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352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352A
KR20040016352A KR1020020053899A KR20020053899A KR20040016352A KR 20040016352 A KR20040016352 A KR 20040016352A KR 1020020053899 A KR1020020053899 A KR 1020020053899A KR 20020053899 A KR20020053899 A KR 20020053899A KR 20040016352 A KR20040016352 A KR 2004001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see
door
microwave oven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576B1 (ko
Inventor
장성덕
한대성
강한성
여주용
한용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1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실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여러 방향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도어의 내면에 수분이 응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렌지가 개시된다. 도어는 조리실의 테두리면과 접촉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구된 내면에 배치된 투시부재를 구비한다. 투시부재는 전방을 향해 곡면을 이루어 돌출하며 다수의 투시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판, 다수의 투시홀이 형성되며 전면판의 상부를 덮는 상면판, 그리고 전면판의 하부를 덮는 하면판을 구비한다. 조리실의 양측벽에는 도어에 인접하여 배치된 흡기홀들과 배기홀들이 마련되어서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투시부재의 내면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되어 배출됨으로써 투시부재의 내면에 수분이 응결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를 외향으로 돌출한 라운드 형상으로 구성하여 전방뿐만 아니라 상방과 양 측방에서도 조리실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도어의 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여 도어의 내면에 수분이 응결하는 것을 방지하여 투시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전장품실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실에 놓여진 조리물을 조리하거나 데우는 기구로서, 고주파를 조리실의 내부로 주사하여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도 1은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서 서로 구획되어 형성된 전장품실(2)과 조리실(3)을 구비한다. 전장품실(2)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4)과, 상기 마그네트론(4)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조리실(3)로 공기를 순환시켜서 조리시에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과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5)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3)은 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바닥면(3a)이 사각형상을 이루며, 바닥면(3a)의 선단부는 조리실(3)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면(3a) 위에는 조리물이 얹혀져서 마그네트론(4)으로부터 주사되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턴테이블(6)과, 상기 턴테이블(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6)은 조리실(3)의 하부에 배치된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개방된 조리실(3)의 전면에는 하우징(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조리실(3)을 개폐하는 도어(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8)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위에는 조리실(3)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투시홀이 형성된 투시부재(9)가 결합되어 있다. 이 투시부재(9)를 포함하는 도어(8)는 그 전면과 배면이 모두 평면으로 이루어져서, 도어(8)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8)의 배면은 조리실(3)의 전면에 접촉하게 되며, 도어(8)의 전면은 평면을 이루어서 조리실(3)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렌지가 작동되면 마그네트론(4)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가 조리실(3)로 주사됨과 동시에 턴테이블(6)이 저속으로 회전되어서, 턴테이블(6) 위에 얹혀진 조리물이 고주파에 의해 조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렌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중앙부위에 조리실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시부재가 도어와 함께 평면을 이루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리하는 동안 조리실에 넣어진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도어의 전면에서 투시부재의 높이에 맞추어, 즉 몸을 약간 구부려서 조리실의 내부를 들여다 보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도어에서는 투시부재가 평면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투시홀들이 형성된 부분이 도어의 전체 표면적에 비해 작게 구성되기 때문에, 조리실의 내부를 들여다 보기 위해서는 투시부재에 인접하여 가까이 다가가야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실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을 요하게 되며, 또한 전자렌지에 의한 조리와 함께 다른 일을 병행하여 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전자렌지는 도어가 평면으로 이루어져서 조리실의 일측벽에 형성된 흡기홀을 통해서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평면의 도어에 부딪치게 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리시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이 도어의 내면에 응결되는 현상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투시부재를 통한 투시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여러 방향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내면에 수분이 응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투시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의 구성요소인 투시부재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어의 투시부재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전장품실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조리실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4: 흡기홀 15: 배기홀
20: 조리실 22: 바닥판
30: 도어 31: 프레임
32: 투시부재 33: 전면판
34: 상면판 35: 하면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전면 테두리에 접촉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조리실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투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시부재는그 내부에 리세스를 갖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전방과 상방, 그리고 양 측방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시부재는 전방으로 곡면을 이루어 돌출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를 덮도록 대략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면판과 하면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과 상면판에는 다수의 투시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는 투시부재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와 외부가 상기 투시홀들을 통해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투명창을 포함하며, 상기 조리실의 양 측벽에는 각각 상기 도어에 인접하여 배치된 흡기홀과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흡기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곡면을 이루어 돌출된 상기 투시부재의 내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기됨으로써 상기 투시부재의 내면에 수분이 응결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투시홀은 상기 투시부재가 상기 프레임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으로부터 전체의 표면에 걸쳐서 형성되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리실의 개구부를 가리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져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투시부재의 리세스는 상기 조리실과 함께 조리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여러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전장품실(10)과,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조리실(20)과,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0)를 구비한다.
상기 전장품실(10)에는 조리실(20)로 고주파를 주사하는 마그네트론(11)과, 상기 마그네트론(11)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조리실(20)에서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수분과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12) 등이 설치된다.
조리실(20)은 상부벽(21)과 바닥판(22), 그리고 좌우측벽(23)(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전면에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되게 된다. 조리실(20)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25)를 개폐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3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조리실(20)의 개구부(25)의 가장자리에는 도어(30)가 닫혔을 때 도어(30)의 테두리와 접촉하여 상기 개구부(25)를 밀폐하기 위해 평면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테두리면(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리실(20)의 바닥판(22) 위에는 조리물이 올려져서 조리되도록 하는 턴테이블(27)과, 상기 턴테이블(2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 지지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27)은 바닥판(22)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그 위에 얹혀진 조리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여 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30)는 조리실(20)의 개구부(25)를 형성하는 테두리면(26)에 밀착되어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이루어 형성된 프레임(31)과, 조리실(20)의 내부를 투시하여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1)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투시부재(31)를 포함한다.
프레임(31)에는 그 테두리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쵸크홈(31a)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30)가 폐쇄되어 프레임(31)이 조리실(20)의 전면의 테두리면(26)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쵸크홈(31a)에 의해 조리실(20)로부터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게 된다.
투시부재(32)는 상기 프레임(31)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즉 조리실(20)의 전면의 외측방향으로 곡면을 이루어 돌출한 전면판(33)과, 곡면을 이루는 상기 전면판(33)의 상부를 덮는 대략 반원형상의 상면판(34)과, 곡면을 이루는 상기 전면판(33)의 하부를 덮는 대략 반원형상의 하면판(35)을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대략 반 실린더 형상으로 돌출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반 실린더 형상을 이루어 전방을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가진 도어(30)의 투시부재(32)가 조리실(20)과 함께 조리공간(37)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의 선단부(22a)도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어 조리실(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도어(30)가 조리실(20)을 폐쇄한 상태에서 바닥판(22)의 선단부(22a)는 투시부재(32)의 하면판(35) 위에 배치되어 반실린더 형상의 투시부재(32)의 내부가 조리공간(37)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투시부재(32)의 전면판(33)과 상면판(34)에는 조리실(20)을 투시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투시홀들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상기 전면판(33)과 상면판(34)을 통하여 조리실(20)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서는 조리실(20)의 전방에서 뿐만 아니라 양 측방에서 조리실(20)을 투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전자렌지가 위치된 근방에서 다른 일을 하면서도 조리실(20)에 놓여진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투시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투시부재(32)의 외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투명창(미도시)이 부착되어 투시홀들을 통해 조리실의 내부가 조리실의 외부와 소통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투시부재(32)를 통해 조리실(20)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주방 또는 다른 실내공간에서 사람의 눈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관계로, 본 실시예에서는 투시부재(32)의 하면판(35)에는 투시를 위한 투시홀들이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는데, 전자렌지의 설치 높이에 따라 하면판(35)에도 투시홀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자렌지의 도어(30)를 구성하는 투시부재(32)가 전방으로 돌출한 반 실린더 형상을 이루게 되어서 조리시에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이 투시부재(32)의 내면에 응결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전장품실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조리실을 통과하여 조리실의 내부를 유동한 후에, 다시 조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2)에 의해 외부공기를 전장품실(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조리실(20)을 거쳐서 다시 조리실(2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전장품실(10)의 후벽에는 다수의 유입홀(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조리실(20)의 우측벽(24)과 좌측벽(24)에는 각각 다수의 흡기홀(14)과 배기홀(15)이 마련되어 있다.
전장품실(10)의 후벽에 마련된 유입홀(13)들의 전방에는 송풍팬(12)이 배치되어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조리실(20)의 우측벽(24)에 형성된 흡기홀(14)들은 조리실(20)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공기가 도어(30)의 투시부재(32)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리실(20)의 좌측벽(23)에 형성된 배기홀(15)들은 우측벽(24)에 형성된 흡기홀(14)들과 마찬가지로 조리실(20)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투시부재(32)를 거친 공기가 조리실(20)의 외부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마그네트론(11)은 유입홀(13)들과 흡기홀(14)들 사이에 배치되며, 마그네트론(11)과 흡기홀(14)들 사이에는 공기안내 덕트(16)가 배치되어 마그네트론(11)을 통과한 공기가 공기안내 덕트(16)를 통해서 흡기홀(14)들로 안내되어 조리실(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순환 구조에 의해 흡기홀(14)들을 통해 조리실(20)로 유입된 공기는 곡면형상을 이루는 투시부재(32)의 내면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이 투시부재(32)의 전면판(33)과 상면판(34)을 따라 신속하게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배기홀(15)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투시부재(32)의 내측면에 수분이 응결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투시부재(32)를 통해 조리실(20)에 넣어진 조리물을 더욱 명확하게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도어의 투시부재의 전면판이 곡면형상을 이루어 전방으로 돌출하며, 투시부재의 상면판과 하면판이 상기 곡면형상의 전면을 덮도록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어 구성되기 때문에, 조리실의 전방뿐만 아니라 양측방과 상방을 통해서도 조리실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리실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여러 방향에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주방에서 조리할 때 조리실에 넣어져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여러 방향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음식을 조리하면서 조리실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전자렌지에서와 같이 조리실의 전면에 가까이 와서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도어가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며 흡기홀들과 배기홀들이 조리실의 양 측면에서 도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도어의 투시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되어서 투시부재의 내측면에 수분이 응결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의 투시부재를 통해 조리실의 내부가 선명하게 투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전면 테두리에 접촉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조리실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투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시부재는 그 내부에 리세스를 갖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전방과 상방, 그리고 양 측방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는 전방으로 곡면을 이루어 돌출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를 덮도록 대략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면판과 하면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과 상면판에는 다수의 투시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투시부재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와 외부가 상기 투시홀들을 통해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양 측벽에는 각각 상기 도어에 인접하여배치된 흡기홀과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흡기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곡면을 이루어 돌출된 상기 투시부재의 내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기됨으로써 상기 투시부재의 내면에 수분이 응결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투시홀은 상기 투시부재가 상기 프레임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으로부터 전체의 표면에 걸쳐서 형성되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다수의 쵸크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통해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리실의 개구부를 가리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져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투시부재의 리세스는 상기 조리실과 함께 조리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2-0053899A 2002-08-15 2002-09-06 전자렌지 KR100485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344002P 2002-08-15 2002-08-15
US60/403,440 2002-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352A true KR20040016352A (ko) 2004-02-21
KR100485576B1 KR100485576B1 (ko) 2005-04-27

Family

ID=3077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899A KR100485576B1 (ko) 2002-08-15 2002-09-06 전자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89894B1 (ko)
JP (1) JP2004077109A (ko)
KR (1) KR100485576B1 (ko)
CN (1) CN100334392C (ko)
DE (1) DE60231392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053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4032A (zh) * 2014-05-30 2015-12-09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半导体设备的门
CN106051843A (zh) * 2016-07-13 2016-10-2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6039A (en) * 1940-06-11 1941-12-16 Byron Jackson Co Submersible motor structure
US3594531A (en) * 1969-11-10 1971-07-20 Ralph L Hough Internally viewable microwave induction heater
US3654417A (en) * 1970-10-30 1972-04-04 Litton Precision Prod Inc Microwave oven including air flow system
US3991295A (en) * 1974-05-20 1976-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crowave oven with symmetrically positioned microwave stirrers
DE3002264A1 (de) * 1980-01-23 1981-09-17 Jetform Heißkanalnormalien und Zubehör GmbH, 5880 Lüdenscheid Spritzgiesswerkzeug mit hochleistungsangiessbuchse
JPS61127301U (ko) * 1985-01-29 1986-08-09
US4618756A (en) * 1985-07-08 1986-10-21 Whirlpool Corporation Air circulation system for microwave oven
JPH01184332A (ja) * 1988-01-18 1989-07-24 Toshiba Corp 調理器
GB2249245B (en) * 1990-10-24 1994-12-14 Gold Star Co Microwave shielding device for a door of a microwave oven
US5365918A (en) * 1992-10-16 1994-11-22 Patentsmith Corporation Oven with short radius door
KR200142755Y1 (ko) * 1994-08-18 1999-06-01 전주범 전자렌지의 전면형상
SE503829C2 (sv) * 1995-01-17 1996-09-16 Whirlpool Europ Mikrovågsugn
KR960041905A (ko) * 1995-05-16 1996-12-19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구조
KR200141855Y1 (ko) * 1996-11-29 1999-06-01 전주범 원형 전자레인지
KR19990006191U (ko) * 1997-07-24 1999-02-18 윤종용 전자레인지
DE60118266T2 (de) * 2000-01-24 2007-04-05 Sharp K.K. Kochgerät
US6624399B2 (en) * 2000-11-15 2003-09-23 Zenon Rypan Space saving cooking appli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053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576B1 (ko) 2005-04-27
EP1389894B1 (en) 2009-03-04
DE60231392D1 (de) 2009-04-16
EP1389894A3 (en) 2006-04-12
CN1475699A (zh) 2004-02-18
JP2004077109A (ja) 2004-03-11
CN100334392C (zh) 2007-08-29
EP1389894A2 (en)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20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110099541A (ko) 오븐
KR20030047647A (ko) 습도센서를 갖춘 전자렌지
KR10043222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485574B1 (ko) 전자렌지
JPH1163512A (ja) 電子レンジ
KR100485576B1 (ko) 전자렌지
US20070107712A1 (en) Heating cooker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180079870A (ko) 조리기기
KR20110015784A (ko) 조리기기
KR100485575B1 (ko) 전자렌지
KR19980058169U (ko) 후드겸용 전자렌지
US6750434B1 (en) Microwave oven
US6759638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ng door and cooking cavity
KR200189531Y1 (ko) 전자렌지
WO2022044619A1 (ja) 加熱調理器
KR100716001B1 (ko) 오븐 레인지
KR200340872Y1 (ko) 전자렌지용 도어의 습기 제거장치
KR19990031172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의 캐비넷구조
KR100399140B1 (ko) 전자렌지
KR100468122B1 (ko) 전자렌지
KR200152015Y1 (ko) 오버 더 전자렌지의 고내 램프 설치 구조
KR100289118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