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159A - 밧데리 팩 - Google Patents
밧데리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18159A KR20040018159A KR1020030057494A KR20030057494A KR20040018159A KR 20040018159 A KR20040018159 A KR 20040018159A KR 1020030057494 A KR1020030057494 A KR 1020030057494A KR 20030057494 A KR20030057494 A KR 20030057494A KR 20040018159 A KR20040018159 A KR 200400181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ircuit
- block
- package
- battery pac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및 회로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밧데리 팩을 제공한다. 전지를 전지패키지에 수용하는 전지블록과, 전지의 사용 상태 또는 성능에 관한 계측 기능 또는 전지를 보호하는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계측/보호 회로를 회로패키지에 수용하는 회로블록을 외부케이스 내에 꼭 맞게 수용한다.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은 외부케이스에서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제조 공정 중에, 전지블록 또는 회로블록의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결함을 가진 블록만이 교체된다. 전지블록에 있는 전지가 열화되거나 소모된 때, 전지블록만 교체된다. 전지로부터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패키지 내부에 남아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들 및 그에 연관된 회로 등이 외부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밧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리튬이온 전지와 같은 2차 전지를 수용하는 밧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휴대용 전원으로서, 충전용 밧데리 팩이 사용된다. 전자 디바이스가 고효율화, 소형화, 및 휴대화됨에 따라, 밧데리 팩이 오랜 시간동안 동작가능하도록 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이용하는 밧데리 팩은 매우 전망이 좋은데, 왜냐하면 납 전지 또는 니켈-카드뮴 전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밧데리 팩에 비하여 더 큰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또한 메모리 효과도 거의 없기 때문이다.
리튬이온 2차 전지는 과충전 또는 과방전 때문에 파괴될 위험이 있으며, 또한 충전 및 방전이 개별 전지에 따라 차이가 난다. 따라서, 특히 복수의 리튬이온 2차 전지들을 사용하는 밧데리 팩에서, 각각의 모든 전지들에 대하여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함으로써 충전 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회로, 또는 과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는 회로를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회로는 예컨대 니켈(Ni)로 만들어진 탭(tab)들에 의해 전지에 직접 용접되거나 납땜된다.
그러나, 전지들과 회로가 직접 용접되거나 납땜되어 있는 종래의 밧데리 팩에서, 리튬이온 2차 전지가 과방전 또는 과충전 때문에 파괴된 경우에, 유기용제로 되어 있는 전해액이 누출하여 상기 회로의 전자 부품에 접촉됨으로써 이온 이동(migration)에 기인하는 발연(smoking) 및 발화(ignition)와 같은 중대한 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있다. 또한 조립후 전지들 또는 회로에 결함이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 전지들 및 회로의 전체 세트가 버려짐으로써, 제조 수율(yield ratio)이 감소되고 폐기물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밧데리 팩에서 전지들이 회로보다 더 먼저 소모된다. 그러나 전지가 소모된 후에 전지만을 교환하려고 하는 경우에, 전지와 탭이 스폿-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소모된 전지에서 탭을 제거하고 새 전지를 장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지들이 소모된 경우, 회로는 멀쩡함에도 불구하고 전지들과 탭과 회로가 통째로 폐기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환경적인 면이나, 자원 보존, 또는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라는 측면에도 역시 문제를 야기한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들 및 회로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는 밧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폐기물의 증가를 방지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밧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팩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외부케이스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의 내부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연결단자 및 탭이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예시된 연결단자 및 탭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a는 평면도고, 도 5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팩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밧데리 팩의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전지블록11 : 전지패키지
12 : 하부패키지13 : 상부패키지
14 : 전지15 : 탭
15A, 15B, 16A, 16B : 분기된 부분16 : 연결단자
20 : 회로블록21 : 회로패키지
22 : 하부패키지23 : 상부패키지
24 : 계측/보호회로25 : 연결단자
26 : 플렉서블배선판27 : 외부커넥터
30,40 : 외부케이스31 : 하부케이스
32 : 상부케이스41 : 격벽
42 : 전지챔버43 : 회로챔버
44 : 하부케이스45 : 상부케이스
46 : 하부격벽47 : 상부격벽
47A : 홈48 : 탭
48A,48B : 분기된 부분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밧데리 팩은: 전지들을 전지패키지 내에 수용하는 전지블록과; 전지들의 사용상태 또는 성능에 관한 계측 기능이나, 또는 전지들을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구비하는 회로를 회로패키지 내에 수용하는 회로블록과; 상기 전지블록 및 상기 회로블록을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한다. 이 밧데리 팩에서,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은 외부케이스로부터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밧데리 팩에 있어서, 전지들과 상기 전지들의 사용 상태 또는 성능 등에 관한 계측 기능이나 또는 상기 전지들을 보호하는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회로가 외부케이스에 수용된다. 이 밧데리 팩에 있어서, 외부케이스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두 개의 챔버로 완전 분리되고, 전지들 및 회로는 이 두 챔버에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밧데리 팩에서, 외부케이스는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을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은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소위 둥지속 새끼 구조(nested structure)와 같이, 빈틈없이 꼭 끼어 맞게 되어, 흔들리는 움직임이 없다. 또한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은 외부케이스에서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 중에 전지블록이나 또는 회로블록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결함을 가진 블록만을 꺼내 교환할 수 있다. 전지들과 회로가 각각 전지패키지 및 회로패키지 내에 분리되어 수용되기 때문에, 심지어 전해액이 전지들로부터 누출된다 하더라도,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패키지 내에서 남아 있다. 전지블록 내에 수용된 전지들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밧데리 팩에서, 외부케이스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두개의 챔버로 완전 분리되고, 전지들 및 회로는 각각 두 챔버에 분리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심지어 전해액이 전지들로부터 누출된다 하더라도, 누출된 전해액이 전지들을 수용하고 있는 챔버 내에 남아있게 된다. 수용된 전지들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적인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완전히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팩의 대략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이 밧데리 팩은,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를 위한 휴대용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밧데리 팩에서, 전지블록(10)과 회로블록(20)이 외부케이스(3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전지블록(10)은, 예컨대 스티롤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 전지패키지(11)를 포함한다. 비록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튬이온 2차 전지와 같이 충방전될 수 있는 2차 전지들(셀들)이 이 전지패키지(11) 내부에 밀봉 수용된다.
회로블록(20)은, 예컨대 스티롤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 회로패키지(21)를 포함한다. 비록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지들의 사용 상태나 성능에 관한 계측 기능이나 전지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계측/보호 회로가 이 회로패키지(21) 내부에 수용된다. 비록 회로패키지(21)는 완전히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이런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지패키지(11)가 밀봉된 경우, 회로패키지(21)에는 회로에 의해 생성된 열 때문에 증가된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작은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작은 구멍은, 회로블록(20)이 전지패키지(11)내 전지의 전해액 누출의 경우 악영향을 받기 어렵도록, 예컨대 회로블록(20)과는 반대의 측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역시, 전지블록(10)을 대면하고 있는 회로패키지(21) 측면은 작은 구멍이 없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해액이 그 작은 구멍을 통해 누출하여 회로블록(2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지들 및 계측/보호 회로는 각각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 내에 분리되어 수용된다. 이에 더하여 적어도 전지패키지(11)는 밀봉된다. 따라서, 전지들로부터 전해액이 누출되는 경우에,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패키지(21) 내부에 남아있고, 회로패키지(21) 내의 계측/보호 회로에 도달하기 어렵다. 또한,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는, 고부하 방전 동안에 전지블록(10) 내의 전지들에 의해 생성된 열이 회로블록(20)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는 또한, 회로블록(20) 내의 계측/보호 회로에서 발생된 열이 전지블록(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열 때문에 전지 성능이 열화되는 것 또는 불균형하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30)는 예컨대 스티롤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예컨대, 도면에는 나타나있지 않은 노트북 컴퓨터 본체의 색깔과 같은 색깔을 가진다. 외부케이스(30)는 위가 개방된 하부케이스(31)와 서로 측면이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부케이스(31)에 의해 덮여지는 상부케이스(32)가 결합하여 구성된다. 하부케이스(31)의 측면에, 아래에서 기술될 회로블록(20)의 외부커넥터(27)가 통과하게 하기 위하여 절개부(31A)가 형성된다. 상부케이스(32)의 측면에, 하부케이스(31)의 절개부(31A)에 대응하여 절개부(32A)가 형성된다. 절개부(31A) 및 절개부(32A)의 모양은 하부케이스(31)가 상부케이스(32)에 의해 덮여질 때 외부커넥터(27)가 통과하는 관통구(through-hole)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또한, 외부케이스(30)는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을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은 외부케이스(30)의 내부에서, 소위 둥지속 새끼 구조(nested structure)와 같이, 빈틈없이 꼭 끼어 맞게 되어, 흔들리는 움직임이 없다. 이런 상태를 얻기 위하여, 예컨대 외부케이스(30)의 하부케이스(31)의 내부 크기를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의 전체 외부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하부케이스(31) 내에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를 밀어 넣어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하부케이스(31)의 내부 크기를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의 전체 외부 크기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하고,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31) 내부에 돌기 또는 융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이 상기 돌기 또는 융기부 주위의 공간에 손가락을 집어 넣음으로써 쉽게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또한, 하부케이스(31)와 전지블록(10) 또는 회로블록(20) 사이에 적절한 완충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위치결정을 쉽게 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31)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서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 사이의 경계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또한,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은 외부케이스(30)에서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즉, 전지블록(10)만, 또는 회로블록(20)만 제거하고 교환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 공정 중에 전지블록(10)이나 또는 회로블록(20)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결함을 가진 블록만을 꺼내 교환할 수 있다. 전지블록(10) 내의 전지들이 열화되거나 소모되고, 회로블록(20)은 양호하게 작동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새 전지블록(10)을 구입하여 이 새 것으로 헌 전지블록을 교체시킬 수 있고, 회로블록(20)은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케이스(30)는 개폐시킬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31) 및 상부케이스(32)는 사용 또는 운반 중에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부케이스(32)의 측면 상에 미도시된 갈고리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31)의 측면에 미도시된 절개부를 제공하여, 상부케이스(32)의 갈고리가 하부케이스(31)의 절개부에 걸려 잠겨지도록 함으로써 외부케이스(30)를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케이스(32)의 내부 크기를 하부케이스(31)의 외부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치하고, 상부케이스(32)와 하부케이스(31)는 하부케이스(31)를 상부케이스(32)로 밀어 넣음으로써 밀폐되며, 개방시킬 때는, 두 케이스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부케이스(32)를 제거시키도록 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그러나, 외부케이스(30)가 운반 중의 부주의한 분해나 아이들의 장난 등등에 기인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31) 및 상부케이스(32)를 접착제로 붙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지블록(10)를 교체하여 외부케이스(30)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사용된 전지블록(10)을 수용하는 밧데리 팩을 수거하였을 때, 하부케이스(31)와 상부케이스(32)를 부수어 개방시키고, 새 밧데리 팩을 위하여 회로블록(20)을 재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부케이스(31) 및 상부케이스(32)의 모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는 측면을 가지는 모양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31)의 모양이 대체로 평평한 판으로 정해지고, 하부케이스(31)가 상부케이스(32)에 의해 덮여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부케이스(32)에는 절개부(32A) 대신에, 외부커넥터(27)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는 관통구(32B)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부케이스(32)의 모양이 대체로 평판으로 정해지고, 하부케이스(31)는 위가 개방된 박스로 정해지어, 하부케이스(31)의 개방부분이 상부케이스(32)를 덮개로 사용하여 밀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부케이스(31)에는 절개부(31A) 대신, 외부커넥터(27)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의 내부 구성의 예를 보여준다. 전지패키지(11)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는 대략 박스 모양의 하부패키지(12)와, 하부패키지(12)의 개방부에 꼭 맞음으로써 밀봉 구조를 하는 상부패키지(13)를 포함한다. 회로패키지(21)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패키지(22)와 상기 하부패키지(22)의 개방부에 꼭 맞음으로써 밀봉 구조를 하는 상부패키지(23)를 포함한다.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는 밀봉 패키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해액의 누출이나 유입이 더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고, 운반 중의 부주의한 분해나 아이들의 장난 등에 기인하는 패키지(11, 21)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부패키지(13, 23)의 단부에서 하부패키지(12, 22)의 개방부에 대응하는 홈(13A, 23A)이 형성된다. 밀봉 구조는 하부패키지(12, 22)를 이들 홈(13A, 23A) 안으로 압입함(press fitting)으로써 맞추어지게 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입에 있어서, 상부패키지(13,23)의 홈(13A, 23A)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또는 압착함으로써 하부패키지(12, 22)를 강하게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의 밀봉 구조가 도 3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은 언급될 필요도 없이 명확하다.
전지패키지(11)의 하부패키지(12)에, 전지들(14)이 수용된다. 전지들(14)은 주어진 극성에 기초하여 배치되고, 서로 탭(15)에 의해 연결된다. 탭(15)은 회로블록(20)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단자(16)에 연결된다. 이 연결은 아래에서 기술된다. 전지들(14)의 수는 이 밧데리 팩을 사용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전압 및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에 대해 적절한 용량 및 출력 전압이 얻어질 수 있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전지들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전지(14)는, 예컨대 원통형 리튬이온 2차 전지로서, 이 전지는 대체로 빈 원통 전지 캔 내에서, 스트립-형태의 양극과 스트립-형태의 음극이, 전해액이 스며들어 있는 분리자(separator)를 샌드위치형태로 감싸면서, 여러번 감겨져 있는 감겨진 전극체를 수용한다. 전지(14)를 위한 각각의 구성부품들에는 알려져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지 캔은 니켈 도금된 철로 만들어질 수 있다. 양극은 활성 물질의 리튬복합산화물(lithium composite oxide), 흑연과 같은 도전체, 및 폴리플루오르화비닐이덴(poly vinyliden fluoride)과 같은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층과; 알루미늄(Al) 박(foil)과 같은 집전층(current collector lay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은 흑연과 같은 탄소 가루와 폴리플루오르화비닐이덴과 같은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층과; 구리(Cu) 박과 같은 집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해액으로서, 예컨대, LiPF6과 같은 리튬염을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와 같은 비-수용성 용제에 용해시켜 만든 전해액이 사용된다. 분리자로서, 예컨대, 주된 성분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물질인다공성 필름이 사용된다.
탭(15)은, 예컨대, 니켈과 같은 금속을 스트립 형태로 만든 판재에 구멍을 내고, 구멍난 스트립을 미리결정된 모양으로 구부림으로써 만들어진다.
연결단자(16)는 회로블록(20)에 면해 있는 전지패키지(11)의 측면 상에 배열형성된다. 연결단자(16)는 전지(14)의 양극 및 음극과 연결된 전원단자와, 전지(14)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미도시된 온도 센서에 연결된 신호 입/출력 단자 등을 포함한다. 연결단자(16)의 수는 아래에서 기술될 전지들(14)과 계측/보호 회로(24) 사이의 연결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일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명백하다. 전지패키지(11)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단자(16) 부분은, 예컨대 대략 사각 형태의 판스프링(Blade spring)이다. 전지패키지(11) 내부의 연결단자(16) 부분은 접촉편 형태(tranche shape, 接片狀)인데, 이 부분에서 탭(15)과 연결된다. 연결단자(16)는 전지패키지(11)의 하부패키지(12) 상에 삽입 성형(insert moldin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부패키지(12) 및 연결단자(16) 사이의 공간을 통한 전해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측/보호 회로(24)는 회로패키지(21)의 하부패키지(22) 내에 수용된다. 계측/보호 회로(24)는 전지블록(10)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단자(25)에 연결된다. 계측/보호 회로(24)는 플렉서블 배선판(26)을 개재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노트북 컴퓨터 본체와 연결을 위해 외부커넥터(27)에 연결된다.
계측/보호 회로(24)는, 전지(14)의 전기저항을 검출하여 그 전기저항의 값이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충전성능의 저하라고 판정하는 기능과; 전지(14)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가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보를 발하는 기능과; 전지(14)의 과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여 전지(14)를 보호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연결단자(25)는 전지블록(10)에 면하고 있는 회로패키지(21) 측면 상에 형성된다. 각 연결단자(25)는 전지블록(10)의 각 연결단자(16)에 대응한다. 회로패키지(21)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단자(25) 부분은, 예컨대 대략 사각형인 판스프링이다. 회로패키지(21) 내부의 연결단자(25) 부분은 접촉편 형태인데, 그 단부는 계측/보호 회로(24) 상에 형성된 미도시된 패드(pad)에, 예컨대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단자(25)는 회로패키지(21)의 하부패키지(22) 상에 삽입 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로패키지(21)의 하부패키지(22) 및 연결단자(2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해액이 회로블록(2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커넥터(27)는, 출력 단자에서 시작하여, 전지(14)의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단자들을 구비한다. 전지(14)의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로서, 예컨대 전지(14)의 표면에 장착된 서미스터(thermistor)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전지(14)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 등이 있다. 외부커넥터(27)는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돌기형태인 소위 단자일 수도 있다.
연결단자(16, 25)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지 패키기(11) 외부로 노출된 연결단자(16) 부분은 판스프링 형태이고, 회로패키지(21)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단자(25) 부분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돌기 부분이 형성되어, 연결단자(16, 25)를 서로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확실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단자(25)의 상기 돌기 부분에 대해 회로패키지(21)의 외측을 향하는 추가적인 모멘텀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을 장착하여, 연결단자(16, 25)의 가압력을 더 증가시키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도 4는, 연결단자(16)가 탭(15)에 연결된 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5a는 연결단자(16) 및 탭(15)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b는 연결단자(16) 및 탭(15)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16)는 그 단부에 분기된 부분들(16A, 16B)을 구비한다. 또한 탭(15)도 그 단부에 분기된 부분들(15A, 15B)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16) 및 탭(15)은 연결단자(16)의 분기된 부분들(16A, 16B)과 탭(15)의 분기된 부분들(15A, 15B)이 서로 물리게 하고, 그 둘의 결합면을 납땜 또는 용접함으로써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탭(15) 및 연결단자(16) 사이의 결합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전지블록(10)의 탭(15)과 유사한 탭이, 연결단자(25) 및 계측/보호 회로(24) 사이에 제공되어, 이 탭의 일 단부는 계측/보호 회로(24)의 상기 패드 상에 납땜되고, 이 탭의 타 단부 및 연결단자(25)가 도 4에 도시된 탭(15) 및 연결단자(16)의 연결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밧데리 팩에 있어서,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은 외부케이스(30)의 하부케이스(31) 내로 꼭 맞추어지고, 상부케이스(32)로 하부케이스(31)를 덮음으로써 외부케이스(30)가 밀폐된다. 제조 공정 중에 전지블록(10)이나 회로블록(20)의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결함을 가진 블록만을 꺼내 교체할 수 있다. 전지블록(10)의 전지가 열화되거나 소모된 경우에, 전지블록(10)만이 교체되고, 회로블록(20)은 만약 사용가능한 경우 계속 사용된다. 이에 더하여, 전지(14)의 전해액이 누출된 경우, 전지패키지(11)가 밀봉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패키지(11) 내부에 머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케이스(30)는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을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은 외부케이스(30)의 내부에서, 소위 둥지속 새끼 구조와 같이, 빈틈없이 꼭 끼어 맞게 되어, 흔들리는 움직임이 없다. 또한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은 외부케이스(30)에서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 중에 전지블록(10)이나 또는 회로블록(20)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결함을 가진 블록만을 꺼내 교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수율이 향상될 수 있고, 폐기물의 양이 감소될 수 있어, 환경적으로 큰 장점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전지블록(10)의 전지(14)가 수명 등에 기인하여 열화되거나 소모된 경우에 그 전지블록(10) 만을 교체하고 고장이 없는 회로블록(20)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원의 불필요한 폐기를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지(14) 및 계측/보호 회로(24)가 각각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 내에 분리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심지어 전해액이 전지(14)로부터 누출된다 하더라도,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패키지(11) 내에서 머물고, 회로패키지(21) 내의 계측/보호 회로(24)에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온 이동에따른 발연 또는 발화와 같은 중대한 사고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는 고부하 방전 동안에 전지블록(10) 내의 전지(14)에 의해 발생된 열이 회로블록(2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 패키지들은 또한 회로블록(20) 내의 계측/보호 회로(24)에서 발생된 열이 전지블록(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열에 의해 발생되는 전지 성능의 열화 또는 불균형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는 밀봉 패키지이기 때문에 전해액의 누출이나 침입이 더 확실히 방지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팩의 단면 구조를 보여준다. 이것은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밧데리 팩과 동일한 밧데리 팩이며, 다만 외부케이스(40)의 내부가 격벽(41)에 의해 전지챔버(42) 및 회로챔버(43)의 두 챔버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전지(14) 및 계측/보호 회로(24)가 각각 전지챔버(42) 및 회로챔버(43) 내에서 분리되어 수용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품에 동일한 부호가 붙여지고, 이러한 구성부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40)는 예컨대 스티롤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며, 주요 부분으로서 위가 개방된 하부케이스(44) 및 상기 하부케이스(44)의 개방부 위에 결합됨으로써 밀봉 구조를 하는 상부케이스(45)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44)의 내부는 하부격벽(46)에 의해 전지챔버(42) 및 회로챔버(43)로 구분된다. 전지챔버(42)는 전지(14)를 수용하고, 회로챔버(43)는 계측/보호 회로(24)를 수용한다.전지챔버(42) 내의 전지들(14)은 서로 탭(15)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부케이스(45)는 하부케이스(44)의 하부격벽(46)과 대면하는 위치에 상부격벽(47)을 구비한다. 상부격벽(47)은 하부격벽(46)에 대응하는 홈(47A)을 구비한다. 이 홈(47A) 안으로 하부격벽(46)을 맞추어 가압하여 격벽(41)을 형성하고, 하부케이스(44)의 개방부에 상부케이스(45)를 결합시킴으로써, 전지챔버(42) 및 회로챔버(43)의 밀봉 구조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종래에 외부케이스에 있는 격벽은, 예컨대 상부격벽 및 하부격벽을 초음파-결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격벽이다. 그러나, 이 경우 전지챔버 및 회로챔버는 접착상태의 변동과 다이렉터 구조(director structure) 때문에 완전히 분리될 수 없다. 외부케이스에 고정된 격벽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완전 분리는 불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케이스 및 고정된 격벽의 결합면으로부터 회로챔버로 전해액이 유입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격벽(46)을 상부격벽(47)의 홈(47A)으로 압입하여 격벽(41)을 형성함으로써, 전지챔버(42) 및 회로챔버(43)는 완전히 분리되고, 전지(14)로부터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챔버(42)에 머물게 되어, 누출된 전해액이 회로챔버(43) 내로 유입되는 것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격벽(41)에 의해 외부케이스(4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압입에 있어서, 상부격벽(47)의 홈(47A)에 접착제를 바르거나 또는 압착함으로써 하부격벽(46)를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외부케이스(40)의 상부케이스(45)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준다. 전지(14) 및 계측/보호 회로(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탭(48)은 하부케이스(44)의 하부격벽(46)을 통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 개의 탭(48)이 배치된다. 양측에 있는 탭(48)은 각각 전지(14)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고, 중앙의 탭(48)은 중간점 리드선(17)에 연결된다. 중간점 리드선(17)은, 예컨대, 두 전지들(14) 사이의 전위를 계측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탭(48)은 하부격벽(46) 상에 삽입 성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부격벽(46) 및 탭(48)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해액이 회로챔버(43)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탭(48)은 상부격벽(47)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탭을 하부격벽(46)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탭(48) 및 전지(14)의 탭(15) 사이의 연결 그리고 탭(48) 및 계측/보호 회로(24)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기술한 전지(14)의 탭(15) 및 연결단자(16)의 연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지(14)의 탭(15) 및 외부케이스(40)의 탭(48)을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외부케이스(40)의 탭(48)의 단부에서 분기된 부분들(48A, 48B)을 형성하고, 외부케이스(40)의 탭(48)의 분기된 부분들(48A, 48B)과 전지(14)의 탭(15)의 분기된 부분들(15a, 15b)을 맞물리고, 그 결합면을 납땜하거나 용접함으로써, 그 둘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외부케이스(40)의 내부는 격벽(41)에 의해 전지챔버(42) 및 회로챔버(43)인 두 개의 챔버로 완전히 분리되고; 전지(14) 및 계측/보호 회로(24)가 전지챔버(42) 및 회로챔버(43)에 각각 분리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전해액이 전지(14)로부터 누출되는 경우에,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챔버(42) 내에서 머물게 되고, 회로챔버(43) 내의 계측/보호 회로(24)에 도달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이온 이동에 따른 발연 또는 발화와 같은 중대한 사고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외부케이스(40)에 격벽(41)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케이스(40)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를 위한 밧데리 팩의 예가 상기 실시예들에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및 이동전화와 같은 다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밧데리 팩에도 또한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비록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 모두를 밀봉 패키지로 설치하는 경우 및 전지패키지(11)를 밀봉하고 회로패키지(21)에는 작은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나, 회로패키지(21)만 완전히 밀봉 패키지로 설치되고 작은 구멍은 전지(14)에 의해 발생된 열 때문에 생긴 압력 증가를 낮춰주기 위하여 전지패키지(11)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작은 구멍은, 예컨대 회로블록(20)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전지(14)의 전해액 누출의 경우 회로블록(20)이나 연결단자(16, 25)가 거의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이 경우, 회로블록(20)과 면하고 있는 전지패키지(11) 측면, 즉 연결단자(16)가 장착된 면이 밀봉되고 작은 구멍이 없도록 하여, 전해액이 작은 구멍으로부터 누출하는 것과 회로블록(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비록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외부케이스(40)의 전지챔버(42) 및회로챔버(43) 둘 모두가 밀봉 구조를 가지지만, 회로챔버(43)만이 완전히 밀봉 구조를 가지고, 전지챔버(42)는 위에서 언급된 작은 구멍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비록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동일한 외부케이스(30)를 사용하여 전지블록(10) 또는 회로블록(20)을 교체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모양은 동일하지만 다른 재질의 다른 외부케이스(30) 내에 전지블록(10) 또는 회로블록(20)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그 사양이 한냉지역을 위한 것인지 또는 온난지역을 위한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외부케이스(30)의 재질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외부케이스(30)는 추운 지역 사양에 있어서 전지(14)에 의해 생성된 열을 보유하는 보온성 재질로 만들어지며; 한편 온난한 지역 사양에 있어서 열 방출 특성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Al)으로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사양이 한냉지역을 위한 것인지 또는 온난지역을 위한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전지패키지(11) 또는 회로패키지(21)의 재질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비록 전지패키지(11) 및 회로패키지(21)를 위한 재질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스티롤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 재질이지만, 쉽게 성형되고 처리될 수 있고, 그 보온성 및 날씨 저항성이 양호한, 예컨대 ABS 수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밧데리 팩에서 전지블록(10)만 또는 회로블록(20)만 제거하여 교체하는 경우가 기술되었다. 그러나,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 둘 모두를 한번에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없이 당연하다. 이러한 경우로는, 예컨대 전지(14)의 버전 갱신에 따라 계측/보호 회로(24)를 완전히 바꾸는 경우가 있다.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 둘 모두가 제거가능하기 때문에, 외부케이스(30)는, 소위 더미 밧데리 팩(dummy battery pack)으로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예컨대, AC 전원이 공급되는 자기 집 또는 사무실에서만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내부에 유입되는 먼지 등을 막기 위하여 외부케이스(30)만 장착한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후 필요할 때 전지블록(10) 및 회로블록(20)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록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전지(14)로서 원통형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나, 전지의 형태가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평한 형태 또는 동전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젤 전해질을 사용하는 말린 전극체가 적층 필름으로 만들어진 외부 부재에 의해 싸여져 있는 리튬이온 2차 전지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튬이온 2차 전지에서, 전지(14)에서 분리되어 형성되는 탭(15)을 사용하는 것은 필요없고, 탭(15)으로서 전지의 내부에서 자체로 유도되는 탭을 사용함으로써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단자(16)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사용하는 밧데리 팩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니켈카드뮴 전지 및 니켈수소 전지와 같은 다른 2차 전지를 사용하는 밧데리 팩, 그리고 또한 1차 전지를 사용하는 밧데리 팩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록 탭(15) 및 연결단자(16)의 결합면을 용접 또는 납땜하는 경우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으나, 탭(15) 및 연결단자(16)의 연결은 서로 마찰력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탭(15)의 분기된 부분들(15A, 15B) 및 연결단자(16)의 분기된 부분들(16A, 16B)을 설치함으로써 탭(15) 및 연결단자(16)를 용접하지 않고도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밧데리 팩을 분해할 때 전지(14)의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유사한 변형이, 제 2 실시예의 외부케이스(40)의 탭(48)의 분기된 부분들(48A, 48B) 및 전지(14)의 탭(15)의 분기된 부분들(15A, 15B)에 대하여 가능하다.
비록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외부케이스(40)의 하부케이스(44) 상에 격벽(41)만이 설치되는 경우가 기술되었으나, 전지(14)를 지지하는 돌기 또는 융기 부분과 같이 격벽(41)이 아닌 구성부분이 하부케이스(44) 내부에 설치되어, 돌기 또는 융기 부분 주위의 공간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음으로써 전지(14)가 하부케이스(44) 내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지(14)를 위한 고분자 재질과 전해질 염, 및 용제가 상기 실시예들에서 기술되었으나, 다른 재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밧데리 팩에 따라, 외부케이스는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을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은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소위 둥지속 새끼들 구조와 같이, 꽉 끼여 맞춰짐으로써 흔들리는 움직임이 없게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지블록 및 회로블록이 외부케이스로부터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전지블록 또는 회로블록의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결함있는 블록만을 꺼내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수율이 향상될 수 있고 폐기물의 양이 감소될 수 있어, 환경적으로 큰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밧데리 팩의 전지가 수명 등에 기인하여 열화되거나 소모된 경우, 그 전지블록만을 교체하고 고장이 없는 회로블록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자원을 폐기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지 및 회로는 전지패키지 및 회로패키지 내에 각각 분리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심지어 전지로부터 전해액이 누출된 경우조차, 누출된 전해액은 전지패키지 안에 남아 있게 되고, 회로패키지 내의 회로에 도달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이온 이동에 기인하는 발연 및 발화와 같은 중대한 사고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지패키지 및 회로패키지는 고부하 방전 동안에 전지블록 내의 전지에 의해 발생된 열이 회로블록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들은 또한 회로블록 내의 회로에서 발생된 열이 전지블록으로 전달되는 것도 차단한다. 따라서 열에 의해 야기되는 전지성능의 열화 또는 불균형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의 밧데리 팩에 따라, 전지패키지 및 회로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 패키지이기 때문에 전해액의 누출 및 유입은 더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밧데리 팩에 따라, 외부케이스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두 개의 챔버로 완전히 분리되고, 전지 및 회로는 두 챔버에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어, 전지로부터 전해액이 누출하는 경우에조차, 누출된 전해액이 전지를 수용하는 챔버 내부에 남아 있게 되고 회로에 도달되기 힘들다. 따라서, 이온 이동에 기인하는 발연 및 발화와 같은 중대한 사고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격벽이 외부케이스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케이스의 낙하 강도(falling strength)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의 밧데리 팩에 따라, 하부 격벽을 상부 격벽의 홈으로 압입함으로써 격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초음파 결합 또는 고정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격벽과 달리, 전해액이 접합면 주위의 공간을 통해 흘러서 회로에 도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의 밧데리 팩에 따라, 외부케이스의 탭이 삽입성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탭과 격벽 사이의 공간을 통한 전해액의 누출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밧데리 팩에 따라, 외부케이스의 탭과 전지의 탭이 각 탭의 각 단부 상에 형성된 각자의 분기된 부분들이 맞물려 연결되기 때문에, 결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교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실제 제작시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된 바와 는 달리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 밧데리 팩으로서:전지를 전지패키지에 수용하는 전지블록과;상기 전지의 사용 상태 또는 성능에 관한 계측 기능 또는 상기 전지를 보호하는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회로를 회로패키지에 수용하는 회로블록과;상기 전지블록 및 상기 회로블록을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는 외부케이스를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전지블록 및 상기 회로블록은 상기 외부케이스에서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는, 밧데리 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블록 및 상기 회로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 패키지인, 밧데리 팩.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패키지는 위가 개방된 하부패키지와 상기 하부패키지의 개방부에 대응하는 홈을 가지는 상부패키지를 압입하여 맞춤으로써 만들어지는 밀봉 구조를 구비하는, 밧데리 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블록은 상기 회로블록과 면하는 측면에 연결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블록은 상기 전지블록과 면하는 측면에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밧데리 팩.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전지블록 및 상기 회로블록에 삽입성형(insert mold)되는, 밧데리 팩.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 및 상기 전지의 탭은 각 단부에 분기된 부분들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단자의 분기된 부분들과 상기 전지의 탭의 분기된 부분들이 맞물려서 연결되는, 밧데리 팩.
- 밧데리 팩으로서:전지와 이 전지의 사용 상태 또는 성능에 관한 계측 기능 또는 상기 전지를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구비하는 회로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두 개의 챔버로 완전히 분리되고, 상기 전지 및 상기 회로는 상기 두 개의 챔버 내에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는,밧데리 팩.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내부가 하부격벽에 의해 복수의 챔버로 구분된, 위가 개방된 하부케이스와;상기 하부격벽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격벽을 상기 상부격벽의 상기 홈으로 압입함으로써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개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챔버가 밀봉 구조를 하도록 구성된 상부케이스를포함하는, 밧데리 팩.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하부격벽 및 상기 상부격벽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전지 및 상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탭(tabs)을 포함하는, 밧데리 팩.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탭 및 상기 전지의 탭은 각각의 단부에 분기된 부분들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탭의 분기된 부분들과 상기 전지의 탭의 분기된 부분들을 맞물려서 연결되는, 밧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240590A JP3614158B2 (ja) | 2002-08-21 | 2002-08-21 | バッテリーパック |
JPJP-P-2002-00240590 | 2002-08-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8159A true KR20040018159A (ko) | 2004-03-02 |
KR100987413B1 KR100987413B1 (ko) | 2010-10-13 |
Family
ID=3202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7494A KR100987413B1 (ko) | 2002-08-21 | 2003-08-20 | 전지 팩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088075B2 (ko) |
EP (1) | EP1411579A1 (ko) |
JP (1) | JP3614158B2 (ko) |
KR (1) | KR100987413B1 (ko) |
CN (1) | CN1256786C (ko) |
TW (1) | TWI230479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2326B1 (ko) * | 2006-03-28 | 2013-01-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WO2012169832A3 (ko) * | 2011-06-10 | 2013-03-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2677B1 (ko) | 2004-06-25 | 2006-01-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0601502B1 (ko) * | 2004-09-24 | 2006-07-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팩 전지 |
JP4993655B2 (ja) * | 2005-07-11 | 2012-08-08 |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保護回路構成方法 |
JP4855104B2 (ja) * | 2006-03-03 | 2012-01-18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池パック |
EP1992026B1 (en) | 2006-03-06 | 2019-08-07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
US9484591B2 (en) | 2006-03-06 | 2016-11-01 | Lg Chem, Ltd. |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EP1994582B1 (en) | 2006-03-06 | 2019-12-04 | LG Chem, Ltd. |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
KR100948002B1 (ko) | 2006-03-06 | 2010-03-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대형 전지모듈 |
JP4375352B2 (ja) * | 2006-04-19 | 2009-12-02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の充電装置 |
WO2007122738A1 (ja) * | 2006-04-20 | 2007-11-01 | Idx Company, Ltd. | バッテリパック |
KR100685115B1 (ko) * | 2006-10-20 | 2007-02-22 | 주식회사 이랜텍 | 배터리 팩 |
KR100922441B1 (ko) | 2006-11-06 | 2009-10-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케이스의 전극조립체 수납부 변형에 의해 안전성이향상된 이차전지 |
US7947388B2 (en) | 2007-02-02 | 2011-05-24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Battery pack for an industrial instrument in a pro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
KR100917750B1 (ko) * | 2007-09-17 | 2009-09-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100876267B1 (ko) | 2007-10-04 | 2008-12-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TWM332943U (en) * | 2007-10-19 | 2008-05-21 | Tennrich Int Corp | Electric power bank with replaceable battery cell |
WO2010007720A1 (ja) * | 2008-07-16 | 2010-01-2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池パック |
JP2010055957A (ja) * | 2008-08-28 | 2010-03-11 | Sanyo Electric Co Ltd | パック電池 |
JP5481842B2 (ja) * | 2008-11-28 | 2014-04-23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バッテリパック |
KR101023886B1 (ko) * | 2009-02-17 | 2011-03-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
CN102460816B (zh) | 2009-05-20 | 2016-08-31 |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 锂离子电池模块 |
JP5658450B2 (ja) * | 2009-11-12 | 2015-01-28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電池システム |
KR101093935B1 (ko) * | 2009-11-27 | 2011-12-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101270593B1 (ko) * | 2010-07-16 | 2013-06-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구조의 팩 케이스 |
KR101234240B1 (ko) * | 2011-02-11 | 2013-02-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코어팩과 보호회로모듈 사이의 격벽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
EP2795711A4 (en) | 2011-12-20 | 2015-10-28 | Nokia Technologies Oy | APPARATUS FOR STORING ELECTRICAL POW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JP6083211B2 (ja) * | 2011-12-28 | 2017-02-22 | 株式会社Gsユアサ | 電源装置 |
JP5811105B2 (ja) * | 2012-01-13 | 2015-11-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盗難追跡装置 |
KR20240116847A (ko) | 2013-03-14 | 2024-07-30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비정상 검출을 위한 방법, 비정상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
CN105814734B (zh) * | 2013-12-20 | 2019-01-29 | 株式会社Sft研究所 | 便携式充电电源装置 |
JP5971234B2 (ja) * | 2013-12-25 | 2016-08-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樹脂パネル構造 |
US10389141B2 (en) | 2014-12-19 | 2019-08-20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energy storage and distribution |
KR101620263B1 (ko) * | 2015-02-13 | 2016-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 배터리 어셈블리 및 충전대 |
EP4083640A1 (en) | 2015-10-01 | 2022-11-02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haracteristics of energy units |
US10873063B2 (en) | 2015-12-16 | 2020-12-22 | ELIIY Power Co., Ltd | Battery |
JP6686948B2 (ja) * | 2017-03-23 | 2020-04-2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下部構造 |
KR102373359B1 (ko) * | 2018-02-19 | 2022-03-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 전지 상태 추정 기능이 개선된 단자 케이스 |
CN109638334B (zh) * | 2018-10-26 | 2021-11-30 | 深圳市中基自动化有限公司 | 一种圆柱电池卷芯入壳机 |
KR20210112918A (ko) * | 2020-03-06 | 2021-09-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US11605860B2 (en) | 2020-10-11 | 2023-03-14 | Advanced Powering Services, Inc. | Battery pack |
CN117651858A (zh) * | 2021-07-15 | 2024-03-05 | 深圳帧观德芯科技有限公司 | 使用成像系统的电池卷测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05958A (ja) * | 1984-03-29 | 1985-10-1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密閉形蓄電池 |
JPH07123262B2 (ja) * | 1993-03-19 | 1995-12-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JP3350189B2 (ja) | 1993-04-30 | 2002-11-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ボックス装置 |
JP3344054B2 (ja) | 1993-12-29 | 2002-11-11 | ソニー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3014293B2 (ja) * | 1995-04-18 | 2000-02-28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 バッテリ・パック |
US5534366A (en) * | 1995-11-22 | 1996-07-09 | Motorola, Inc. | Modular battery pack |
JPH09266015A (ja) | 1996-03-28 | 1997-10-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源装置 |
JP3572793B2 (ja) * | 1996-04-08 | 2004-10-06 | 宇部興産株式会社 | 電池パックおよび該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
JPH10255738A (ja) * | 1997-03-06 | 1998-09-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パック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
JPH11185719A (ja) | 1997-12-25 | 1999-07-09 | Rohm Co Ltd | 電気部品の保護ケース、および充電池パック |
DE19882471T5 (de) | 1998-04-27 | 2004-04-22 | Mitsubishi Denki K.K. | Nichtunterbrechbares Stromversorgungssystem |
JPH11354089A (ja) | 1998-06-09 | 1999-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
JP3454748B2 (ja) * | 1999-02-26 | 2003-10-06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パック電池 |
KR100342045B1 (ko) * | 1999-04-16 | 2002-06-27 | 김순택 | 2차전지 |
JP2000315537A (ja) * | 1999-04-28 | 2000-11-14 | Yazaki Corp | 基板接続用コネクタ |
DE60028247T2 (de) | 1999-06-21 | 2006-10-26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 Batterie mit gehäuse für elektronische schaltung |
JP2001126686A (ja) | 1999-10-26 | 2001-05-11 | Toshiba Battery Co Ltd | 扁平電池のパック構造 |
JP2001266820A (ja) * | 2000-03-24 | 2001-09-28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
2002
- 2002-08-21 JP JP2002240590A patent/JP361415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8-07 TW TW092121662A patent/TWI23047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20 US US10/644,200 patent/US708807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20 KR KR1020030057494A patent/KR1009874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20 CN CNB031545858A patent/CN125678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21 EP EP03019015A patent/EP1411579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2326B1 (ko) * | 2006-03-28 | 2013-01-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WO2012169832A3 (ko) * | 2011-06-10 | 2013-03-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US9040183B2 (en) | 2011-06-10 | 2015-05-26 | Lg Chem, Ltd. | Connecting structur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485946A (zh) | 2004-03-31 |
EP1411579A1 (en) | 2004-04-21 |
US7088075B2 (en) | 2006-08-08 |
CN1256786C (zh) | 2006-05-17 |
JP3614158B2 (ja) | 2005-01-26 |
KR100987413B1 (ko) | 2010-10-13 |
JP2004079416A (ja) | 2004-03-11 |
TW200414583A (en) | 2004-08-01 |
US20040095093A1 (en) | 2004-05-20 |
TWI230479B (en) | 2005-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7413B1 (ko) | 전지 팩 | |
CN101431168B (zh) | 电池组和使用该电池组的电子装置 | |
KR100544119B1 (ko) |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 |
US8936860B2 (en) |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 |
KR100824898B1 (ko) | 팩 전지 | |
KR100922468B1 (ko) | 배터리 팩 | |
US20090098418A1 (en) | Battery pack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EP2337120B1 (en)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ack | |
TWI525885B (zh) | 電池組、製造此電池組的方法及包含此電池組的行動裝置 | |
KR101699855B1 (ko) | 전기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 |
WO2006054655A1 (ja) | 電池パック | |
JP2003162987A (ja) | 基板一体化電池及び電池パック | |
JP5055824B2 (ja) | 電池 | |
JP2003282039A (ja) | 電池パック | |
KR100614358B1 (ko) | 캔형 이차 전지 | |
KR100346378B1 (ko) | 리튬 폴리머 전지팩 | |
CN117044013A (zh) | 二次电池 | |
KR100943191B1 (ko) | 전지 팩 | |
KR100788558B1 (ko) | 팩 전지 | |
KR100709884B1 (ko) | 각형 이차전지 | |
KR100581661B1 (ko) |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용 피시엠 및 그 성형방법 | |
KR100624909B1 (ko) | 캔형 이차 전지 | |
KR100659857B1 (ko) | 이차전지의 팩 케이스 | |
KR101416851B1 (ko) | 이차 전지 | |
KR101650040B1 (ko) |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