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759B1 -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 Google Patents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759B1
KR100995759B1 KR1020090094238A KR20090094238A KR100995759B1 KR 100995759 B1 KR100995759 B1 KR 100995759B1 KR 1020090094238 A KR1020090094238 A KR 1020090094238A KR 20090094238 A KR20090094238 A KR 20090094238A KR 100995759 B1 KR100995759 B1 KR 10099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dor
toilet
hos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태
Original Assignee
유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태 filed Critical 유광태
Priority to KR102009009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759B1/ko
Priority to PCT/KR2009/005685 priority patent/WO201004185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E03D1/26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exclusively provided with flushing valves as flush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우탱크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용변지속시 및 물내림시로 구분 급수하되, 분사노즐로써 고속분사함에 따른 유체역학작용(공기이송법)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사용치 않고도 악취의 제거를 가능케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공간이 마련된 변기몸체 및 주저장공간이 마련된 로우탱크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변좌를 구비한 좌대가 상기 변기몸체 상에 조립된 통상의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탱크 내부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배설공간에 담긴 배설물의 배수처리를 위한 수돗물을 세척수와 작용수로 상기 로우탱크 내부에 차등 공급하게 된 급수제어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급수제어장치에 연계 장착된 채로, 상기 변좌에 착석한 시점부터 기립 이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급수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주저장공간으로 작용수가 유입되게 하고, 물내림시 상기 로우탱크 내의 대기수위까지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급수유도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급수유도장치에 연계 장착된 상태로, 상기 급수유도장치를 통하여 급수되는 작용수 또는 세척수의 고압분사에 따른 상기 로우탱크의 내부압력 저하현상을 유발시켜 상기 변기몸체의 악취를 강제흡입 가능케 한 악취흡입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유도장치 및 상기 악취흡입장치와 연계된 채로, 상기 악취흡입장치를 통해 상기 로우탱크로 유입·흡입된 유체 중 액체인 세척수나 작용수는 내장토록 하고, 기체인 악취는 외부배기와 동시에 역류를 차단케 된 악취배출장치와; 그리고, 상기 로우탱크 외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악취배출장치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악취배출장치에 의해 배기되는 악취를 하수관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기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변기, 악취제거, 유체역학, 유휴에너지, 공기이송, 유체작용관, 노즐, 역류방지캡, 실린더

Description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A toilet stool for odor removal which applies the reserving energy as power source}
본 발명은 악취제거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우탱크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용변지속시 및 물내림시로 구분 급수하되, 분사노즐로써 고속분사함에 따른 유체역학작용(공기이송법)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사용치 않고도 악취의 제거를 가능케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洋便器, A toilet stool / 좌변기)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用便)을 보게 된 서양식의 수세식 변기를 말함은 통상적으로 주지된 사실이며, 이를 이용한 용변시 사용자 체내의 배설기관(排泄器官, 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배설)되는 대·소변은 그 즉시 심한 악취를 풍기게 마련이다.
정확히는, 사용자가 양변기 좌대에 착석한 채 용변행위로써 배출되는 배설물(排泄物, 대·소변)은 소량이 담수(湛水 : 괸 물)된 변기몸체의 배설공간 내로 낙하하는 극한 시간 동안에 대부분의 악취가 풍겨나는 것으로 주변인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악취제거 기능을 겸비한 각종 양변기가 끊임없이 연구개발 및 시판되는 한편, 이중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69267호를 통해, 외부전력(동력)의 인가로 회전구동하는 흡입모터를 통해 얻어진 회전력을 이용한 임펠러(Impeller)로써 악취의 흡입과 배출을 이룰 수 있는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가 개시되었는바, 현재까지도 이와 유사한 방식의 것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흡입모터 및 임펠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에너지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이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작동시 발생하는 기계음은 환경부령(2007.9.13, 전부개정) 제247호에서 규정한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 별표8(동법 제21조2항 관련) "생활소음·진동의 규제기준"의 기준치인 60dB(야간)-80dB(주간)을 웃도는 한편, 굉음을 발산하는 상기 흡입모터는 전술한 생활소음의 기준치와 상관없이 사용자의 신경을 자극하는 문제점으로 적잖게 지적되어 왔다.
이와 함께, 악취의 흡/배기를 위한 배출관 내경의 크기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양변기의 구조적 특성상, 일반 환기용도(축류형 팬)가 아닌 흡기용으로 제작된 기종인 원심력 팬의 사용이 적합하지만, 효과적인 흡·배출력이 발휘되도록 상기 흡입모터(M)의 회전력(r.p.m)을 높이거나 임펠러(F)의 직경을 확대하여야 함에 따른 설치공간 확보의 어려움과 아울러 제품의 제조단가 상승 그리고 상기 생활 소음 발생을 심화(深化)시키는 폐단이 뒤따랐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수의 급수를 용변 후 물내림시와 용변시로 구분 급수하되, 급수와 동시에 미세 고속분사시킴에 따른 로우탱크의 내부압력 편차유발로 전기에너지가 필요없이도 변기몸체 내부에 풍겨난 악취의 강제흡입과 더불어 그로 유입된 유체를 유도분리 후 액체(작용수/세척수)는 로우탱크 안에 저장하는 한편 기체(악취)는 정화조로 배기토록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자밸브 또는 고압으로 작동하는 체크밸브를 사용치 않고도 공기이송(악취흡입)을 위한 작용수의 급수작용과 연계하여 승강(개폐)하는 역류방지캡 및 상기 역류방지캡의 하강(폐쇄)시 그가 잠수되도록 하는 역류방지수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유체역학작용을 통해 외부배출된 악취의 역류를 완벽히 차단토록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는, 배설공간이 마련된 변기몸체 및 주저장공간이 마련된 로우탱크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변좌를 구비한 좌대가 상기 변기몸체 상에 조립된 통상의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탱크 내부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배설공간에 담긴 배설물의 배수처리를 위한 수돗물을 세척수와 작용수로 상기 로우탱크 내부에 차등 공급하게 된 급수제어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급수제어장치에 연계 장착된 채로, 상기 변좌에 착석한 시점부터 기립 이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급수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주저장공간으로 작용수가 유입되게 하고, 물내림시 상기 로우탱크 내의 대기수위까지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급수유도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급수유도장치에 연계 장착된 상태로, 상기 급수유도장치를 통하여 급수되는 작용수 또는 세척수의 고압분사에 따른 상기 로우탱크의 내부압력 저하현상을 유발시켜 상기 변기몸체의 악취를 강제흡입 가능케 한 악취흡입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유도장치 및 상기 악취흡입장치와 연계된 채로, 상기 악취흡입장치를 통해 상기 로우탱크로 유입·흡입된 유체 중 액체인 세척수나 작용수는 내장토록 하고, 기체인 악취는 외부배기와 동시에 역류를 차단케 된 악취배출장치와; 그리고, 상기 로우탱크 외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악취배출장치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악취배출장치에 의해 배기되는 악취를 하수관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기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는, 배설물의 체외배출과 동시에 풍겨나는 악취를 유체역학작용에 따른 공기이송법을 통해 용변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강제흡입 및 외부배출함이 가능하여, 별도의 외부전력(전기에너지)을 필요치 않음에 따른 전기전력 사용량 절감과 함께, 기계동력수단 구성 생략에 따른 제품의 제조단가 절감 및 그에 따른 간편한 유지보수와 제품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면서도 기계적 구동소음 발생원인 해소로 인한 쾌적한 화장실(또는 욕실) 이용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착석과 동시 및 용변의 끝마침 후 기립 후 일정시간 고속분사되는 작용수의 분사소음과 로우탱크 내부로 낙하하는 물방울의 마찰소리와 같은 자연음을 통해, 인위적인 위장음 표현을 목적으로 중도의 물 내림 행위를 방지하는 추가 절수효과 발휘와 더불어, 별도의 에티켓 벨을 구비하지 않고도 용변시의 생리적 소음이 타인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안락한 용변의 최적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악취의 외부배출을 위해 필요로 하던 배관(덕트) 등과 같은 부대장치들을 별도로 시공하지 않고 양변기의 교체만으로도 설치사용이 가능한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로우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급수제어장치와 급수유도장치 그리고 악취흡입장치와 악취배출장치 및 배기유도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와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탱크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볼탭과 플로우트 및 분사노즐과 유체작용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분사노즐과 유체작용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와 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기체흡입관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메인밸브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와 평단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메인밸브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밸브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지연통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탱크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구획판체와 역류방지캡 및 승강피스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절개사시도이며,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탱크와 유동마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배기유도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요부단면도이며,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세척수의 수위 조절관계를 나타낸 로우탱크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동순서도이며,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작용수 또는 세척수 급수시의 악취배출 과정을 나타낸 작동과정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용변시 및 물내림시의 악취 흡입 및 배출 흐름을 나타낸 로우탱크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세척수와 작용수의 급·배수배관계를 나타낸 공정단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시의 배설물(대·소변)을 받아 정화조로 흘려 보내기 위한 변기몸체(1-1) 및 배설물 배수처리에 필요한 세척수를 담아 저장하는 로우탱크(1-2)가 일체형 구조이고, 착석용변(着席用便)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변기몸체(1-1) 상에 좌대(1-3)를 조립결합한 양변기(A)에 있어서,
상기 변기몸체(1-1) 내에 담긴 배설물의 배수처리에 필요한 수돗물(이하 "세척수"라 함)을 상기 로우탱크(1-2) 내부로 공급하게 된 급수제어장치(2)와, 상기 좌대(1-3)에 사용자가 착석한 시점부터 기립(起立)한 이후 수초 간 로우탱크(1-2) 내부로 상기 급수제어장치(2)를 통해 세척수(이하 "작용수"라 함)가 추가 유입되게 하고 물내림 후 다시 상기 로우탱크(1-2) 내의 대기수위까지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급수유도장치(3)와, 상기 급수유도장치(3)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척수 또는 작용수 고압분사에 따른 상기 로우탱크(1-2) 내부압력 저하현상 유발과 같은 유체역학(流體力學, Hydrodynamics)작용을 이용한 공기이송법으로 상기 변기몸체(1-1)의 내기(이하 "악취"라 함)를 외부전력이 필요없이도 강제흡입 가능케 한 악취흡입장치(4)와, 상기 악취흡입장치(4)를 통해서 상기 로우탱크(1-2)로 유·흡입된 유체(流體) 중 액체인 세척수나 작용수는 직하(直下)시켜 로우탱크(1-2) 내부에 즉시 저장토록 하고 기체인 악취는 외부 배기와 동시에 역류를 차단케 된 악취배출장치(5)와, 상기 악취배출장치(5)에 의해 상기 로우탱크(1-2) 외부로 배기하는 악취를 하수관 내로 최종 유출시키기 위한 배기유도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기몸체(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 중 배설물을 담아둘 수 있는 배설공간(1-1a)이 마련되고, 용변 후 물내림시 상기 로우탱크(1-2)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의 배설공간(1-1a)으로 내려보내기 위한 배수배관(1-11)과, 상기 배설공간(1-1a)에 담긴 배설물을 세척수와 함께 하수관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트랩배관(1-12)이 일체로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설공간(1-1a)의 개구부 상단 둘레에는, 세척수가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샤워공(1-13a)을 일정간격마다 수직관통한 상부림(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샤워공(1-13a)은, 물내림 행위로 인해 상기 로우탱크(1-2)로부터 배수된 세척수가 상기 상부림(1-13)을 거쳐 배설공간(1-1a)으로 흘러내리는 동안의 폐쇄 이전까지 악취흡입의 용도로써 활용된다.
한편, 상기 좌대(1-3)에 착석시 사용자의 둔부(臀部, Hip)와 근접하는 상기 상부림(1-13)의 내부바닥면 일정범위에는, 상기 급수유도장치(3)를 통해 배수 유입되는 세척수가 범람(汎濫)할 수 없도록 상향된 돌출단차부(1-131)를 더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돌출단차부(1-131)에 일정간격마다 수직관통됨으로써 용변 후 물내림시 상기 배설공간(1-1a)의 잔여 악취가 상기 로우탱크(1-1) 내부로 급격히 빨려들 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수의 흡기공(1-1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우탱크(1-2)에는, 세척수를 담아둘 수 있게 주저장공간(1-2a)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주저장공간(1-2a)의 개구 상단을 폐쇄하기 위한 탱크덮개(1-20)가 덧씌워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대(1-3)는, 상기 상부림(1-13) 상측에 별도 결합부재(볼트 등,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조립되는바,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는 변좌(便座, 1-31), 그리고 상기 변좌(1-31)를 덮도록 된 변좌덮개(1-32)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급수제어장치(2)는, 상수도관으로부터 로우탱크(1-2)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給水)와 단수(斷水) 여부의 컨트롤을 위한 수단으로, 상기 주저장공간(1-2a)에 급수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배설공간(1-1a)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로우탱크(1-2)의 일측 외면에 장착한 배수레버(21)와, 상기 로우탱크(1-2) 바닥면 일측 가장자리 상에 설치된 상태로 상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 및 작용수를 공급받기 위한 볼탭(22)과, 부력(浮力, Buoyancy)으로 부양(浮揚, Floating)하려는 물체의 특성을 이용한 승강작용으로 세척수 공급을 위한 상기 볼탭(22)의 작동에 관여하게 된 플로우트(23)와, 상기 배수레버(21) 조작에 의해 상기 주저장공간(1-2a)의 세척수가 배수와 동시에 상기 배설공간(1-1a)에 담긴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처리 가능하게 개방되는 사이폰마개(241)가 힌지결합된 오버플로우관(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레버(21)의 일단에는, 그의 누름작용시 선단이 상향 회동함으로써 상기 오버플로우관(24)의 사이폰마개(241)를 강제로 끌어올릴 수 있는 힌지스틱(211)과 당김줄(212)이 상기 로우탱크(1-2) 내측 방향으로 구비결합되어 있다.
상기 볼탭(22)에는, 작용수의 급수를 위하여 항시 개방된 하부꼭지(221)와, 상기 플로우트(23)의 하강시 세척수의 급수를 위해서 선택 개방되는 하강형 토출관(222)과, 상기 배수레버(21)의 조작시 세척수를 상기 상부림(1-13) 안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상부꼭지(2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관(222)의 최말단에는, "ㄴ"자형으로 연장절곡된 관꼭지(222-1)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우트(23)로부터 상방향 신장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힌지스틱(211)의 회동 선단에 탈·부착 가능한 수위조절대(231)의 구비결합에 의해, 상기 플로우트(23)의 상·하 위치변경을 통한 상기 로우탱크(1-2)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조절을 달성할 수 있다.
급수유도장치(3)는, 상기 악취흡입장치(4) 및 악취배출장치(5)의 작동과 아울러 배설물 배수처리를 목적으로 상기 로우탱크(1-2) 내에 저장되는 작용수와 세척수의 공급경로 형성을 위한 수단으로, 도 4a 및 도 4b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탭(22)의 하부꼭지(221)에 연결되어 작용수를 급수하게 된 1차공급호스(31)와, 상기 1차공급호스(31)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를 둘로 분배하되 사용자의 좌대(1-3) 착·탈석 여부에 따라 이후의 분배 급수가 가능토록 한 메인밸브(32)와, 상기 메인밸브(32)에 의해 분배 급수되는 작용수가 상기 악취흡입장치(4) 및 악취배출장치(5)로 각각 나뉘어 급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2분배호스(33-1)(33-2)와, 상기 메인밸브(32)의 개폐 컨트롤을 목적으로 일부 작용수(이하 "제어수"라 함)가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림(1-13)을 경유케 하기 위한 제1,2선회호스(34- 1)(34-2)와, 상기 제1,2선회호스(34-1)(34-2) 사이에 연계결합된 상태로 상기 변좌(1-31)의 하강시에만 상기 제1선회호스(34-1)로 유입된 제어수가 제2선회호스(34-2)를 거쳐갈 수 있도록 개방되는 보조밸브(35)와, 상기 제2선회호스(34-2)를 거치는 제어수의 일정량을 임시저장하되 사용자가 기립한 직후부터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에 작용수로 전환 방출시켜주도록 한 지연통(36)과, 상기 볼탭(22)의 토출관(222)과 악취흡입장치(4)에 연결됨으로써 물내림시 상기 로우탱크(1-2)의 주저장공간(1-2a)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메인공급호스(37)와, 상기 볼탭(22)의 상부꼭지(223)에 연결된 채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림(1-13) 안으로 일정량의 세척수를 내려보내기 위한 배수호스(38)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밸브(32)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공급호스(31)로부터 최초 급수되는 작용수의 다음 급수 컨트롤을 위한 제1밸브본체(32-1)와, 상기 제1밸브본체(32-1)의 개구 상단을 폐쇄하는 누름캡(32-20)을 포함한 밸브덮개(32-2)와, 상기 제1밸브본체(32-1)의 개구 상단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누름캡(32-20)에 의해 가장자리 둘레부가 가압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밸브본체(32-1) 및 밸브덮개(32-2) 내로 들어찬 작용수 수압편차에 따라 중앙부위가 상·하로 유동 가능한 다이아프램(Diaphram, 3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밸브본체(32-1)의 내부에는, 상기 1차공급호스(31)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의 충입을 위한 하부충진공간(32-1a)과, 상기 다이아프램(32-3)의 유동시 상기 하부충진공간(32-1a)과의 개방 연통으로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로 작용수의 급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출공간(32-1b)이 구분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밸브본체(32-1)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1차공급호스(31)로부터 급수되는 작용수의 진입을 위한 유입관(32-11)이 일단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진출공간(32-1b)을 통과한 작용수를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로 동시에 토출시키기 위한 "Y"자형의 분산 관로 형상을 갖는 제1,2유출관(32-12)(32-13)이 다른 일단에 돌출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2선회호스(34-1)(34-2)를 경유한 제어수를 상기 제1,2유출관(32-12)(32-13)에 작용수로 전환합류 유입시키도록 된 합류관(32-14)이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의 통합 관부에 연통형성된다.
상기 누름캡(32-2)의 내부에는, 상기 1차공급호스(31)로부터 급수된 작용수가 상기 하부충진공간(32-1a)에 더하여 충입될 수 있는 상부충진공간(32-2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캡(32-2)의 외부 상면에는, 상기 제1선회호스(34-1)를 연결할 수 있는 분출관(32-21)이 상향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충진공간(32-2a)과의 연통에 따라 상기 제1선회호스(34-1) 내부에 제어수가 항시 충만상태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1,2유출관(32-12)(32-13) 각각의 독립 관로에는,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로 유입되는 작용수의 급수량을 조절을 위한 수량조절밸브(32-100)가 구비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악취흡입장치(4) 및 악취배출장치(5)로 작용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이아프램(32-4)에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충진공간(32-1a)으로 유입된 제어수가 상기 상부충진공간(32-2a)으로 추가 유입 될 수 있게 한 다수의 다중통공(32-4a) 및 상기 다중통공(32-4a)을 통과한 제어수를 한데로 유인배출시킬 수 있는 단일의 연통공(32-4b)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보조밸브(35)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선회호스(34-1)로 유입된 제어수가 상기 제2선회호스(34-2)를 거치는 급수 흐름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제2밸브본체(35-1)와, 상기 제2밸브본체(35-1)의 개폐를 자기력(磁氣力)으로써 간접 조작하기 위한 누름스위치(35-2)로 구성된다.
상기 제2밸브본체(35-1) 내부에는, 제어수가 들어찰 수 있는 중앙공간(35-1a)을 마련하고, 상기 제1선회호스(34-1)를 통해 유입된 제어수가 상기 중앙공간(35-1a)으로 유입 가능토록 연통된 유입로(35-1b)가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공간(35-1a)을 거쳐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제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통된 유출로(35-1c)가 내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공간(35-1a)에는, 베이스마그네틱(35-11)이 바닥면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마그네틱(35-11)의 상측에서 자기력으로 상시 상승작용하는 개폐마그네틱(35-12)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밸브본체(35-1)에는, 상기 제1선회호스(34-1)를 상기 유입로(35-1b)에 연결하고 상기 제2선회호스(34-2)를 상기 유출로(35-1c)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35-101)가 하부에 형성된다. 반면,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림(1-13) 외부 상단으로 노출됨에 의해 상기 누름스위치(35-2)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는 확장형 두부(35-10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중앙공간(35-1a) 내의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을 수용하 되, 작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35-121a)를 외면에 수직으로 절개형성한 유동케이스(35-121)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 상단에는, 상기 중앙공간(35-1a) 상측 내벽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유출로(35-1c)의 진입구 봉쇄를 극대화하기 위한 고무패드(35-122)가 매립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스위치(35-2)는, 상기 변좌(1-31)의 회동 선단부 하단에 하향 돌출구조로 조립결합되는 한편, 착석하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변좌(1-31)와 동시 하강하는 승강캡(35-21)과, 상기 승강캡(35-21)의 내부로 슬라이딩 수용 가능하게 조립되면서도 상기 제2밸브본체(35-1)의 두부(35-102) 상에 하면이 밀착하게 된 접지하우징(35-22)과, 상기 승강캡(35-21) 내부에 매립상태로 함께 이동케 된 승강마그네틱(35-23)과, 상기 접지하우징(35-22)을 상기 승강캡(35-12) 외부로 밀어내는 반발력을 발휘하는 제1탄성스프링(35-24)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마그네틱(35-11)의 N극이 상위이고 S극이 하위라고 가정할 때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의 S극이 상위이며 N극이 하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차후 설명할 상기 승강마그네틱(35-23)의 N극은 상위이고 S극은 하위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캡(35-21)에는, 상기 승강마그네틱(35-23)의 수용결합을 위한 매립공간(35-21a)과, 상기 제2밸브본체(35-1)의 조립과 더불어 제1탄성스프링(35-24)의 상부를 내재수용하기 위한 제1내재공간(35-21b)이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하우징(35-22)에는, 상기 승강마그네틱(35-23)의 상·하 이동이 간 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승강공간(35-22a), 그리고 상기 제1탄성스프링(35-24)의 하부를 내재수용할 수 있는 제2내재공간(35-22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통(36)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선회호스(34-2)를 거쳐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어수를 일정량 임시저장해 둘 수 있는 임시충진공간(36a)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임시충진공간(36a) 내로 제어수가 입·출 가능케 하기 위한 충입공(36b)이 하단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시충진공간(36a)에는, 제어수 급수 흐름에 따른 수압의 영향으로 후퇴 상승하거나 상기 보조밸브(35)의 폐쇄로 압력이 떨어진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제어수의 방출을 위해 전진 하강케 되는 압력피스톤(361)과, 상기 압력피스톤(361)을 하강시키기 위한 제2탄성스프링(362)이 더 구비결합된다.
악취흡입장치(4)는, 작용수 및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른 공기이송법을 이용하여 상기 배설공간(1-1a)에 풍겨난 악취가 내부압력이 감소된 상기 로우탱크(1-2) 내부로 강제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7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배호스(33-1)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와 상기 메인공급호스(37)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척수의 지연분사 및 고속분사를 위한 분사노즐(41)과, 상기 분사노즐(41)로부터 분사되는 작용수나 세척수의 통과시 상기 로우탱크(1-2) 내부압력 저하현상을 유발시키도록 한 유체작용관(42)과, 작용수 또는 세척수의 분사로 상기 로우탱크(1-2)의 내부압력이 저하(순간 진공현상)될 경우 상기 배설공간(1-1a)에 풍겨난 악취를 강제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림(1-13)에 연통결 합되는 기체흡입관(4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41)은 다수의 지탱편(41-1)들을 이용하여 상기 유체작용관(42)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조립한다.
상기 분사노즐(41)은, 사용자의 착석시 개방되는 상기 보조밸브(35)와 메인밸브(32)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급수되는 작용수 및 물내림시의 상기 볼탭(22)의 작동에 의해 급수되는 세척수를 고속으로 분사시켜 상기 유체작용관(42) 내로 유체가 투입되도록 하여 상기 로우탱크(1-2)의 내부압력 감소현상이 유발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분배호스(33-1)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의 분사 흐름을 유도하게 된 제1흐름로(41a)와, 상기 메인공급호스(37)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척수의 분사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는 제2흐름로(41b)가 내부에 별개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흐름로(41a)의 출구를 중앙분사공(411)으로 하고, 상기 제2흐름로(41b)의 출구를 다중분사공(412)으로 하되, 상기 중앙분사공(411)은 용변 중 작용수의 미세 지연분사를 목적하여 단일로 관통형성하는 반면, 상기 다중분사공(412)은 용변 후 물내림시 다음 사용자를 위해 급수되는 세척수의 분사목적으로 상기 중앙분사공(411) 주변에 원형배열형태로 다수개가 관통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분사노즐(41)의 외부 하단에는, 상기 메인공급호스(37)를 연결하여 상기 제2흐름로(41b)와 연통하도록 한 유입꼭지(413)가 하향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작용관(42)은, 상기 분사노즐(41)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를 액체와 기체로 분리시켜 상기 악취배출장치(5) 내부로 안내하여 투입시키기 위한 수단으 로, 상기 악취배출장치(5)의 수직 일단 상측 내부로 관부 대부분이 관통삽입되는 한편 삽입 관부의 선단이 하향토록 소정의 경사각을 부여함으로써, 미세입자로 된 물방울의 배출 흐름을 유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체작용관(42)의 입구 선단 내벽면에는, 톱날의 형태와 유사한 모양의 일방향 경사형 간섭돌편(421)들이 복수의 그룹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다. 이는, 상기 분사노즐(41)을 통해 분사되는 작용수와 세척수의 분사입자를 난반사(亂反射)시켜 분사속도의 저하요인이 되는 물방울의 뭉침현상이 관내벽에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체흡입관(4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형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림(1-13)에 하측 수평 선단을 연통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결착홀더(43-1)가 더 장착된다.
또한, 상기 기체흡입관(43)의 후측 절곡부에는, 상기 상부림(1-13) 내로 세척수를 내려보낼 수 있게 된 상기 배수호스(38)를 연결하기 위한 연통꼭지(431)가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악취배출장치(5)는, 상기 유체작용관(42) 내로 작용수 또는 세척수와 함께 흐름 유입된 악취를 정화조로 배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수 지속급수에 따른 세척수의 저장량 초과시 세척수(이하 "임시저장수"라 함)를 임시저장한 후 물내림시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유출시켜 세척수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된 보조탱크(51)와, 상기 보조탱크(51) 내부로 유입된 작용수나 세척수를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즉시 낙하시키기 위한 급수직관(52)과, 작용수 또는 세척수와 함께 흡기(강제흡입)된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기직관(53)과, 상기 배기직관(53)을 통해 악취가 배출 가능토록 하면서도 배출 악취의 역류를 차단키 위한 역류방지캡(54)과, 상기 역류방지캡(54)의 상승·하강 작동을 위한 작용수를 상기 제2분배호스(33-2)로부터 급수받을 수 있는 주입관(5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탱크(51)는, 상기 로우탱크(1-2) 내부 일측에 수납 고정되는 하부하우징(51-1)과, 상기 하부하우징(51-1)의 개구 상단을 덮을 수 있는 상부하우징(51-2)과, 상기 상·하부하우징(51-2)(51-1) 사이를 횡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획판체(51-3)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구획판체(51-3)의 조립결합을 통해 상기 보조탱크(51)의 하측 내부에는 보조저장공간(51-1a)이 마련되게 하고, 상측에는 기체이동공간(51-2a)이 마련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하우징(51-1)에는, 상기 주저장공간(1-2a)과 연통하는 다수의 수위결정공(51-1b)이 일측벽에 수직방향을 따라 균등간격마다 관통된다. 또한, 상기 수위결정공(51-1b)을 통해서 상기 주저장공간(1-2a)의 세척수가 상기 보조저장공간(51-1a)에 임시저장수로 유입 저장한 다음 차후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다시 유출시켜 배설물 배수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세척수로써 재활용 가능토록 하는 토출공(51-1b)이 바닥면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저장공간(1-2a)에 저장된 세척수에 의한 최초 대기수위(소변용)가 작용수의 지속 급수로 인해 최대 만수 위(대변용)를 넘어선 이후로는 상기 보조저장공간(51-1a)에 임시저장수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위결정공(51-1b)들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수위결정공(51-1b)들을 밀폐시키기 위한 다수의 차폐마개(51-11)가 구비된다.
더하여,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51-1) 외부 하면에 힌지된 채 평소 세척수 압력에 의한 부력의 영향으로 상기 토출공(51-1b)을 밀폐토록 상향 회동하는 반면, 물내림으로 상기 주저장공간(1-2a)의 세척수 수위가 상기 보조저장공간(51-1a)의 임시저장수 수위 이하로 하락하는 시점에서 상기 토출공(51-1b)을 개방토록 하향 회동케 되는 유동마개(51-12)가 구비결합된다. 이는, 상기 보조저장공간(51-1a)에 저장된 임시저장수를 차후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유출시켜 세척수로써 재활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획판체(51-3)에는, 도 13a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작용관(42)을 통해 상기 보조탱크(51-1) 내부로 투입된 작용수 혹은 세척수를 상기 주저장공간(1-2a)에 낙하시킬 수 있는 낙하홀(51-3a)과, 상기 역류방지캡(54)의 승강작용을 위한 작용수의 유입을 위하여 하향 돌출구조를 갖는 실린더부(51-31)와, 상기 실린더부(51-31)로 공급되는 작용수가 상기 구획판체(51-3) 상으로 분출 가능케 한 다수의 분수공(51-32a)이 관통되고 이처럼 분출된 작용수를 상기 역류방지캡(54)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내향단차부(51-32)와, 상기 내향단차부(51-32)에 의해 이동된 작용수(이하 "역류방지수"라 함)로써 상기 역류방지캡(54)의 하측 일부를 잠수시킬 수 있는 담수공간(51-32a)을 마련한 바스켓부(51-33)와, 상기 바스켓부(51-33)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역류방지캡(54)의 상단 내면과 근접하게 돌출되 어 상기 담수공간(51-32a)에 저장된 역류방지수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흡기된 악취의 외부배출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연통관부(51-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51-31) 상측의 상기 구획판체(51-3) 일상단에는, 상기 역류방지캡(54)의 승강작용이 일정토록 한 한 쌍의 가이드판(51-35)이 상향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낙하홀(51-3a)은 급수직관(52)과 연통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51-31)는 주입관(55)과 연통연결되며, 상기 연통관부(51-34)는 배기직관(53)과 연통연결된다.
상기 역류방지캡(54)에는, 일측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대(54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541)의 중앙 하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수직한 승강봉(542)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봉(542)의 최말단에는 상기 실린더부(51-31) 안에서 수압에 의해 상승하는 승강피스톤(543)이 구비결합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캡(54)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승강봉(542)의 수직운동 유지목적으로, 상기 연결대(541)의 타 선단에는 균형추(541-1)가 내재됨이 바람직하다.
배기유도장치(6)는, 상기 악취배출장치(5)를 통해 로우탱크(1-2)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정화조로 이어지는 하수관 내에 원활히 유도 배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악취배출장치(5)의 배기직관(53)에 연이어 연결됨으로써 외부배출되는 악취를 하수관 측으로 배기시킬 수 있게 된 유출호스(61)와, 상기 유출호스(61)가 상기 변기몸체(1-1)의 후단부에 고정 되도록 하기 위한 홀딩파이프(62)와, 상기 홀딩파이프(62)의 말단을 일부 수용함에 더하여 다른 일측부가 하수관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유출호스(61)를 통해 배기되는 악취를 배설물 배출과 별개로 하수관 내부까지 유도키 위한 플랜지(63)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63)에는, 상기 홀딩파이프(62)를 통해 배기되는 악취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유도부(63-1)와, 상기 유도부(63-1)에 의해 안내된 악취가 하수관 내로 흡기시킬 수 있는 엔드배기부(6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6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트랩배관(1-12) 주변의 상기 변기몸체(1-1) 둘레 하면과 밀착하는 고무패킹(631)이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g)는 상기 로우탱크의 개구 상단부를 상기 탱크덮개의 하면에 완전 밀착시키기 위한 개스킷(Gasket)이고, (51-13)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토출공 개방 정도를 달리하여 임시저장수의 유출량을 조절토록 된 개폐조절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A)의 사용 이전에는, 상기 볼탭(22)을 통해 급수되는 세척수가 상기 로우탱크(1-2)의 주저장공간(1-2a)에 최소한의 사이펀작용을 위한 최초 대기수위(소변용)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플로우트(23)가 부력으로 부양하여 상기 볼탭(22)의 필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폐쇄하는 것에 따라, 상기 볼탭(22)의 토출관(222) 및 상부꼭지(223)를 통해 더 이상의 세척수가 급수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한 필밸브에 영향 받지 아니하는 상기 볼탭(22)의 하부꼭지(221)를 통해서는 작용수의 급수가 지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허나, 상기 하부꼭지(221)와 연결된 상기 1차공급호스(31)를 통해 상기 메인밸브(32)의 상·하부충진공간(32-2a)(32-1a)과 상기 제1선회호스(34-1) 내부까지는 급수 흐름이 이어지긴 하지만, 상기 급수유도장치(3)의 보조밸브(35)가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의 제어수 흐름은 단절(斷絶)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본체(35-1)의 중앙공간(35-1a) 바닥에 밀착고정된 상기 베이스마그네틱(35-11)의 자기력과 제어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이 상기 유출로(35-1c)의 진입구를 봉쇄토록 최상측에 위치함에 따라서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의 제어수 흐름이 불가능한 반면, 상기 베이스마그네틱(35-11)은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과 동일 극성의 작용으로 상기 중앙공간(35-1a)의 최상단에까지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이 밀려올라 위치케 됨으로써,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제어수가 급수되지 않도록 상기 유출로(35-1c)를 폐쇄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우트(23)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상기 로우탱크(1-2) 내로 저장되는 세척수의 최초 대기수위(소변용)를 설정하는 것이며, 상기 보조탱크(51)의 하부하우징(51-1)에 관통된 다수의 수위결정공(51-1b)들 중 작용수의 급수로 만수위(대변용)까지 세척수가 도달하는 상부 위치에 관통된 수위결정공(51-1b)만을 개방함을 통해, 만수위 이후로부터는 세척수가 상기 보조탱크(51) 내로 임시저장수로써 유입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저장공간(51-1a)으로 유입되는 임시저장수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여 상기 주저장공간(1-1a)의 세척수 수위와 일치하도록 도달하는 시간 이내에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용변을 끝마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A)의 사용대기 상태에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변좌(1-31)에 착석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변좌(1-31)가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림(1-13)과 밀접하는 동시에,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밸브(35)의 승강캡(35-21) 역시 함께 하강하여 상기 승강마그네틱(35-23)이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과 근접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체적으로 된 상기 승강마그네틱(35-23)의 자기력에 영향을 받아 상기한 개폐마그네틱(35-12)이 상기 중앙공간(35-1a)의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이에 상기 유출로(35-1c)의 진입구가 개방되어 제어수가 상기 유출로(35-1c)를 거쳐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유입된다.
여기서, 앞서 기재한 세척수와 작용수 그리고 제어수와 임시저장수 및 역류방지수의 흐름(연관)관계는, 도 18b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이후의 작용설명으로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수가 상기 유출로(35-1c)를 거쳐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유입되기 시작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충진공간(32-2a)에 머무르던 제어수 역시 상기 밸브덮개(32-2)의 분출관(32-21)을 통해 상기 제1선회호스(34-1)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충진공간(32-2a)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다이아프램(32-3)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유동케 됨으로써, 상기 진출공간(32-1b) 상단 개구부의 개방과 함께 상기 하부충진공간(32-1a)에 머 무르던 작용수가 진출공간(32-1b)을 통해 상기 제1,2유출관(32-12)(32-13)으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어수가 상기 제2선회호스(34-2)를 거치는 도중 상기 지연통(36)의 충입공(36b)을 통해 상기 임시충진공간(36a)으로 제어수가 점진유입 및 저장되는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의 유입 압력으로 상기 압력피스톤(361)이 상기 임시충진공간(36a)의 상측으로 후퇴작용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선회호스(34-2)를 거치는 제어수는, 상기 합류관(32-14)을 통해 상기 제1,2유출관(32-12)(32-13)에 합류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밸브(32)의 제1,2유출관(32-12)(32-13)과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에 의해 작용수의 흐름이 두 갈래로 나뉘는바(도 9b 참조), 상기 제1분배호스(33-1)를 통해서는 상기 분사노즐(41)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분배호스(33-2)를 통하여는 상기 보조탱크(51) 내부의 주입관(55)을 지나 상기 실린더부(51-31)로 유입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41) 내로 유입된 작용수가 상기 분사노즐(41)의 제1흐름로(41a)를 지나 중앙분사공(411)을 통한 미세 지연분사와 동시에 상기 유체작용관(42) 내로 투입된다.
이때에,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우탱크(1-2)의 내부압력 저하현상으로 상기 기체흡입관(43) 내에서 강한 흡입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배설공간(1-1a)으로부터 상기 로우탱크(1-2) 내부로 흡입된 악취는 상기 분사노즐(41)의 분사작용으로 작용수와 함께 상기 유체작용관(42)을 거쳐 상기 보조탱크(51)의 기 체이동공간(51-2a)으로 이동한다.
반면, 악취와 함께 분사되는 작용수는, 상기 하부하우징(51-1)의 낙하홀(51-3a) 및 급수직관(52)을 거쳐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그 즉시 낙하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41)로부터 미세 지연분사되는 작용수의 급수음은 용변시의 생리적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는 위장음(에티켓 벨)으로 활용됨으로써, 자신의 용변소음을 타인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용변 중에 습관적으로 실시하는 물 내림 행위 생략에 따른 절수효과를 가져다준다.
결국,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림(1-13)에 관통형성된 샤워공(1-13a) 및 흡기공(1-131a) 그리고 상기 상부림(1-13)과 연통연결된 기체흡입관(43)을 이용하여, 용변과 동시에 배설물로부터 풍겨난 악취를 상기 로우탱크(1-2) 내부로 강제흡입함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유체역학작용은 사용자가 상기 변좌(1-31) 상에 착석한 그 즉시로부터 용변 후 기립후 물 내림한 다음 최초 대기수위를 형성할 때까지 지속된다.
동시에, 상기 제2분배호스(33-2)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51-31) 내로 유입된 작용수는, 상기 승강피스톤(543)을 밀어올리는 것에 의해 상기 역류방지캡(54)이 상항 이동케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51-31) 내에 머물던 작용수가 상기 분수공(51-32a)들을 통하여 상기 구획판체(51-3) 위로 분출 후 상기 구획판체(51-3)의 내향단차부(51-32)를 지나 상기 바스켓부(51-33)의 담수공간(51-33a) 안으로 들어차 역류방지수로써 역할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피스톤(543)의 상승으로 더불어 상향 이동하는 상기 역류방지캡(54)이 상기 연통관부(51-34)와 이격됨에 따라, 상기 배기직관(53)이 상기 기체이동공간(51-2a)과 연통함으로 인해 악취의 외부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는, 상기 분사노즐(41)로부터 미세 지연분사되는 작용수의 그 흐름에 의한 상기 로우탱크(1-2)의 내부압력 편차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배설공간(1-1a)에 풍겨난 악취가 상기 기체흡입관(43)을 거쳐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강제흡입된 후 다시 상기 유체작용관(42)을 통과하여 상기 보조탱크(51) 내부로 작용수와 함께 유입(흡기)되는 것이며, 상기 역류방지캡(54)의 상승시 상기 배기직관(53)으로 흘러들어간 악취는 상기 배기유도장치(6)의 유출호수(61)를 지나 상기 플랜지(63)에 안내되어 정화조로 최종 배기된다.
이때, 최초 유입되는 작용수 압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51-31)의 상측 내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승강피스톤(543)이 상향 위치되고 상기 분수공(51-32a)은 폐쇄된다. 그 후로부터는, 상기 주입관(55) 내로 유입되던 작용수의 흐름은 정지되고 일정한 압력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출관(32-12) 관로에 구비결합된 수량조절밸브(32-100)를 조작하여 상기 제2유출관(32-12)을 통하는 작용수의 급수량을 적절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사용자가 용변을 끝마치고 기립하는 순간에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스위치(35-2) 내에 구비된 상기 제1탄성스프링(35-24)에 의해 상기 접지하우징(35-22)으로부터 상기 변좌(1-31)와 함께 상기 승강캡(35-21) 및 그 내 부에 수용된 상기 승강마그네틱(35-23)이 상향 이동한다.
이로써,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에 부여되던 자기력의 상실로, 상기 개폐마그네틱(35-12)이 다시 상승하여 상기 유출로(35-1c)의 진입구를 폐쇄함으로 인해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유입되던 제어수의 흐름이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의 제어수 흐름이 정지됨에 따른 상기 제2선회호스(34-2)의 내부압력 소멸시, 상기 제2탄성스프링(362)이 상기 압력피스톤(361)을 전진 하강시켜 상기 지연통(36)의 임시충진공간(36a)에 저장되었던 제어수를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방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선회호스(34-2)로 방출된 제어수는, 상기 메인밸브(32)의 제1,2유출관(32-12)(32-13)을 거쳐 상기 제1,2분배호스(33-1)(33-2)를 통과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역류방지캡(54)의 상승상태 유지 및 상기 분사노즐(41)의 중앙분사공(411)을 통해 작용수로써 분사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기립한 직후 상기 배수레버(21)를 조작하여 상기한 당김줄(212)이 사이폰마개(241)를 끌어당기는 것으로 상기 주저장공간(1-2a)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되어 상기 배설공간(1-1a)에 담긴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배설물 배수처리 과정 중, 세척수와 배설물의 마찰이나 뒤엉킴 등에 따라 잔여냄새가 순간적으로 비산(飛散)할 경우에는 용변중 보다 더 많은 악취의 순간 흡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는, 상기 배수레버(21)의 조작과 동시에 상기 로우탱크(1-2a)의 급격한 수 위하락으로 발생한 내부압력 저하현상으로 상기 배설공간(1-1a) 내의 잔여악취가 상기 기체흡입관(43)을 통하여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순간 강력하게 흡입됨과 동시에, 상기 볼탭(22)의 토출관(222)을 통해 급수되는 세척수가 상기 분사노즐(41)의 제2흐름로(41b)를 지나 다수개의 상기 다중분사공(412)으로부터 고속분사 급수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유체작용관(42)을 통한 지속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물내림시 상기 배설공간(1-1a)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세척수와 배설물의 배출 과정에서 생겨나는 잔여 악취의 비산을 저지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되는 세척수가 상기 볼탭(22)의 토출관(222)과 상기 메인공급호스(37)를 거쳐 상기 분사노즐(41)의 유입꼭지(413)를 지나 상기 제2흐름로(41b)를 통과한 후 상기 다중분사공(412)으로부터 고속분사됨에 따른 악취의 흡입·배출과 더불어, 물내림시의 세척수 수위 하강으로 인한 상기 로우탱크(1-2)의 급격한 내부압력 저하현상 유발과 같은 유체역학작용으로써 악취의 흡입력과 배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보조저장공간(51-1a) 내의 임시저장수 수위가 상대적으로 상위하게 되면, 상기 하부하우징(51-1) 하단 외부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세척수 수압에 의해 상기 토출공(51-1c)을 밀폐시키던 유동마개(51-12)가 임시저장수 압력의 영향으로 하향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토출공(51-1c)을 개방함으로써, 임시저장수가 상기 주저장공간(1-2a)으로 서서히 유출되어 다음 사용자를 위한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게 저장된다.
한편, 물 내림 행위시의 상기 볼탭(22)의 작용으로 상기 로우탱크(1-2)의 주 저장공간(1-2a)으로 급수 공급되는 세척수의 저장량이 최초 대기수위까지 도달케 되면, 상기 플로우트(23)가 부력으로 다시 상승하여 상기 볼탭(22)의 필밸브를 폐쇄하는 것으로 세척수의 급수가 중단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41)의 작동중단에 따른 악취 흡입작용의 정지와 동시에 상기 메인밸브(32)로부터 공급되던 작용수의 급수작용도 이미 중단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51-31) 내에서 작용하던 압력은 상기 메인밸브(32)의 제1,2유출관(32-12)(32-13)과 연통연결된 상기 분사노즐(41)의 중앙분사공(411)을 통해 소멸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피스톤(543)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역류방지캡(54)이 상기 배기직관(53)의 개구 상단을 밀폐함과 동시에 역류방지수가 저장된 상기 담수공간(51-33a)으로 상기 바스켓부(51-33)의 하부가 잠수함으로써 배출된 악취의 역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급수유도장치(3) 및 악취흡입장치(4)를 이용한 유체역학작용의 원리로 외부전력이 필요없이도 악취의 강제흡입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악취배출장치(5)의 실린더부(51-31) 내에 구비된 상기 승강피스톤(543)의 승강작동을 이용하여 상기 역류방지캡(54)의 상·하로 왕복시켜 상기 배기직관(53)의 개구 상단을 개방하거나 밀폐함을 통해 악취의 외부배출 및 배출된 악취의 역류를 완벽히 차단하고, 상기 분사노즐(41)로부터 고속으로 미세분사되는 작용수의 분사음은 생리적 용변음을 상쇄시키는 에티켓 벨의 기능성을 대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51)의 보조저장공간(51-1a) 내로 유입 저장된 임시저장 수는 용변 후 물내림시 상기 로우탱크(1-2)의 주저장공간(1-2a)로 서서히 유출시켜 다음 사용자를 위한 세척수로 활용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A)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그 역류방지의 모든 작용관계는 도 19a 및 도 19b를 통해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8b 및 도 21을 통하여, 세척수와 작용수 및 역류방지수 그리고 임시저장수의 급·배수 흐름관계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로우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급수제어장치와 급수유도장치 그리고 악취흡입장치와 악취배출장치 및 배기유도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탱크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볼탭과 플로우트 및 분사노즐과 유체작용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분사노즐과 유체작용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와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기체흡입관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메인밸브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와 평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메인밸브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밸브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지연통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탱크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구획판체와 역류방지캡 및 승강피스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절개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보조탱크와 유동마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배기유도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요부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세척수의 수위 조절관계를 나타낸 로우탱크의 요부단면도.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동순서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작용수 또는 세척수 급수시의 악취배출 과정을 나타낸 작동과정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용변시 및 물내림시의 악취 흡입 및 배출 흐름을 나타낸 로우탱크의 요부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에 있어서, 세척수와 작용수의 급·배수배관계를 나타낸 공정단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양변기, 1-1 : 변기몸체, 1-1a : 배설공간,
1-2 : 로우탱크, 1-2a : 주저장공간, 1-3 : 좌대
1-11 : 배수배관, 1-12 : 트랩배관, 1-13 : 상부림
1-13a : 샤워공, 1-20 : 탱크덮개, 1-31 : 변좌
1-32 : 변좌덮개, 1-131 : 돌출단차부, 1-131a : 흡기공
2 : 급수제어장치, 3 : 급수유도장치, 4 : 악취흡입장치
5 : 악취배출장치, 6 : 배기유도장치, 21 : 배수레버
22 : 볼탭, 23 : 플로우트, 24 : 오버플로우관
31 : 1차공급호스, 32 : 메인밸브, 32-1 : 제1밸브본체
32-1a : 하부충진공간, 32-1b : 진출공간, 32-2a : 상부충진공간
32-2 : 밸브덮개, 32-3 : 다이아프램, 32-3a : 다중통공
32-3b : 연통공, 32-11 : 유입관, 32-12 : 제1유출관
32-13 : 제2유출관, 32-14 : 합류관, 32-20 : 누름캡
32-21 : 분출관, 32-100 : 수량조절밸브, 33-1 : 제1분배호스
33-2 : 제2분배호스, 34-1 : 제1선회호스, 34-2 : 제2선회호스
35 : 보조밸브, 35-1 : 제2밸브본체, 35-1a : 중앙공간
35-1b : 유입로, 35-1c : 유출로, 35-2 : 누름스위치
35-11 : 베이스마그네틱, 35-12 : 개폐마그네틱, 35-21 : 승강캡
35-21a : 매립공간, 35-21b : 제1내재공간, 35-22 : 접지하우징
35-22a : 승강공간, 35-22b : 제2내재공간, 35-23 : 승강마그네틱
35-24 : 제1탄성스프링, 35-101 : 소켓부, 35-102 : 두부
35-121 : 유동케이스, 35-121a : 연통로, 35-122 : 고무패드
36 : 지연통, 36a : 임시충진공간, 36b : 충입공
37 : 메인공급호스, 38 : 배수호스, 41 : 분사노즐
41-1 : 지탱편, 41a : 제1흐름로, 41b : 제2흐름로
42 : 유체작용관, 43 : 기체흡입관, 43-1 : 결착홀더
51 : 보조탱크, 51-1 : 하부하우징, 51-1a : 보조저장공간
51-1b : 수위결정공, 51-1c : 토출공, 51-2 : 상부하우징
51-2a : 기체이동공간, 51-3 : 구획판체, 51-3a : 낙하홀
51-11 : 차폐마개, 51-12 : 유동마개, 51-13 : 개폐조절구
51-31 : 실린더부, 51-32 : 내향단차부, 51-32a : 분수공
51-33 : 바스켓부, 51-33a : 담수공간, 51-34 : 연통관부
51-35 : 가이드판, 52 : 급수직관, 53 : 배기직관
54 : 역류방지캡, 55 : 주입관, 61 : 유출호스
62 : 홀딩파이프, 63 : 플랜지, 63-1 : 유도부
63-2 : 엔드배기부, 211 : 힌지스틱, 212 : 당김줄
221 : 하부꼭지, 222 : 토출관, 222-1 : 관꼭지
223 : 상부꼭지, 231 : 수위조절대, 241 : 사이폰마개
361 : 압력피스톤, 362 : 제2탄성스프링, 411 : 중앙분사공
412 : 다중분사공, 413 : 유입꼭지, 421 : 간섭돌편
431 : 연통꼭지, 541 : 연결대, 541-1 : 균형추
542 : 승강봉, 543 : 승강피스톤, 631 : 고무패킹

Claims (22)

  1. 배설공간이 마련된 변기몸체 및 주저장공간이 마련된 로우탱크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변좌를 구비한 좌대가 상기 변기몸체 상에 조립된 통상의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로우탱크 내부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배설공간에 담긴 배설물의 배수처리를 위한 수돗물을 세척수와 작용수로 상기 로우탱크 내부에 차등 공급하게 된 급수제어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급수제어장치에 연계 장착된 채로, 상기 변좌에 착석한 시점부터 기립 이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급수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주저장공간으로 작용수가 유입되게 하고, 물내림시 상기 로우탱크 내의 대기수위까지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급수유도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급수유도장치에 연계 장착된 상태로, 상기 급수유도장치를 통하여 급수되는 작용수 또는 세척수의 고압분사에 따른 상기 로우탱크의 내부압력 저하현상을 유발시켜 상기 변기몸체의 악취를 강제흡입 가능케 한 악취흡입장치와;
    상기 로우탱크 내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유도장치 및 상기 악취흡입장치와 연계된 채로, 상기 악취흡입장치를 통해 상기 로우탱크로 유입·흡입된 유체 중 액체인 세척수나 작용수는 내장토록 하고, 기체인 악취는 외부배기와 동시에 역류를 차단케 된 악취배출장치와; 그리고,
    상기 로우탱크 외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악취배출장치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악취배출장치에 의해 배기되는 악취를 하수관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기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몸체는, 물내림시 상기 주저장공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배설공간으로 내려보내기 위한 배수배관과, 상기 배설공간에 담긴 배설물을 세척수와 함께 하수관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트랩배관이 일체로 더 형성되며, 다수개의 샤워공을 수직관통한 상부림이 상기 배설공간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림의 내부바닥면에는, 상기 급수유도장치를 통해 배수 유입되는 세척수가 범람할 수 없게 된 돌출단차부를 더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단차부에는, 상기 배설공간 내 악취가 상기 로우탱크 안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수의 흡기공이 수직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제어장치는, 배수레버와, 볼탭과, 플로우트와, 사이폰마개가 힌지결합된 오버플로우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볼탭에는, 작용수의 급수를 위하여 항시 개방된 하부꼭지와,
    상기 플로우트의 하강시 세척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선택 개방되는 하강형 토출관과,
    상기 배수레버의 조작시 세척수를 상기 상부림 안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상부 꼭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도장치는, 상기 하부꼭지에 연결되어 작용수를 급수하게 된 1차공급호스와,
    상기 1차공급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를 둘로 분배하되, 상기 좌대에 착·탈석 여부에 따라 분배급수가 가능토록 한 메인밸브와,
    상기 메인밸브에 의해 분배 급수되는 작용수가 상기 악취흡입장치 및 상기 악취배출장치로 나뉘어 급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2분배호스와,
    상기 메인밸브 내부로 유입된 제어수가 상기 상부림을 경유케 하기 위한 제1,2선회호스와,
    상기 제1,2선회호스 사이에 연계결합된 상태로, 상기 변좌의 하강시에만 상기 제1선회호스로 유입된 제어수가 제2선회호스를 거쳐갈 수 있도록 개방되는 보조밸브와,
    상기 제2선회호스를 거치는 제어수의 일정량을 임시저장하되, 사용자가 기립한 직후로부터 물 내림 행위 이후 일정시간 방출시켜 상기 제1,2분배호스에 임시저장수로 전환공급시키기 위한 지연통과,
    상기 볼탭의 토출관과 상기 악취흡입장치에 연결되어, 물내림시 세척수를 상기 배설공간으로 급수하게 된 메인공급호스와,
    상기 상부꼭지에 연결된 채, 물내림시 세척수를 상기 상부림 안으로 내려보내기 위한 배수호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흡입장치는, 상기 제1분배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 및 상기 메인공급호스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척수의 미세분사를 위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용수나 세척수가 상기 주저장공간의 악취와 함께 투입되는 유체작용관과,
    상기 배설공간에 풍겨난 악취를 상기 로우탱크 내부로 강제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림에 연통결합되는 기체흡입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배출장치는, 작용수 지속급수에 따른 세척수의 저장량 초과시 세척수를 임시로 저장한 후, 물내림시 상기 주저장공간으로 유출시켜 세척수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된 보조탱크와,
    상기 보조탱크 내부로 유입된 작용수나 세척수를 상기 주저장공간으로 낙하 시키기 위한 급수직관과,
    작용수 또는 세척수와 함께 흡기된 악취를 외부배출시킬 수 있는 배기직관과,
    상기 배기직관을 통한 악취의 배출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배출된 악취의 역류는 차단키 위한 역류방지캡과,
    상기 역류방지캡의 상승·하강 작동을 위한 작용수를 상기 제2분배호스로부터 공급받게 된 주입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통은, 상기 제2선회호스를 거쳐 상기 메인밸브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어수를 일정량 임시저장해 둘 수 있는 임시충진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임시충진공간으로 제어수가 입·출 가능케 하기 위한 충입공이 하단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임시충진공간에는, 제어수 흐름에 따른 수압의 영향으로 후퇴 상승하거나 상기 보조밸브 폐쇄로 인한 상기 제2선회호스의 내부압력 저하시의 전진 하강으로 제어수를 방출시키게 된 압력피스톤과,
    상기 압력피스톤의 하강복원을 위한 제2탄성스프링이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1차공급호스로부터 급수되는 작용수의 다음 흐름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1밸브본체와, 상기 제1밸브본체의 개구 상단을 폐쇄하는 누름캡을 포함한 밸브덮개와, 상기 제1밸브본체의 개구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제어수의 수압편차에 따라 상·하로 유동 가능한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밸브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1차공급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의 충입을 위한 하부충진공간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유동시 상기 하부충진공간과의 연통으로 제어수가 상기 제1,2분배호스로 유출 가능하도록 하기 한 진출공간이 각각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밸브는, 상기 제1선회호스로 유입된 제어수가 상기 제2선회호스를 거치는 흐름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제2밸브본체와,
    상기 제2밸브본체의 개폐를 자기력으로써 간접 조작하기 위한 누름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1분배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작용수의 분사 흐름을 유도하게 된 제1흐름로와, 상기 메인공급호스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척수의 분사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는 제2흐름로가 내부에 별개로 마련되되,
    상기 제1흐름로의 출구를 중앙분사공으로 하고, 상기 제2흐름로의 출구를 다중분사공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작용관의 입구 선단 내벽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작용수 또는 세척수가 관내벽에 물방울로 뭉치는 것을 방지토록 한 다수의 간섭돌편이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입관은, "ㄴ"자형 절곡구조를 이루는 한편, 상기 상부림에 연통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결착홀더가 하측 수평 선단에 더 장착되고,
    상기 상부림 내로 세척수를 내려보낼 수 있게 된 상기 배수호스 연결을 위한 연통꼭지가 후측 절곡부에 연통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도장치는, 상기 배기직관에 연이어 연결됨으로써, 외부배출되는 악취를 하수관 측으로 배기시킬 수 있게 된 유출호스와,
    상기 유출호스가 상기 변기몸체의 후단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홀딩파이프와,
    상기 홀딩파이프의 말단을 일부 수용함에 더하여 일측부가 하수관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유출호스를 통과한 악취를 하수관 내부까지 유도시키기 위한 플랜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로우탱크의 내부 일측에 수납 고정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개구 상단을 덮을 수 있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하부하우징 사이를 횡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획판체의 조립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구획판체의 조립결합에 의해, 상기 보조탱크의 내부 하측에는 보조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탱크의 내부 상측에는 기체이동공간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본체에는, 상기 1차공급호스로부터 급수되는 작용수의 진입을 위한 유입관이 외측 일단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진출공간을 통과한 작용수를 상기 제1,2분배호스로 동시에 토출시키기 위한 "Y"자형의 분산 관로 형상을 갖는 제1,2유출관이 다른 일단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2선회호스를 경유한 제어수를 상기 제1,2유출관에 합류시키도록 합류관이 상기 제1,2분배호스의 통합 관부에 연통형성되고,
    상기 제1,2유출관 각각의 독립 관로에는, 상기 제1,2분배호스로 유입되는 작용수의 급수량 제어를 위한 수량조절밸브가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캡에는, 상기 1차공급호스로부터 급수된 작용수가 상기 하부충진공간에 더하여 충입될 수 있는 상부충진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선회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분출관이 외부 상면에 상향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충진공간과의 연통에 따라, 상기 제1선회호스 내부에 제어수가 항시 충만상태로 유입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본체에는, 작용수가 들어찰 수 있는 중앙공간이 내부 중앙에 마련되고,
    상기 제1선회호스를 통해 유입된 제어수가 상기 중앙공간으로 유입 가능토록 연통된 유입로가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공간을 거쳐 상기 제2선회호스로 제어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연통된 유출로가 내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선회호스를 상기 유입로에 연결하고, 상기 제2선회호스를 상기 유출로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부가 외부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림 상단으로 노출됨에 의해, 상기 누름스위치의 하면과 맞닿는 확장형 두부가 외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공간에는, 베이스마그네틱이 바닥면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마그네틱의 상측에서 자기력으로 상승작용하는 개폐마그네틱이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홀딩파이프를 통해 배기되는 악취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에 의해 안내된 악취 를 하수관 내로 흡기시킬 수 있는 엔드배기 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상기 주저장공간과 연통하는 다수의 수위결정공이 일측벽에 수직방향을 따라 균등간격마다 관통되고, 상기 보조저장공간에 저장된 임시저장수를 상기 주저장공간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토출공이 바닥면 일측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수위결정공에는 상기 주저장공간의 만수위 형성을 위한 차폐마개가 끼움되고,
    상기 토출공을 개폐하는 유동마개가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부 하면에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체에는, 상기 보조탱크 내부로 투입된 작용수 혹은 세척수를 상기 주저장공간에 낙하시킬 수 있는 낙하홀과,
    상기 역류방지캡의 승강작용을 목적한 작용수의 유입을 위하여 하향 돌출구조를 갖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로 공급되는 작용수의 분출을 가능케 한 다수의 분수공이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분수공을 통해 분출된 작용수를 상기 역류방지캡의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내향단차부와,
    상기 내향단차부에 의해 이동된 역류방지수로써 상기 역류방지캡의 하측 일부를 잠수시킬 수 있는 담수공간을 마련한 바스켓부와,
    상기 바스켓부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역류방지캡의 상단 내면과 근접하게 돌출되어, 상기 담수공간에 저장된 역류방지수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흡기된 악취의 외부배출이 가능토록 한 연통관부와
    상기 역류방지캡의 승강작용 안내를 위해 일상단에 상향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스위치는, 상기 변좌의 회동 선단부 하단에 하향 돌출구조로 조립결합되는 한편,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변좌와 동시 하강하는 승강캡과,
    상기 승강캡의 내부로 슬라이딩 수용 가능하게 조립되면서도 상기 두부 상에 하면이 밀착하게 되는 접지하우징과,
    상기 승강캡 내부에 매립상태로 함께 이동케 된 승강마그네틱과,
    상기 접지하우징을 상기 승강캡 외부로 미는 제1탄성스프링의 조립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캡에는, 일측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의 중앙 하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수직한 승강봉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봉의 최말단에는 상기 실린더부 안에서 수압으로 상승하는 승강피스톤이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KR1020090094238A 2008-10-06 2009-10-05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KR10099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38A KR100995759B1 (ko) 2009-10-05 2009-10-05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PCT/KR2009/005685 WO2010041853A2 (ko) 2008-10-06 2009-10-06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38A KR100995759B1 (ko) 2009-10-05 2009-10-05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759B1 true KR100995759B1 (ko) 2010-11-19

Family

ID=4340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238A KR100995759B1 (ko) 2008-10-06 2009-10-05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9290B2 (en) 2016-03-01 2020-08-04 Cranfield University Toilet and operation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780B1 (ko) 2002-10-02 2004-12-23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0499313B1 (ko) 1999-02-18 2005-07-04 체베에스 인터나셔날 아게 화장실이나 세면실 설비의 기동방법 및 상기 방법의 수행장치
KR100752932B1 (ko) 2007-02-10 2007-08-29 유광태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0845399B1 (ko) 2007-11-01 2008-07-10 유광태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313B1 (ko) 1999-02-18 2005-07-04 체베에스 인터나셔날 아게 화장실이나 세면실 설비의 기동방법 및 상기 방법의 수행장치
KR100461780B1 (ko) 2002-10-02 2004-12-23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0752932B1 (ko) 2007-02-10 2007-08-29 유광태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0845399B1 (ko) 2007-11-01 2008-07-10 유광태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9290B2 (en) 2016-03-01 2020-08-04 Cranfield University Toilet and oper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US6467101B1 (en) Toilet flushing and cleaning device
WO2001023678A1 (fr) W.-c. et dispositif d'alimentation en eau de rinçage
CN102802481A (zh) 盥洗装置
CN104995359A (zh) 灰水马桶
CN101389816A (zh) 排出软管和使用该排出软管的卫生间系统
US5575020A (en) Water-conserving urinal
CN102031819B (zh) 节水型便器
US20190242104A1 (en) High-pressure water-saving closestool
CN101827982B (zh) 一种使用储存能量作为能源的除味坐便器
KR100995759B1 (ko)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KR100767287B1 (ko)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CN201901926U (zh) 节水型便器
KR101204266B1 (ko) 좌변기용 세면대
CN216664366U (zh) 一种负压辅助冲刷的低水箱座便器
US20230349137A1 (en) Dynamic flushing method for toilet, and dynamic-flushing-type deodorization splash-proof toilet without water tank
KR102309442B1 (ko) 직수양변기
JP5094873B2 (ja) 節水型洋式便器
WO2013190547A1 (en) Ecological system and method for toilet flushing
CN203066209U (zh) 多功能节水坐式大便器
KR101017749B1 (ko) 유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한 악취제거 양변기
CN106968308B (zh) 自动座便器
CN210507680U (zh) 一种马桶
CN202466694U (zh) 集成式整体洁具
CN108505600B (zh) 一种防溅水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