor Company Resilient bumper assembly
SE383128B (sv) * 1974-07-04 1976-03-01 Saab Scania Ab Cellblock for stotupptagning
JPS6135466Y2 (ko) * 1980-12-26 1986-10-15
DE68907880T2 (de) 1988-12-24 1993-11-04 Minoru Sangyo Stossstange aus kunststoff.
DE3928060A1 (de) * 1989-08-25 1991-02-28 Daimler Benz Ag Stossfaenger fuer einen kraftwagen
US5269574A (en) * 1992-02-10 1993-12-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High performance vehicle bumper
JPH0790916B2 (ja) * 1993-03-31 1995-10-04 株式会社静岡機工製作所 素材供給装置
US5643989A (en) * 1993-10-29 1997-07-01 Azdel, Inc. Fiber reinforced functionalized polyolefin composites
US5425561A (en) * 1993-12-21 1995-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exible insert for an automotive bumper
US5988713A (en) * 1996-09-13 1999-11-23 Daikyo Co., Ltd. Bumper reinforcement
US6199942B1 (en) * 1998-02-04 2001-03-13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Modular energy absorbing assembly
US6082792A (en) 1998-05-07 2000-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bumper
US6179355B1 (en) * 1998-12-18 2001-01-3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vehicle bumper assembly
US6286879B1 (en) * 1999-02-24 2001-09-11 Azdel, Inc. I-Section automotive bumper formed from mineral-filled glass mat thermoplastic (GMT) composite
US6354641B1 (en) * 1999-08-23 2002-03-1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utomobile bumper retention system
US6511109B1 (en) * 2000-03-10 2003-01-28 Plastech Engineered Products, Inc. Bumper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6406081B1 (en) * 2001-03-20 2002-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absorber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320B1 (ko) * 2015-06-29 2017-01-0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방 범퍼 빔 구조
WO2017003070A1 (ko) * 2015-06-29 2017-01-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 수지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후방 범퍼 빔
US10696830B2 (en) 2015-06-29 2020-06-30 Lotte Chemical Corporation Polyolefin resi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vehicle rear bumper beam using same
KR20170021154A (ko) * 2015-08-17 2017-02-2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 후방 범퍼 빔 사출성형용 폴리올레핀 수지
KR101983998B1 (ko) * 2017-11-23 2019-05-30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차량의 범퍼용 스티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1833D1 (de) 2006-09-07
US20030047952A1 (en) 2003-03-13
US6669251B2 (en) 2003-12-30
EP1427608A1 (en) 2004-06-16
ATE334022T1 (de) 2006-08-15
EP1427608A4 (en) 2004-12-01
DE60121833T2 (de) 2007-05-10
CN1558846A (zh) 2004-12-29
ES2267813T3 (es) 2007-03-16
WO2003022638A1 (en) 2003-03-20
JP2005502521A (ja) 2005-01-27
CN100488812C (zh) 2009-05-20
EP1427608B1 (en) 2006-07-26
KR100770504B1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504B1 (ko) 충격완화 범퍼 시스템, 범퍼 조립체용 비임, 및 자동차용범퍼 조립체
US6938936B2 (en) Energy absorber with crash cans
EP1373024B1 (en) Energy absorber system for attachment to a vehicle
US6866313B2 (en) Bumper assembly including and energy absorber
KR100824086B1 (ko) 범퍼 조립체, 차량용 에너지 흡수 비임 및 차량용 성형플라스틱 비임
US7278667B2 (en) Bumper assembly with energy absorber
EP1441928B1 (en) Bumper assembly including an energy absorber
EP1791727B1 (en) Bumper assembly including energy absorber with vertical translation crush lobes
KR100805511B1 (ko) 범퍼 조립체 및 에너지 흡수체
KR20070091320A (ko) 에너지 흡수체를 갖는 범퍼 시스템
AU2002239778A1 (en) Bumper assembly including an energy absorber
KR100812054B1 (ko) 범퍼 시스템,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및 자동차 범퍼 시스템용 에너지 흡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