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776A -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776A
KR20040019776A KR1020020051498A KR20020051498A KR20040019776A KR 20040019776 A KR20040019776 A KR 20040019776A KR 1020020051498 A KR1020020051498 A KR 1020020051498A KR 20020051498 A KR20020051498 A KR 20020051498A KR 20040019776 A KR20040019776 A KR 20040019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internal
blower unit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210B1 (ko
Inventor
이용흥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2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외기 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환도어와; 이 전환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하며,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내,외기가 분리되도록 구획수단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전환도어와 필터에 마련된 구획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2층의 공기유동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그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Blower unit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용 블로어 유닛(blower unit)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기 및 외기를 분리하거나 혼합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하는 2층 공기유동 방식의 공기조화장치에서 내기 또는 외기를 흡입하는 데 사용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어 냉각팬의 강제 송풍에 의하여 냉각되어 응축된 다음,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닛의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 상태로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장치와, 엔진을 냉각한 냉각수가 히터코어를 거쳐 엔진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닛의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히터코어를 거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 상태로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난방모드시 난방성능 및 성에 제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기가 탑승자의 정면으로 지속적으로 토출됨으로써 외기의 신선한 느낌을탑승자가 느끼지 못하는 불쾌감을 해소하기 위해 내기 및 외기를 분리하거나 혼합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2층 공기유동 방식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2층 공기유동 방식이 채용되고, 종래 블로어 유닛이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유로 중에 전후로 증발기(21) 및 히터코어(22)가 설치된 공기조화케이스(20)와, 내기 또는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조화케이스(20)의 내부유로로 공급하는 블로어 유닛(10)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조화케이스(20)에는 내부유로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공기유로(20a) 및 하부공기유로(20b)로 분리하는 분리벽(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히터코어(22) 뒤쪽의 출구단에는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창문쪽으로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창문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er vent;28)와,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29) 및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푸트 벤트(foot vent;30)가 설치되며, 상기 각 벤트들(28,29,30)을 소정의 냉난방 모드에 따라 개폐 조절하기 위한 도어들(24,25,26,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로어 유닛(10)은, 내부에 서로 상하로 구획 배치되어 각각 내기와 외기를 흡입하는 상,하부송풍팬(11)(12)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조화케이스(20)의 입구단을 감싸며 내,외기가 각각 흡입되는 내,외기유입구(10a)(10b)가 형성되어 있는에어가이드 덕트(13)와, 상기 내,외기유입구(10a)(10b)의 개도를 각각 조절하는 전환도어들(14,1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송풍팬(11)(12)과 증발기(21) 사이에는 흡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하는 필터(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필터(16)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부공기유로(20a)(20b)에 대응하여 필터(16)에 유입되는 공기유로를 분할하는 격벽(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흡입되는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상기 상,하부공기유로(20a)(20b)에 공급하기 위해 내,외기유입구(10a)(10b)를 에어가이드 덕트(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하여야 하고, 내,외기유입구(10a)(10b)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환도어들(14,15)도 각각 따로 마련하여야 하여, 이 전환도어들(14,15)의 개도를 각각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블로어 유닛(10)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대형화되며,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블로어 유닛의 구조를 컴팩트화 하면서도 용이하게 2층의 공기유동을 만들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블로어 유닛이 적용된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이 적용된 공기조화장치로서 분리모드시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블로어 유닛101,102...내,외기유입구
111,112...상,하부송풍팬120...스크롤케이스
121,122...제1,2통로130...에어가이드 덕트
140...전환도어150...필터
150a...요홈151,152...구획벽
153...필터커버200...공기조화케이스
201,202...상,하부공기유로210...증발기
220...히터코어230...분리벽
241~247...도어들251~253...벤트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블로어 유닛은 내,외기를 분리 또는 혼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외기 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환도어와; 상기 전환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하며,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내,외기가 분리되도록 구획수단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에 전후로 증발기와 히터코어가 설치되고, 분리벽에 의해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조화케이스와; 내,외기 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환도어와, 상기 전환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하며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내,외기가 분리되도록 구획수단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블로어 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필터의 및/또는 하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공기 유로를 둘로 구획하는 구획벽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전환도어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환도어의 선회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필터에 형성된 요홈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이 적용된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는 외기와 내기를 분리하여 상,하부공기유로(201)(202)에 공급하는 분리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블로어 유닛(100)에 의해 흡입된 외기는 증발기(210)를 통과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2)쪽으로만 토출되고, 블로어 유닛(100)에 의해 흡입된 내기는 증발기(210)를 통과하여 푸트 벤트(253)쪽으로만 토출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의 내부유로 중에 전후로 증발기(210) 및 히터코어(220)가 설치된 공기조화케이스(200)와, 내기 또는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조화케이스(200)의 내부유로로 공급하는 블로어 유닛(100)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조화케이스(20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내기 또는 외기의 유로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공기유로(201) 및 하부공기유로(202)로 분리하는 분리벽(2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히터코어(220) 뒤쪽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케이스(200)의 출구단에는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창문쪽으로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창문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252)와,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251) 및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푸트 벤트(253)가 설치되며, 상기 각 벤트들(251,252,253)을 소정의 냉난방 모드에 따라 개폐 조절하기 위한 도어들(241,242,243,244,245,246,24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로어 유닛(10)은, 모터(M)에 의해 회전하여 내,외기를 흡입하고 상하로 배치된 상,하부송풍팬(111)(112)과, 이 상,하부송풍팬(111)(112)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하부송풍팬(111)(112)의 외주면을 감싸는 스크롤케이스(120)와, 상기 공기조화케이스(200)의 입구단과 스크롤케이스(120)를 감싸는 에어가이드 덕트(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가이드 덕트(130)는 스크롤케이스(120)와의 사이에 상부송풍팬(111)으로 연통된 제1통로(121)와 하부송풍팬(112)으로 연통된 제2통로(12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 덕트(130)의 입구단에는 내,외기가 흡입되는 내,외기유입구(101)(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로어 유닛(100)은, 에어가이드 덕트(130)의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외기 유입구(101)(102)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환도어(140)와, 이 전환도어(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하는 필터(1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150)에는 상기 전환도어(140)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되었을 때 내,외기를 분리시키는 구획수단이 마련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53은 필터(150)를 에어가이드 덕트(130)의 내부에 삽입하거나 분해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필터커버를 나타낸다.
상기 구획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5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필터(150)의 공기 유로를 둘로 구획하는 구획벽(15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5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필터(150)의 공기 유로를 둘로 구획하는 구획벽(152)일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구획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도어(14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환도어(140)의 선회 경로에 대응하여 필터(150)에 형성된 요홈(150a)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로어 유닛(100)에 의해 내,외기를 분리하여 공기조화케이스(200)에 공급하고 내,외기를 분리하여 차실내로 분출하는 분리모드시, 전환도어(140)는 선회하여 그 단부가 구획벽(151,152)의 상단부와 대향하거나, 필텅(150)에 형성된 요홈(150a)에 삽입된다. 그러면, 전환도어(140)와 구획벽(151,152)은 상기 제1통로(121)와 제2통로(122)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외기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제1통로(121)를 통해 상부송풍기(111)에 흡입되고, 상기 내기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상기 제2통로(122)를 통해 하부송풍기(112)에 흡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통로(121)를 통해 상부송풍팬(111)에 흡입된 외기는 상기 상부공기유로(201)로 공급되고, 상기 제2통로(122)를 통해 하부송풍팬(112)에 흡입된 내기는 상기 하부공기유로(202)로 공급된다.
끝으로, 상부공기유로(201)와 하부공기유로(202)로 각각 분리되어 공급된 외기와 내기는, 그 분리된 유로를 따라 각각 증발기(210) 또는 히터코어(220)를 통과하면서 냉기 또는 온기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각 벤트들(151,152,153)을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는, 전환도어와 필터에 마련된 구획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2층의 공기유동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그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내,외기를 분리 또는 혼합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용 블로어 유닛에 있어서,
    내,외기 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환도어와;
    상기 전환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하며,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내,외기가 분리되도록 구획수단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블로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필터의 상부측 및/또는 하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공기 유로를 둘로 구획하는 구획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블로어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전환도어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환도어의선회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필터에 형성된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블로어 유닛.
  4. 내부에 전후로 증발기와 히터코어가 설치되고, 분리벽에 의해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조화케이스와;
    내,외기 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환도어와, 상기 전환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하며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내,외기가 분리되도록 구획수단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블로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필터의 상부측 및/또는 하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공기 유로를 둘로 구획하는 구획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전환도어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환도어의 선회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필터에 형성된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20051498A 2002-08-29 2002-08-29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084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98A KR100842210B1 (ko) 2002-08-29 2002-08-29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98A KR100842210B1 (ko) 2002-08-29 2002-08-29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776A true KR20040019776A (ko) 2004-03-06
KR100842210B1 KR100842210B1 (ko) 2008-06-30

Family

ID=3732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498A KR100842210B1 (ko) 2002-08-29 2002-08-29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2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06B1 (ko) * 2006-08-28 2007-06-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증발식 냉방장치의 에어가이드
KR101238658B1 (ko) * 2006-10-27 2013-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CN107813674A (zh) * 2016-09-12 2018-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分离控制内部/外部空气的流动的车辆空调系统
DE102012004655B4 (de) 2012-03-02 2023-08-31 Valeo Klimasysteme Gmbh Gebläsebaugruppe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Fahrzeugklima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Fahrzeugklimaanl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4792B2 (ja) * 2015-09-17 2019-11-13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送風装置
FR3066581B1 (fr) * 2017-05-17 2019-05-10 Valeo Systemes Thermiques Pulseur d'aspiration destine a un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KR102028884B1 (ko) 2017-08-11 2019-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KR102428763B1 (ko) * 2017-11-22 2022-08-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15521B1 (ko) * 2019-04-08 2021-02-15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280Y2 (ko) * 1979-10-12 1986-09-29
JPS608105A (ja) * 1983-06-24 1985-01-17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FR2788086B1 (fr) * 1998-12-30 2001-02-09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comportant un pulseur d'aspiration
KR100683566B1 (ko) * 2000-12-22 2007-02-1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06B1 (ko) * 2006-08-28 2007-06-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증발식 냉방장치의 에어가이드
KR101238658B1 (ko) * 2006-10-27 2013-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DE102012004655B4 (de) 2012-03-02 2023-08-31 Valeo Klimasysteme Gmbh Gebläsebaugruppe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Fahrzeugklima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Fahrzeugklimaanlage
CN107813674A (zh) * 2016-09-12 2018-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分离控制内部/外部空气的流动的车辆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210B1 (ko) 200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6592466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1836694B1 (ko) 내-외기 분리 유동 제어가 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
KR10117959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US20030205370A1 (en) Air conditioner housing for automobiles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0842210B1 (ko)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20070068566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5292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1125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0683565B1 (ko) 자동차용 멀티-존 공기조화장치
KR100810822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
KR2001010042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10078902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의 송풍기
KR20070068565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의 공기흡입모드 제어방법
KR1019976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325383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068567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KR20010109987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