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574A - 트랜잭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랜잭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574A
KR20040023574A KR10-2003-7006550A KR20037006550A KR20040023574A KR 20040023574 A KR20040023574 A KR 20040023574A KR 20037006550 A KR20037006550 A KR 20037006550A KR 20040023574 A KR20040023574 A KR 20040023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reless
connection
unit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데오스우르반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4002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5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무선 이동 단말기(25)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구입을 얻는 시스템과 방법이 개시된다. 교통 시스템의 제1 커버리지 영역(15)으로의 무선 이동 단말기(25) 진입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유닛(10)이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25)와 제1 무선 접속(30)을 설정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25)에 대한 접속 데이터를 얻는다. 접속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유닛(35, 70, 75)으로 전송되는데, 상기 접속 데이터 및 무선 이동 단말기(25)의 제2 커버리지 영역 진입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유닛(35, 70, 75)과 제2 접속이 설정된다. 다음으로,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무선 이동 단말기(25)로부터 지불이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잭션 시스템{TRANSACTION SYSTEM}
지불 수단으로서 이동 단말기(이동 전화기, 휴대용 컴퓨터, PDA, 무선호출기 (pager) 등)를 사용하는 것이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서 점차 개발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상점에서의 구입에 대한 지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불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에 대한 지불에 유용하다고 입증되는 한 가지 영역이 대중 교통 부분에서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버스 또는 기차 역에서 버스 또는 기차 토큰을 지불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지불 방법에 있어서의 한 가지 문제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무선 시스템과 접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데는 특정한 시간 주기가 필요하다. 이것은 잠정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허용되지 않은 시간 주기 동안 한 장소에 서있을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이 효과적임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무선 시스템과 접속하기 위해 어떠한 시간 주기 동안에도 정지하지 않고 버스 또는 기차역을 바로 통과하여지나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기차역, 지하철역, 또는 버스 정거장내의 무선 유닛에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접속하게 함으로써 지연될 필요가 전혀 없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빌링 시스템(bill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 정거장, 기차역 또는 지하철 역과 같은 대중 교통 시설에서 사용하기 위한 빌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티켓 지불 시스템(ticket payment system)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입구 유닛(entrance unit)과 게이트 유닛(gate unit)의 상호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티켓 지불 시스템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입구 유닛과, 제1 및 제2 스테이지(stage) 게이트 유닛의 상호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입구 유닛과 게이트 유닛이 이들사이에 데이터를 핸드오프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구 유닛과 게이트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구 유닛과 게이트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교통 시스템용 티켓에 대한 지불을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얻는 시스템과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및 그 밖의 문제점들을 극복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교통 시스템의 제1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에 진입할 때 제1 액세스 유닛과 제1 접속을 설정한다. 무선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접속 데이터가 제1 액세스 유닛에 의해 얻어져 제2 액세스 유닛으로 전송된다. 제2 액세스 유닛과 관련된 제2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무선 이동 단말기의 진입 및 접속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유닛과 제2 무선 접속이 설정된다. 다음으로,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제2 액세스 유닛에 의해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지불 데이터가 얻어진다.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이동 단말기가 교통 시스템의 제1커버러지 영역으로 진입할 때, 제1 액세스 유닛과 무선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제1 접속이 설정된다. 접속 데이터는, 제2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무선 이동 단말기의 진입 및 접속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2 접속을 설정하는 제2 액세스 유닛으로 전송된다. 제2 액세스 유닛은, 제3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무선 이동 단말기 진입시 제3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제2 액세스 유닛과 연결된 제3 액세스 유닛으로 접속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제3 액세스 유닛은 제3 무선 접속을 통해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지불 데이터를 얻는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티켓 지불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이 티켓 지불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또한,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단거리 무선 시스템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가 얻어질 수 있는 다른 시스템(티켓 소유 인증, 패스포트(passport) 또는 기타 ID의 인증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은 버스, 기차, 또는 지하철 (교통수단) 역의 입구(20)를 감시하기 위한 커버리지 영역(15)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 유닛(2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구 유닛(10)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통과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 단말기(25)는 상기 입구 유닛(10) 중 하나와 무선 통신 링크(30)를 설정한다. 이동 단말기(25)는 이동 전화기, 휴대용 컴퓨터, 무선호출기, PDA 등을 포함한다. 입구 유닛(15)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15)은, 사용자가 어떤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존재하도록 충분히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일단 입구 유닛(10)과 이동 단말기(25) 사이에 무선 접속(30)이 설정되면,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25) 사이의 기간망 또는 전용 무선 채널(40)을 통해 게이트 유닛(35)으로 접속 데이터(즉, 주파수 홉핑 방식(frequency hop scheme), 장치 주소, 클록-오프셋 등)가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입구 유닛(10), 게이트 유닛(35) 및 이동 단말기(25) 사이에 통신을 설정한다. 또한,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간의 통신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블루투스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고정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이 중앙 서버를 통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이것은 곧 보다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각 이동 단말기(25)는 단일 블루투스 액세스 유닛에 접속될 수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이 통신하기에 매우 열악해질 때까지 상기 접속을 유지한다.
각 게이트 유닛(35)은 교통 시스템의 소정의 액세스 게이트(50) 주위에 놓이는 각자의 커버리지 영역(45)을 갖는다. 상기 게이트 유닛(35) 각각은 블루투프 무선호출 절차(Bluetooth Paging Procedure)를 사용하여 이동 유닛(25)을 탐색한다. 일단 게이트 유닛(35) 중 하나가 이동 유닛(25)과 접속(55)을 설정하면, 다른 게이트 유닛(35)은 상기 이동 유닛(25)과의 무선호출(paging)을 중단한다. 입구 유닛(10)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 정보로 인해 이동 유닛(25)과의 초기 접속 및 동기가 게이트 유닛(35)과 설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훨씬 더 짧은 접속 설정 주기가 필요하게 되어, 티켓을 구입하는 트랜잭션 데이터(61)가 이동 유닛(25)으로부터 신속하게 검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게이트(50)가 제1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0)과 제2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5)에 의해 커버되도록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전과 같이, 입구 유닛(10)은, 사용자가 일단 교통수단 역의 입구(20)를 통과하면 이동 단말기(25)와 초기접속을 설정하는 제1 커버리지 영역(15)을 제공한다. 입구 유닛(10)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25)과 무선 접속(30)을 설정한다. 상기 접속(30)이 일단 설정되면, 접속 데이터(즉, 주파수 호핑 방식, 장치 주소, 클록-오프셋)가 기간망 또는 무선 접속(100)을 통해 제1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0)으로 전송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입구 유닛(10), 게이트유닛(35) 및 이동 단말기(25) 사이에 통신을 설정한다.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사이의 통신 또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블루투스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고정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이 중앙 서버를 통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이것은 곧 더욱 충분하게 설명될 것이다). 각 이동 단말기(25)는 단일 블루투스 액세스 유닛에 접속될 수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이 통신하기에 매우 열악해질 때까지 상기 접속을 유지한다.
제1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0)은 게이트 유닛(70) 중 하나가 접속을 설정할 때까지 이동 단말기(25)를 무선호출한다. 게이트 유닛(70) 중 하나, 예컨대 게이트 유닛(70a)이 일단 이동 단말기(25)와 무선 접속(90)을 설정하면, 이동 단말기(25)가 요청 리스트에서 제거되고, 접속 데이터는, 상기 이동 유닛(25)을 검출한 제1 스테이지 게이트(70a)와 특히 연결된 제2 스테이지 게이트(75a)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제1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0a)은 이동 단말기(25)에 대한 무선호출을 중단한다. 제2 스테이지 유닛(75a)은 제공된 접속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동 유닛(25)과 무선 접속(95)을 설정하여, 버스, 기차 또는 지하철의 티켓 또는 토큰을 지불하는데 필요한 트랜잭션 데이터(61)를 얻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0)과 제2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5) 각각은 같은 장소에 놓이거나 근접하게 놓일 수 있다. 제1 스테이지 게이트 유닛(70)은 100mW 블루투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스테이지 유닛(75)은 하나 이상의 1mW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100mW 제1 스테이지 유닛(70)은 새로운 블루투스 이동 단말기(25)를 탐색하여, 적합한 단말기(25)가 범위내에 있다면, 100mW에서 1mW 유닛으로 상기 접속이 전달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70, 75)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제어되는 방식에 대한 제1 및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5a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70, 75)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기간망 또는 무선 접속(40)을 통해 중앙 서버(100)와 상호접속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서버(100)는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70, 75)간의 접속 데이터 송신을 제어한다. 정보는 유선 버스를 통해 또는 전용 블루투스 채널이나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정보 허브의 역할을 하며, 기간망 또는 전용 통신 채널(40)상으로 송신된 신호를 통해 액세스 유닛들간의 정보 전송을 제어한다. 상기 중앙 서버(100)는 액세스 유닛들간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블루투스 솔루션 제공자 키트와 같은 구현(implement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70, 75) 사이의 송신은 전용 블루투스 서버와 같은 솔루션 또는 다른 집중화 기술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 서버(100)는 정보 허브의 역할을 하며 액세스 유닛을 제어한다. 전용 블루투스 서버는 다수의 블루투스 액세스 유닛 및 외부 컴퓨터 시스템과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기능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있어서, 입구 유닛(10)은 전용 이동 단말기(25)의 제어 서버(100)(이것은 전용 블루투스 서버일 수 있음)로 접속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200). 제어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폴링(polling)을 시작하도록 게이트 유닛(30, 70, 75)에 명령한다(단계 205). 상기 게이트 유닛이 이동 단말기(25)에 폴링을 시작한다(단계 210). 게이트 유닛(30, 70, 75)은 이동 단말기(25)를 검출하여(단계 215), 이러한 정보를 제어 서버(10)로 다시 보고한다. 제어 서버(100)는 상기 검출된 이동 단말기(25)를 폴링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요청 리스트"에서 제거하고(단계 220), 게이트 유닛(30, 70, 75)에 이동 단말기(45) 폴링을 중단하도록 명령한다(단계 225).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25)와 게이트 유닛(30, 70, 75) 사이의 접속 품질이 이용될 수도 있다. 게이트 유닛(35, 70, 75)이 이동 단말기(25)에 접촉하면, 게이트 유닛(35, 70, 75)은 신호 강도 또는 오류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짧은 시퀀스의 시험 통신을 수행한다.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70, 75)간의 핸드오버가 제어되는 한 가지 방식은, 액세스 유닛과 이동 단말기(25) 사이의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무선 신호 강도가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내의 상이한 유닛들간에 신호 강도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항상 편리한 것은 아니다. 선택적인 방법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재송신 패킷 레코드(오류 패킷)를 이용하여, 이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프 결정을 하는 것이다. 신호 강도 또는 오류 패킷 정보가 제어 서버(100)로 전송되어, 접속된 게이트 유닛(35, 70, 75)과 이동 단말기(25)간의 접속이 단절된다. 다수의 게이트 유닛(35, 70, 75)이 신호 강도 또는 오류율에 대한 정보를 단시간내에 제어 서버(100)에 보고하면, 제어 서버(100)는,어떤 게이트 유닛(35, 70, 75)이 이동 단말기(25)에 서비스를 제공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게이트 유닛(35, 70, 75)으로 명령을 송신한다.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70, 75)은 또한, 어떤 액세스 유닛이 특정 이동 유닛(25)을 제어할 것인지에 대해 이들이 서로 자발적으로 협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논리(105)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액세스 유닛내에 제어 논리(105)가 구현될 때, 입구 유닛(10)과 게이트 유닛(35, 70, 75) 사이에 정보가 송신되는 과정이 설명된다. 입구 유닛(10)이 이동 단말기(25)를 핸드오버할 준비를 하면, 입구 유닛(10)은 게이트 유닛(35 70, 75)으로 접속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230). 게이트 유닛(35 70, 75)이 이동 단말기(25)를 검출하면, 이러한 정보가 입구 유닛(10)으로 다시 보고된다(단계 235). 입구 유닛(10)은 이동 단말기(25)를 이동 단말기의 "요청 리스트"에서 제거하고, 게이트 유닛(35 70, 75)에 이동 단말기(25)와 접속하도록 명령한다(단계 240). 입구 유닛(10)은 또한, 나머지 게이트 유닛(35 70, 75)에 이동 단말기에 대한 탐색을 중단하도록 명령한다(단계 245). 선택적으로, 도 6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접속 절차의 품질이 또한 입구 유닛(10)과 게이트(35 70, 75) 사이의 정보 전송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입구 유닛(10)이 상기 과정동안 제어 서버(1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동 단말기가 다양한 이벤트, 예컨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예상된 게이트 유닛 이외의 게이트 유닛으로 이동하고, 이동 단말기가 커버리지를 벗어나고, 사용자가 교통수단 역을 떠나는 등의 다양한 이벤트로 인해 그 접속에서 누락되는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디폴트(default) 동작은, 게이트 유닛(35 70, 75)이 이동 단말기(25)의 상실을 제어 서버(100) 또는 제어 논리(105)를 포함하는 액세스 유닛에 보고하는 것이다. 입구 유닛(10)은 그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할 때 다시 이동 단말기(25)와 재접속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설명된다. 먼저, 이동 단말기와 입구 유닛 사이에 접속이 설정된다(단계 120). 입구 유닛에 의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속 데이터가 얻어진다(단계 122). 입구 유닛은 상기 접속 데이터를 게이트 유닛에 전송한다(단계 125). 상기 게이트 유닛은 이동 단말기 탐색을 시작한다(단계 130). 일단 이동 단말기가 발견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접속이 설정되고(단계 145), 다른 게이트 유닛에 의해 탐색이 중단될 수 있다(단계 150). 이동 유닛을 검출한 게이트 유닛으로 트랜잭션 데이터가 제공되며(단계 155), 또는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트랜잭션 완료를 위한 관련 게이트 유닛으로 접속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 범위가 반드시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8)

  1.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으로서,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1 무선 접속을 설정하며, 무선 이동 단말기가 제1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할 때 무선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접속 데이터를 얻는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접속 데이터 및 제2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무선 이동 단말기의 진입에 응답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2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접속 설정시, 데이터가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얻어지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은 교통 시스템의 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은 교통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액세스 유닛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무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간의 접속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간의 접속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액세스 유닛내에 제어 논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으로부터의 접속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3 커버리지 영역내에 제3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 각각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3 액세스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액세스 유닛은 제3 무선 접속 설정 후, 연결된 제2 액세스 유닛으로 접속 데이터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교통 시스템 티켓에 대한 지불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교통 시스템 티켓의 소유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
  11.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가 교통 시스템의 제1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할 때 복수의 무선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유닛을 사용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1 무선 접속을 설정하며, 그 중 하나 이상이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속 데이터를 얻는, 복수의 제1 무선 유닛, 및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접속 데이터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2 무선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유닛을 사용하여 교통 시스템의 제2 커버리지 영역에서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2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접속 설정시,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유닛으로부터의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지불 데이터가 얻어지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유닛은 접속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를 무선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유닛은 제2 무선 접속 설정시 무선 이동 단말기에 대한 무선호출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액세스 유닛은 교통 시스템의 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액세스 유닛은 교통 시스템의 복수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과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간의 접속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과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간의 접속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제1 및 제2의 복수의 액세스 유닛내에 제어 논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8.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가 교통 시스템의 제1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할 때 복수의 무선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유닛을 사용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1 무선 접속을 설정하며, 그 중 하나 이상이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속 데이터를 얻는, 복수의 제1 무선 유닛,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교통 시스템의 제2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무선 이동 단말기의 진입 및 접속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2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복수의 제2 무선 유닛, 및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복수의 제2 무선 유닛 각각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유닛 중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접속 데이터 및 제3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무선 이동 단말기의 진입에 응답하여 무선 이동 단말기와 제3 무선 접속을 각각 설정하는, 복수의 제3 무선 유닛을 포함하며,
    제3 무선 접속 설정시, 상기 복수의 제3 무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지불 데이터가 얻어지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유닛은 교통 시스템의 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및 제3 무선 유닛은 교통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얻는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제3 액세스 유닛 사이의 접속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유닛,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제3 액세스 유닛 사이의 접속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1, 제2 및 제3 액세스 유닛내에 제어 논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용 티켓 지불을 얻는 시스템.
  23.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으로서,
    제1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이동 단말기 진입시 제1 통신 유닛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제1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속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접속 데이터를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접속 데이터 및 제2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이동 단말기 진입에 응답하여 제2통신 유닛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제2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2 접속을 통해 티켓을 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유닛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접속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무선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
  26.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으로서,
    제1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이동 단말기 진입시 제1 통신 유닛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제1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속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접속 데이터를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접속 데이터 및 제2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이동 단말기 진입에 응답하여 제2 통신 유닛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제2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제2 통신 유닛과 연결된 제3 통신 유닛으로 접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접속 데이터 및 제3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이동 단말기 진입에 응답하여 제3 통신 유닛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제3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3 접속을 통해 티켓을 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접속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무선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유닛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 교통 시스템의 티켓 지불을 얻는 방법.
KR10-2003-7006550A 2000-11-16 2001-11-15 트랜잭션 시스템 KR20040023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15,717 2000-11-16
US09/715,717 US7039022B1 (en) 2000-11-16 2000-11-16 Transaction system
PCT/EP2001/013211 WO2002041260A2 (en) 2000-11-16 2001-11-15 Transa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574A true KR20040023574A (ko) 2004-03-18

Family

ID=2487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50A KR20040023574A (ko) 2000-11-16 2001-11-15 트랜잭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39022B1 (ko)
EP (1) EP1334471B1 (ko)
KR (1) KR20040023574A (ko)
AT (1) ATE385334T1 (ko)
AU (1) AU2002218300A1 (ko)
DE (1) DE60132671T2 (ko)
WO (1) WO20020412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4828B1 (en) * 2000-03-01 2012-06-19 Cub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istribution of benefits
US7124937B2 (en) 2005-01-21 2006-10-24 Visa U.S.A. Inc. Wireless payment methods and systems
US20070058636A1 (en) * 2005-09-15 2007-03-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lower layer reliability using upper layer protocol functionalit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787832B2 (en) * 2011-10-11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access point
EP3474220A1 (de) * 2017-10-23 2019-04-24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zur erfassung einer gebührenpflichtigen transportleistung für einen passagier in einem verkehrsmitte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28108D0 (en) 1990-12-27 1991-02-13 British Telecomm Mobile radio handover initiation determination
US5424727A (en) * 1994-03-22 1995-06-13 Best Network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two-way packet radio-based electronic toll collection
GB2308042B (en) 1995-12-05 2000-02-16 Motorola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937019A (en) * 1996-08-07 1999-08-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intersystem handoff in a CDMA system
SE516089C2 (sv) 1996-10-24 2001-11-19 Combitech Traffic Syst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registrering av trafikavgifter
US5920818A (en) 1996-12-03 1999-07-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in a multi-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064885A (en) 1997-10-06 2000-05-16 Ericsson, Inc. Treatment of positioning data during a positioning handover
GB2338865A (en) 1998-06-27 1999-12-29 Motorola Lt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FI105965B (fi) * 1998-07-07 2000-10-31 Nokia Networks Oy Autentikointi tietoliikenneverkosssa
NO984981D0 (no) 1998-08-21 1998-10-26 Isi Park As Myntfritt parkeringssystem
FR2793101B1 (fr) 1999-04-30 2001-05-25 Sagem Telephone mobile d'un reseau telephonique cellulaire, support d'informations rechargeable
SE9904683L (sv) 1999-12-17 2001-06-18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system för att etablera en radioförbindelse med kort räckvidd
US6522880B1 (en) * 2000-02-28 2003-02-18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of a connection between network devices
US6430395B2 (en) * 2000-04-07 2002-08-06 Commil Ltd.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WPBX) and communicating between mobile units and base stations
US6633761B1 (en) * 2000-08-11 2003-10-14 Reefedge, Inc. Enabling seamless user mobility in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US7774231B2 (en) * 2000-09-29 2010-08-1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payment methods for a mobile device
US6446004B1 (en) * 2001-02-28 2002-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roximity or location driven activ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18300A1 (en) 2002-05-27
EP1334471B1 (en) 2008-01-30
ATE385334T1 (de) 2008-02-15
DE60132671D1 (de) 2008-03-20
DE60132671T2 (de) 2009-01-22
US7039022B1 (en) 2006-05-02
EP1334471A2 (en) 2003-08-13
WO2002041260A3 (en) 2002-08-01
WO2002041260A2 (en) 2002-05-23
WO2002041260A8 (en)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100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EP14141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a user about a WLAN accessibility
US200502276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two networks during an ongoing communication
JP517010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位置・経路登録更新手順
KR100852860B1 (ko)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23574A (ko) 트랜잭션 시스템
KR10070999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방법
JPH09322245A (ja) 地域情報提供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3926746B2 (ja) 携帯情報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リンク確立方法
KR20020085155A (ko)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과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430612B1 (ko) 휴대용 단말기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중계 시스템
JP3392825B2 (ja) データ通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60038693A (ko) 와이브로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JP3056145B2 (ja) 紛失携帯電話端末探知システム
US20020126665A1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JP4485038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
JPH1013877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1091037B1 (ko) 인접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JP3067701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の情報転送方法
JP2003174663A (ja) 位置特定システム及び課金システム
KR101483000B1 (ko) 트래픽 분리 기반의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5012646A (ja) 通信システム
JPH1123691A (ja) 移動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盗難/紛失移動機サーチシステム
JP2783251B2 (ja) Mca無線装置
JP2005110122A (ja) 高速認証システム、サーバ、高速認証方法、プログラム、移動局、およ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