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419A - 피혁을 포함하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 Google Patents

피혁을 포함하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419A
KR20040027419A KR1020030066697A KR20030066697A KR20040027419A KR 20040027419 A KR20040027419 A KR 20040027419A KR 1020030066697 A KR1020030066697 A KR 1020030066697A KR 20030066697 A KR20030066697 A KR 20030066697A KR 20040027419 A KR20040027419 A KR 2004002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fiber yarn
cellulose
yarn
fi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은
Original Assignee
서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은 filed Critical 서정은
Publication of KR2004002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82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 D06P3/820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 D06P3/821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ester and amide group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42Chenil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기본적으로 인조 고분자를 포함하는 해성분과 피혁의 미세분말로 이루어진 도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가 90 ~ 10 : 10 ~ 90이며, 상기 미세분말의 입경은 1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가 개시된다. 이 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은 물에 취약한 피혁이 물에 강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은 물세탁할 수 있으며, 폐피혁을 재활용할 수 있고 또한 피혁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또한 그러면서도 촉감 및 외관이 피혁에 유사한 질감 및 터치이며, 흡수성이 우수한 천연 단백질 성분의 피혁분말에 의하여 적당한 수분율을 유지할수 있으므로 동절기 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해성분과 도성분의 물리, 화학적 성질 차이에 기인한 염료에 대한 염착량 차이 때문에 2색톤 염색이 되므로 독특한 심미감을 갖는 신패션을 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혁을 포함하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Fiber yarn having leathers and fabric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혁을 포함하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혁 미세분말,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 가닥 등의 형태로 피혁을 포함하여 독특한 미감 및 우수한 촉감 등을 갖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피혁은 독특한 심미감, 보온성, 적당한 수분흡수율 등의 우수한 특성 때문에 섬유분야에서도 오랜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천연피혁은 생산량이 수요량을 항상 훨씬 하회하여 1980년대말부터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인조피혁의 제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일본 및 한국의 몇몇 메이커에서는 대량생산에 성공하여 동절기 의복용이나 소파, 카펫 등의 실내 인테리어 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런데, 천연피혁은 물에 젖었을 때 인장강력이 매우 약해져 변형되기 쉬우므로 물세탁이 불가능한 점, 및 곰팡이, 세균 등에 의한 침해를 받기 쉬운 점, 및 가격이 비싼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극세사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폴리우레탄을 함침시켜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 인조피혁은 합성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물세탁도 가능하고 곰팡이, 세균 등에 의한 침해를 받기 어려우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잇점이 있으나, 심미적 관점에서 아직까지도 천연피혁에 비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천연피혁 및 인조피혁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오히려 이들이 갖는 장점들이 잘 조합된 섬유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조 고분자를 포함하는 해성분과 피혁의 미세분말로 이루어진 도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가 90 ~ 10 : 10 ~ 90이며, 상기 미세분말의 입경은 1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해성분의 인조 고분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말의 입경은 15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혁은 천연피혁 또는 인조피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가 60 ~ 40 : 40 ~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는 필라멘트사 또는 스테이플사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는 피혁 미세분말을 포함하지 않는 천연섬유사 또는 인조섬유사와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를 포함하며,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천연섬유사 또는 인조섬유사로 이루어진 직물; 및
상기 직물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 피혁미세분말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가닥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수지로 이루어진 사가 합연된 형태의 섬유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가닥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사가 샤넬사 또는 날개사 형태로 혼합된 섬유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는 도성분을 이루는 피혁미세분말이 해성분을 이루는 인조 고분자 성분에 의하여 감싸여져서 스테이플 형태의 단섬유사 또는 필라멘트사 형태의 장섬유사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피혁미세분말은 복합사의 표면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섬유사는 물에 취약한 피혁이 물에 강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은 물세탁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폐피혁으로서 버려지는 자원도 재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피혁으로 이루어지는 도성분의 중량분율을 적게하면 경제적으로 촉감 및 외관이 피혁 터치인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해성분과 도성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달라서 염료에 대한 염착량이 달라 한번의 염색에 의하여 2색톤(two color tone)의 독특한 심미감을 갖을 수 있어서 신패션 감각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피혁이 미세분말의 형태가 아니라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가닥, 예를 들면 폭 1 ~ 2 mm 및 길이 2 ~ 4cm 사이즈의 피혁가닥이 일반적인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와 합연사 또는 샤넬사 또는 날개사 형태의 가공사로 제조되어 상기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는 인조 고분자를 포함하는 해성분과 피혁 미세분말로 이루어진 도성분을 포함하는 2성분사(bicomponent yarn)이다. 상기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는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90 ~ 10 : 10 ~ 90의 비율로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 20 : 20 ~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30 : 30 ~ 7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40 : 40 ~ 60의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해성분을 이루는 인조 고분자 수지의 중량비율이 90을 초과하면 도성분을 이루는 피혁미세분말의 중량비율이 10 미만으로 너무 적어서 원하는 피혁 터치가 가미된 독특한 미감의 복합사를 얻을 수 없고, 해성분을 이루는 인조 고분자 수지의 중량비율이 10 미만이면 도성분의 피혁미세분말을 보호하는 인조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충분치 못하여 제조곤란성이 증대되며 또한 건조 및 습윤시의 복합사의 인장강도가 실용적 목적에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도성분을 이루는 피혁 미세분말의 입경은 방사성을 고려하여 최소한 1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미세한 크기이어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8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미세한 분말이다.
여기서, 와이어 클로스(wire cloth)의 "메쉬"라 함은 스텐레스 금속망의 가로, 세로 1인치 사이에 있는 망눈의 수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스텐레스망은 세로의메쉬를 먼저 표시하고 가로의 메쉬를 후에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4×4 메쉬는 세로 1인치당 4개의 스텐레스 철선이 있고 가로 1인치당 4개의 스텐레스 철선이 모여 와이어 클로스를 구성하는 것을 말하며, 간단히 4메쉬라고 칭하여 진다. 본 발명에서 10 메쉬 와이어 클로스라함은 0.8mm 굵기의 스텐레스 철선이 가로, 세로 1 인치당 10개씩 가로놓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개목(開目)의 크기가 1.74 mm인 와이어 클로스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80 메쉬 와이어 클로스라함은 0.12mm 굵기의 스텐레스 철선이 가로, 세로 1 인치당 80개씩 가로놓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개목(開目)의 크기가 0.198 mm인 와이어 클로스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150 메쉬 와이어 클로스라함은 0.06 mm 굵기의 스텐레스 철선이 가로, 세로 1 인치당 150개씩 가로놓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개목(開目)의 크기가 0.109 mm인 와이어 클로스로 정의된다.
상기 피혁 미세분말은 우피, 양피, 돈피, 등의 천연피혁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극세사의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등을 함침시켜 제조되는 인조피혁일 수 있다.
상기 해성분을 구성하는 인조 고분자는 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이에 다른 비닐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탄성수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는 필라멘트사 또는 스테이플사의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피혁 미세분말을 포함하지 않는 천연섬유사 또는 인조섬유사와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혼합의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 스테이플과 다른 섬유 스테이플 예를 들면 면 스테이플, 양모 스테이플, 폴리에스테르사 스테이플, 폴리아미드사 스테이플 등을 혼합하여 혼섬방적하여 얻어진 혼방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 필라멘트사와 다른 통상의 필라멘트사를 적당한 본수 합연한 형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하여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의 직물을 제조하면, 물세탁이 가능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촉감 및 외관이 피혁 터치인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물은 해성분과 도성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달라서 염료에 대한 염착량이 달라 2색톤의 독특한 심미감을 갖는 신패션 감각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직물제조시 코디지(cordage) 형태로 가죽을 슬라이스 하여 얻은 가늘고 긴 피혁원단을 통상적인 고분자 수지의 코디지와 인터레이스하여 얻은 직물도 본 발명에 따른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과 같은 독특한 터치 및 심미감을 지닌 직물로 될 수 있다.
상기한 독특한 터치 및 심미감의 직물은 또한 직물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 피혁미세분말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킹 직물에 의하여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독특한 터치 및 심미감의 직물은 또한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가닥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사가 합연된 형태의 섬유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직물에 의하여도 얻어질 수 있다.
상기한 독특한 터치 및 심미감의 직물은 또한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가닥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사가 샤넬사 또는 날개사 형태로 혼합된 섬유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직물에 의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사로서는 반날개사 또는 양날개사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섬유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해성분이 될 고분자 수지 : 도성분이 되는 피혁미세분말을 용도에 따라 90 ~ 10 : 10 ~ 90의 비율로 혼합한다. 혼합방법으로는 용융방사법을 이용하여 섬유화하는 경우에는 미리 밤바리 믹서와 같은 혼합장치에서 고분자 수지와 피혁미세분말을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혁미세분말의 함량이 작을 때에는 방사팩이 장착된 압출기에 고분자 수지와 피혁미세분말을 직접 투입할 수도 있으나, 얻어진 복합사 단면에서의 미세피혁분말의 분포상태가 불균일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는 불규칙한 패턴의 2색톤 염색효과 및 가죽 터치의 새로운 외관의 직물로 응용하기 위한 것으므로 이러한 불균일이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
한편, 피혁미세분말은 우피, 양피, 돈피 등의 천연피혁 또는 인조피혁을 잘건조시킨 후 적당한 사이즈, 예를 들면 2 cm × 2 cm 정도의 사이즈로 미리 커팅한 후 분쇄기에 투입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한 미세한 사이즈로 분쇄될 수 있다.
이어서, 위에서 얻어진 마스터 칩을 통상의 방사기에 투입하고 방사하여 스테이플 형태 또는 필라멘트사 형태의 복합사를 얻는다. 방사시 용융 또는 용해된 고분자 수지는 피혁미세분말을 감싸는 연속상의 해성분을 형성하고 피혁미세분말은 도성분을 형성하게 된다.
방사후 연신은 고속권취에 의하여 권취공정과 연신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생산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저속권취후 별도의 연신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방사팩 및 방사구금은 통상적인 합성섬유 방사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방사방식으로는 해성분을 이루는 고분자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과 같은 경우에는 용융방사방식이 이용되며, 상기 고분자 수지가 재생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인 경우에는 이들 수지를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켜 얻은 방사액에 피혁미세분말을 혼합하여 얻은 방사원액을 습식방사 또는 건식방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사원액의 농도는 고분자 수지 및 피혁미세분말을 포함한 고형분 농도는 방사용이성 측면에서 약 5 ~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1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이다. 사용가능한 방사용제로서는 아세톤, 염화메틸렌, 질산 수용액,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재생셀룰로오스의 경우에는 이를 잘알려진 레이온 제조방식에 따라 소디움 크산테이트 셀룰로오스 형태로 화학반응시킨 것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용해시켜 얻은 도우프(dope)를 황산, 황산나트륨, 및 황산아연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습식방사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섬유사의 제조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피혁 미세분말의 제조
출력 75 kW의 고속분쇄기(강화 분쇄기사, 제품형식 : KHC100-600x1000)을 이용하여 크롬으로 무두질된 잘 건조된 우피를 분쇄하여 120메쉬의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정도의 우피 미세분말을 얻었다. 고속분쇄기의 회전속도는 580RPM이었으며, 우피는 미리 가위로 2cm × 2cm 정도의 크기로 커팅한 후 고속분쇄기내에 투입하였다.
실시예 1
해성분으로 극한점도 0.66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도성분으로 위에서 얻은 우피 미세분말을 사용하되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를 80 : 20로 하여 블렌딩한 후 압출기에 투입하여 방사온도 285℃에서 통상의 스테이플 섬유 제조용 방사팩 장치 및 40홀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였다. 권취속도는 800m/분으로 하고, 연신배율 2.5배로 토우 연신하여 12 데니어×51 mm의 섬유사 스테이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해성분 : 도성분 중량비를 70 : 3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11.5 데니어×51 mm의 섬유사 스테이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해성분 : 도성분 중량비를 60 : 4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10 데니어×51 mm의 섬유사 스테이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해성분으로 극한점도 0.69의 나일론 6를 사용하고, 도성분으로 위에서 얻은 우피 미세분말을 사용하되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를 80 : 20로 하여 블렌딩한 후 압출기에 투입하여 방사온도 230℃에서 통상의 스테이플 섬유 제조용 방사팩 장치 및 40홀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였다. 권취속도는 800m/분으로 하고, 연신배율 2.8배로 토우 연신하여 11 데니어×51 mm의 섬유사 스테이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해성분 : 도성분 중량비를 70 : 3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10.4 데니어×51 mm의 섬유사 스테이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해성분 : 도성분 중량비를 60 : 4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9.8 데니어×51 mm의 섬유사 스테이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해성분으로 극한점도 0.66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도성분으로 위에서 얻은 우피 미세분말을 사용하되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를 80 : 20로 하여 블렌딩한 후 압출기에 투입하여 방사온도 285℃에서 통상의 방사팩 장치를 이용하여 80 데니아 36 필라멘트(모노데니아 2.22)로 방사한 원사를 3,500m/min의 속도로 권취하면서 동시에 연신하여 섬유사 원사를 얻었다. 이를 다시 2합사하여 최종 섬유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해성분 : 도성분 중량비를 70 : 3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75 데니아 36 필라멘트(모노데니아 2.08)의 섬유사 원사를 3,500m/min의 속도로 권취, 연신하여 섬유사 원사를 얻었다. 이를 다시 2합사하여 최종 섬유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해성분 : 도성분 중량비를 60 : 4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75 데니아 36 필라멘트(모노데니아 2.08)의 섬유사 원사를 3,500m/min의 속도로 권취, 연신하여 섬유사 원사를 얻었다. 이를 다시 2합사하여 최종 섬유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 15
실시예 1 내지 3 및 실시예 7 내지 9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토우 상태의 스테이플 섬유사 또는 연속섬유 상태의 필라멘트사 형태의 섬유사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염색하였다.
즉, 칼라 인덱스가 Blue 56인 분산염료인 Disperse Blue 2BLN을 5% o.w.f의사용량으로 스테인레스제 염색조에서 상기 섬유사를 토우 상태 또는 타래 형태의 실상태에서 30분간 비등함으로써 간이시험염색하였다. 염색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및 실시예 7 내지 9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토우상태의 스테이플 섬유사 및 타래상태의 필라멘트 섬유사 모두에 있어서, 해성분을 이루는 PET 부분은 선명한 블루 색상으로 염색되었으나, 도성분을 이루는 피혁부분은 이보다 옅은 블루색으로 염색되어 전체적으로 2색톤의 독특한 미감을 나타냈다.
실시예 16 ~ 18
실시예 4 내지 6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토우 상태의 스테이플 섬유사 또는 연속섬유 상태의 필라멘트사 형태의 섬유사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염색하였다.
즉, 칼라 인덱스가 Orange 95인 산성염료인 Polar Orange GSN Blue 56을 5% o.w.f의 사용량으로 스테인레스제 염색조에서 상기 섬유사를 토우상태에서 30분간 비등시킴으로써 간이시험염색하였다. 염색 결과, 실시예 4 내지 6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토우상태의 스테이플 섬유사 모두에 있어서, 해성분을 이루는 PET 부분은 선명한 오렌지 색상으로 염색되었으나, 도성분을 이루는 피혁부분은 이보다 옅은 오렌지색으로 염색되어 전체적으로 독특한 미감을 나타냈다.
실시예 19 ~ 26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섬유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촉감 및 외관 평가를 함께 고려한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피혁전문가 또는 섬유전문가 5인의 관능시험패널의 각자에 의한 1-5점의 평가를 제출받아 종합하여 20점이상은 우수(◎), 15점 미만은 양호(○), 10점 이상은 보통(△), 10점 미만은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시험결과는 아래 표 1에 종합되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관능평가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섬유사는 촉감 및 외관이 모두 우수 또는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해성분으로 나일론 6를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6의 경우가 특히 촉감 및 외관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의 직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 째, 물에 취약한 피혁이 물에 강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은 물세탁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둘 째, 폐피혁을 재활용할 수 있고 또한 피혁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또한 그러면서도 촉감 및 외관이 피혁 터치에 유사한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셋 째, 흡수성이 우수한 천연 단백질 성분의 피혁분말에 의하여 적당한 수분율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동절기 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넷 째, 해성분과 도성분의 물리,화학적 성질 차이에 기인한 염료에 대한 염착량 차이 때문에 2색톤의 독특한 심미감을 갖는 신패션을 표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인조 고분자를 포함하는 해성분과 피혁미세분말로 이루어진 도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가 90 ~ 10 : 10 ~ 90이며, 상기 미세분말의 입경은 1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성분의 인조 고분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말의 입경은 150 메시 와이어 클로스를 통과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혁은 천연피혁 또는 인조피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성분 : 도성분의 중량비가 60 ~ 40 : 4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는 필라멘트사 또는 스테이플사의 형태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섬유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섬유사를 포함하며,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의 직물.
  8. 천연섬유사 또는 인조섬유사로 이루어진 직물; 및
    상기 직물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 피혁미세분말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9.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가닥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사가 합연된 형태의 섬유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직물.
  10. 가늘고 긴 형태의 피혁가닥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탄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사가 샤넬사 또는 날개사 형태로 혼합된 섬유사로 제직 또는 편직된 직물.
KR1020030066697A 2002-09-25 2003-09-25 피혁을 포함하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KR20040027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44 2002-09-25
KR20020058044 2002-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419A true KR20040027419A (ko) 2004-04-01

Family

ID=3732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697A KR20040027419A (ko) 2002-09-25 2003-09-25 피혁을 포함하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41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075B2 (en) 2008-03-25 2010-10-12 Hyundai Motor Company Solvent-free polyurethane-based artificial leather having the texture of human skin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2080277A (zh) * 2010-12-09 2011-06-01 武汉纺织大学 一种复合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
CN108360102A (zh) * 2018-02-13 2018-08-03 韩宏宇 胶原纤维复合纱、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纺织制品
KR102034218B1 (ko) * 2019-05-09 2019-10-18 (주)아코플레닝 가죽섬유를 이용한 방적가죽원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방적가죽원사
WO2020125910A1 (en) * 2018-12-21 2020-06-25 Ecco Sko A/S Method of dyeing collagen staple fiber
KR102621692B1 (ko) * 2023-06-09 2024-01-05 주식회사 엠에스알 천연피혁 폐기물을 재활용한 피혁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075B2 (en) 2008-03-25 2010-10-12 Hyundai Motor Company Solvent-free polyurethane-based artificial leather having the texture of human skin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2080277A (zh) * 2010-12-09 2011-06-01 武汉纺织大学 一种复合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
CN108360102A (zh) * 2018-02-13 2018-08-03 韩宏宇 胶原纤维复合纱、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纺织制品
WO2020125910A1 (en) * 2018-12-21 2020-06-25 Ecco Sko A/S Method of dyeing collagen staple fiber
KR102034218B1 (ko) * 2019-05-09 2019-10-18 (주)아코플레닝 가죽섬유를 이용한 방적가죽원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방적가죽원사
WO2020226220A1 (ko) * 2019-05-09 2020-11-12 (주)아코플레닝 가죽섬유를 이용한 방적가죽원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방적가죽원사
KR102621692B1 (ko) * 2023-06-09 2024-01-05 주식회사 엠에스알 천연피혁 폐기물을 재활용한 피혁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makar Chemical technology in the pre-treatment processes of textiles
EP0091676B1 (en) An improved chenille woven or knitted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1705552B (zh) 一种雪花混纺纱及加工方法
CN102772081A (zh) 一种凉爽纤维/汉麻复合凉席及其制备方法
CN101956268B (zh) 一种圣诞树纱的生产工艺
CN107313128A (zh) 一种pbt纤维制造工艺
JP2019511644A (ja) 原着ポリエステル繊維からなる人工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CN1603492A (zh) 混色纺雪尼尔线及其生产方法
RU2233359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кож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20040027419A (ko) 피혁을 포함하는 섬유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JPH09143836A (ja) フィブリル化芯鞘複合紡績糸織編物
DE2858059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ldlederartigen Kunstleders
CN109576908A (zh) 一种超细旦黏胶纤维与弹性网布的复合布及其制备工艺
JP7102677B2 (ja) ニット編み連続フィラメントリヨセル布
KR102360127B1 (ko) 원착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사를 이용한 부직포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58361B1 (ko) 스웨드조 환편지의 제조방법 및 그 스웨드조 환편지
JPS626955A (ja) 立毛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4839A (ja) 長短複合糸
JPH07252744A (ja) 羊毛/レーヨン混紡織物
KR200248784Y1 (ko) 사이로스펀모혼방사
KR102323384B1 (ko) 저융점폴리에스테르 함유 복합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JPH108345A (ja) 軽量保温布帛
JPH11172544A (ja) 溶剤紡糸セルロース繊維を用いた複合紡績糸
RU2162493C1 (ru) Льносодержащая пряжа с эффектами для тканых и трикотажны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CN1641078A (zh) 能与天然纤维常温常压一体共染的聚酯长丝及其复合纱和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418

Effective date: 2006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