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771A - 스로틀 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771A
KR20040032771A KR1020030069984A KR20030069984A KR20040032771A KR 20040032771 A KR20040032771 A KR 20040032771A KR 1020030069984 A KR1020030069984 A KR 1020030069984A KR 20030069984 A KR20030069984 A KR 20030069984A KR 20040032771 A KR20040032771 A KR 20040032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ngagement
throttle
throttle bod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이신지
기노히사시
Original Assignee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8Guiding yokes for spindles; Means for closing housings; Dust caps, e.g. for tyr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7Safety-related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5Materials, e.g. composites
    • F02D9/108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 Y10T74/19874Mutil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스로틀 장치는 스로틀체(1) 및 이 스로틀체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커버(18)를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13, 15, 51, 53)는 스로틀체와 커버 중 하나에 배치된 제 1 결합부(15, 51)와, 스로틀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제 2 결합부(13, 53)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결합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가 서로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로 결합 가능하며, 그에 따라 스로틀체 및 커버는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및 제 2 결합부 사이를 분리시키는 제 1 또는 제 2 결합부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1d, 1e, 53b)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로틀 장치{THROTTLE DEVICE WITH COVER FOR INTERNAL ELEMENTS}
본 발명은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로틀 밸브를 구비한 스로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속 기어 메카니즘과 같은 내부 요소를 덮기 위해 스로틀체에 결합된 커버를 구비한 스로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어식 스로틀 장치는 스로틀체 및 이 스로틀체의 일 측면상의 개방 단부에 장착된 커버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감속 기어 메카니즘, 스로틀 센서 및 스로틀체의 어떤 다른 내부 요소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스로틀체 내에수용된다. 감속 기어 메카니즘은 스로틀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전기 모터의 회전을 스로틀 밸브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스로틀 센서는 스로틀 밸브의 개방 각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132495 호(특히 이 공보의 도 2)에는, 스로틀체에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에서, 커버는 스로틀체의 측방향 개방 단부를 한정하는 환상 장착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다음, 원주방향의 다수의 위치에서 스크류 수단에 의해 트로틀체에 고정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303979 호(특히 이 공보의 도 2)에는, 서로 결합하는 다수의 돌출부 및 요부 세트를 포함하는 탄성 결합 기구 또는 스냅 결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커버가 스로틀체에 결합되는 다른 종래의 장착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132495 호의 종래의 장착 구조체는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스크류의 조임 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장착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303979 호의 종래의 장착 기구의 경우에는, 수작업에 의해서 또는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돌출부가 요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작자로부터 출하되는 스로틀 장치의 스로틀체로부터 커버를 의도적으로 또는 우연히 제거하면, 커버가 스로틀체에 장착될 때 스로틀 센서가 정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로틀체 및 커버의 조립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스로틀체로부터의 커버의 제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스로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 장치는 스로틀체 및 이 스로틀체에 장착된 커버를 구비한다. 결합 장치는 서로 결합 가능한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 중 하나에 배치되고 제 2 결합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결합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가 제 1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서로 결합 가능하며, 그에 따라 스로틀체 및 커버는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서로 멀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분리시키게 되는 제 1 또는 제 2 결합부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서로 정렬한 상태로 스로틀체 및 커버를 단순히 서로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결합부가 서로 정렬한다. 그 결과, 커버가 스로틀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스크류와 같은 파스너를 사용하는 장착 구조에 비해서, 스로틀체 및 커버의 조립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어식 스로틀 장치의 경우에는, 감속 기어 메카니즘 및 스로틀 센서와 같은 각종 부품이 스로틀 본체 내에 배치되고 커버로 덮여있다. 감속 기어 메카니즘은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의 회전력을 스로틀밸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스로틀 센서는 스로틀 밸브의 개방 각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의 사용자가 커버를 스로틀체로부터 우연히 제거하면, 스로틀 센서가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방 각도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신호를 출력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개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분리시키게 되는 제 1 또는 제 2 결합부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커버의 우연하거나 인위적인 제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결합부는 커버 및 스로틀체가 서로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2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탄성 변형되고 그 후에 최초의 형태를 회복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결합 장치는 스냅 결합 기로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결합부 사이의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지 수단은 제 1 결합 부재의 인위적 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2 결합부는 제 1 및 제 2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갖는 결합 구멍을 포함한다. 이 결합 구멍은 제 1 및 제 2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면을 한정한다. 제 1 결합부는 탄성 변형가능한 생크(shank) 및 이 생크의 일단부에 배치된 결합 고리를 포함한다. 결합 고리를 갖는 생크는 결합 구멍 안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므로, 제 1 결합부가 결합 구멍내에 삽입될 때 생크가 제 3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동안 결합 고리가 결합 구멍의 내벽을 따라 이동한다. 생크는 최초의 형태로 탄성적으로 회복하여 결합 고리를 제 3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결합 고리가 결합면을 지나 이동할 때 결합 고리는 결합면과 대향한 상태로 결합 구멍에 결합한다.
따라서, 결합 부재가 결합 구멍 내에 삽입되는 동안 커버를 스로틀체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 고리가 결합 구멍에 자동적으로 결합되어, 커버가 스로틀체에 결합된다. 결합 고리는 결합 구멍과의 결합 후에 그 결합 구멍의 결합면에 의해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생크는 스로틀체 및 커버 중 하나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생크부를 포함한다. 결합 고리는 한 쌍의 고리부를 포함한다. 고리부는 생크부의 각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제 3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생크부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고 그리고 그의 최초의 형태를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다.
방지 수단은 스로틀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벽부일 수도 있다. 벽부는 결합 고리가 결합 구멍에 결합할 때 결합 고리를 둘러쌀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방지 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벽부는 결합 고리로부터 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 고리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벽부와 결합 고리의 간섭이 없이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결합부는 결합 요부를 포함한다. 이 결합 요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제 1 또는 제 2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결합부는 결합 요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 고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로틀체 및 커버가 제 1 방향으로 서로 이동할 때 결합 요부를 결합 고리에 의해 결합하기 위해서, 이 제 1 결합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 중 다른 것의 외부면을 따라 탄성 변형된 다음, 최초의 형태를 회복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도, 커버가 스로틀체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결합 고리가 결합 요부에 자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가 스로틀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요부는 개방 단부 및 그 개방 단부에 대향된 폐쇄 단부를 가지며, 개방 단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의 외부면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결합 요부는 단순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결합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을 갖는다.
방지 수단은 스로틀체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벽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벽부는 결합 요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방지 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벽부는 결합 고리가 결합 요부에 결합할 때 제 1 결합부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외부면을 갖는다. 따라서, 벽부는 스로틀체 또는 커버의 외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다. 그 결과, 벽부는 스로틀 장치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로틀 장치는 결합 위치에서 제 1 결합 부재및 제 2 결합 부재를 제 2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므로,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 사이의 결합이 보증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스로틀체와 커버 사이의 어떠한 움직임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장치는 스로틀체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이다. 예컨대, 탄성 부재는 O링 또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일 수도 있다. 탄성 부재는 스로틀체와 커버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역할도 하는 O 링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로틀체 또는 커버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 장치가 배열되고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스로틀체 및 커버는 원주방향의 다수의 위치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는 스로틀체에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압 수단은 결합 장치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로틀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스로틀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커버의 측면도,
도 5는 커버를 스로틀체에 결합하기 위한 스냅 결합 결합 장치 중 하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로 도시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커버를 스로틀체에 결합하기 위한 스냅 결합 장치 중 하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화살표 IX로 표시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0은 커플링 장치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벽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6과 유사한 도면,
도 11은 벽부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 12는 결합 장치의 결합면에 대해 결합 고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의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로틀체2 : 스로틀 밸브
4 : 모터9 : 스로틀 샤프트
11 : 스로틀 기어13, 53 : 결합 구멍
14 : 카운터 기어15, 51 : 제 1 결합 부재
16 : 스냅 결합 메카니즘18 : 커버
19 : 기어실20 : 본체부
35 : 감속 기어 메카니즘41 : 홀 효과 요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먼저, 스로틀 장치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스로틀 장치는, 자동차(도시하지 않음)의 엔진 제어 장치(engine control unit: ECU)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스로틀 제어 개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식 스로틀 제어 장치로서 형성된다. 상기 엔진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예로는 가속 페달 가압량과 관련된 가속 신호, 견인 제어 신호, 크루즈 컨트롤 장치 등으로부터의 정속 운행 신호, 및 아이들링 스피드 제어 신호(idling speed control signal)를 들 수 있으나, 그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스로틀 제어 장치는 스로틀체(1)를 구비한다. 이 스로틀체(1)는 본체부(20)와,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모터 수용부(24)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 내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사실상 원통형상의 흡기 통로(1a)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에어 클리너(도시하지 않음)가 본체부(20)의 상부에 접속되고, 흡기 매니폴드(26)가 본체부의 하부에 접속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20) 내에서는 금속제 스로틀 샤프트(9)가 흡기 통로(1a)를 가로질러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1에 도시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8, 10)을 통해서 베어링부(21, 22)가 스로틀 샤프트(9)의 단부(9a, 9b)를 각기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예를 들면 수지로 만들어진 스로틀 밸브(2)가 도시된 복수의 리벳(3)에 의해서 스로틀 샤프트(9)에 고정된다. 흡기 통로의 내측에 위치된 스로틀 밸브(2)는, 스로틀 샤프트(9)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기 통로(1a)를 폐쇄하도록 회전하고 또한 스로틀 샤프트(9)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기 통로(1a)를 개방하도록 회전한다. 이러한 스로틀 밸브(2)의 점진적인 개방 및 폐쇄 운동에 의해서, 흡기 통로(1a)를 통하여 흐르는 흡입 공기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도 2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2)는 완전 폐쇄 위치에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폐쇄 위치의 스로틀 밸브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흡기 통로(1a)가 개방된다.
베어링부(21) 내에는 단부(9a)를 본체부(20) 내에 구속하기 위한 플러그(7)가 끼워맞춤된다. 베어링부(21)는 스로틀 샤프트(9)의 일 단부(9a)(도 1에 도시한 좌측 단부)를 지지한다. 스로틀 샤프트(9)의 타 단부(9b)(도 1에 도시한 우측 단부)는 베어링부(22)를 통하여 연장하고 우측으로 더욱 돌출한다. 섹터 기어로 구성된 스로틀 기어(11)가 상대 회전을 허용하지 않도록 상기 타 단부(9b)의 돌출단에 고정된다. 스로틀체(1)의 베어링부(22)의 외주부와 스로틀 기어(11)의 외주부의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 등에 의한 스프링력이 제공된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은 스로틀 기어(11) 및 스로틀 샤프트(9)를 통하여 스로틀 밸브(2)가 폐쇄되도록 스로틀 샤프트(9)를 항상 가압하고 있다. 게다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로틀체(1)와 스로틀 기어(11)의 사이에는 스로틀 밸브(2)가 완전 폐쇄 위치를 지나서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멈춤부재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체(1)의 모터 수용부(24)는 스로틀 샤프트(9)의 축(9L)과 거의 평행한 축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모터 수용부(24)의 축방향 일 단부(도면에 도시된 좌측 단부)는 폐쇄된다. 모터 수용부(24)의 내부는 공간(24a)을 규정한다. 이 공간(24a)은 스로틀체(1)의 우측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스로틀체(1)와 커버(18) 사이에 한정된 기어실(19)과 연통한다. 공간(24a)은 예컨대 직류 모터일 수도 있는 모터(4)를 수용한다. 도시된 수용 상태에서, 모터(4)의 축이 스로틀 샤프트(9)의 축(9L)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모터의 출력 샤프트(4a)(도 3에 도시함)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되고 기어실(19) 내로 연장된다. 모터(4)는 모터(4)의 외면을 규정하는 모터 케이싱(28)을 갖는다. 모터 케이싱(28)의 우측에는 장착 플랜지(29)가 제공되며, 이 장착 플랜지(29)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크류(5)에 의해서 모터 수용부(24)에 고정된다(도 3 참조).
모터 케이싱(28)은 이 모터 케이싱(28)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부(28a)를 갖는다. 단부(28a) 뿐만 아니라 모터 케이싱(28)은 공간(24a)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 공간(24a)은 모터 케이싱(28)의 단부(28a)를 수용하는 단차 구멍(24a)을 포함한다. 단부(28a)는 O링(도 1 참조)과 같은 탄성 지지부재(6)를 거쳐 단차 구멍(24a)의 원주방향 내벽에 의해 직경 방향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모터(4)의 출력 샤프트(4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플랜지(29)를 지나서 우측으로 돌출하며, 이 돌출한 부분에는 모터 피니언(32)이 고정된다(도 3 참조). 게다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와 모터 수용부(24) 사이의 위치에서는 카운터 샤프트(34)가 스로틀체(1)에 장착되어 있다. 카운터 샤프트(34)는 스로틀 샤프트(9)의 축(9L)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카운터 샤프트(34)에는카운터 기어(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카운터 기어(14)는 상이한 기어 직경을 갖는 두 개의 기어부(14a, 14b)를 갖는다. 큰 직경의 기어부(14a)는 모터 피니언(32)과 맞물리고, 작은 직경의 기어부(14b)는 스로틀 기어(11)와 맞물린다(도 1 참조). 모터 피니언(32), 카운터 기어(14) 및 스로틀 기어(11)는 감속 기어 메카니즘(35)을 구성한다.
커버(18)는 주로 감속 기어 메카니즘(35)를 덮고 있고 스로틀체(1)의 측면부(도 1에서 볼 때 우측부)와 커버(18) 사이에 기어실(19)이 규정된다. 커버(18)는 스로틀체(1)에 대향된 쪽이 개방되고, 그리고 개구를 한정하는 단부(18a)를 갖는다. 스로틀체(1)의 측면부에 장착부(1b)가 형성되어 개구를 규정한다. 커버(18)는 단부(18a)가 스로틀체(1)의 장착부(1b)에 접촉하는 상태로 스로틀체(1)에 결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18a) 및 장착부(1a)는, 다수의 결합 구멍(13) 및 다수의 결합 부재(15)를 포함하는 스냅 결합 기구(16)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 결합 구멍(13)은 스로틀체(1)의 장착부(1b)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15)는 커버(18)의 단부(18a)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대응하는 결합 구멍(13)안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므로, 결합 부재(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되고 대응하는 구멍(13) 내에 결합된다. 여기서, 대응하는 결합 구멍(13) 내로의 결합 부재(15)의 삽입 방향은 커버(18)의 단부(18a) 및 스로틀체(1)의 장착부(1b)가 서로 접촉하는 평면에 수직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로틀체(1)의 장착부(1b)는 단부(18a)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평탄한 영역을 갖는다. 결합 구멍(13)은 각 평탄 영역(1c)(도 5 참조)을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구멍(13)은 스로틀체(1)가 수지에 의해 성형됨과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 부재(15)는 커버(18)의 단부(18a)와 일체로 형성되며 대응하는 결합 구멍(13)과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결합 부재(15)는 커버(18)가 수지에 의해 성형됨과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냅 끼움 기구(15)의 일부가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결합 구멍(13)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결합 부재(15)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하나의 결합 구멍(13) 및 그의 관련 결합 부재(15)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결합 구멍(13)은 원형 단면을 갖는 소 직경부(13a) 및 큰 직경부(13b)를 구비하는 단차 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소 직경부(13a)는 결합 부재(15)의 삽입측에 위치하고 큰 직경부(13a)는 삽입측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소 직경부(13a)와 큰 직경부(13b) 사이에 결합면(13c)이 규정된다. 따라서, 결합면(13c)은 결합 구멍(13)의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그리고 결합 부재(15)의 삽입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결합 부재(15)는 한 쌍의 생크부(15a)를 포함한다. 각각의 생크부(15a)는 그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 고리(15b)를 갖는다. 각각의 생크부(15a)는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실질적으로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대응하는 결합 구멍(13)의 소 직경부(13a)의 축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생크부(15a)의 외주면은 소직경부(13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면을 공동으로 규정한다.
결합 고리(15b)는 대응하는 결합 구멍(13)의 큰 직경부(13b)의 축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결합 고리(15b)는 삽입 방향을 향하여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 고리(15b)는 결합 구멍(13)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고리(15b)의 외부면은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갖는 관상 면을 공동으로 규정한다. 이 관상 면은 생크부(15a)에 인접한 위치에서 최대 단면적을 갖는다. 이 위치에서, 타원형 단면의 부축을 따른 길이는 결합 구멍(13)의 소 직경부(13a)의 직경보다 약간 작고 그리고 생크부(15a)에 의해 규정되는 원통형 면의 직경과 동일하다. 한편, 타원형 단면의 부축을 따르는 길이는 소 직경부(13a)의 직경보다 크지만 큰 직경부(13b)의 직경보다는 약간 작으므로, 큰 직경부(13b)의 내벽이 결합 고리(15b)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결합 부재(15)가 소 직경부(13a)의 측면으로부터 결합 구멍(13) 내에 삽입됨에 따라, 결합 고리(15b)는 소 직경부(13a)의 내벽에 대해 가압되어, 생크부(15a)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결합 고리(15b)가 소 직경부(13a)를 지나 큰 직경부(13b) 내로 이동할 때, 결합 고리(15a)는 그의 최초의 형태로 탄성 회복한다. 그 결과, 결합 고리(15b)의 후단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13c)에 대향되며, 그에 따라 결합 부재(15)는 결합 구멍(13)에 의해 결합되어 결합 구멍(13)으로부터 제거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결합 상태에서, 결합 부재(15)의 결합 고리(15b)는 결합구멍(13)의 큰 직경부(13b) 내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고리(15b)는 큰 직경부(13b)를 규정하는 장착부(1b)의 벽부(1d)로 포위된다. 또한, 큰 직경부(13b)의 내벽은 대직경부(13b)의 내벽과 결합 고리(15b) 사이에 제공된 작은 간격 때문에 결합 고리(15b)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결합 상태에서, 결합 고리(15b)는 큰 직경부(13b)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로틀 장치의 사용자가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통상의 공구를 결합 구멍(13)의 큰 직경부(13b)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결합 구멍(13)으로부터 결합 부재(15)를 분리시키기 위해 결합 고리에 효과적인 힘을 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결합 부재(15)는 결합 구멍(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결합 부재(15)가 대응하는 결합 구멍(13)에 결합되기 때문에, 커버(18)는 스로틀체(1)에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고 스로틀체(1)로부터의 커버(18)의 제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환상 시일 부재(17)가 커버(18)의 단부(18a)와 스로틀체(1)의 장착부(1b) 사이에 개재되고 그리고 단부(18)와 장착부(1b)의 전체의 원주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물이나 먼지가 기어실(19)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시일 부재(17)는 스로틀체(1)의 장착부(1b)에 형성된 원주방향 요부(17a) 내에 끼워진다. 변형예로, 시일 부재(17)는 커버(18)의 단부(18a) 내에 형성된 원주방향 요부(도시 안됨)내에 끼워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일 부재(17)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O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17)는 단부(18a)와 장착부(1b) 사이에서압축되어, 시일 부재(17)가 단부(18a) 및 장착부를 서로 멀리 가압하는 가압력을 가한다. 이런 방법으로, 시일 부재(17)는 가압 부재의 역할을 한다. 가압력은 각 결합 부재(15)의 결합 고리(15b)의 후단부를 대응하는 결합 구멍(13)의 결합면(13c)에 대하여 밀어붙일 수도 있다. 따라서, 부딪힘에 관계없이 결합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모터(4)는 장착 플랜지(29)로부터 돌출하는 모터 단자(30)를 가지며, 이 모터 단자(30)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에 전기 접속되고, 또한 커버(18) 내에 제공된 릴레이 커넥터(36)의 릴레이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ECU에 추가로 접속된다. 그에 따라서, 모터(4)는 가속 페달 감속량과 관련된 가속 신호, 견인 제어 신호, 정속 운행 신호 및 아이들링 스피드 제어 신호 등에 따라서 구동되게 된다. 모터(4)의 구동력은 감속 기어 메카니즘(35)을 통하여, 즉 모터 피니언(32), 카운터 기어(14) 및 스로틀 기어(11)를 통하여 스로틀 샤프트(9)로 전달된다.
스로틀 기어(11)의 우측면에는 링형상의 자석(38)이 제공된다. 이 자석은 상이한 극성을 나타내는 한쌍의 반원형 자석부를 갖는다. 커버(18) 내측에서는 스로틀 샤프트(9)의 말단 표면과 대향하는 쪽에 회로기판(40)이 장착된다. 회로기판(40) 위에는, 자석(38) 내측에 위치된 홀 효과 요소(41)가 장착된다. 스로틀 기어(11)가 스로틀 샤프트(9)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홀 효과 요소(41)가 자석으로 인한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여 홀 전압을 발생시킨다. 홀 효과 요소(41)에 의해 발생된 홀 전압이 회로 기판(40) 및 커버(18) 내에 제공된 커넥터(도시하지않음)에 의해서 ECU에 입력된다. ECU는 자석(38)의 자계 변화에 따른 물리적인 자기량에 의해 스로틀 개방을 결정하여, 연료 주입 제어, 스로틀 밸브(2)의 개방에 대한 보정 제어, 자동차 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 자동차 속도에 따른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기어 변속 제어 등과 같은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자석(38), 회로 기판(40) 및 홀 효과 요소(41)는 스로틀 센서(42)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감속 기어 메카니즘(35) 및 스로틀 센서(42)가 기어실(19) 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커버(18)로 덮혀 있다.
상술한 스로틀 장치에서, 엔진이 시동되면, ECU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모터(4)에서 구동 제어가 수행되며, 그것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스로틀 밸브(2)가 감속 기어 메카니즘(35)를 통해 개폐되고, 그 결과 스로틀체(1)의 흡기 통로(1a)를 통해 흐르는 흡입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18)는 다수의 결합 구멍(13) 및 결합 부재(15)를 포함하는 스냅 결합 기구(16)에 의해 스로틀체(1)에 결합된다. 커버(18)를 스로틀체(1)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1) 결합 부재(15)가 각 결합 구멍(13)에 대향하도록 커버(18)를 스로틀체(1)에 대해 위치시키는 것과, (2) 결합 부재(15)를 각 결합 구멍(13) 내에 삽입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커버(18)를 스로틀체(1)에 장착하는 작업은 스크류를 사용하는 종래의 장착 작업에 비해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부재(15)는 커버(18)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장착 구조에 비해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리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커버(18)가 스로틀체(1)에 장착될 때 시일 부재(17)는 커버(18)의 단부(18a)와 스로틀체(1)의 장착부(1b) 사이에 배치된다. 시일 부재(17)는 결합 부재(15)의 결합 고리(15b)를 결합 구멍(13)의 결합면(13c)에 대해 누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단일 부재인 시일 부재(17)에 의해서, 스로틀체(1)와 커버(18) 사이의 시일과 스로틀체(1)에 대한 커버(18)의 부딪힘의 방지를 실행할 수 있다.
커버(18)가 스로틀체(1)로부터 우연히 제거된 다음 스로틀체(1)에 다시 장착되면, 스로틀체(1)쪽의 자석(38)과 커버(18)쪽의 홀 효과(Hall effect) 요소(41) 사이의 상대 위치가 잘못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경우에, 스로틀체(42)는 적절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스로틀체(1)의 장착부(1b)의 벽부(1d)가 결합 고리(15b)를 둘러싸고 있어 결합 고리(15b)에 수동으로 또는 통상의 공구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결합 고리(15b)는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18)가 스로틀체(1)에 장착된 스로틀 장치가 사용자에게 출하된 후에, 사용자는 커버(18)를 스로틀체(1)로부터 제거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18)를 재 장착하는 것에 기인하는 스로틀 센서(42)로부터의 부적절한 출력 신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스냅 결합 기구(16)는 커버(18)를 스로틀체(1)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정위치에 끼우는 역할을 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제 1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이며 제 1 실시예와는 스냅 결합 기구가 상이하다. 따라서, 도 7 내지 9에서, 유사한 부재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며, 이들 부재의 설명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스냅 결합 기구(50)는 다수의 결합 부재(51) 및 다수의 결합 요부(53)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51)는 커버(18)의 단부(18a)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 부재(51)는 단부(18a)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결합 요부(53)는 스로틀체(1)의 장착부(1b)에 형성되며 대응하는 결합 부재(1)에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결합 부재(51)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결합 요부(53)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하나의 결합 부재(51) 및 하나의 결합 요부(53)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51a)는 커버(18)와 스로틀체(1)의 끼움 방향(도 1에서 볼 때 왼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51a)를 갖는다. 이 기부(51a)는 끼움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결합 고리(51b)가 기부의 일단부(도 8에서 볼 때 좌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요부(53)는 장착부(1b)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어실(19)을 향하는 방향(끼움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끼움 방향으로 결합 고리(51b)에 대향하도록 결합 요부(53)에 커버(18)쪽의 잠금면(53a)이 한정된다. 커버(18)가 이동하여 스로틀체(1)에 끼워짐에 따라, 기부(51a)가 결합 고리(51b)와 장착부(1b)의 외주면의 접촉에 기인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 고리(51b)는 장착부(1b)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를 위해서,결합 고리(51b)의 전단부는 모따기되어 있으므로, 결합 고리(51b)는 장착부(1b)의 외주면 위에 원활하게 얹혀질 수 있다. 결합 고리(51b)가 결합 요부(53)와 정렬되는 위치에 접근할 때, 기부(51a)는 그의 최초의 형태로 복귀하므로, 결합 고리(51b)는 결합 요부(53)에 자동적으로 결합한다. 장착부(1b)의 외주면을 따르는 결합 부재(51b)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장착부(1b)의 외주면에 안내 요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18)를 스로틀체(1)에 장착하기 위해서, 커버(18)는 먼저 결합 부재(51)의 결합 고리(51b)가 스로틀체(1)의 대응하는 안내 요부(54)와 정렬하여 위치되도록 위치설정된다. 그 다음, 커버(18)는 스로틀체(1)의 장착부(1d)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기부(51a)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 고리(51b)가 대응하는 안내 요부(54)를 따라 이동한다. 결합 고리(51b)가 대응하는 결합 요부(53)와 정렬되면, 기부(51a)가 그의 형태를 탄성적으로 회복하므로, 결합 고리(51b)는 장착부(1d)의 외측으로부터 대응하는 결합 요부(53)에 자동적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 위치에서, 결합 요부(53)의 잠금면(53a)은 끼움 방향으로 대응 결합 고리(51b)와 대향한다. 그 결과, 커버(18)가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결합 부재(51)가 결합 요부(53)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런 방법으로, 커버(18)는 결합 부재(51)와 결합 요부(53)간의 결합을 통해 스로틀체(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 요부(53)는 장착부(1b)의 일부인 벽부(53b)에 의해 규정된다. 벽부(53b)는 결합 요부(5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장착부(1b)의 외주면과 수평으로 연장되는 외부면을 갖는다. 또한, 결합 위치에서, 결합 부재(51)의 외부면은 벽부(53b)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또한, 결합 위치에서, 결합 고리(51b)의 전단부는 벽부(51b)로부터 끼움 방향으로 매우 작은 간격(53c)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결합 고리(51b)를 결합 요부(53)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공구나 사람의 손가락이 결합 고리(51b)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커버(18)를 스로틀체(1)로부터 제거하기가 어렵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결합 고리(51b)를 대응하는 결합 요부(53) 내에 안내하기 위해서 장착부(1d)에 안내 요부(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요부(54)는 스로틀체(1) 및 커버(18)의 원주방향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부재(51)의 외부면, 특히 결합 부재(51)의 기부(51a)의 외부면은 벽부(53b) 뿐만아니라 장착부(1d)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51)를 제거하기 위한 기부(51a)로의 어떠한 접근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실시예에서 결합 고리(15b)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벽부(1d)는 결합 고리(15b)를 완전히 포위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벽부(1d)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고리(15b)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조에서, 결합 구멍(13)은 대응하는 평탄한 구역(1c)의 에지에서 개방되도록 연장되는 연통 요부(13d)를 구비한다. 연통 연부(13d)는 결합면(13c)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는 바닥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에서, 벽부(1d)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평탄한 구역(1c)과 일체로 형성되는 관상 연장부(1e)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관상 연장부(1e)는 결합 고리(15b)를 완전히 포위할 수도 있는 반면, 관상 연장부(1e)와 결합 고리(15b) 사이에 작은 틈새가 제공된다.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에서, 결합 고리(15b)를 결합면(13c)에 대해 누르기 위해서, 시일 부재(17) 이외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체(17)의 장착부(1d)와 각 결합 부재(15) 주위의 커버(18)의 단부(18a) 사이에 고무 링(17b)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 고무 링(17b)은 금속 리프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스냅 결합 장치[16(50)]에 벽부(1d)가 제공되지만, 스냅 결합 장치[16(50)] 중 적어도 하나에 벽부[1d(53b)]가 제공되는 것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결합 부재(15)는 각 결합 고리(15b)를 갖는 한 쌍의 생크부(15a)를 갖지만, 결합 고리를 각각 갖는 3개 이상의 생크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결합 구멍(13)은 스로틀체(1)에 형성되어 있고, 결합 부재(15)는 커버(18)에 제공되어 있지만, 결합 구멍(13)은 커버(18)에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 부재(15)는 스로틀체(1)에 제공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제 2 실시예에서, 결합 요부(53)는 스로틀체(1)에 형성되고, 결합 부재(51)는 커버(18)에 제공되어 있지만, 결합 요부(53)가 커버(18)에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 부재(1)는 스로틀체(1)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면[13c(53a)]에 대해 결합 고리[15b(51b)]를 가압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시일 부재(27)와 같은 가압 부재와 변형 실시예의 고무 링(17b)은 소망하는 경우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스로틀체(1)는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스로틀체(1)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스로틀 밸브(2) 및 커버(18)는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이들 요소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류와 같은 파스너를 사용하는 장착 구조에 비해서, 스로틀체 및 커버의 조립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고, 그리고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분리시키게 되는 제 1 또는 제 2 결합부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므로, 커버의 우연하거나 인위적인 제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스로틀 장치에 있어서,
    스로틀체(1)와,
    스로틀체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커버(18)와,
    스로틀체와 커버 중 하나에 배치된 제 1 결합부(15, 51) 및 스로틀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제 2 결합부(13, 53)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13, 15, 51, 53)로서, 스로틀체 및 커버가 제 1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가 서로 결합 가능하며, 그에 따라 스로틀체 및 커버가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커플링 장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 사이를 분리시키는 제 1 또는 제 2 결합부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1d, 1e, 53b)을 포함하는
    스로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15, 51)는 스로틀체(1) 및 커버(18)가 제 1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제 2 결합부(13, 53)에 결합하도록 탄성 변형된 후에 최초의 형태를 회복하는
    스로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수단(1d, 1e, 53b)은 제 1 결합 부재(15, 51)의 인위적인 작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되고 구성되는
    스로틀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갖는 결합 구멍(13)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제 1 및 제 2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면(13c)을 규정하며,
    결합 고리를 갖는 생크가 결합 구멍 내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며, 그에 따라 제 1 결합부가 결합 구멍 내에 삽입될 때 생크가 제 3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 고리가 결합 구멍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고,
    생크는 최초의 형태를 회복하여 결합 고리를 제 3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결합 고리가 결합면을 지나 이동할 때, 결합 고리가 제 1 방향으로 결합면과 대향된 결합 고리를 갖는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스로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15a)는 스로틀체(1) 및 커버(18)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생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크부는 제 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결합 고리(15b)는 한 쌍의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생크부의 각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로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수단은 스로틀체(1)와 커버(18) 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부(1d, 1e)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결합 고리가 결합 구멍(13)에 결합할 때 결합 고리(15b)를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구성되는
    스로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1d, 1e)는 결합 고리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결합 고리(15b)로부터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는
    스로틀 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스로틀체(1) 및 커버(18) 중 다른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제 1 또는 제 2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요부(5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스로틀체 및 커버가 제 1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결합 요부와 결합 고리를 결합시키도록 스로틀체 및 커버의 다른 하나의 외부면을 따라 탄성 변형된 다음 최초의 형태를 회복하는
    스로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부(53)는 개방 단부 및 이 개방 단부와 대향된 폐쇄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 단부는 스로틀체(1) 및 커버(18)의 다른 하나의 외부면에서 개방되는
    스로틀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51)는 스로틀체(1) 및 커버(18)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을 갖는
    스로틀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수단은 스로틀체(1) 및 커버(18) 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벽부(53b)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는 결합 요부(53)의 적어도 일부를 규정하는
    스로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53b)는 결합 고리(51b)가 결합 요부(53)와 결합할 때 제 1 결합부(51)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외부면을 갖는
    스로틀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 위치에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15, 51) 및 상기 제 2 결합 부재(13,53)를 제 2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 및 제 2 결합 부재간의 결합이 보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 장치(17, 17b)를 더 포함하는
    스로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스로틀체(1)와 커버(18)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17, 17b)를 포함하는
    스로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O 링(17, 17b)인
    스로틀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커플링 장치가 스로틀체(1) 또는 커버(18)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는
    스로틀 장치.
KR1020030069984A 2002-10-09 2003-10-08 스로틀 장치 KR20040032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6625A JP2004132232A (ja) 2002-10-09 2002-10-09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JP-P-2002-00296625 2002-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771A true KR20040032771A (ko) 2004-04-17

Family

ID=3202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984A KR20040032771A (ko) 2002-10-09 2003-10-08 스로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55335B2 (ko)
EP (1) EP1408217B1 (ko)
JP (1) JP2004132232A (ko)
KR (1) KR20040032771A (ko)
DE (1) DE60333247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935A (ko) * 2015-10-02 2018-05-1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흡기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9005B2 (en) * 2003-07-18 2007-07-03 Yamaha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bypass capacitor
US7305959B2 (en) * 2005-07-20 2007-12-11 Mahle Technology, Inc. Intake manifold with low chatter shaft system
US9237685B2 (en) 2006-08-18 2016-01-12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US7733659B2 (en) 2006-08-18 2010-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US8857464B2 (en) * 2008-01-30 2014-10-14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Valve actuators having magnetic angle sensors
FR2927124B1 (fr) * 2008-02-05 2013-02-22 Mark Iv Systemes Moteurs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e plaque support pour corps de clapets et plaque support
EP2401178B1 (en) 2009-02-27 2016-11-16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DE102011007523A1 (de) * 2011-04-15 2012-10-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tellantrieb einer Luftdurchlassvorrichtung
JP5867322B2 (ja) * 2012-07-04 2016-02-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気流制御装置
FR3023873B1 (fr) * 2014-07-16 2016-08-26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Systeme d'indexation d'un couvercle
CN106907511B (zh) * 2017-05-03 2023-06-20 天津航天长征火箭制造有限公司 一种液体控量节流装置
CN109424777A (zh) * 2017-08-24 2019-03-05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阀
IT201800007698A1 (it) * 2018-07-31 2020-01-31 Cmatic Spa Raccordo a funzione
CN109538804B (zh) * 2018-12-07 2023-07-18 徐志伟 刹车调节阀
US20220034395A1 (en) * 2020-07-29 2022-02-03 Vector Horizon Technology, LLC Actuator assembly that maximizes fatigue strength and mechanical endurance and provides ingress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1984B1 (fr) * 1995-03-21 1997-04-30 Rapid Sa Bouchon d'obturation d'une ouverture quelcon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bouchon
US5979691A (en) * 1998-04-10 1999-11-09 Von Holdt; John W. Container and locking lid
DE19903490C2 (de) * 1999-01-29 2001-03-22 A B Elektronik Gmbh Deckeldrehwinkelsensor
US6070852A (en) * 1999-01-29 2000-06-06 Ford Motor Company Electronic throttle control system
US6299545B1 (en) * 1999-05-03 2001-10-09 Visteon Global Tech., Inc. Rotating shaft assembly
JP3745573B2 (ja) 1999-08-24 2006-02-15 愛三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US6349701B1 (en) * 2000-02-21 2002-02-26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Throttle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303979A (ja) 2000-04-26 200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吸気量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24426A1 (de) * 2000-05-19 2001-11-22 Pierburg Ag Klappenstelleinheit
JP3893907B2 (ja) * 2001-06-14 2007-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吸気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935A (ko) * 2015-10-02 2018-05-1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흡기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03736A1 (en) 2004-06-03
EP1408217B1 (en) 2010-07-07
JP2004132232A (ja) 2004-04-30
EP1408217A3 (en) 2006-02-01
US6955335B2 (en) 2005-10-18
DE60333247D1 (de) 2010-08-19
EP1408217A2 (en)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2771A (ko) 스로틀 장치
US5687691A (en) Thrott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throttle device
US7063067B2 (en) Intake air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36993B2 (en) Throttle devic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1408228B1 (en) Intak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93173B2 (ja) 内燃機関用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02339766A (ja) 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US6892698B2 (en) Throttle control heat dissipation device
US20010045203A1 (en) Valve control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8122880A2 (en) Throttle position sensor assembly
JPH1047520A (ja) スロットルボデー
US6966296B2 (en) Throttle device
EP1408218B1 (en) Throttle control device
US6958918B2 (en) Contact unit
KR100534174B1 (ko) 합성수지제 부시
US6880522B2 (en) Motor driven throttl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motor thereto
KR20040100352A (ko) 전자제어식 쓰로틀장치
KR101469390B1 (ko) 전자식 스로틀밸브의 밸브하우징
KR20040100351A (ko) 전자제어식 쓰로틀장치
KR20010009796A (ko) 스로틀 포지션 센서
JPH10131775A (ja) エンジンのアクセルケーブル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