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533A - 디지털 캠 기어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캠 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533A
KR20040026533A KR1020020058062A KR20020058062A KR20040026533A KR 20040026533 A KR20040026533 A KR 20040026533A KR 1020020058062 A KR1020020058062 A KR 1020020058062A KR 20020058062 A KR20020058062 A KR 20020058062A KR 20040026533 A KR20040026533 A KR 2004002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ear
signal
digital cam
digit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환
Original Assignee
정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환 filed Critical 정창환
Priority to KR102002005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533A/ko
Publication of KR2004002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G05B19/2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n absolute digital measuring device
    • G05B19/2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n absolute digital measuring device for point-to-poin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13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캠 기어에서는 불가능하던 미세위치포인트 및 각도데이터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기계의 특성상 고속회전이 불가능한 부분의 고속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기계의 마찰열로 소모되는 기계 마모 부분이 감소되어 정비, 유지,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캠 기어장치는, 주동력원의 회전축에 따른 변위 데이터를 검출하여 현재 위치 및 기준점을 각각 출력하는 한 쌍의 엔코더(10,10a)와, 상기 엔코더(10,10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드 드라이버(12)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엔코더의 현재 위치와 기준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 출력하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캠 기어 제어명령에 따라서 디지털 캠 기어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 의하여 입력된 디지털 캠 기어 제어명령에 따라서 출력된 디지털 캠 기어 제어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파워출력부(22)로 출력하는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캠 기어장치{Digital Cam Gear Device}
본 발명은 기계식 캠 기어에서는 불가능하던 미세위치포인트 및 각도데이터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기계의 특성상 고속회전이 불가능한 부분의 고속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기계의 마찰열로 소모되는 기계 마모 부분이 감소되어 정비, 유지,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계에서는 메인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많은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화된 기계장치에서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구동부와 그에 연결되는 복잡한 기계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는 회전동력의 전달 및/또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계적 캠(cam)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캠은 메인구동부와 연결된 회전축에 결합되어서 캠의 형상에 따라서 캠과 접촉되는 기구의 이동상태 및 작동시간이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캠 기어는 기계 자체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정밀한 기계장치의 제어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캠 기어는 접촉되는 기구와의 마찰에 의하여 캠 기어가 마모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면 이로 인한 작동상의 오차가 발생된다.
더욱이, 캠 기어는 실체를 구비한 기계요소이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복잡한 구조를 가진 자동화된 장치에 적용할 때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용되는 것이 제한적이다.
또한 기계적인 캠 기어는 기구들과 접촉할 수 있는 스텝(step)이 매우 제한한다. 예를 들어서 종래 사용되는 기계적 캠 기어는 캠 기어의 외형을 변경하여 1개 정도의 변형(on,off제어)를 줄 수 있을 뿐이다.
더욱이 현재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활용한 위치 제어기의 일종인 유사 캠 기어(이하 "캠"으로 통칭함)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조가 직렬동기식으로서 구조적으로 동시 병렬출력이 불가능하며, 또한 개별적 연산 속도의 한계 등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고속 연산처리 능력을 이용하여 마치 병렬 출력된 유사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직렬 동기화되어 처리된 데이터의 병렬형 재배치는 메인 구동부의 회전수(RPM)(또는 속도)가 점차 증가될 수록 연산처리능력의 한계에 도달하여 유사 병렬효과는 불가능해져서 기계적 캠의 메인 구동부와의 동기화 특성이 사라져 캠 장치의 효력이 상실된다. 따라서 현재 수준의 전자적 캠 기준은 한 포트 당 3~4 개의 스텝이 가능하며 캠의 회전수(rpm)도 5,000rpm 이상의 고속 회전이 불가능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종래 사용되는 대부분의 유사 캠 기어 장치들은 대부분의 신호처리(타이밍에 따른 작동위치 및 시간 산출 등)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으로 캠의 위치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직렬 동기방식으로는 많은 스텝을 동시에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여 1개의 스텝을 가진 기계적 캠을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각각의 스텝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때문에 연산처리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캠 스텝의 숫자가 5개 이상이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의 연산처리가 지연되어서 출력신호가 정확하게 출력되지 못하므로 제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처리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속처리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처리능력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캠 기어에서는 불가능하던 미세위치포인트 및 각도데이터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기계의 특성상 고속회전이 불가능한 부분의 고속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기계의 마찰열로 소모되는 기계 마모 부분이 감소되어 정비, 유지,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캠 기어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의 블록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캠 기어장치의 작동상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캠 기어장치의 출력부의 작동상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엔코더 12: 엔코드 드라이버
14: 마이크로 프로세서 16: LED 디스플레이
16a: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18: 키보드
20: 디지털 캠 기어의 출력부 22: 파워출력부
202: 인버터 204: 디케이드 카운터
206: 비교기 208: 버퍼
210: 셀렉터 212: 디지털캠셀
214: 셀렉터 216: 디코더 버스회로
218: 마이크로 프로세서 220: 플립플롭
222: 카운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탈 캠 기어장치는, 주동력원의 축회전에 따른 변위데이터를 검출하여 현재 위치 및 기준점을 각각 출력하는 한 쌍의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드 드라이버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엔코더의 현재 위치와 기준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로 출력하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캠 제어명령에 따라서 디지털캠 기어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디지털캠 출력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입력된 디지털 캠 기어의 제어명령에따라서 출력된 디지털 캠 기어 제어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파워출력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캠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디지탈 캠기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기계식 캠 기어의 위치 타이밍 포인트 등의 기계적 타이밍운동을 전자신호로 개선하며 이것을 다시 전기신호에 의하여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캠 기어 장치이다. 따라서 종래 기계식 캠 기어에서는 불가능하던 미세 위치포인트 및 각도 데이터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기계구조의 특성상 고속 회전이 불가능했던 부분을 디지털캠셀로 인하여 전자 캠기어에 의해 10,000분해능의 경우에 20,000 rpm 이상의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개선하였으며, 각도 제어뿐만 아니라 위치제어에 디지털 캠 기어를 사용함으로서 1/10,000 각도 분해능의 10,000 분할에 개별적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다. 더욱이, on, off제어 시에는 연속 5000스텝의 on, off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기계적으로는 출력포트(하나의 출력 포트가 기계식 캠 기어에서는 한 개의 캠 기어에 해당)당 한 행정에 5,000 캠 기어를 생성하는 효과를 가지며 전체적(내부 출력포트 100 Port)으로 500,000 위치 포인트 입력 및 출력이 동시 병렬출력이 가능함으로서 기계식 캠기어와 비교했을 때 500,000 캠을 설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기계의 마찰열로 소모되는 기계 마모 부분이 개선되어 정비, 유지,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캠 기어장치의 블럭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력원의 축회전에 따른 변위데이터를 검출하여 현재 위치 및 기준점을 각각 출력하는 한 쌍의 엔코더(10,10a)와, 상기 엔코더(10,10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드 드라이버(12)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엔코더의 현재 위치와 기준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 출력하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캠 기어 제어명령에 따라서 디지털 캠 기어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디지탈 캠 기어 출력부(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 의하여 입력된 디지탈캠 제어명령에 따라서 출력된 디지털 캠 기어 제어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파워출력부(22)로 출력하는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캠 출력 및 위치타이밍을 출력할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4)를 통하지 않고, 엔코드 드라이버(12)에서 직접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에 신호를 버스화시켜 설정된 캠 기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캠 기어장치는 엔코더의 분해능이 10,000 분해능의 경우에 있어서, 20,000rpm의 고속회전시에도 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의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는, 도 2를 참고하면, 엔코더 드라이버(1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인버터(202)와, 다수의 인버터(204)로 구성된 디케이드 카운터와, 상기 디케이드 카운터(2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206)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디코딩하기 위한 셀렉터(214)와, 상기 셀렉터(2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설정신호에 따라서 해당 디지털캠 제어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캠셀(212)과, 상기 디지털캠셀(2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셀렉터(210)와, 상기 셀렉터(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비교기(206)로 출력하는 버퍼(208)와, 상기 디케이드 카운터(2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지털캠셀(212)로 입력시키는 디코더 버스회로(216)를 포함한다. 상기 디케이드 카운터(204)는 16bit의 신호를 각도데이터(0~10,000)로 계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디지털 캠 기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캠 기어장치의 전체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디지털 캠 기어로 표시된 부분인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지탈 캠 기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서 작동 개시되고 엔코더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면, 인크리먼탈 엔코더(엔코더의 현재위치검출) 및 앱솔루트 엔코더(엔코더의 기준점검출)의 엔코더(10,10a)로부터 각각 엔코더 신호가 발생되어서 엔코드 드라이버(12)에 입력된다. 엔코드 드라이버(12)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신호는 또한 디지탈캠 출력부(20)로 입력된다.
상기에서 인크리먼탈 엔코더(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구동부의 현재위치로서 설정된다. 또한 앱솔루트 엔코더(10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구동부의 기준위치로서 설정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엔코더(10,10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엔코더의 기준점과 현재 위치를 비교한다. 비교결과에 따라서 설정된 기준점과 현재 위치를 엔코드 드라이버(12)에 입력하여 설정한다.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상기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로 입력되는 신호는 내장되어 있는 비교기(206)에서 처리된 후에 출력된다. 비교기(206)에서의 처리상태가 후에 설명된다.
엔코더(10,10a)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이 있는가를 확인한다. 외부로부터의 입력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디지털 캠 기어장치의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입력은 키보드(18)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입력된 정보는 셋업, 각도에 대한 정보가 된다.
사용자는 LED 디스플레이(16) 및/또는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16a)를 통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캠 기어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18)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가 표시되어서 확인할 수 있다.
키보드(18)를 통한 입력으로부터 셋업, 각도 체크, 또는 각도 설정등과 같은 단계를 거쳐서 각도(angle)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상기 설정된 각도 데이터에 의하여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캠 기어 제어데이터가 출력된다. 출력된 제어데이터는 비교기(206)에 의하여 비교된 후에 출력된다.
키보드(18)로부터의 입력이 없으면 자동 설정인가를 확인한다. 자동 설정이면 자동모드 입력하고 아니면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엔코더로부터의 현재위치와 기준점 위치에 대한 처리결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부터 엔코드 드라이버(12)로 입력된다.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에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8)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각도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입력모드인가 아니면 자동으로 각도를 검출하는 동작모드인가를 확인한다.
사용자입력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18)에서는 상위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부터 입력되는 각도데이터와 현재 엔코더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및 기준점등의 위치를 확정한다. 그 후에 사용자가 입력한 각도데이터를 디지털캠셀(212)에 입력시킨다. 디지털캠셀(212)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8)로부터 셀렉터(214)를 통하여 전송된다. 상기 셀렉터(214)는 신호를 복조하는 디코더이다.
디지털캠셀(212)에서는 입력되는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캠 기어의 출력신호가 된다. 출력신호는 각도데이터에 따라서 10,000 스텝으로 전자캠의 스텝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디지털캠셀(212)에는 10,000 스텝으로 100개의 채널을 실행시킬 수 있는 디지털캠기어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10,000 스텝은 1회전하는 동안에 10,000 회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말하면 이것은 캠의 1회전당 1/10,000의 분할입력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 디지털캠셀(21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역시 디코더인 셀렉터(210)와 증폭수단인 버퍼(208) 및 인버터(208a)를 통하여 비교기(206)로 입력된다.
상기 비교기(206)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4bit의 신호가 입력되어서 비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 본 발명에서는 16bit(4X4)를 1개 채널로 구성한다. 따라서 16bit 신호를 비교하기 위하여 4개의 비교기(206)가 요구된다.
또한 16bit로 구성된 1채널(port)이 총 100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동시에 100개의 출력신호가 존재한다. 이러한 동시출력의 갯수는 특정장치에 적용될 때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치(기계식 캠)의 숫자가 된다. 사용자입력모드가 아닌 동작모드에서는 인버터(204)로 구성된 디케이드 카운터(Decade Counter)로부터 디코더 버스회로(216)를 통하여 직접 디지털캠셀(212)로 신호가 입력된다. 이것은 실제로 셀렉터(214)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과 동질의 신호이다.
디코더 버스회로(216)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디지털캠셀(212)에서 각도에 대한 데이터가 출력된다. 출력된 후의 결과는 상기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디지털캠셀(212)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총 독립된 100개의 디지털캠셀로 확장된다. 따라서 총 100개의 조합된 디지털 캠이 각각 신호를 병렬출력함으로서 기계식 스위치와 동일한 접점으로 병렬 출력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물론 이러한 디지털캠셀(212)의 숫자는 100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디지털 캠 기어장치가 적용되는 장치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기어(또는 메인 구동부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각도를 엔코더에서 각도 데이터로 검출하고, 이 데이터를 본 발명의 디지털 캠장치에 공급하여 위치 타이밍검출을 통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정확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각도 타이밍데이터를 출력하며, 특히 각도정보를 병렬출력(100채널)하여 고속화, 고정밀화, 확장성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계식 캠 기어의 위치 타이밍 포인트 등의 기계적 타이밍운동을 전자신호로 대체하여 전기적신호에 의하여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털 캠기어 장치로서 종래 기계식 캠기어 에서는 불가능하던 미세 포인트를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고, 20000 rpm의 고속화, 1/10,000고정밀화, 10,000 분할 입력으로 다양한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주동력원의 축회전에 따른 변위데이터를 검출하여 현재 위치 및 기준점을 각각 출력하는 한 쌍의 엔코더(10,10a)와, 상기 엔코더(10,10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드 드라이버(12)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엔코더의 현재 위치와 기준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 출력하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 제어명령에 따라서 디지털 캠 기어장치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디지털 캠 기어장치. 출력부(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와,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 의하여 입력된 디지털 캠 기어장치. 제어명령에 따라서 출력된 디지털 캠 기어장치 제어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파워출력부(22)로 출력하는 디지털 캠 출력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가 엔코더 드라이버(1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인버터(202)와, 다수의 인버터(204)로 구성된 디케이드 카운터와, 상기 디케이드 카운터(2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206)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셀렉터(214)와, 상기 셀렉터(2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특정 디지털 캠 기어 제어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캠셀(212)과, 상기 디지털캠셀(2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셀렉터(210)와, 상기 셀렉터(2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비교기(206)로 출력하는 버퍼(208)와, 상기 디케이드 카운터(204)로부터 신호를 상기 디지털캠셀(212)로 입력시키는 디코더 버스회로(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캠셀(212)이 입력되는 각도데이터에 상응하는 캠 기어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210,214)가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케이드 카운터(204)가 각도데이터를 16bit로 0~10.000의 범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캠 출력 및 위치타이밍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엔코드 드라이버(12)로부터 상기 디지털 캠 기어 출력부(20)로 직접 신호를 버스화시켜 설정된 캠 기어 신호를출력하므로 20,000rpm의 고속 회전부분에서도 신호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캠셀(212)이 캠의 1회전당 1/10,000의 분할된 입력이 가능하며 연속적으로 5000번의 on, off가 가능하도록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캠셀(212)이 독립된 100개의 디지털캠셀을 포함하며, 각각의 디지털캠셀(212)로부터 조합된 디지털 캠 신호가 병렬출력 함으로서 기계식 스위치와 동일한 접점으로 병렬출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 기어 장치.
KR1020020058062A 2002-09-25 2002-09-25 디지털 캠 기어장치 KR20040026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62A KR20040026533A (ko) 2002-09-25 2002-09-25 디지털 캠 기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62A KR20040026533A (ko) 2002-09-25 2002-09-25 디지털 캠 기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33A true KR20040026533A (ko) 2004-03-31

Family

ID=3732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062A KR20040026533A (ko) 2002-09-25 2002-09-25 디지털 캠 기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8233B2 (en) 2014-08-25 2019-03-12 Nsd Corporation Rotation-detecting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306A (ja) * 1982-06-18 1983-12-24 Sanyo Denki Kogyo Kk プログラマブルカム装置
JPS63113602A (ja) * 1986-10-30 1988-05-18 Yaskawa Electric Mfg Co Ltd 電子カム出力装置
JPH03296109A (ja) * 1990-04-16 199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ラ
JPH0439600U (ko) * 1990-07-31 1992-04-03
JPH07311609A (ja) * 1994-05-19 1995-11-28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カム
JPH0830313A (ja) * 1994-05-09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ボ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H11259135A (ja) * 1998-03-12 1999-09-24 Yaskawa Electric Corp サーボ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306A (ja) * 1982-06-18 1983-12-24 Sanyo Denki Kogyo Kk プログラマブルカム装置
JPS63113602A (ja) * 1986-10-30 1988-05-18 Yaskawa Electric Mfg Co Ltd 電子カム出力装置
JPH03296109A (ja) * 1990-04-16 199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ラ
JPH0439600U (ko) * 1990-07-31 1992-04-03
JPH0830313A (ja) * 1994-05-09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ボ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H07311609A (ja) * 1994-05-19 1995-11-28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カム
JPH11259135A (ja) * 1998-03-12 1999-09-24 Yaskawa Electric Corp サーボ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8233B2 (en) 2014-08-25 2019-03-12 Nsd Corporation Rotation-detec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4749B2 (en) Multiple-rotation absolute-value encoder of geared motor
US10122305B2 (en) Motor control apparatus
JP5280871B2 (ja) サーボモーターの低速制御方法と装置
CN112033451A (zh) 一种编码器的测量装置、方法和编码器
KR20040026533A (ko) 디지털 캠 기어장치
US9134143B2 (en) Absolute position detector with abnormality detection function
JP2019088074A (ja) シフトレンジ制御装置
CN117097083A (zh) 电机及输出轴绝对位置的检测方法
US76893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 position of a drive unit
JPH0850034A (ja) 多回転アブソリュートエンコーダ
CN201588047U (zh) 喷水织机主轴智能传感器
JP2009116711A (ja) サーボアンプおよび基準位置調整方法
KR102477863B1 (ko) 모터 제어 장치 및 모터 제어 방법
JP4279630B2 (ja) アブソリュートエンコーダ
US20180173328A1 (en) Hardware peripheral decoders
TWM450911U (zh) 雙電機之控制裝置
JP3143204U (ja) カムシーケンサ
JP2009288125A (ja) アブソリュートエンコーダ
CN102829808A (zh) 一种基于机械齿轮组计圈数的多圈编码转换器
US11901852B2 (en) Procedure for detecting a transmission backlash in a power tool, in particular a hand-held power tool, and power tool
JPH08128857A (ja)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ー
KR100383994B1 (ko) 증분형 인코더의 오류 검출방법
JPH07270179A (ja) アブソリュート信号検出方法及びアブソリュートエンコーダ
JP4419225B2 (ja)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
KR20010017110A (ko) 모터속도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