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476Y1 -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476Y1
KR200259476Y1 KR2020010025301U KR20010025301U KR200259476Y1 KR 200259476 Y1 KR200259476 Y1 KR 200259476Y1 KR 2020010025301 U KR2020010025301 U KR 2020010025301U KR 20010025301 U KR20010025301 U KR 20010025301U KR 200259476 Y1 KR200259476 Y1 KR 200259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air
seat bod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연우
Original Assignee
성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연우 filed Critical 성연우
Priority to KR2020010025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476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양변기 탈취 시트는, 시트 본체와, 상기 시트 본체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시트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와,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 또는 양변기 본체에 형성된 용변자 감지수단과,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연결부와, 상기 시트 본체의 공기흡입구측에 형성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와 인접하여 제공되는 흡입모터와,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의 작동에 따라 물소리를 방출하는 칩이 내장된 키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WATER SAVING-TYPE DEODORIZATION SEAT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변시 발산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소리를 내는 칩을 내장하여 토수시에 절수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절수형 양변기 탈취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양변기 시트가 장착된 일반적인 양변기를 나타낸다.
도면의 부호 1은 양변기 본체를, 부호 2는 상기 양변기 본체 상에 제공되는 물탱크를, 부호 3은 시트를, 부호 4는 시트덮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시트(3)는 통상 플라스틱제로 제작된 단일체로서 용변자에게 좌석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뿐 특별한 작용을 하지 않는다.
종래, 화장실에서 용변시에 발생되는 악취의 제거는 화장실의 천장이나 창문틀에 연결된 환풍기 등을 이용하여 화장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순구조로 이루어 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장실 악취 환기구조는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직접적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지 못하는 간접 흡입 배출방식이어서 양변기의 용변악취가 환풍기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이미 화장실 내의 전영역으로 발산되어 용변자는 물론, 화장실 내의 틈새, 수건이나 휴지 등에도 용변악취를 남기게 되고, 때로는 실내에도 용변 악취가 확산되어 용변 중 본인 외의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과 용변 후에도 악취가 실내에 남아있게 되어 다음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용변시에 발생되는 악취를 없애고자 화장실 내에 향발산 용기를 거치 하고, 용변 후에 향을 발산시켜 용변 냄새를 최소화하고는 있으나, 이는 용변 악취를 근본적으로 제거시키는 것이 아니어서 효과적으로 용변 악취를 처리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996-376호에서는 양변기에 다수개의 공기흡입용 구멍을 형성시키고 나선호스를 살균탈취기와 연결하여 용변 악취를 제거하도록 한 화장실용 살균 탈취기를 제안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204668호에서는 양변기의 변기통 내에 설치된 흡인구 및 변기통 외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구비하여 탈취작용을 하는 기체 도관을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69267호에서는 양변기 외부에 제공되어 용변 악취를 정화하고 향을 발산하는 탈취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용변 악취를 제거하는 수단들은 양변기의 구조를 변경한다든지 별도의 탈취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구성 및 설치가 복잡하여 소비자에게 크게 호응을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변기 시트에 탈취장치를 부착하여 특허출원 제2000-83609호로서 제안한 바 있다.
도 2의 양변기 탈취 시트(10)는, 공기흡입구(13) 및 이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15)가 형성된 시트 본체(10a)와, 상기 시트 본체(10a)의 일측에 형성된 용변자 감지수단(17)과, 상기 시트 본체(10a)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연결부(19)와, 상기 시트 본체(10a)의 공기흡입구(13)측에 형성된 제1필터부(21)와, 상기 시트 본체(10a)의 공기배출구(15)측에 형성된 제2필터부(23)와, 상기 제1필터부(21)와 제2필터부(23)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공기흡입구(13)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배출구(15)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흡입모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 본체(10a)는 공기흡입구(13) 및 이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15)가 형성된 중공의 플라스틱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기흡입구(13) 및 공기배출구(15)는 변기 내의 용변 악취가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용변 악취가 정화단계를 거쳐 순환 반복되도록 한다.
상기한 양변기 탈취 시트에 따르면 용변시에 용변자의 감지작동으로 흡입모터의 구동과 함께 변기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정화시킴으로써, 변기 내의 용변 냄새를 효과적으로 탈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양변기 탈취 시트는 구성이 복잡하며 효율적이지 못하고 용변시 악취의 탈취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어서 기능이 매우 단조로웠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변시에 용변자의 감지작동으로 흡입모터의 구동과 함께 변기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변기 내의 용변 냄새를 효과적으로 정화, 탈취시키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양변기 탈취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탈취 시트의 일측 또는 양변기 본체에 상기 용변자의 감지작동으로 구동되는 칩을 장착하여 용변자가 시트에 착석시 소정 시간 동안 물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물의 사용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탈취 시트는, 시트 본체와, 상기 시트 본체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시트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와, 상기 시트본체의 일측 또는 양변기 본체에 형성된 용변자 감지수단과,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연결부와, 상기 시트 본체의 공기흡입구측에 형성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와 인접하여 제공되는 흡입모터와,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의 작동에 따라 물소리를 방출하는 칩이 내장된 키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의 측면사시도.
도 2는 종래 양변기 탈취시트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탈취시트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후방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탈취 시트 103 ----- 공기흡입구
105 ----- 공기배출구 107 ----- 용변자 감지수단
108 ----- 키보드 109 ----- 전원연결부
111 ----- 필터부 113 ----- 흡입모터
115 ----- 수용부 120 ----- 시트본체 지지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탈취시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후방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100)는, 시트 본체(100a)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03)와, 상기 공기흡입구(103)와 연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시트(100)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05)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일측에 형성된 용변자 감지수단(107)과, 상기 시트 본체(100a)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연결부(109)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공기흡입구(103)측에 형성된 필터부(111)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공기배출구(105)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103)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배출구(105)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흡입모터(113)와,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107)의 작동에 따라 물소리를 방출하는 칩이 내장된 키보드(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의 부호 115는 상기 흡입모터(113)를 내장하기 위한 수용부를 나타내고 시트 본체(100a)의 일부분으로 시트(100)의 제작시에 함께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시트 본체(100a) 내부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부호 120은 상기 시트(1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나타내고, 이러한 탄성부재는 통상 고무재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시트 본체(100a)는 공기흡입구(103) 및 이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105)가 형성된 중공의 플라스틱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기흡입구(103) 및 공기배출구(105)는 변기 내의 용변 악취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도록 시트 본체(100a)의 일측에 유로를 형성하여 용변 악취가 시트(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107)으로 본 고안의 일시예에서는 압력감지센서가 제공되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변기 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일측에 적외선감지센서 등의 용변자 감지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라 압력감지센서가 제공된 경우, 압력감지센서는 시트 본체(100a)가 양변기 본체의 시트 안착면(S)과 접하는 부분이 탄성돌기부로 구성되어 용변자가 시트(100)에 착석할 시 돌출 부분이 함몰되어 스위치 역할을 함으로써 시트(100) 내부의 구동회로를 작동시킨다.
필터부(111)는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필터로서 제공되는데, 광에너지로 TiO2에 생성된 전자와 정공에 의해 공기내의 악취가스를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분해하고 동시에 세균을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은 반영구적으로 수행이 가능한 바, 이러한 필터로는 현재 일부 업체에서 생산하고 광촉매필터 등이 바람직하다.
키보드(108)는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10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용변자 감지수단(107)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시트 본체(100a)의 소정 부위에 물소리를 방출하는 칩을 내장한 채로 제공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변기 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연결부(109)는 DC전원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흡입모터(113)를 구동한다.
또한, 비록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용변자가 시트(100)를 이탈한 후에도 변기 내에 잔류하는 악취가스를 제거할 목적으로 흡입모터(113)를 구동하는 타이머를 추가 설치하여 일정 시간 동안 흡입모터(113)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탈취 시트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먼저, 용변자가 탈취 시트(100)에 착석하면 시트(100)의 일측 또는 양변기 본체의 일측에 부착된 용변자 감지수단(107) 즉, 압력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감지센서가 동작하여 흡입모터(113)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키보드(108)를 작동시켜 소정시간 물소리가 나도록 한다.
계속해서, 흡입모터(113)에 의해 공기흡입구(103)를 통해 흡입된 악취 가스는 필터부(11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배출구(105)를 통해 배출된다.
그 후, 용변자가 시트(100)를 이탈하면 압력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흡입모터(113)의 동작을 정지 또는 일정시간 경과 후에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키보드(108)는 흡입모터(113)의 동작 정지와 함께 동작을 멈추거나 흡입모터(113)의 동작 정지 이전에 동작을 멈추도록 작동한다.
본 고안의 양변기 탈취 시트에 따르면 용변시에 용변자의 감지작동으로 흡입모터의 구동과 함께 변기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정화시킴으로써, 변기 내의 용변 냄새를 효과적으로 탈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용변자를 감지하여 가상의 물소리를 방출함으로써 불필요한 물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4)

  1. 시트 본체(100a)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03)와,
    상기 공기흡입구(103)와 연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시트(100)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05)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일측 또는 양변기 본체에 형성된 용변자 감지수단(107)과,
    상기 시트 본체(100a)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연결부(109)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공기흡입구(103)측에 형성된 필터부(111)와,
    상기 시트 본체(100a)의 공기배출구(105)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103)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배출구(105)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흡입모터(113)와,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107)의 작동에 따라 물소리를 방출하는 칩이 내장된 키보드(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107)이 적외선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자 감지수단(107)이 압력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113)를 일정 시간 구동하는 타이머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KR2020010025301U 2001-08-21 2001-08-21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KR200259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01U KR200259476Y1 (ko) 2001-08-21 2001-08-21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01U KR200259476Y1 (ko) 2001-08-21 2001-08-21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476Y1 true KR200259476Y1 (ko) 2002-01-05

Family

ID=7306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301U KR200259476Y1 (ko) 2001-08-21 2001-08-21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4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64B1 (ko) 2007-05-22 2009-01-30 이수생 비데가 구비된 좌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64B1 (ko) 2007-05-22 2009-01-30 이수생 비데가 구비된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579B2 (en) Toilet tank mounted odor eliminator
KR101841104B1 (ko) 악취제거 변기
WO2007133402A2 (en) Toilet odor exhaust device
JP3403723B1 (ja) 空気調節装置
KR20090024890A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
KR20160142214A (ko)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KR200259476Y1 (ko) 절수형 양변기 탈취 시트
KR100461780B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0229668Y1 (ko) 양변기 탈취 시트
CN215888486U (zh) 可抽风除臭的抽水马桶
US6457186B1 (en) Air cleaning device for a toilet bowl
US11473286B2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US20080235856A1 (en) Bathroom odour elimination system
KR102179616B1 (ko)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200286778Y1 (ko)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KR20010025444A (ko) 양변기 탈취 시트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EP3847316A1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200303497Y1 (ko)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CN217357400U (zh) 一种厕所除臭装置
EP3903656B1 (en) Toilet seat ventilation system
KR200335725Y1 (ko)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장치
KR200271567Y1 (ko)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