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094A -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094A
KR20040023094A KR1020020054715A KR20020054715A KR20040023094A KR 20040023094 A KR20040023094 A KR 20040023094A KR 1020020054715 A KR1020020054715 A KR 1020020054715A KR 20020054715 A KR20020054715 A KR 20020054715A KR 20040023094 A KR20040023094 A KR 20040023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ragrance
fan
cover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월심
Original Assignee
이월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월심 filed Critical 이월심
Priority to KR102002005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094A/ko
Publication of KR2004002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 중앙에 내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흡기구(22)와 배기구(24)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근접 센서(80)가 부착되는 상부 커버(20)와, 상기 케이싱(10) 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흡기구(22)를 통해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각종 악취를 탈취하여 제거시키기 위한 탈취 필터부(30)와, 상기 케이싱(10) 내의 탈취 필터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24)를 통해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팬(40)과, 상기 케이싱(10) 내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어 배기구(24)를 통해 정화된 공기와 함께 향을 분사하여 공급하기 위해 상단의 공급 노즐(52)이 상부 커버(20)의 통공(26)을 관통하는 향기 발산통(50)과,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 케이싱(10)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전면 커버(60)에 설치되어 장착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70)와, 상기 케이싱(10) 내의 하단에 설치되어 탈취 필터부(30)와 팬(40) 및 근접 센서(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기판(90)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SCENT DIVERGENT FUNCTION ENTIRELY HAVING DEODORIZATION DEVICE}
본 발명은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내의 고유한 냄새는 물론 인체 배설물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악취가 발생되는 병원, 실험실, 흡연실 등에도 장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구비되는 좌변기는 사람이 앉아서 대, 소변을 처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위생 설비로서, 이와 같은 좌변기는 통상 배설물을 세척하기 위해 일정량의 물이 단수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상단에 설치되는 좌대, 그리고 상기 좌대를 덮을 수 있는 뚜껑 등으로 구성되며, 근래에는 상기 좌변기에 국부 및 항문을 세척하기 위한 비데 등과 같은 세정 수단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좌변기의 변기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인체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좌변기의 일측면상에 탈취 장치가 구비되는 데, 종래의 탈취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구(1)와 배기구(2)를 연통하는 통기로가 형성되고, 이 흡기구(1)는 변기(3)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흡기구(1) 측의 통기로 내에는 오존 발생기(4)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오존 발생기(4)의 하류측에는 악취 성분과 혼합실 및 이 혼합실에 이어서 취기 성분과 미반응 오존을 분해하는 촉매층(5)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통기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는 공기류 형성을 위한 팬(6)이 설치되며, 이들은 상기 흡기구(1) 및 배기구(2)를 개구하여 케이싱(7)내에 수납되고, 상기 팬(6) 및 오존 발생기(4)를 온/오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기구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탈취 장치는 흡기구(1)를 통해 변기(3) 내의 악취를 케이싱(7) 내부로 흡입하여 오존 발생기(4) 및 촉매층(5)으로 제거한 다음, 케이싱(7) 저부의 배기구(2)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욕실로 배출시키는 구조이지만, 변기(3) 내면의 물에 잔존하는 악취 분자는 그대로 방치되므로 인해 완벽한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탈취 장치의 구조는 좌변기 부착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는 병원이나 실험실, 흡연실 등에는 상기 탈취 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화장실 내의 고유한 냄새는 물론 인체 배설물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냄새를 제거시킨 후 향기가 포함된 정화된 공기를 재투입하므로써 냄새 분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가 발생되는 병원, 실험실, 흡연실 등에도 장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취 장치가 변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탈취 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탈취 장치가 좌변기에 설치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취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싱 20; 상부 커버
22; 흡기구 24; 배기구
26; 통공 30; 탈취 필터부
40; 팬 42; 모터
50; 향기 발산통 52; 공급 노즐
60; 전면 커버 70; 고정 부재
80; 근접 센서 90; 콘트롤 기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 중앙에 내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흡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근접 센서가 부착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케이싱 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흡기구를 통해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각종 악취를 탈취하여 제거시키기 위한 탈취 필터부와, 상기 케이싱 내의 탈취 필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케이싱 내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어 배기구를 통해 정화된 공기와 함께 향을 분사하여 공급하기 위해 상단의 공급 노즐이 상부 커버의 통공을 관통하는 향기 발산통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케이싱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전면 커버에 설치되어 장착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와, 상기 케이싱 내의 하단에 설치되어 탈취 필터부와 팬 및 근접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전면 커버에 일단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탄성력이 구비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에는 향기 발산통에서 자동으로 향을 분사하도록 감지하기 위한 향분사 감지 센서가 부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취 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탈취 장치가 좌변기에 설치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탈취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탈취 장치는 케이싱(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20)의 전면 중앙에 내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흡기구(22)와 배기구(2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 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흡기구(22)를 통해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각종 악취를 탈취하여 제거시키기 위한 탈취 필터부(3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10) 내의 탈취 필터부(30)의 하부에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24)를 통해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팬(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 내의 상부 타측에는 배기구(24)를 통해 정화된 공기와 함께 향을 분사하여 공급하기 위해 상단의 공급 노즐(52)이 상부 커버(20)의 통공(26)을 관통하는 향기 발산통(50)이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케이싱(10)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60)가 스크류(62)가 체결되고, 상기 전면 커버(60)에는 탈취 장치를 탈거되지 않도록 장착시키기 위해 탄성력이 구비된 판스프링 형태로 된 고정 부재(70)의 일단이 볼트(72)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 내의 하단에는 탈취 필터부(30)와 팬(40) 및 상기 상부 커버(20)의 상부 일측에 부착된 근접 센서(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기판(9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장치를 일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욕실의 변기(100)에 부착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 결합된 전면 커버(60)에 일단이 볼트(72)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력이 구비된 고정 부재(70)의 타단부를 눌러 변기(100)의 일측에 삽입시키므로써 상기 탈취 장치가 변기(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탈취 장치를 악취가 발생하는 병원, 실험실, 흡연실 등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탈취 장치가 변기(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람이 용변을 보기 위해 좌대(110)에 앉게 되면 상기 상부 커버(20)의 상부 일측에 부착된 근접 센서(80)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10) 내의 하단에 설치된 콘트롤 기판(90)을 동작시키게 됨에 따라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팬(40)이 회전하게 되므로 이 팬(40)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 커버(20) 전면 중앙의 흡기구(22)를 통해 변기(100) 내의 악취나 냄새 분자 등을 흡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10) 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탈취 필터부(30)가 상기 흡기구(22)를 통해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각종 악취 등을 탈취하여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각종 악취 등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유로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20) 전면 중앙의 흡기구(22)와 내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된 배기구(24)를 통해 재투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데, 이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커버(20)의 통공(26)을 통해 돌출된 공급 노즐(52)을 눌러 상기 배기구(24)를 통해 정화된 공기와 함께 향을 분사하여 공급하므로써 변기(100)의 물분자에 잔존하고 있는 악취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보다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 커버(20)의 상부에 향기 발산통(50)에서 자동으로 향을 분사하도록 감지하기 위한 향분사 감지 센서(도시는 생략함)를 부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 내의 고유한 냄새는 물론 인체 배설물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냄새를 제거시킨 후 향기가 포함된 정화된 공기를 재투입하므로써 냄새 분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항상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악취가 발생되는 병원, 실험실, 흡연실 등에도 장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해 탈취 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케이싱(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 중앙에 내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흡기구(22)와 배기구(24)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근접 센서(80)가 부착되는 상부 커버(20)와,
    상기 케이싱(10) 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흡기구(22)를 통해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각종 악취를 탈취하여 제거시키기 위한 탈취 필터부(30)와,
    상기 케이싱(10) 내의 탈취 필터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24)를 통해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팬(40)과,
    상기 케이싱(10) 내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어 배기구(24)를 통해 정화된 공기와 함께 향을 분사하여 공급하기 위해 상단의 공급 노즐(52)이 상부 커버(20)의 통공(26)을 관통하는 향기 발산통(50)과,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 케이싱(10)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전면 커버(60)에 설치되어 장착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70)와,
    상기 케이싱(10) 내의 하단에 설치되어 탈취 필터부(30)와 팬(40) 및 근접 센서(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기판(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70)는 전면 커버(60)에 일단이 볼트(72)에 의해 체결되며 탄성력이 구비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20)의 상부에는 향기 발산통(50)에서 자동으로 향을 분사하도록 감지하기 위한 향분사 감지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KR1020020054715A 2002-09-10 2002-09-10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KR20040023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15A KR20040023094A (ko) 2002-09-10 2002-09-10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15A KR20040023094A (ko) 2002-09-10 2002-09-10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925U Division KR200303497Y1 (ko) 2002-11-13 2002-11-13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094A true KR20040023094A (ko) 2004-03-18

Family

ID=3732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715A KR20040023094A (ko) 2002-09-10 2002-09-10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210B1 (ko)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US5906009A (en) Toilet bowl noxious fume and mist evacuation
US3999225A (en) Ventilated toilets
JPH0332364B2 (ko)
KR200303497Y1 (ko)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030023588A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40023094A (ko)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JP4057772B2 (ja) 簡易トイレ用消臭装置および消臭装置付き簡易トイレ
KR200335725Y1 (ko)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장치
US6457186B1 (en) Air cleaning device for a toilet bowl
KR100322379B1 (ko) 다목적 탈취장치
KR200286778Y1 (ko)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101710832B1 (ko) 악취배출 장치
KR200187578Y1 (ko) 다목적 탈취장치
CN215802066U (zh) 一种基于马桶溢水管的风道型净化器
KR200262167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JP2523158B2 (ja) 便所装置
KR200259476Y1 (ko)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KR0129517B1 (ko) 좌변기의 탈취장치
JP2794946B2 (ja) 湿度センサを具備するオゾン脱臭装置
KR200219365Y1 (ko) 좌변기 악취 제거 장치
JP2592750B2 (ja) 便 器
KR200210867Y1 (ko) 변기용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