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588A -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588A
KR20030023588A KR1020020060060A KR20020060060A KR20030023588A KR 20030023588 A KR20030023588 A KR 20030023588A KR 1020020060060 A KR1020020060060 A KR 1020020060060A KR 20020060060 A KR20020060060 A KR 20020060060A KR 20030023588 A KR20030023588 A KR 2003002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eodorant
sensor
odor
control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780B1 (ko
Inventor
권순영
Original Assignee
권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영 filed Critical 권순영
Priority to KR10-2002-006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7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 목적은 좋은 향기를 발산하는 것과 동시에 변기속에 소취제를 분사하므로써 악취를 직접적으로 분해 중화시켜 제거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변기의 안쪽을 푸른색의 리드등으로 조명하여 시각적인 불쾌감을 덜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통상의 좌변기용 변기 좌대(1)의 저면 공간부(11)에 콘트롤기구 수납공간(21)과, 발향기구 수납공간(22)과,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23)을 가지는 케이스 어셈브리(2)를 내장하되, 상기한 콘트롤기구 수납공간(21)에는 전원수납부(52)와, 스위치부(53) 그리고 사용자가 착석하였음을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51)와, 악취를 감지하는 냄새감지센서(54)를 구비하는 콘트롤기구(5)를 내장하고, 상기한 착석감지센서(51)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하는 리드등(6)을 상기 콘트롤기구(5)에 부착하며, 상기한 발향기구 수납공간(22)에는 발향제 용기(31)와, 노즐(33)과, 상기 콘트롤기구(5)에 의해 작동하는 발향제 분사기구(32)로 이루어지는 발향기구(3)를 내장하고, 상기한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23)에는 소취제 용기(41)와, 노즐(43)과, 상기 콘트롤기구(5)의 냄새감지센서(54)에 의해 작동하는 소취제 분사기구(42)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발산기구(4)를 내장하여, 변기 사용중 향기를 발산과 시각적인 불쾌감 및 악취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본 발명은 좌변기에 사용하기 위한 악취제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변기 근처에 있는 동안은 변기의 내부에 푸른색 조명을 점등시켜 시각적인 불쾌감을 해소시키고, 용변을 보는 동안에는 좋은 향을 발산시키는 것과 동시에 용변을 보는 중에는 악취에 의해 반응하는 센서로써 용변위로 소취제를 분사시켜 용변냄새를 중화 제거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수세식 변기로서, 정상적으로 사용하면서 주변을 청결히 유지 하면 평상시 용변 냄새는 나지 않는다.
그러나 먼저 사용한 사람이 물을 내리지 않고 그냥 두었다든가, 물을 내려도 깨끗하게 내려가지 않았다든가 할 때는 일부가 잔류하기도 하기 때문에 다음 사람이 사용하고자 할 때, 냄새가 나는 것은 물론 시각적인 불쾌감을 주는 예가 있으며, 그리고 또, 자신이 용변을 보고 있는 동안에도 냄새를 맡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래에는 향기를 발산하는 별도의 방향제를 욕실 내부에 놓아 두거나, 욕실이나 화장실의 천정(또는 벽면)에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악취와 함께 실내 전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화장실 전체의 향기를 개선하거나 환기를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좌변기속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없다.
한편, 근래에는 변기의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용신안등록제153154호(향기를 발산하는 양변기의 쿠션좌대)와 같이 향기발산장치를 갖는 것, 실용신안등록 제211419호(변기용 악취제거장치) 및 특허등록 제204668호(탈취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변기)와 같이 냄새를 직접 흡입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변기에 가깝게 있어 종래의 발향제를 사용하는 때보다 약간 더 효과적이긴 하지만 용변으로부터 나오는 악취를 직접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향기를 확산시켜 악취의 냄새를 줄여 준다는 점에서 더 특별한 효과가 없다.
그리고 후자 2건의 경우에는 냄새를 제거하는데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팬(fan)과, 이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수단(모터)과, 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타이머를 포함하는 제어수단 등 복잡한 구조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가격이 높아지고 유지 보수비용이 커지는 등 또 다른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비점을 감안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바,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좋은 향기를 발산하는 것과 동시에 용변을 보는 중에는 악취에 의해 반응하는 센서로써 변기의 안쪽으로 소취제를 분사하도록 하여 악취를 직접적으로 분해 중화시켜 제거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변기의 안쪽을 유색의 리드등으로 조명하여 시각적인 불쾌감을 덜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좌변기용 변기 좌대의 저면 공간부에 내장하되, 콘트롤기구 수납공간과, 발향기구 수납공간과,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어셈브리; 상기 케이스 어셈브리의 콘트롤기구 수납공간에 내장하되, 리드등과, 전원수납부와, 스위치부를 가지는 콘트롤기구; 그리고 상기 케이스 어셈브리의 발향기구 수납공간에 내장하되, 발향제 용기와, 발향제 분사기구와, 노즐을 가지는 발향기구; 및 상기 케이스 어셈브리의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에 내장하되, 소취제 용기와, 소취제 분사기구와, 노즐을 가지는 소취제 발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냄새제거 어셈브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변기 좌대2 : 케이스 어셈브리
3 : 발향기구4 : 소취제 발산기구
5 : 콘트롤기구6 : 리드등
11 : 공간부21 : 콘트롤기구 수납공간
22 : 발향기구 수납공간23 :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
31 : 발향제용기32 : 향발산기구
33 : 노즐41 : 소취제용기
42 : 소취제 분사기구43 : 노즐
51 : 착석감지센서52 : 전원수납부
53 : 스위치부54 : 냄새감지센서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통상의 좌변기용 변기 좌대(1)의 저면 공간부(11)에 설치하게 되는데 케이스 어셈브리(2)와, 이 케이스 어셈브리에 내장하기 위한 콘트롤기구(5)와, 발향기구(3)와, 소취제 발산기구(4)로 이루어 진다.
상기 케이스 어셈브리(2)는 도 2에서 보듯이 콘트롤기구 수납공간(21)과, 발향기구 수납공간(22)과,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23)을 가지는 것이다.
이 케이스 어셈브리(2)는 통상의 좌변기용 변기 좌대(1)의 저면 공간부(11)에 내장할 수 있도록 그 공간부(11)의 넓이와 높이에 맞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므로 어느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접착식 양면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벨크로즈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 억지끼움식으로 부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기구(5)는 상기 케이스 어셈브리의 콘트롤기구 수납공간(21)에 내장하되, 용변으로부터 나오는 악취를 감지하기 위한 냄새감지센서(54)와, 사용자가 변기좌대(1)에 앉았음을 감지하기 위한 착석감지센서(51)와, 전원수납부(52)와, 스위치부(53)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기구(5)의 앞쪽에서는 변기의 안쪽을 향하도록 리드등(6)을 설치한다.
이때, 냄새감지센서(54)는 가스누설감지센서와 같은 통상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착석감지센서(51)도 빛을 이용하는 선세, 체중을이용 하는 센서, 접촉상태를 이용하는 센서 등 여러 가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전체적인 전원은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어뎁터로써 같은 전압의 DC전류를 제공받는 다면 가정의 일반 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발향기구(3)는 상기 케이스 어셈브리의 발향기구 수납공간(22)에 내장하되, 발향제 용기(31)와, 발향제 분사기구(32)와, 노즐(33)을 가지는 것이다.
또 한, 소취제 발산기구(4)는 상기 케이스 어셈브리의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23)에 내장하되, 소취제 용기(41)와, 소취제 분사기구(42)와, 노즐(43)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은 변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변기 좌대(1)의 공간부(11)에 케이스어셈브리(2)를 조립하여 고정하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향기구(3)의 노즐(33)과 소취제 발산기구(4)의 노즐(43)이 변기(7)의 내부를 향하게 되고, 리드등(6) 역시 내부 중앙을 향해 유색빛(예컨대 가장 불쾌감을 덜 느끼는 파랑색, 초록색 등)을 발산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콘트롤기구(5)의 스위치부(53)를 ON시켜 사용을 하게 되면 평상시 사람이 앉지 않은 상태에서는 리드등(6)이 점등되어 있다.
즉, 변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변기 앞으로 와서 변기 속을 봤을 때 그다지 깨끗한 상태가 아니더라도 불쾌감을 덜 느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변기에 앉으면 변기 속을 볼 일이 없기 때문에 센서(51)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기구(5)로 하여금 리드등(6)을 소등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도중에는 콘트롤기구(5)가 발향기구(3)의 발향제 분사기구(32)를 작동시켜 노즐(33)로 향기가 발산되게 하며, 용변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하면 냄새감지센서(54)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센서와 연결된 콘트롤기구(5)의 지시로 소취제 분사기구(42)의 소취제 분사기구(42)를 작동시켜 소취제가 노즐(43)로부터 변기의 하반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사된 소취제는 변으로부터 나오는 악취와 중화되어 냄새가 없어진다.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일어 서게 되면, 역시 센서(51)가 이를 감지하며 이번에는 리드등(6)이 즉시 켜지도록 하여 자신의 용변을 보더라도 크게 불쾌하지 않도록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변기 속을 봤을 때, 그 변기를 먼저 사용한 사람이 깨끗이 처리를 하지 못한 상태라 하더라도 리드등에 의해 푸른색 빛이 있으므로 불쾌감을 덜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있는 도중에는 발향기구로부터 향기가 발산되는 것은 물론이고, 소취제가 발산되어 용변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중화시켜 없애 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용변냄새도 맡지 않아 쾌적한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좌변기용 변기 좌대(1)의 저면 공간부(11)에 콘트롤기구 수납공간(21)과, 발향기구 수납공간(22)과,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23)을 가지는 케이스 어셈브리(2)를 내장하되, 상기한 콘트롤기구 수납공간(21)에는 전원수납부(52)와, 스위치부(53) 그리고 사용자가 착석하였음을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51)와, 악취를 감지하는 냄새감지센서(54)를 구비하는 콘트롤기구(5)를 내장하고, 상기한 착석감지센서(51)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하는 리드등(6)을 상기 콘트롤기구(5)에 부착하며, 상기한 발향기구 수납공간(22)에는 발향제 용기(31)와, 노즐(33)과, 상기 콘트롤기구(5)에 의해 작동하는 발향제 분사기구(32)로 이루어지는 발향기구(3)를 내장하고, 상기한 소취제 발산기구 수납공간(23)에는 소취제 용기(41)와, 노즐(43)과, 상기 콘트롤기구(5)의 냄새감지센서(54)에 의해 작동하는 소취제 분사기구(42)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발산기구(4)를 내장하여, 변기 사용중 향기를 발산과 시각적인 불쾌감 및 악취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2002-0060060A 2002-10-02 2002-10-02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046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60A KR100461780B1 (ko) 2002-10-02 2002-10-02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60A KR100461780B1 (ko) 2002-10-02 2002-10-02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030U Division KR200262167Y1 (ko) 2001-09-04 2001-09-04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588A true KR20030023588A (ko) 2003-03-19
KR100461780B1 KR100461780B1 (ko) 2004-12-23

Family

ID=2772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060A KR100461780B1 (ko) 2002-10-02 2002-10-02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7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784A (ko) * 2018-08-31 2018-09-19 안송길 변기 시트용 방향 장치
WO2018203330A1 (en) * 2017-05-02 2018-11-08 Kazes Erez San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753B1 (ko) * 2006-09-01 2008-09-24 문상훈 수세식 변기 및 사이클론식 정화장치
KR100891542B1 (ko) * 2007-08-16 2009-04-03 대방포스텍(주)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100845399B1 (ko) 2007-11-01 2008-07-10 유광태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KR100995759B1 (ko) 2009-10-05 2010-11-19 유광태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WO2010041853A2 (ko) * 2008-10-06 2010-04-15 Yoo Kwang Tae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KR200447310Y1 (ko) * 2009-03-19 2010-01-14 최근식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2007945B1 (ko) * 2018-02-19 2019-08-06 유석영 스마트 양변기
KR102007946B1 (ko) * 2018-02-19 2019-08-06 유석영 스마트 양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330A1 (en) * 2017-05-02 2018-11-08 Kazes Erez Sanit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80103784A (ko) * 2018-08-31 2018-09-19 안송길 변기 시트용 방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780B1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7338A (en) Light-activated aroma generator with automatic cutoff
US4695435A (en) Light-activated aroma generator
US6678900B2 (en) Bowl ventilation apparatus with proximity sensor
US6694534B2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US20080060119A1 (en) Deodorizing toilet seat assembly
US2011004768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US20080028505A1 (en) Toilet light and scent apparatus
KR100461780B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US20140304903A1 (en) Odor Eliminating Apparatus for Toilets With Integral Sound Effect Generator
US4568521A (en) Solar-powered aroma generator
JP2004141618A (ja) トイレ用脱臭芳香器
US20130276220A1 (en) Odor eliminating apparatus for toilets and the like
KR200262167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JP2004022195A (ja) 空間快適化照明装置及び空間快適化制御システム
CN201078017Y (zh) 便器卫生装置
JP2001227026A (ja) トイレ装置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KR101860738B1 (ko) 살균 변기 커버
US8136172B1 (en) Scented toilet seat
KR200438841Y1 (ko) 살균 및 탈취기능을 구비한 양변기 구조
CN211898763U (zh) 除臭喷香装置及除臭喷香马桶
KR20000016279U (ko) 수세식변기의 악취제거장치
WO1995025853A1 (en) Night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