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475A - 용강 진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용강 진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475A
KR20040019475A KR1020020051016A KR20020051016A KR20040019475A KR 20040019475 A KR20040019475 A KR 20040019475A KR 1020020051016 A KR1020020051016 A KR 1020020051016A KR 20020051016 A KR20020051016 A KR 20020051016A KR 20040019475 A KR20040019475 A KR 20040019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ladle
molten steel
we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7143B1 (ko
Inventor
장정수
엄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1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3Means for oscillating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공정 중 출강시 래들(ladle)내 잔류 용강의 최소화와 용강 실수율의 향상을 위해 주조중인 용강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강중인 래들내의 용강에 반복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와류 발생을 방지하고 용강 속의 미세 슬래그(slag)가 용강 표면으로 부상하도록 촉진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강공정 중 출강시 덮개를 가진 래들내의 용강에 진동추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들 상부에 수평하게 마련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래들 상부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상기 래들 상부를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래들내의 용강으로의 진동추의 침적깊이를 조절하는 진동추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마련된 래들덮개 개폐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진동추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마련된 권취수단;을 포함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강 진동 발생장치{A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OF MOLTEN STEEL IN LADLE}
본 발명은 제강공정 중 출강시 잔류 용강의 최소화와 용강 실수율의 향상을 위해 주조중인 용강에 진동을 발생시켜 와류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래들(ladle)내의 용강에 반복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와류 발생을 방지하고 용강 속의 미세 슬래그(slag)가 용강 표면으로 부상하도록 촉진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선을 전로에 장입하여 취련된 용강을 2차 정련 후 연속 주조기에 의해 슬라브(slab)로 생산하는 주조공정에서 래들내의 용강과 슬래그의 분리는 각각의 비중차에 의존하고 있다. 즉, 용강의 비중은 7.8이고 슬래그의 비중은 2~3이므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슬래그는 대부분 용강 표면으로 부상되지만 극히 일부분의 슬래그는 용강 표면으로 부상되지 않고 용강 속에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 말기에 이르면, 래들(100)내의 용강(108) 및 표면 슬래그(106)에 출강구(100a)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와류에 의해 용강표면에 형성된 표면 슬래그(106)가 용강과 같이 턴디시(112)로 혼입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턴디시(112)로 혼입되어진 표면 슬래그(106)와 미세 슬래그(110)는 용강(108)과의 비중 차이로 인해 용강표면으로 부상하게 되지만 상기 턴디시(112) 내의 용강(108)에 포함된 표면 슬래그(106)와 미세 슬래그(110)가 비중차이에 의해 용강표면으로 부상하기 전에 몰드로 주입되므로 슬라브에 핀 홀 등의 결함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켰다.
그러므로, 와류에 의한 상기 래들(100)내의 표면 슬래그(106)와 미세 슬래그(110)가 용강(108)에 혼입되어 상기 턴디시(112)로 출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강 노즐(103)이 설치된 출강구(100a) 가장자리의 래들(100) 내부 벽면에 와류방지용 댐(102)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댐(102)은 단지 와류를 감소시키기는 하나 상기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표면 슬래그(106)와 미세 슬래그(110)가 용강(108)에 혼입되어 상기 턴디시(112)로 출강되면 이를 감지하여 출강을 즉각 중지시키므로 잔류 용강이 많이 남아 용강 실수율이 저하되고 잔류 용강을 폐기 처리하므로 연주 괴지금이 다량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조중인 용강 표면에 반복적으로 진동을 가하여 와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용강 속의 미세 슬래그를 용강 표면으로 부상하도록 촉진하여 슬라브내의 슬래그를 줄임으로서 품질을 높이고, 용강 주조의 실수율을 향상시켜 연주 괴지금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출강시 종래 래들내의 용강과 슬래그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래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의 진동추 조절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진동추 조절수단의 전체 사시도;
(b)는 진동추 조절수단 하우징의 사시도;
(c)는 체결부재의 사시도;
(d)는 무게추의 사시도;
(e)는 진동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의 래들 덮개 개폐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래들 덮개 개폐수단의 전체 사시도;
(b)는 래들 덮개 개폐수단 몸체의 사시도;
(c)는 너트부재의 사시도;
(d)는 스크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이동수단 12..... 플레이트
14..... 프레임16..... 주행모터
18..... 주행휠18a..... 보조휠
30..... 진동추 조절수단32..... 하우징
34..... 무게추36..... 체결부재
38..... 진동추 와이어 로프40..... 진동추
50..... 래들덮개 개폐수단52..... 몸체
54..... 너트부재56..... 종동 베벨기어
58..... 스크류60..... 래들덮개 와이어 로프
70..... 진동 발생수단72..... 진동모터
74..... 캠부재76..... 고정 베어링
78..... 제 1레버80..... 베어링 지지대
82..... 제 2레버 84..... 진동롤러
90..... 권취수단92..... 권취모터
94..... 구동 베벨기어96..... 드럼
98..... 마그네트식 브레이크100..... 래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강공정 중 출강시 용강의 보온을 위한 덮개를 가진 래들내의 용강에 진동추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들 상부에 수평하게 마련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래들 상부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상기 래들 상부를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래들내의 용강으로의 진동추의 침적깊이를 조절하는 진동추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래들의 덮개를 덮는 래들덮개 개폐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진동추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진동추 조절수단과 상기 래들덮개 개폐수단에 동력을 공급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추 조절수단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래들 덮개 개폐수단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는 크게 이동수단(10), 진동추 조절수단(30), 래들덮개 개폐수단(50), 진동 발생수단(70), 권취수단(90)을 포함하고 있다.
도 3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10)은 상기 래들(100) 상부에 수평하게 마련된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레이트(12)와 상기 프레임(14)은 측면에 보강부재(12a)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12) 상에는 두개의 주행모터(16)가 도 4와 같이 고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주행모터(16)는 감속기(17)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2)의 하부에 마련된 주행휠(18)을 구동시켜 상기 이동수단(10)을 상기 래들(100) 상부 벽면에 마련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주조중인 래들(100)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4)에는 다수의 보조휠(18a)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의 이동시 상기 이동수단(10)을 안내한다.
상기 진동추 조절수단(30)은 크게 하우징(32)과 무게추(34), 체결부재(36), 진동추(40)를 포함하고 있는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2)은 내부에 오목부(32b)를 갖추고 일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홈(32a)이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도 5(d)에는 상기 홈(32a)상에서 이동 가능한 무게추(34)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무게추(34)는 상면중앙에 관통홀(34a)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돌출부(34c)가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전면(前面)에는 상기 관통홀(34a)과 연통되는 고정홀(3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36)는 원통형이고 그 상단에는 환형의 고리(36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수의 홀(36b)이 일정간격으로 관통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홈(32a)에 상기 무게추(34)가 다수개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우징(32)의 양끝단에 하우징 커버(33)가 결합되어진다. 이때, 상기 무게추(34)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34c)는 상기 하우징(32)의 홈(32a)에 형성된 오목부(32b)에 끼워져 상기 무게추(34)가 상기 하우징(32)의 홈(32a)상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의 홈(32a)에 결합된 다수개의 무게추(34)는 고정쇠(35)가 상기 무게추(34)의 고정홀(34b)과 상기 체결부재(36)의 홀(36b)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무게추(34)와 상기 체결부재(36)를 결합시키는데, 상기 체결부재(36)에는 홀(36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36)에 결합되는 무게추(34)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추(40)는 비중이 철(Fe) 보다 약간 적은 5~6정도가 되도록 철골 구조물(40a)에 내화물로 외피가 성형되며 내부에는 진동추 고리(40b)가 마련된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동추(40)의 무게중심은 하부에 집중되어 있어서 래들(100) 내의 용강에 침적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무게추(34)가 결합된 상기 체결부재(36)는 그 상단에 형성된 환형의 고리(36a)에 진동추 와이어 로프(38)가 고정되어 상기 내화물로 형성된 진동추(34)와 연결되어진다.
도 3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진동추 조절수단(30)은 상기 하우징 커버(33)가 결합된 하우징(32)이 상기 플레이트(12)의 하면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이동수단(10)과 결합된다.
도 6(a)에는 래들덮개 개폐수단(5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래들덮개 개폐수단(50)은 크게 몸체(52), 스크류(58), 너트부재(54), 래들덮개(62)를 포함하고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52)는 내부에 오목부(52b)를 갖추고 일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홈(52a)이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도 6(c)에는 상기 홈(52a)상에서 이동 가능한 너트부재(54)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너트부재(54)는 상면중앙에 관통의 암나사부(54a)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돌출부(54c)가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전면(前面)에는 와이어 고정부(5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58)는 숫나사부(58a)를 갖추고 있으며 그 상하부에는 베어링(55)이 결합되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베어링(55)위에는 와셔(59a)와 스프링(59)이 끼워져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52)의 홈(52a)에 상기 스크류(58)가 도 6(d)에 도시된 바와 조립체로서 결합되어지고 상기 몸체(52)의 양끝단에 몸체 커버(53)가 결합되어진다.
이때, 상기 너트부재(54)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54c)는 상기 몸체(52)의홈(52a)에 형성된 오목부(52b)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너트부재(54)의 암나사부(54a)와 상기 스크류(58)의 숫나사부(58a)는 나사결합되어지므로, 상기 스크류(58)가 회전하면 상기 너트부재(54)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몸체(52)의 홈(52a)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58)의 상부에 종동 베벨기어(56)가 고정된 후 상기 몸체는 상기 이동부(10)의 플레이트(12)의 하면에 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너트부재(54)의 와이어 고정부(54b)와 상기 래들 덮개(62)는 덮개 와이어 로프(60)에 의해 연결된다.
도 3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진동추 조절수단(30)은 상기 몸체 커버(53)가 결합된 몸체(52)가 상기 플레이트(12)의 하면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이동수단(10)과 결합된다.
도 7에는 진동발생수단(7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진동발생수단(70)은 크게 진동모터(72), 제 1레버(78), 제 2레버(82), 및 진동롤러(8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진동모터(72)는 상기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진동모터(72)의 축에는 편심홀(74a)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재(74)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편심홀(74a)에 상기 진동모터(72)의 축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모터(72)의 회전력이 상기 캠부재(74)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모터(72)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캠부재(74)의 원주상에 고정 베어링(76)에 의해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제 1레버(78)의 일측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1레버(78)의 타측에는 슬롯(78a)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 2레버의 일측이 상기 슬롯(78a)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핀(86)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 1레버(78)는 중앙부 하단에 고정홀을 가진 반원형 볼록부(78b)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베어링(76)과 베어링 핀(88)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레버의 상기 반원형 볼록부(78b)와 슬롯(78a)사이에는 스프링(89)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캠부재(74)의 원주상에 상기 제 1레버(78)의 일측이 항상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레버(82)는 중앙부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베어링 지지대(80)상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베어링(76)에 상기 제 1레버(78)와 동일하게 베어링 핀(88)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 1레버(78)의 슬롯(78a)에 일측이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 제 2레버(82)의 타측에는 진동롤러(84)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진동모터(72)에 의해 캠부재(74)가 편심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레버(78)는 고정 베어링(76)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제 2레버(8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진동롤러(84)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수단(90)은 상기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권취모터(92)가 고정되고, 상기 권취모터(92)의 일측에는 구동 베벨기어(94)가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에 드럼(9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드럼(96)은 상기 권취모터(92)와 결합되어 있는 타측에 권취모터(92)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마그네트식 브레이크(9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진동 발생장치(1)의 구성과 작용을 도 9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0)의 플레이트(12) 하면에 상기 진동추 조절수단(30)과 상기 래들덮개 개폐수단(50)이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진동발생수단(70)과 권취수단(90)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강 진동 발생장치(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강공정 중 상기 래들(100)내로 용강주조가 완료되면 이동수단의 주행모터가 감속기를 통해 주행휠을 구동시켜 상기 래들(100) 상부 벽면에 마련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상기 용강 진동 발생장치(1)를 상기 래들(100)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후에, 마그네트식 브레이크(98)가 개방되면 권취모터(92)가 작동하여 상기 구동 베벨 기어(94)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 베벨 기어(94)는 종동 베벨 기어(56)와 맞물려 있어서 스크류(58)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58)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54)가 상기 래들덮개 개폐수단(50)의 몸체(52)에 형성되어 있는 홈(52a)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너트부재(54)의 와이어 고정부(54b)에 연결된 덮개 와이어 로프(60)는 상기 플레이트(12) 상면에 고정된 롤러(66)를 경유하여 래들덮개(62)를 하강시켜 상기 래들(100) 상부를 덮게 된다. 상기 너트부재(54)가 스크류(58)의 숫나사부(58a)가 없는 부분까지 상승하면, 상기 덮개 와이어 로프(60)는 상기 래들덮개(62)가 상기 래들(100) 상부에 안착되므로 느슨해지고 권취모터(92)와 스크류(58)가 회전하여도 너트부재(54)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공회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추 와이어 로프(38)는 상기 권취모터(92)에 결합된 드럼(96)에 감겨져 상기 진동추(4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진동추(40)의 하중에 의해 장력이 가해져 상기 드럼(96)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권취모터(92)가 회전하여 상기 드럼(96)을 회전시키면 상기 무게추(34)가 상승하고 상기 진동추(40)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진동추(40)가 용강에 1/2정도 침적되도록 상기 체결부재(36)에 체결되는 무게추(34)의 갯수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진동추(40)가 용강속으로 비중과 무게추(34)에 의하여 1/2정도 침적될 때까지 하강하다가 더 이상 침적되지 않게된다. 이때, 상기 권취모터(92)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마그네트식 브레이크(98)의 작동을 계속 중지시켜 놓으면 상기 진동추(40)는 무게추(34)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상기 래들(100)내의 용강을 따라 하강한다.
상기 래들(100)로부터 출강이 진행되면 용강에 진동을 반복적으로 주기 위해 상기 진동모터(72)를 작동시킨다. 상기 진동모터(72)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캠부재(74)가 편심회전하면서 상기 제 1레버(78)를 상기 고정 베어링(76)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제 2레버(82)를 진동시켜 상기 진동롤러(84)에 걸려 있는 진동추 와이어 로프(38)를 당겼다(점선) 놓았다(실선)하여 상기 진동추(40)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래들(100)로부터의 출강이 완료되어 권취모터(92)를 역회전시키면 상기구동 베벨기어(94)가 종동 베벨기어(56)를 역회전시켜 스크류(58)가 역회전한다. 이때, 상기 너트부재(54)는 상기 스크류(58)의 역회전하는 숫나사부(58a)와 그 자중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상기 몸체(52)의 홈(52a)을 따라 하강하므로 상기 래들덮개(62)는 상기 래들(100)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54)는 상기 스크류(58)의 숫나사부(58a)가 없는 부분까지 하강하면 상기 권취모터(92)와 스크류(58)가 계속 역회전하여도 상기 너트부재(54)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공회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58) 하부에 결합된 와셔(59a)와 스프링(59)에 의해 상기 너트부재(54)의 암나사부(54a)는 항상 스크류(58)의 숫나사부(58a)에 접촉되어 있어서 상기 래들덮개(62)의 즉각적인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래들(100)내의 용강이 출강된 후, 상기 권취모터(92)에 의해 상기 드럼(96)이 역회전하면 진동추(40)는 드럼(96)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하고,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권취모터(92)의 작동을 중지하고 마그네트식 브레이크(98)를 작동시켜 고정하여 다음 래들로 이동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강공정 중 출강시 래들내의 용강에 반복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와류발생을 억제하여 용강표면의 슬래그가 출강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강속 미세 슬래그의 비중차에 의한 용강표면으로의 부상을 촉진함으로서 래들내의 용강의 출강량을 증가시켜 실수율을 향상시키므로 원가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연주 괴지금의 발생을 방지하여 지금처리 비용을 절감하며 용강기중기등 작업을 간소화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제강공정 중 출강시 용강의 보온을 위한 덮개를 가진 래들내의 용강에 내화물의 진동추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1)에 있어서,
    상기 래들 상부에 수평하게 마련된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4)을 구비하며, 상기 래들(100) 상부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상기 래들(100) 상부를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10);
    상기 이동수단(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래들(100)내의 용강으로의 진동추(40)의 침적깊이를 조절하는 진동추 조절수단(30);
    상기 이동수단(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래들덮개(62)를 개폐하는 래들덮개 개폐수단(50);
    상기 이동수단(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진동추(4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수단(70); 및
    상기 이동수단(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진동추 조절수단(30)과 상기 래들덮개 개폐수단(50)에 동력을 공급하는 권취수단(9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은,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된 주행모터(16);
    상기 플레이트(1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모터(16)에 의해 구동되는주행휠(18); 및
    상기 프레임(14)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보조휠(18a);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추 조절수단(30)은,
    상기 플레이트(12)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무게추(34)가 길이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홈(32a)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끝단에 하우징 커버(33)가 결합된 하우징(32);
    상기 다수개의 무게추(34)를 관통하여 상기 무게추(34)와 결합되고 진동추 와이어 로프(38)에 의해 상기 진동추(40)와 연결되어 있는 체결부재(3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래들 덮개 개폐수단(50)은,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에 너트부재(54)가 수직으로 이탈하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홈(52a)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끝단에 몸체 커버(53)가 결합된 몸체(52);
    상기 몸체(5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52) 내에 위치되고 그 상부에 종동 베벨기어(56)가 마련되어 있는 스크류(58); 및
    상기 스크류(58)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58)의 회전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덮개 와이어 로프(60)에 의해 래들덮개(62)와 연결되어 있는너트부재(5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70)은,
    상기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축상에 캠부재(74)가 결합된 진동모터(72);
    베어링(76)에 의해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캠부재(74)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며 타측에 슬롯(78a)이 형성된 제 1레버(78);
    상기 플레이트(12)에 고정된 베어링 지지대(80) 위에 마련된 베어링(76)에 의해 중앙부가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제 1레버(78)의 슬롯(78a)에 결합된 제 2레버(82);
    상기 제 2레버(82)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진동롤러(8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권취수단(90)은,
    상기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일측에 구동 베벨기어(94)가 마련되며 타측에 드럼(96)이 결합되어 있는 권취모터(92); 및
    상기 드럼(96)에 연결되어 권취모터(92)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9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진동 발생장치.
KR1020020051016A 2002-08-28 2002-08-28 용강 진동 발생장치 KR10088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016A KR100887143B1 (ko) 2002-08-28 2002-08-28 용강 진동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016A KR100887143B1 (ko) 2002-08-28 2002-08-28 용강 진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75A true KR20040019475A (ko) 2004-03-06
KR100887143B1 KR100887143B1 (ko) 2009-03-04

Family

ID=3732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016A KR100887143B1 (ko) 2002-08-28 2002-08-28 용강 진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9698C (zh) * 2006-05-26 2008-02-20 江苏常发实业集团有限公司 钢包金属熔液纯净增能工艺
CN100382916C (zh) * 2006-05-26 2008-04-23 江苏常发实业集团有限公司 钢包金属熔液纯净增能装置
KR101535962B1 (ko) * 2014-11-05 2015-07-13 (주)케이지에스테크 정준점 설정용 추 공급장치
CN114309502A (zh) * 2021-12-24 2022-04-12 衡阳镭目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单元式单驱动结晶器振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037B2 (ja) * 1994-12-14 2000-02-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鍋蓋脱着装置
JPH08168849A (ja) * 1994-12-15 1996-07-02 Shinko Electric Co Ltd 垂直・水平振動発生機
KR19990037638A (ko) * 1995-08-25 1999-05-25 제이. 더리크 연속주조기계용 진동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9698C (zh) * 2006-05-26 2008-02-20 江苏常发实业集团有限公司 钢包金属熔液纯净增能工艺
CN100382916C (zh) * 2006-05-26 2008-04-23 江苏常发实业集团有限公司 钢包金属熔液纯净增能装置
KR101535962B1 (ko) * 2014-11-05 2015-07-13 (주)케이지에스테크 정준점 설정용 추 공급장치
CN114309502A (zh) * 2021-12-24 2022-04-12 衡阳镭目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单元式单驱动结晶器振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143B1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143B1 (ko) 용강 진동 발생장치
JP3329834B2 (ja) 鋳造設備における僅かな鋳込み高さを備えたとりべの運動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CN109894607B (zh) 龙门式定点浇铸装置及浇铸过程的控制方法
CA1310462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magnetic stirring of metal melts in a continuous casting chill mould
US5429655A (en) System for removing non-metallic foreign matter in molten metal
CN212704340U (zh) 龙门式定点浇铸装置
JPH09164458A (ja) スラブ連続鋳造鋳型用電磁攪拌装置
KR102163212B1 (ko) 용강 레이들용 슬래그 제거장치
JPS61193755A (ja) 電磁撹拌方法
EP0679115B2 (en) A.c. magnetic stirring modifier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KR200209379Y1 (ko) 버블링 기능이 겸비된 합금철 투입장치
JP2018532599A (ja) 鋳造設備及び鋳造方法
CA1064669A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for casting steel
KR200306640Y1 (ko) 쇳물 주입용 리프트
CN106363162B (zh) 一种用于大型钢包浇注的转包对准装置
KR100321683B1 (ko) 턴디쉬 틸팅 드라이브 장치
CN115351270B (zh) 一种中间包底部电磁旋流水口设备的固定装置
JPH01150450A (ja) 流し込みストランドの非凝固部分の取扱い方法及び装置
JPS62270261A (ja) 連続鋳造装置の浸漬ノズル
CN218192535U (zh) 一种炼钢模铸浇注装置
CN215090664U (zh) 一种用于转炉吹氩站引流砂精准投放装置
CN218365398U (zh) 一种电熔砖浇铸保温箱定位装置
JPS6340290Y2 (ko)
CN217647478U (zh) 一种浇铸料桶
JPS62227558A (ja) 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