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463A -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 Google Patents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463A
KR20040027463A KR1020030067131A KR20030067131A KR20040027463A KR 20040027463 A KR20040027463 A KR 20040027463A KR 1020030067131 A KR1020030067131 A KR 1020030067131A KR 20030067131 A KR20030067131 A KR 20030067131A KR 20040027463 A KR20040027463 A KR 20040027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egion
skin
body flui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851B1 (ko
Inventor
가와타히카리
나카시타마사시
야마우치가오리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하기에 번거롭지 않고, 팬츠를 통하지 않고서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액성 표면 시트(2)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3)와, 이들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4)로 구성된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1A)가, 그것을 세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이 가능한 띠편을 가지며, 그 띠편이, 패드(1A)의 양측 가장자리부(7, 8)에 배치되어 앞 영역(9)의 단 가장자리부(5)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띠편(12a, 12b)으로 형성되고, 이들 띠편(12a, 12b)이, 표면 시트(2)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15, 18)와, 이면 시트(3)에 고착된 외측 고정부(16, 19)와, 내측 고정부(15, 18)와 외측 고정부(16, 19)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17, 20)를 갖는다.

Description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A DISPOSABLE PAD FOR ABSORBING BODY FLUID}
본 발명은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에 관한 것이다.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액성 코어가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가장자리부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세로로 긴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는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패드는 그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 측에 위치하는 앞 영역 및 둔부 측에 위치하는 뒤 영역과, 착용자의 고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갖는다. 이 패드의 이면 시트에는 환상의 가늘고 긴 고무가 부착되어 있다. 고무는 패드의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고무는 세로 방향 양단부가 이면 시트의 외면에 고착되고, 양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중앙부가 이면 시트의 외면으로부터 유리되어 있다. 이 패드는 팬츠의 내측에 얹어져 팬츠와 함께착용한다. 이 패드는 이면 시트의 외면에 부착된 고무가 팬츠의 내측에 접하기 때문에, 고무가 미끄럼 방지가 되어 팬츠에 대해 패드가 벗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9528호 공보(제2-3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패드는 그 착용시에 패드를 팬츠에 얹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패드 그 자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는 일은 없고, 팬츠를 통해 패드를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 패드는 팬츠가 착용자의 고간부로부터 벗어나 흘러내리면, 그에 따라 패드도 고간부에서 벗어나 흘러내리고, 패드가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되어 패드에 체액을 흡수시킬 수 없다. 또한, 이 패드는 팬츠와 함께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자리보전하고 누워만 있는 착용자에게 패드를 착용시키는 경우, 팬츠를 착용시킨 후에 패드를 팬츠의 내측에 얹어야만 하여 패드의 착용이 번거롭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착용이 번거롭지 않고, 팬츠를 통하지 않고서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례로서 도시하는 패드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접은 상태에 있는 착용전의 패드의 사시도.
도 5는 착용 상태에 있는 패드의 사시도.
도 6은 폐기하기 위해서 접혀진 착용후의 패드의 사시도.
도 7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패드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IX-I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패드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3은 접은 상태에 있는 착용전의 패드의 사시도.
도 14는 착용 상태에 있는 패드의 사시도.
도 15는 폐기하기 위해서 접혀진 착용후의 패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2 : 투액성 표면 시트
3 : 불투액성 이면 시트
4 : 흡액성 코어
5, 6 : 단 가장자리부
7, 8 : 측 가장자리부
9 : 앞 영역
10 : 중간 영역
11 : 뒤 영역
12 : 띠편
12a : 제1 띠편
12b : 제2 띠편
13 : 고정 테이프
13a : 고착부
13b : 자유부
14 : 신축성 탄성 부재
15 : 제1 내측 고정부
16 : 제1 외측 고정부
17 : 제1 파지부
18 : 제2 내측 고정부
19 : 제2 외측 고정부
20 : 제2 파지부
22 : 내측 고정부
23 : 파지부
L1, L2, L3 : 두께 치수
L4, L5 : 가로 치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가장자리부와,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세로로 긴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패드가 그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 측에 위치하는 앞 영역 및 둔부 측에 위치하는 뒤 영역과, 착용자의 고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드를 세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이 가능한 띠편이,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띠편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여 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와, 상기 내측 고정부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를 갖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를 갖는다.
(1) 상기 띠편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띠편과,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쪽에 배치되어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띠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띠편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위치하여 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위치하여 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외측 고정부와, 상기 내측 고정부와 상기 외측 고정부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2 띠편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쪽에 위치하여 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쪽에 위치하여 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외측 고정부와, 상기 내측 고정부와 상기 외측 고정부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를 갖는다.
(2) 상기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뒤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3) 상기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상기 패드의 앞 뒤 영역과 중간 영역 중 적어도 그 중간 영역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상기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세로 방향 내측으로 오그라들고 있다.
(4) 상기 띠편이 탄성적인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상기 패드의 피부 접촉측에 수축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5) 상기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의 표리면 시트 사이의 두께 치수가 상기 앞 뒤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보다도 작다.
(6) 상기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가로 치수가 상기 뒤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보다도 작다.
(7) 상기 패드의 뒤 영역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테이프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테이프가 상기 뒤 영역의 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고착부와, 상기 뒤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패드의 피부 비접촉측에 착탈 가능한 자유부를 갖는다.
(8) 상기 패드에서는, 상기 앞 영역과 상기 뒤 영역이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상기 중간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히고, 상기 고정 테이프의 자유부가 상기 패드의 앞 영역에 있어서의 피부 비접촉측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로 부착되어 그 패드가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일례로서 도시하는 패드(1A)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의 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또, 표리면 시트(2, 3)의 내면이란, 코어(4)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 시트(2, 3)의 외면이란, 코어(4)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패드(1A)는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2)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3)와, 표리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4)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1A)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가장자리부(5, 6)와,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의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7, 8)를 갖는다.
패드(1A)는 그 착용시에 착용자(30)의 복부(31) 측에 위치하는 앞 영역(9)과, 착용자(30)의 둔부(33) 측에 위치하는 뒤 영역(11)과, 착용자(30)의 고간부(32)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10)을 갖는다(도 5 참조). 패드(1A)는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 8) 사이의 가로 치수가 앞 뒤 영역(9, 11)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 8) 사이의 가로 치수보다도 작고,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띤다. 패드(1A)에는 그것을 세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띠편(12a, 12b)과, 착용전의 패드(1A)가 접혀진 상태(도 4 참조)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테이프(13)가 부착되어 있다.
중간 영역(10)의 양측 가장자리부(7, 8)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신축성 탄성 부재(14)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4)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탄성 부재(14)가 세로 방향 내측으로 수축하고, 패드(1A)가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띠편(12a, 12b)은 한쪽 측 가장자리부(7)에 배치되어 앞 영역(9)의 단 가장자리부(5)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띠편(12a)과, 다른 쪽 측 가장자리부(8)에 배치되어 앞 영역(9)의 단 가장자리부(5)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띠편(12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띠편(12a, 12b)에는 비신축성의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띠편(12a, 12b)은 실질적으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띠편(12a)은 측 가장자리부(7)에 위치하여 표면 시트(2)의 외면(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제1 내측 고정부(15)와, 측 가장자리부(7)에 위치하여 이면 시트(3)의 외면(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제1 외측 고정부(16)와, 제1 내측 고정부(15)와 제1 외측 고정부(16) 사이에 연장되는 제1 파지부(17)를 갖는다. 제2 띠편(12b)은 측 가장자리부(8)에 위치하여 표면 시트(2)의 외면(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제2 내측 고정부(18)와, 측 가장자리부(7)에 위치하여 이면 시트(3)의 외면(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제2 외측 고정부(19)와, 제2 내측 고정부(18)와 제2 외측 고정부(19) 사이에 연장되는 제2 파지부(20)를 갖는다.
제1 및 제2 내측 고정부(15, 18)는 패드(1A)의 양측 가장자리부(7, 8)를 따라 앞 영역(9)으로부터 중간 영역(10)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들 내측 고정부(15, 18)를 표면 시트(2)에 고착할 때는, 탄성 부재(14)를 세로 방향 외측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다. 중간 영역(10)에서는, 이들 띠편(12a, 12b)의 내측 고정부(15, 18)가 탄성 부재(14)의 수축에 의해 세로 방향 내측으로 오그라들고 있다. 제1 및 제2 외측 고정부(16, 19)는 앞 영역(9)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내측 고정부(15, 18)와 이들 외측 고정부(16, 19)는 핫 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표리면 시트(2, 3)에 고착되어 있다. 표리면 시트(2, 3)에 대한 이들 고정부(15, 16, 18, 19)의 고착에는 접착제 이외에 열 융착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코어(4)는 패드(1A)의 앞 뒤 영역(9, 11) 사이에 연장되고, 표리면 시트(2, 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코어(4)는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표리면 시트(2, 3) 사이의 두께 치수(L1)가 앞 뒤 영역(9, 11)에 있어서의 표리면 시트(2, 3) 사이의 두께 치수(L2, L3)보다도 작고, 패드(1A)의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에 있어서 코어(4)에 단차(21)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코어(4)는 패드(1A)의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4b) 사이의 가로 치수(L4)가 앞 뒤 영역(9, 11)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4b) 사이의 가로 치수(L5)보다도 작고(도 3 참조),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띤다.
양단 가장자리부(5, 6)에서는,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2, 3)의 부분이 서로 중첩되고, 부분에 있어서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양측 가장자리부(7, 8)에서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2, 3)의 부분이 서로 중첩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고정 테이프(13)는 패드(1A)의 뒤 영역(11)에 배치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 테이프(13)는 이면 시트(3)의 외면(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고착부(13a)와, 뒤 영역(11)의 단 가장자리부(6)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부(13b)를 갖는다. 자유부(13b)에는 점착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어 있다. 고정 테이프(13)는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표리면 시트(2, 3)끼리의 고착, 표리면 시트(2, 3)에 대한 탄성 부재(14)의 고착, 표리면 시트(2, 3)에 대한 코어(4)의 접합에는 이들 시트(2, 3)의 내면에 단속적으로 도포된 핫 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되고 있다. 접착제는 이들 시트(2, 3)의 내면에 스파이럴형이나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또, 접착제는 표리면 시트(2, 3) 중 어느 한쪽 내면에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도 4, 도 5는 접은 상태에 있는 착용전의 패드(1A)의 사시도와, 착용 상태에 있는 패드(1A)의 사시도이며, 도 6은 폐기하기 위해서 접혀진 착용후의 패드(1A)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위를 향해 누운 착용자(30)를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착용전의 패드(1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영역(9)과 뒤 영역(11)이 서로 접촉하도록,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중간 영역(10)이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혀져 있다. 앞 영역(9)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피부 비접촉측)에는 고정 테이프(13)의 자유부(13b)가 점착제를 통해 박리 가능하게 임시로 부착되어 있다. 패드(1A)는 고정 테이프(13)에 의해 그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패드(1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 테이프(13)의 자유부(13b)를 이면 시트(3)의 외면에서 박리하고, 앞 뒤 영역(9, 11)이 서로 이격되도록, 앞 뒤 영역(9, 11)을 세로 방향으로 전개한다. 패드(1A)를 착용시키는 일례로서는, 개호자가 위를 향해 누워 있는 착용자(30)의 둔부(33)를 들어 올려, 둔부(33)의 밑에 패드(1A)의 뒤 영역(11)을 위치시킨 후, 착용자(30)의 둔부(33)를 뒤 영역(11)의 위에 내려놓는다. 다음에, 패드(1A)의 앞 영역(9)을 착용자(30)의 복부(31) 측에 선회시킨다. 패드(1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영역(10)에서 구부러져, 앞 영역(9)이 착용자(30)의 복부(31)에 접촉하고, 뒤 영역(11)이 착용자(30)의 둔부(33)에 접촉하는 동시에, 중간 영역(10)이 착용자(30)의 고간부(32)에 접촉한다.
패드(1A)는 그것을 착용한 착용자(30)가 제1 및 제2 띠편(12a, 12b)의 파지부(17, 20)를 양손(34)으로 쥐고, 이들 띠편(12a, 12b)을 화살표 Y1로 도시하는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패드(1A)의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을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배설시에 패드(1A)에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패드(1A)는 이들 띠편(12a, 12b)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탄성 부재(14)가 세로 방향으로 신장하는 동시에, 패드(1A)의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 8)가 착용자(30)의 피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패드(1A)의 양측가장자리부(7, 8)로부터 체액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패드(1A)는 제1 띠편(12a) 또는 제2 띠편(12b)의 인장력을 가감함으로써, 패드(1A)의 양측 가장자리부(7, 8)의 피부에 대한 밀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패드(1A)는 종래 기술과 달리, 팬츠를 통해 패드(1A)를 피부에 밀착시킬 필요는 없다. 패드(1A)는 그 착용시에 그것을 팬츠에 얹어 팬츠와 함께 착용할 필요는 없고, 패드(1A)의 뒤 영역(11)을 착용자(30)의 둔부(33)의 밑에 깔기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패드(1A)를 간단히 착용시킬 수 있고, 특히 자리보전하고 누워만 있는 착용자(30)의 체액 처리용으로서 적합하다.
패드(1A)는 그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에 있어서 코어(4)에 단차(2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띠편(12a, 12b)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강하게 인장했다고 해도, 뒤 영역(11)에 있어서의 코어(4)가 착용자(30)의 고간부(32)에 걸려, 패드(1A)가 착용 위치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패드(1A)는 그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코어(4)의 가로치수(L4)가 앞 뒤 영역(9, 11)에 있어서의 코어(4)보다도 작기 때문에, 띠편(12a, 12b)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강하게 인장했다고 해도, 뒤 영역(11)에 있어서의 코어(4)가 착용자(30)의 고간부(32)에 걸려, 패드(1A)가 착용 위치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체액으로 더러워진 패드(1A)를 폐기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1A)를 착용 위치로부터 떼어내어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한 상태로 패드(1A)를 뒤 영역(11)으로부터 앞 영역(9)을 향해 세로 방향으로 접은 후, 이들 띠편(12a, 12b)의 파지부(17, 20)를 접혀진 패드(1A)의 외주면에 건다. 패드(1A)는띠편(12a, 12b)의 파지부(17, 20)를 통해 그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패드(1A)를 접은 상태인 채로 폐기할 수 있다.
도 7, 도 8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패드(1B)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7의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IX-I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패드(1B)는 투액성 표면 시트(2)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3) 사이에 흡액성 코어(4)가 개재하고, 양단 가장자리부(5, 6) 및 양측 가장자리부(7, 8)와, 착용자(30)의 복부(31) 측에 위치하는 앞 영역(9) 및 둔부(33) 측에 위치하는 뒤 영역(11)과, 착용자(30)의 고간부(32)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10)을 갖는다. 패드(1B)는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 8) 사이의 가로 치수가 앞 뒤 영역(9, 11)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 8) 사이의 가로 치수보다도 작다. 패드(1B)에는 그것을 세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이 가능한 제1 및 제2 띠편(12a, 12b)과, 착용전의 패드(1B)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테이프(13)가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띠편(12a, 12b)은 양측 가장자리부(7, 8)에 배치되어 앞 영역(9)의 단 가장자리부(5)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띠편(12a)은 측 가장자리부(7)에 위치하여 표면 시트(2)의 외면에 고착된 제1 내측 고정부(15)와, 측 가장자리부(7)에 위치하여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착된 제1 외측 고정부(16)와, 이들 고정부(15, 16) 사이에 연장되는 제1 파지부(17)를 갖는다.제2 띠편(12b)은 측 가장자리부(8)에 위치하여 표면 시트(2)의 외면에 고착된 제2 내측 고정부(18)와, 측 가장자리부(8)에 위치하여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착된 제2 외측 고정부(19)와, 이들 고정부(18, 19) 사이에 연장되는 제2 파지부(20)를 갖는다. 이들 띠편(12a, 12b)에는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띠편(12a, 12b)은 실질적으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및 제2 내측 고정부(15, 18)는 패드(1B)의 양측 가장자리부(7, 8)를 따라 앞 영역(9)의 단 가장자리부(5)로부터 뒤 영역(11)의 단 가장자리부(6)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외측 고정부(16, 19)는 앞 영역(9)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내측 고정부(15, 18)는 표면 시트(2)의 외면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세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이들 외측 고정부(16, 19)는 이면 시트(3)의 외면에 비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도 7에서는, 띠편(12a, 12b)의 내측 고정부(15, 18)가 세로 방향 내측으로 수축하고, 패드(1B)가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코어(4)는 패드(1B)의 앞 뒤 영역(9, 11) 사이에 연장되고, 표리면 시트(2, 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코어(4)의 표리면 시트(2, 3) 사이의 두께 치수는 패드(1B)의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에서 거의 동일하다. 코어(4)는 패드(1B)의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4b) 사이의 가로 치수(L4)가 앞 뒤 영역(9, 11)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4b) 사이의 가로 치수(L5)보다도 작다. 양단 가장자리부(5, 6)에서는, 표리면 시트(2, 3) 부분이 서로 중첩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양측 가장자리부(7, 8)에서는, 표리면 시트(2, 3)의 부분이 서로 중첩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고정 테이프(13)는 패드(1B)의 뒤 영역(11)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전의 패드(1B)가 접혀진 상태와 패드(1B)의 착용 상태는 도 4, 도 5와 동일하며, 패드(1B)를 폐기하기 위해서 접은 상태는 도 6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1B)는 그것을 착용한 착용자(30)가 제1 및 제2 띠편(12a, 12b)의 파지부(17, 20)를 양손(34)으로 쥐고, 이들 띠편(12a, 12b)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패드(1B)의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을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배설시에 패드(1B)에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패드(1B)는 그것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하면, 띠편(12a, 12b)의 내측 고정부(15, 18)가 세로 방향으로 신장하는 동시에, 내측 고정부(15, 18)가 착용자(30)의 피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패드(1B)의 양측 가장자리부(7, 8)로부터 체액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패드(1B)는 띠편(12a, 12b)의 내측 고정부(15, 18)가 앞 뒤 영역(9, 11) 사이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띠편(12a, 12b)을 인장함으로써, 패드(1B)의 앞 영역(9)뿐만 아니라, 중간 영역(10)과 뒤 영역(11)이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되고,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을 착용자(30)의 피부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패드(1B)는 제1 띠편(12a) 또는 제2 띠편(12b)의 인장력을 가감함으로써, 이들 띠편(12a, 12b)의 내측 고정부(15, 18)와 함께 패드(1B)의 양측 가장자리부(7, 8)의 피부에 대한 밀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패드(1B)는 그 착용시에 그것을 팬츠에 얹어 팬츠와 함께 착용할 필요는 없고, 패드(1B)의 뒤 영역(11)을 착용자(30)의 둔부(33)의 밑에 깔기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패드(1B)를 간단히 착용시킬 수 있다.
도 10, 도 11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패드(1C)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0의 XI-X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패드(1C)는 투액성 표면 시트(2)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3) 사이에 흡액성 코어(4)가 개재하고, 양단 가장자리부(5, 6) 및 양측 가장자리부(7, 8)와, 착용자(30)의 복부(31) 측에 위치하는 앞 영역(9) 및 둔부(33) 측에 위치하는 뒤 영역(11)과, 착용자(30)의 고간부(32)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10)을 갖는다. 패드(1C)는 중간 영역(10)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 8) 사이의 가로 치수와 앞 뒤 영역(9, 11)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 8) 사이의 가로 치수가 거의 동일하며,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띤다. 패드(1C)에는 그것을 세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이 가능한 띠편(12)과, 착용전의 패드(1C)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테이프(13)가 부착되어 있다.
띠편(12)은 앞 영역(9)의 양측 가장자리부(7, 8)에 위치하여 표면 시트(2)의 외면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22)와, 내측 고정부(22)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23)를 갖는다. 내측 고정부(22)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에 겹쳐 있다. 띠편(12)은 비신축성의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띠편(12)은 실질적으로 고리를 형성하고있다.
코어(4)는 패드(1C)의 앞 뒤 영역(9, 11) 사이에 연장되고, 표리면 시트(2, 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코어(4)의 표리면 시트(2, 3) 사이의 두께 치수는 패드(1C)의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에서 거의 동일하다.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 사이의 가로 치수는 패드(1C)의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에서 거의 동일하다. 양단 가장자리부(5, 6)에서는, 표리면 시트(2, 3)의 부분이 서로 중첩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양측 가장자리부(7, 8)에서는, 표리면 시트(2, 3)의 부분이 서로 중첩되고,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고정 테이프(13)는 패드(1C)의 뒤 영역(11)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13, 도 14는 접은 상태에 있는 착용전의 패드(1C)의 사시도와, 착용 상태에 있는 패드(1C)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폐기하기 위해서 접혀진 착용후의 패드(1C)의 사시도이다. 도 14에서는, 위를 향해 누운 착용자(30)를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착용전의 패드(1C)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영역(9)과 뒤 영역(11)이 서로 접촉하도록,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중간 영역(10)이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혀져 있다. 앞 영역(9)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는 고정 테이프(13)의 자유부(13b)가 점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박리 가능하게 임시로 부착되어 있다.
패드(1C)를 착용시키는 순서는 도 5와 동일하다. 착용 상태에 있는 패드(1C)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영역(10)에서 구부러져, 앞 영역(9)이 착용자(30)의 복부(31)에 접촉하고, 뒤 영역(11)이 착용자(30)의 둔부(33)에 접촉하는 동시에, 중간 영역(10)이 착용자(30)의 고간부(32)에 접촉한다.
패드(1C)는 착용자(30)가 띠편(12)의 파지부(23)를 한쪽 손(34)으로 쥐고, 띠편(12)을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패드(1C)의 앞 뒤 영역(9, 11)과 중간 영역(10)을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배설시에 패드(1C)에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패드(1C)는 그 착용시에 그것을 팬츠에 얹어 팬츠와 함께 착용할 필요는 없고, 패드(1C)의 뒤 영역을 착용자(30)의 둔부(33)의 밑에 깔기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패드(1C)를 간단히 착용시킬 수 있다.
체액으로 더러워진 패드(1C)를 폐기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한 상태로 패드(1C)를 뒤 영역(11)으로부터 앞 영역(9)을 향해 세로 방향으로 접은 후, 띠편(12)의 파지부(23)를 접혀진 패드(1C)의 외주면에 건다. 패드(1C)는 띠편(12)을 통해 그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패드(1C)를 접은 상태인 채로 폐기할 수 있다.
표면 시트(2)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끼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띠편(12, 12a, 12b)에는 비신축성 플라스틱 시트나 신축성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에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로,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 에어 스루 등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병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섬유 부직포에는 멜트 블로나 스펀 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방사한 신축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섬유 부직포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성 또한 소수성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용융, 방사한 권축 섬유로 이루어진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코어(4)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또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와의 혼합물로서,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4)는 그것의 형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투액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도시된 패드(1A, 1B)에서는, 착용후의 이들 패드(1A, 1B)를 폐기할 때에, 패드(1A, 1B)를 앞 영역(9)으로부터 뒤 영역(11)을 향해 세로 방향으로 뭉치고, 뭉쳐진 패드(1A, 1B)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정 테이프(13)의 자유부(13b)를 고착하여도 좋다. 패드(1A, 1B)는 그 뭉쳐진 상태가 고정 테이프(13)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패드(1A, 1B)를 뭉친 상태인 채로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에 따르면, 띠편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패드의 앞 뒤 영역과 중간 영역을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배설시에 패드에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이 패드는 그 착용시에 그것을 팬츠에 얹어 팬츠와 함께 착용할 필요는 없고, 패드의 뒤 영역 착용자의 둔부의 밑에 깔기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패드를 간단히 착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자리보전하고 누워만 있는 착용자의 체액 처리용으로서 적합하다.
띠편이 제1 띠편과 제2 띠편으로 형성된 패드에서는, 이들 띠편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패드의 앞 뒤 영역과 중간 영역을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 띠편 또는 제2 띠편의 인장력을 가감함으로써,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피부에 대한 밀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뒤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패드에서는, 띠편에 의해 패드의 앞 영역뿐만 아니라, 중간 영역과 뒤 영역이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되고, 앞 뒤 영역과 중간 영역을 착용자의 피부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양측 가장자리부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 패드는 띠편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탄성 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신장하는 동시에,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체액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띠편이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패드는 띠편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세로 방향으로 신장하는 동시에, 내측 고정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체액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코어의 표리면 시트 사이의 두께 치수가 앞 뒤 영역에 있어서의 코어보다도 작은 패드에서는, 앞 뒤 영역과 중간 영역에 있어서 코어에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띠편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강하게 인장했다고 해도, 뒤 영역에 있어서의 코어가 착용자의 고간부에 걸려, 패드가 착용 위치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가로 치수가 뒤 영역에 있어서의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부 사이보다도 작은 패드에서는, 띠편을 세로 방향 외측으로 강하게 인장했다고 해도, 뒤 영역에 있어서의 코어가 착용자의 고간부에 걸려, 패드가 착용 위치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테이프가 뒤 영역에 부착된 패드에서는, 앞 영역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의 외면에 고정 테이프의 자유부를 임시로 부착함으로써, 착용전의 패드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9)

  1.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가장자리부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세로로 긴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그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 측에 위치하는 앞 영역 및 둔부 측에 위치하는 뒤 영역과, 착용자의 고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드를 세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이 가능한 띠편이,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띠편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여 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와, 상기 내측 고정부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편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띠편과,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쪽에 배치되어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띠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띠편이,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위치하여 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위치하여 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외측 고정부와, 상기 내측 고정부와 상기 외측 고정부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2 띠편이, 상기 양측가장자리부의 다른 쪽에 위치하여 피부 접촉측에 고착된 내측 고정부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쪽에 위치하여 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외측 고정부와, 상기 내측 고정부와 상기 외측 고정부 사이에 연장되는 파지부를 갖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기 앞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뒤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상기 패드의 앞 뒤 영역과 중간 영역 중 적어도 그 중간 영역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상기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세로 방향 내측으로 오그라들고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편이 탄성적인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띠편의 내측 고정부가 상기 패드의 피부 접촉측에 수축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의 표리면 시트 사이의 두께 치수가 상기 앞 뒤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보다도 작은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가로 치수가 상기 뒤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보다도 작은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뒤 영역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테이프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테이프가 상기 뒤 영역의 피부 비접촉측에 고착된 고착부와, 상기 뒤 영역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패드의 피부 비접촉측에 착탈 가능한 자유부를 갖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서는, 상기 앞 영역과 상기 뒤 영역이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상기 중간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히고, 상기 고정 테이프의 자유부가 상기 패드의 앞 영역에 있어서의 피부 비접촉측에 박리 가능하게 임시로 부착되어 그 패드가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KR1020030067131A 2002-09-27 2003-09-27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KR101025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3242 2002-09-27
JP2002283242A JP4136572B2 (ja) 2002-09-27 2002-09-27 使い捨て体液吸収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463A true KR20040027463A (ko) 2004-04-01
KR101025851B1 KR101025851B1 (ko) 2011-03-30

Family

ID=3197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131A KR101025851B1 (ko) 2002-09-27 2003-09-27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56834B2 (ko)
EP (1) EP1402865B1 (ko)
JP (1) JP4136572B2 (ko)
KR (1) KR101025851B1 (ko)
CN (1) CN1305452C (ko)
AT (1) ATE298228T1 (ko)
DE (1) DE60300876T2 (ko)
TW (1) TWI2280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5573B1 (en) * 1996-12-31 2009-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drawstring members
JP4136572B2 (ja) 2002-09-27 2008-08-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体液吸収パッド
US20050137564A1 (en) * 2003-12-19 2005-06-23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facilitating applic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on a user, and related article and application aid
US7985210B2 (en) * 2004-02-09 2011-07-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lap handle that aids in the application of said absorbent article
JP2006149588A (ja) * 2004-11-29 2006-06-15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US7875012B2 (en) * 2005-12-23 2011-0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astic disposal means
JP5154129B2 (ja) 2007-03-30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シート及び複合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221183B2 (ja) * 2008-03-28 2013-06-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おむつ、おむつ用尿取りパッド
US8262636B2 (en) 2010-10-22 2012-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donning tab
US8870843B2 (en) * 2012-08-07 2014-10-28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temporary adhesive attachment and related methods
USD693524S1 (en) * 2012-10-24 2013-11-12 Linda S. Jangula Disposable male canine wrap
US11154433B2 (en) 2014-10-31 2021-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US10660802B2 (en) 2015-12-30 2020-05-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side panel method of fastening
CN111759587A (zh) * 2019-04-02 2020-10-13 康澄国际股份有限公司 吸收件与包裤及其组合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378A (en) * 1973-03-22 1975-03-18 Procter & Gamble Absorbent bandage
US4745926A (en) * 1986-04-21 1988-05-24 Hlusko Dana L Reflux pants
US5651779A (en) * 1989-07-03 1997-07-29 Burrell; Helen Panty liner construction
CN2091146U (zh) * 1991-03-28 1991-12-25 孙品金 一次性垫巾
CN2167695Y (zh) * 1993-03-12 1994-06-08 葛若美 一次性多功能卫生巾裤
US5423789A (en) 1993-03-31 1995-06-13 Kimberly-Clark Corporation Garment with selectable fasteners
JP3478569B2 (ja) * 1993-10-13 2003-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パッド
CN2224611Y (zh) * 1995-04-11 1996-04-17 郎社平 防渗卫生裤
ES2177808T3 (es) * 1995-11-27 2002-12-16 Procter & Gamble Productos absorbentes estratificados apilados.
US6585713B1 (en) 1996-11-14 2003-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providing a dynamic fit
JP4020340B2 (ja) * 1997-07-25 2007-12-12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ずり上げ用指掛け部材付大人用完全パンツ型おむつ
US6676648B2 (en) 1998-11-04 2004-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having asymmetric longitudinal absorbent pad
JP3644839B2 (ja) * 1999-03-15 2005-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保持手段が設けられた使い捨ておむつ
US6368313B1 (en) * 2000-07-13 2002-04-09 Sandra K. Howard Dog diaper system
JP2002119528A (ja) 2000-10-13 2002-04-23 Koichi Hamada 尿取りパッド及び尿取りパッド用ずれ止めシート
US20040074450A1 (en) * 2001-10-10 2004-04-22 Soares Daryl Bruce Dog diaper
JP4136572B2 (ja) 2002-09-27 2008-08-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体液吸収パッド
US6895901B1 (en) * 2003-06-18 2005-05-24 Sandra Smith Howard Dog diap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6721A (zh) 2004-05-19
EP1402865B1 (en) 2005-06-22
CN1305452C (zh) 2007-03-21
EP1402865A1 (en) 2004-03-31
DE60300876T2 (de) 2006-04-27
JP4136572B2 (ja) 2008-08-20
DE60300876D1 (de) 2005-07-28
KR101025851B1 (ko) 2011-03-30
TW200412919A (en) 2004-08-01
TWI228038B (en) 2005-02-21
ATE298228T1 (de) 2005-07-15
JP2004113602A (ja) 2004-04-15
US7156834B2 (en) 2007-01-02
US20040064123A1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776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228635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839132B1 (ko) 신축성 일회용 팬츠
KR101895757B1 (ko) 부분적으로 에워싸인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및 이의 제조 방법
EP1247507B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TWI305143B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1025851B1 (ko)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KR20040111090A (ko) 일회용 기저귀
KR20020029625A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901839B1 (ko)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KR20040101945A (ko) 일회용 착용 물품
CN110177530B (zh) 具有分隔前区和后区的凹部的吸收制品
JP2003038556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062009A5 (ko)
KR102523795B1 (ko) X자 형의 감소된 흡수 부위를 포함하는 흡수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CN106794087B (zh) 具有部分层合腰部弹性构件的吸收制品
JP3811086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CN110035727B (zh) 具有改进的腿部和翼片弹性件的吸收制品
JP2005192814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3211689U (ja) 吸収性物品
JP379869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426766B2 (ja) 使い捨て排泄物処理パッド
JP2015000160A (ja) 吸収性物品
JP5297210B2 (ja) 保形部材
CN110022818B (zh) 具有后袋设计的吸收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