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5053A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5053A1
WO2023075053A1 PCT/KR2022/007167 KR2022007167W WO2023075053A1 WO 2023075053 A1 WO2023075053 A1 WO 2023075053A1 KR 2022007167 W KR2022007167 W KR 2022007167W WO 2023075053 A1 WO2023075053 A1 WO 20230750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cooking appliance
air
dispos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1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해민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1398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61217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750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50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installed above a heating cooking apparatus.
  • the cooking appliance is a home appliance that cooks food using microwaves and/or heater heat, which are a type of electromagnetic waves.
  •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cavity, which is a space where food is generally placed and cooked,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avity.
  •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heating cooking device, such as a heating oven or gas range. Specifically,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disposed above the heating cooking device.
  • the user can conveniently cook food by reducing movement in an environment where the cooking apparatus and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are adjacent to each other.
  • the cooking appliance as a hood, heat, oil vapor, etc.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a display unit may b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a door provided in a cooking applianc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The user can know the cooking state of the cooked food through the display unit.
  •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other home appliances and serves as a hub of the home appliances, information other than food cooking may be obtained through the display unit.
  • commands necessary for cooking and other various commands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in a touch method.
  • heat, oil vapor, etc.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may permeate the display unit and other parts mounted on the door.
  • the door in order to form an air curtain on the door and cool internal parts of the door, the door may be provided with an air guide in which an air flow path is formed.
  • Air may be forcedly flowed inside the door by being guided by an air guide by a blower provided at the door.
  •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formed to be slim. Accordingly, due to such a slim structure, a space in which air can flow inside the door may be reduc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isplay unit on a front surfac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isplay unit on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using microwav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penetration of heat, oil vapor, etc. generated from a heating cooking apparatus disposed at a lower side into a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contamination of a display portion by oil vap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oling structure of a display module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a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heat, oil vapor, etc. from penetrating into the door by forming an air curtain on the outside of the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oor in which a display unit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a cooling structure for cooling the display unit and a microwave shield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s are form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assage space for air flowing inside a door is expanded.
  • Air forcedly flowing by the blowing fan may have the following flow path in detail.
  •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door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outer panel and an inle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Air introduced into the door may flow in a lower direction of the door and be introduced into a blowing fan.
  • Air may pass through the blowing fa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oor. At this time, the air may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of the air gu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 the blowing fan may be chang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to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hole can branch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air guide.
  • Some of the branched air may flow upward through the door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Another part of the branched air may flow downward through the door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 Air diverged from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may cover the entire door.
  • the branched air can in particular envelop the door front area. Due to this structu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forms an air curtain on the door, effectively suppressing heat and oil vapor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cooking appliance from penetrating the door. there is.
  • One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body in which a cavity is formed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avity.
  • the door is a display module disposed at the front, a cooling passage portion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in which a flow path for cooling air flows is formed, and a cooling passage portion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ooling passage unit, and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 the shielding unit may include an expansion unit that is formed by being recessed at an edge and expands a space in which air flowing into the cooling passage unit flows.
  • Air flowing through the cooling passage may branch inside the cooling passage to be discharg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module.
  • the door is a display unit on which images or images are displayed, an outer panel disposed behind the display unit and mounted with the display unit, an inner panel disposed behind the outer panel and mounted on the outer panel, and disposed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It may include an air guide coupled to the inner panel, a blower mounted on the air guide, and a frame disposed behind the inner panel, coupled to the inner panel, and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 the frame may include an expansion part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an edge, formed by being recessed on a surface facing the air guide, and expanding a space in which air flowing into the air guide flows.
  • the expansion unit may be provided to form a closed curve at a portion adjacent to an edge of the frame.
  • the expansion part is provided in a pair of first piece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a pair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first pieces. And, it may include a second piec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respectively.
  • the frame may include a seal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and blocking air flowing into the air guid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inner panel from leaking into a gap between the frame and the inner panel.
  •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choke member disposed behind the frame, coupled to the frame, and blocking external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 the frame may include a sink portion formed at an edge to trap and extinguish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choke member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ink portion.
  • the sink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alternately arranged along an edge of the frame.
  • the accommodating groove may be formed by bending outer and inner portions of the choke member toward the sink portion, and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are arranged.
  •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ink portion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sealing portion.
  • the protruding part may include a first part bent from the sealing part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contacts the inner panel, and a second part bent from the first part.
  • the door further includes a baffle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surrounding an edge of the display unit, coupled with the outer panel to mount the display unit to the outer panel, and a front cover disposed in front of the baffle and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baffle.
  • a baffle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surrounding an edge of the display unit, coupled with the outer panel to mount the display unit to the outer panel, and a front cover disposed in front of the baffle and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baffle.
  • the door includes a first camera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anel and photographing the lower part of the door, a second camera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penetrating the baffle and the front cover, and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door, and a frame.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amera mounted on, disposed facing the cavity, and photographing the cavity.
  •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human sensor disposed above the door, mounted through the baffle and the front cove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amera, and detecting the presence of a user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door may include at least one speaker mounted on a side of the outer panel, a microphone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panel, and a communication unit mounted on the outer pane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and microphone.
  • the display module since the display modul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oor, the user can know the cooking status in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 the display module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serving as a hub for other home appliances and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 the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provided in the door forms an air curtain and rises from the heating cook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cooking appliance. Heat and oil vapor can be effectively blocked by air curtains.
  • the air flowing inside the doo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thereby cooling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 the air flowing inside the door can effectively cool the heating element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inside the door.
  • a door having all of a display structure, a cooling structure,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tructure may be formed.
  • the display structure, the cooling structure, and the shielding structure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lim door as a whole. Therefore, even if the display structure, the cooling structure, and the shielding structure are all formed on th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increasing in thickness.
  • the expansion part is formed to be recessed on the surface facing the air guide, the volume of the passage space can be expanded by as much as the recessed part. Air can flow smoothly in the passage spac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air guide by the expansion part.
  • the passage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inside the door is expanded,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air intake and discharge from the door is increased, so tha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display unit and electr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door is improved.
  • the seal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frame,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may be provid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inner pane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lock a gap that may occur between the frame and the inner panel in the passage space including the expansion pa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FIG. 1 .
  •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ure 3b is a view of Figure 3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4A is a rear view of the door.
  •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exploded do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ure 4c is a view of Figure 4b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 view of FIG. 5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9a is a rear view showing an outer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9B is a view of FIG. 8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and an outer panel.
  • FIG. 11 is a view showing an inner panel and an air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 FIG. 13 is a view of FIG. 1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nd a chok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5 is a view of FIG. 14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1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panel and an air guide are coupled.
  • FIG. 1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section L in FIG. 16;
  • FIG. 18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17 .
  • FIG. 18B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B of FIG. 17 .
  • FIG. 1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M in FIG. 16 .
  • FIG. 2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ection N in FIG. 16 .
  •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of a cooking appliance in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for daily use.
  • Left-righ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and-down direction
  • front-back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 Bidirectional or “lateral” has the same meaning as left-right, and these term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in FIG. 1 .
  •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a position where a heating cooking apparatus, for example, a heating oven, a gas range, or the like is disposed.
  • a heating cooking apparatus for example, a heating oven, a gas range, or the like is disposed.
  •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cooking appliances.
  • the cooking appliance may serve as a hood for the heating and cooking apparatus disposed below.
  •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parts used as a hood.
  • the cooking appliance may cook food using microwaves and/or heater heat, which are a type of electromagnetic waves.
  •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body 10 in which a cavity 11 is formed and a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cavity 11 .
  • Food to be cooked may be placed in the cavity 11 .
  • the door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vity 11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cavity 11 .
  • a vent hole 13 for discharging moisture, oil vapor, etc. generated in the cavity 11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
  • a vent hole 13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discharge air sucked from a su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 a suction unit may be provided under the main body 10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ly, the cooking appliance may function as a hood that sucks in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cook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cooking appliance and discharges it to the outdoors.
  •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cavity 11, and when the door 20 is closed, one surface thereof is disposed to face one surface of the choke member 170 to close the cavity 11.
  • a panel 12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front panel 12 surrounds the entrance edge of the cavity 11 and may protrud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ccordingly,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edge portion of the door 20 and the cavity 11 may overlap each other.
  • the front panel 12 seals the cavity 11 while the door 20 is closed, so that oil, moisture, oil vapor, etc.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placed in the cavity 11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avity 11. It is possible to suppress leaka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of the .
  •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20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ure 3b is a view of Figure 3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4A is a rear view of the door 20 .
  •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exploded do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c is a view of Figure 4b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the door 2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21 , a cooling passage part 22 and a shielding part 23 .
  • the display module 2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20, and the user can view the inside of the cavity 11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21.
  • the cooling passage part 22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21,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or cooling may flow may be formed therein.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oor 20 may cool the door 20 by flowing inside the door 20 through the cooling passage part 22 .
  • the shielding part 23 is disposed behind the cooling passage part 22 and can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10 .
  • the shielding unit 23 may protect a user by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cavity 11 and propagat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shielding part 23 may serve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microwaves) generated to cook food within the main body 10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 .
  • the cooling passage unit 22 may be provided to cool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door 20 , including the display unit 110 mounted on the display module 21 . Air cooling the door 20 may flow inside the cooling passage part 22 .
  • the display unit 110 may be formed to be thin and occupy most of one surface of the door 20 .
  • the display unit 110 is formed to occupy most of the area of the front of the door 20, and since the display unit 110 has a large arrangement area, visibility to the user can be improved.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provided as a large screen.
  • a cooling passage part 22 through which cooling air flows may be provided separately.
  • the cooling passage unit 22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cooling air flows, and thus the display unit 20 can be effectively cooled b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oling passage unit 22 .
  • the heating component mounted on the display module 21 may also be cooled by air flowing through the cooling passage part 22 . That is, the cooling passage part 22 may cool the display module 21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110 and other various heating components.
  • the entire display unit 110 needs to be exposed to air flowing through the cooling passage unit 22 .
  • the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 through the cooling passage part 22 needs to form an air curtain to block heat and oil vapor rising from the heating cook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cooking appliance.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oling passage part 22 may branch inside the cooling passage part 22 to be discharg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module 21 .
  • the cooling air As the cooling air is branched inside the cooling passage 22 and discharg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module 21, the cooling air flows while contact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to effectively cool the display unit 110. can do.
  • the display module 21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0 , a camera and other electrical components, and an electrical component such as a blower 150 operated by a motor may be provided in the cooling passage unit 22 .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users and electrical components from electromagnetic waves, a shielding unit 23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behind the cooling passage unit 22 .
  • a display unit 110 and various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and a cooling passage portion 22 having an air passage for cooling the display module 21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21.
  • a shielding unit 23 may be disposed behind the cooling passage unit 22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from reaching electr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21 .
  • the display module 21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convenience to the user needs to b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at the forefront of the door 20 .
  • components such as the display unit 110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21 are effectively cooled, and the inside of the door 20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110 is effectively cool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ior of the door 20 A structure for forming a cooling air flow path for forming an air curtain around the door 20 and protecting electric components mounted on the door 20 from electromagnetic waves is required.
  • the display module 21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door 20, the cooling passage part 22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21, and the shielding part 23 is the cooling passage part. It can be placed behind (22).
  • the display module 21, the cooling passage part 22, and the shielding part 23 that are responsible for each role of the door 20 are They need to be arranged sequentially from front to back.
  • the display module 21 prevents cooling air from leaking out of the door 20 at a location other than the first outlet 123 disposed above the display module 21 and the second outlet 124 disposed below the display module 21. ), the cooling passage portion 22, and the shielding portion 23 need to be provided so as to b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door 20 implemented with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display module 21 may include a first outlet 123 and a second outlet 124 .
  • the first outlet 123 is disposed above the display module 21 , and air flowing inside the display module 2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
  • the second outlet 124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module 21 , and air flowing inside the display module 2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 . That is, the air flowing inside the door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door 20, respectively. 20) The entire interior of the door 20 can be effectively cooled by fluid flow.
  •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0 and an outer panel 120 .
  • the display unit 11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20 to display images or images.
  •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and provide information required for cooking to the user. Also, the display unit 110 may receive a user's command in a touch recognition method.
  • the display unit 11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other home appliances, a camera, a locking device, etc. provided in a front door.
  • the display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required by the user.
  • the user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visits by outsiders, and other daily life from the display unit 110, and commands the home appliances and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10 using the display unit 110. can deliver.
  • the door 2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10 serves as a kind of IoT hub that delivers information about home appliances and other devices necessary for the user's life to the user and transmits the user's commands to these devices. can do.
  • the outer panel 120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10 can be mounted thereto.
  • the outer panel 120 generally has a hollow 1201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door 20 .
  • the hollow 1201 of the outer panel 120 may be clos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 Air flowing inside the outer panel 120 may collid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exposed through the hollow 1201 of the outer panel 120 . Accordingly, the air flowing inside the outer panel 120 may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to cool the display unit 110 .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152 generates heat from the speaker 260, the microphone 270, the communication unit 280, the control board 290, etc., which are exposed and disposed in the hollow 1201 of the outer panel 120. Parts can be cooled.
  • the outer panel 120 may have an interior space, and various parts may be embedded in the interior space.
  • the width of the door 2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may be substantially determined by the outer panel 120 .
  • a first through hole 121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120 .
  • the first through hole 12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Each first through hole 121 may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slit-shaped holes a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Due to this structure, intro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door 2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1 may be somewhat suppressed.
  • a handle 12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panel 120 to be used when a user opens and closes the door 20 .
  • the handle 122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side of the outer panel 120 .
  • the button device 30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outer panel 120, for example, directly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122 is formed. The user can operate the button device 300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cooking appliance or to cut off electricity supply. Detailed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possible by inputting a command to the display unit 110 .
  • the outer panel 120 can support various parts such as the display unit 110, the speaker 260, the microphone 270, the communication unit 280, and the control board 290, and the firs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panel.
  • a through hole 121, a first outlet 123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second outlet 124 may be formed.
  • the inner panel 1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outer panel 120 and mounted on the outer panel 120 .
  • An air guide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on the inner panel 130 .
  • the inner panel 130 may form a space in which air sucked into the door 20 flows along with the air guide 140 .
  • a camera may be provided in the door 20 .
  •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can be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user can see the image inside the cavity 11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 the camera may include a first camera 210 , a second camera 220 , and a third camera 230 .
  • the first camera 210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anel 120 to take pictures of the lower part of the door 20 . Since the first camera 210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anel 120 so that the viewing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t is possible to take pictures of the heating and cooking apparatus disposed under the cooking appliance.
  • the user can observe the state of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the cooking state of food in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by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210 and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110 .
  • the second camera 220 is disposed above the door 20 and can photograph the front of the door 20 .
  • the second camera 220 may photograph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second camera 220 may be provided to be mounted through the baffle 190 and the front cover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user may observe the situation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captured and recorded by the second camera 220 .
  • the second camera 220 may capture a user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ly, the second camera 220 can be used when the user makes a video call with another person at a remote location outside the front door using the display unit 110 .
  • the third camera 230 is mounted on a frame 16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to face the cavity 11, and can capture the cavity 11. That is, the line of sight of the third camera 230 is provided to face the cavity 11 to capture the situation of the cavity 11 .
  • the user may observe a situation in which food is being cooked in the cavity 11 through an image captured by the third camera 230 .
  • the door 20 is disposed above the door 20, is mounted through the baffle 190 and the front cover 20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amera 220, A human detection unit 24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user may be includ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human detection unit 24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a person in front of the door 20 through, for example, infrared recognition or motion recognition.
  •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user is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human detection unit 240 .
  • control unit can activate func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necessary for the user's convenience and safety, such as operating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display unit 110 immediately. there is.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 is a view of FIG. 5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the door (20 cooling passage part 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panel 130, an air guide 140, and a blower 150.
  • the inner panel 1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outer panel 120 and mounted on the outer panel 120 .
  • An air guide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on the inner panel 130 .
  • the inner panel 130 may form a space in which air sucked into the door 20 flows along with the air guide 140 .
  • the inner panel 130 is equipped with an air guide 140 and is coupled to the frame 16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door 20 flows.
  • the air guide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panel 120 and the inner panel 130 and coupled to the inner panel 130 .
  • the air guide 140 may guide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door 20 from the outside and form a space in which the air can flow.
  • the blower 150 may be mounted on the air guide 140.
  • the blower 150 may forcibly flow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guide 140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air guide 140 .
  • the door 20 shield 23 may further include a frame 160, a choke member 170, a baffle 190, and a front cover 200.
  • the frame 160 may be disposed behind the inner panel 130, coupled to the inner panel 130, and rotatably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s the frame 160 rotates, the door 20 rotates to open and close the cavity 11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rame 160 is combined with the inner panel 130 to form a flow path of air for cooling and at the same time has a shielding structure, that is, a choke member 170, to prevent leakage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has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 a shielding structure that is, a choke member 170, to prevent leakage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has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 the choke member 17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ame 160, is coupled to the frame 160, and can block external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10.
  • the choke member 170 is generally provided in a hollow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n edge portion of the frame 160 .
  • the display module 21 may further include a baffle 190 and a front cover 200 .
  • the baffle 19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10, surrounds an edge of the display unit 110, and is combined with the outer panel 120 to form the display unit 110 into the outer panel 120. can be mounted on
  • the baffle 19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rectangular shape and surrounds an edge of the display unit 110 , it may serve as a bezel of the display unit 110 .
  • the front cover 2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baffle 190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baffle 190 .
  • the front cover 200 is generally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shape, and may serve to stably couple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baffle 190 to the outer panel 120 .
  • FIG. 7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door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panel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9 FIG. 9A is a rear view showing the outer panel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9B is a view of FIG. 8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outer panel 120.
  • 11 is a view showing an inner panel 130 and an air guid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speaker 260 may be included. At least one speaker 260 may be mounted on a side of the outer panel 120 .
  • the speaker 260 may generate voices and alarm sound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 the speaker 260 may generate all voices and alarm sounds for the door 2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oor 20 to function as an IoT hub.
  • the microphone 27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anel 120 and can receive a user's voice. A user may input a voice command for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microphone 270 . In addition, the microphone 270 may play a part of a role for the door 20 to function as an IoT hub.
  • the communication unit 28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panel 1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260 and the microphone 270 . Since the door 20 functions as an IoT hub, it is appropriate for the communication unit 280 provided in the door 20 to perform various type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 the communication unit 28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communication unit 280 may be provided as a device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 the communication unit 280 may be provid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each communication unit 280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a ZigBee communication device, a Wi-Fi communication device, a jet wave communication devic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unit 28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unit 280 may be provided as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 a control board 290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mounted on the outer panel 120 .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implemented on the control board 290 .
  • the outer panel 120 may include a holder 120a, an open hole 120b, a first through hole 120c, a second through hole 120d, a mounting guide 120e, and a fitting protrusion 120f.
  • the holder 120a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speaker 260 .
  • the holder 120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panel 120, and a portion thereof may have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shape of the speaker 260.
  • the speaker 260 may be mounted on the holder 120a and provided on the outer panel 120 . Since the speakers 260 are provided as a pair, the holders 120a may also be provided as a pair and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peakers 260, respectively.
  • the open hole 120b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anel 120 .
  • the first camera 2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 hole 120b and can see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anel 120 through the open hole 120b.
  • the first through-hole 120c may be formed on the side.
  • the first through-hole 120c may be provided adjacent to a position where the speaker 260 is disposed.
  • the first through hole 120c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to allow the speaker 26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o suppress the speaker 26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the speaker 26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outer panel 12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0c, and can effectively deliver alarms and other voices to the user. Since the speakers 260 are provided as a pair, the first through-holes 120c may also be provided as a pair and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peakers 260, respectively.
  • the second through-hole 120d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outer panel 120 to penetrate the outer panel 120 .
  • a part of the button device 300 mounted inside the outer panel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anel 12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0d. The user can operate the button device 300 by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outer panel 120 .
  • the mounting guide 120e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panel 12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280 . Therefore, the mounting guides 120e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280 . The mounting guide 120e may guide the communication unit 280 to be mounted on the outer panel 120 .
  • the mounting guide 120e may be provided so that, for example, a protrus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communication unit 28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panel 120 .
  •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guides 120e may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280 .
  • the fitting protrusion 120f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panel 120 .
  • Fitting protrusions (120f)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 control board 290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120f.
  • the fitting protrusion 120f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corner of the plate-shaped control board 290 .
  • control board 29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panel 120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s 120f.
  • a shape-fitt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trol board 290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protrusion 120f so that the corner of the control board 290 is fitted.
  • the outer panel 120 may have the first outlet 123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outlet 124 disposed at a lower portion.
  • the first outlet 123 is disposed above the outer panel 120, and air flowing by the blower 15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second outlet 124 is disposed below the outer panel 120, and air flowing by the blower 15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may be partially blocked by the baffle 190 and the front cover 200 .
  • holes for discharging air may be formed in the baffle 19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
  • the first outlet 12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110
  • the second outlet 124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110 . Therefore, the air forcedly flowing inside the door 20 by the blower 150 passes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to the outside at locations adjacent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display unit 110. can be emitted as
  •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may form an air curtain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20 .
  •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 may form an air curtain at the lower part of the door 20 .
  • the air curtain refers to a means for blocking external air flow from penetrating into the door 20 .
  • an air curtain may be defined as an air curtain or a boundary area in which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oor 20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is separated from the air flow to the outside.
  • the air curtain form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oor 20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can suppress external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door 20 .
  • the heating cooking device Since the heating cooking device is disposed below the cooking device, heat generated when the heating cooking device is used and oil vapor generated from food to be cooked rise and penetrate the cooking device.
  •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to the cooking appliance may damage parts of the door 20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Particularly, parts in which the display unit 110, circuits related to its operation, and small intestines are embedded may be vulnerable to heat.
  • oil vapor delivered from the cooked food may be attached to the door 20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 the oil vapo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to deteriorate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unit 110, and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other components mounted on the door 20 to damage these components.
  • the air flow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provided in the door 20 forms an air curtain and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Heat and oil vapor rising from the heating cooking apparatus may be effectively blocked by the air curtain.
  • the air guide 140 may include an inlet 141 and a mounting hole 142 .
  • the inlet 141 may be disposed above the air guide 140,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 and include at least one.
  • the inlet 14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21 provided on the top of the outer panel 120 . Accordingly, outside air may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1 of the outer panel 120 and be introduced into the door 20 through the inlet 141 .
  • a mounting hole 142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let 141 in the air guide 140, and the blower 150 can be mounted thereto.
  • the mounting hole 142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air guide 14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oor 20 .
  • the air may flow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air guide 140 through the inlet 141 and change direction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air guide 140 through the mounting hole 142 to flow.
  • the blowing device 150 may include a casing 151 and a blowing fan 152 .
  • the casing 151 is disposed in the mounting hole 142, a hollow is formed, and a blowing fan 152 may be mounted in the hollow.
  • the blowing fan 15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sing 151 and can flow air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air guide 140 .
  • the blowing fan 152 may receive electricity and rotate to allow air to flow inside the door 20 .
  • the mounting hole 142 of the air guide 14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sing 151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rea, and shape of the hollow where the blowing fan 152 is disposed.
  • FIG. 7 the flow of air inside the doo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 the flow of air is indicated by an arrow.
  • the air forcedly flowing by the blowing fan 152 may have the following flow path in detail.
  •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door 2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1 of the outer panel 120 and the inlet 141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Air introduced into the door 20 may flow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door 20 and be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152 .
  • Air may pass through the blowing fan 15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door 20 . At this time, the air may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142 of the air guide 140 while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152 .
  •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 the blowing fan 152 may be chang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20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hole 142 may branch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air guide 140 .
  • Some of the branched air may flow upward through the door 20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 Another part of the branched air may flow downward through the door 20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 .
  • Air diverged from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may cover the entire door 20 .
  • the branched air may particularly c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door 20 . Due to this structu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123 and the second outlet 124 forms an air curtain on the door 20, so that the heat and oil vapor generated from the heating cook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cooking appliance Penetration into the door 20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oor 20 may flow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door 20 .
  • air may flow in the entire space form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outer panel 120 .
  • the air flowing inside the door 20 can cool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and effectively cool the outer panel 120 and other components mounted on other parts of the door 20 .
  • the outer panel 120 may include parts that generate heat, such as a speaker 260, a microphone 270, a communication unit 280, and a control board 290. These heating components may be disposed throughout the outer panel 120 . Accordingly, these heat-generating components can be effectively cooled while air flows throughout the entire inside of the outer panel 120 .
  • the first through hole 12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the inlet 14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blowing fan 152 rotates,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guide 14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1 and the inlet 141, and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panel 130 and the air guide 140 is reduced. It can flow toward the blower 150 through.
  • Air may flow toward the blowing fan 152 of the blowing device 150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ame 160 . Air may pass through the blowing fan 152 and hi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disposed to face the blowing fan 152 to cool the display unit 110 .
  • Air direct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unit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anel 120 .
  • Air dir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anel 120 .
  • the air flowing inside the door 2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23 and cool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
  • the air flowing inside the door 20 can effectively cool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heating component mounted inside the door 20 .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 FIG. 13 is a view of FIG. 1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160 and the choke member 17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15 is a view of FIG. 14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the mounting hole 14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ir guide 140 .
  • the casing 151 has a hollow having a position,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 142, and a blowing fan 152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 the casing 151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air guide 140 by being plac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hollow and the mounting hole 142 of the air guide 140 .
  • a hollow 130a may be formed in the inner panel 130 . Since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is blocked by the frame 160 ,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1 may not leak through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 Accordingly, the inner panel 130 and the frame 160 may together form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cooling the inside of the door 20 flows.
  • the door 20 may include a latch 250 mounted on a side of the frame 160 and having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ame 160 .
  • the latch 25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caught in a groove formed in the front panel 12 of the door 20 .
  • the latch 250 can stably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20 .
  • the air guide 140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140a where the inlet 141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140b where the blower 150 is disposed.
  • the lower part 140b may be general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part 140a of the air guide 140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part 140b.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141 may also be increased. Accordingly, in the air guide 140, the inlet 14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expanded so that outside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air guide 140.
  • the lower portion 140b of the air guide 140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portion 140a, but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 140b of the air guide 140.
  • the air flow sp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140b may be expanded toward the frame 160 by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
  • the lower part 140b of the air guide 140 may also have a shape in which the air flow space is expanded by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
  • the lower part 140b of the air guide 140 corresponding to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is formed with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part 140a of the air guide 140, the inner panel ( The flow space of the lower part 140b of the air guide 140 may be extended to the frame 160 by the hollow 130a of the 130 .
  •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upper portion 140a and the lower portion 140b of the air guide 140 may both have an expanded shape. Therefor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air guide 140 and the inner panel 130 are combined, the air flow space formed by their combination is sufficiently wide, and the air is smoothl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panel 130 ( It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blower 150 mounted on 140b).
  • the space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150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140b of the air guide 140 can be expanded. there is. At this tim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150 may pass through the hollow 1201 of the outer panel 12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110 to cool the display unit 110 .
  • the door 20 has a slim structure as a whole and can increase the flow rate of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so tha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door 20 can be improved.
  • the frame 160 may include a sink 161 formed at an edge to trap and extinguish electromagnetic waves.
  • the sink part 161 may be provided to be covered by the choke member 170 .
  • the choke member 17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groove 171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ink part 161 .
  • the sink part 16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arts 1611 and a plurality of recessed parts 1612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160 .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611 and the depression 1612 may be covered by the choke member 170 .
  •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ing from the cavity 11 may be collected in the sink part 161 having a structure in which protrusions 1611 and depressions 1612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electromagnetic waves are propagated to the outside by the choke member 170. It is blocked and can disappear in the sink part 161.
  • the accommodating groove 171 formed in the choke member 170 needs to be provided to completely cover the sink part 161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collected in the sink part 161 do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sink part 161 .
  • the receiving groove 171 is formed by bending the outer and inner portions of the choke member 170 toward the sink portion 161, and the protruding portion 1611 and the recessed portion 1612 ar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esignated direction.
  • the choke member 170 can completely cover the sink unit 161 to prevent electromagnetic waves collected in the sink unit 161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sink unit 161 .
  •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cavity 11 are propaga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by the sink part 161 provided in the frame 160 and the choke member 170 provided to cover the sink part 161.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anel 130 and the air guide 140 are coupled.
  • FIG. 1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section L in FIG. 16;
  • FIG. 18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17 .
  • FIG. 18B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B of FIG. 17 .
  • FIG. 1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section M in FIG. 16;
  • FIG. 2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section N in FIG. 16 .
  • an air guide 14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inner panel 130, and a frame 160 may be disposed in the rear of the inner panel 130.
  • a hollow may be formed in the inner panel 130 .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guide 140 through the inlet 141 can flow in the passage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air guide 140, the hollow inner panel 130, and the frame 160 with each other. there is.
  • the door 20 may have a slim shape as a whole.
  • the space in which the air flows inside the door 20 needs to be expanded as much as possible.
  • a hollow is formed in the inner panel 130 , and thus the passage space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ver the air guide 140 , the inner panel 130 and the frame 160 . Due to this structure, a passage space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41 inside the door 20 can be formed relatively large despite the slim shape of the door 20 .
  • the frame 160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edge,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on the surface facing the air guide 140, and expands a space in which air flowing into the air guide 140 flows. (163) may be included.
  • the expansion part 163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edge of the frame 160,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on the surface facing the air guide 140, and expands a space in which air flowing into the air guide 140 flows. can play a role
  • the expansion part 163 Since the expansion part 163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on the surface facing the air guide 140, the volume of the passage space can be expanded by the amount of the depression. Air can flow smoothly in the passage spac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141 of the air guide 140 by the expansion part 163 .
  • the passage space may be provided to directly interlock with the mounting hole 142 of the air guide 140 . Therefore, air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air guide 140 through the mounting hole 142 from the sufficiently wide passage space.
  • the expansion part 163 is provided to form a closed curve at a portion adjacent to an edge of the frame 160 and may include a first piece 1631 and a second piece 1632 .
  • the first piece 1631 may be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60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rame 160 .
  • the second pieces 1632 are provided as a pair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first pieces 1631 and may be dispos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16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width and depth of the expansion part 163 increase, the passage space widens, and air flow inside the door 20 can be smoothed. However, if the width and depth of the expansion part 163 are excessively large, the actual volume of the cavity 11 may decrease when the door 20 is closed, and the door 20 may become thick instead of slim. Considering this point, the width and depth of the expansion part 163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 an inlet space 20-1 and an outlet space 20-2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in the door 20.
  • the inlet space 20 - 1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door 20 and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inner panel 130 and the expansion part 163 of the frame 160 .
  • the inlet space 20-1 may be expanded by the expansion unit 163.
  • the outlet space 20-2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inner panel 130 and the air guide 140. Since the hollow 130a is formed in the inner panel 130, when the inner panel 130 and the air guide 140 are coupled, the outlet space 20-2 is expanded by the hollow 130a of the inner panel 130. can
  • the inlet 141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space 20-1.
  • the inlet space 20-1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space 20-2.
  • the outlet space 20 - 2 may communicate with the blowing fan 152 .
  • the inlet space 20-1 and the outlet space 20-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1 flows into the inlet space 20-2. 1) and the outlet space 20-2 to flow to the blowing fan 152.
  • the inlet space 20-1 and the outlet space 20-2 are expanded so that air flow inside the door 20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door 20 having a slim structure while air flows smoothly inside.
  • the frame 160 extends from the end of the expansion part 163 and contacts one surface of the inner panel 130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guide 140 It may include a sealing part 164 that blocks air from leaking through a gap between the frame 160 and the inner panel 130 .
  • the sealing part 164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frame 160 and may be provid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contacts one surface of the inner panel 130 . Accordingly, a gap that may occur between the frame 160 and the inner panel 130 in the passage space including the expansion part 163 may be blocked.
  • the protruding part 1611 of the sink part 161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sealing part 164 . Accordingly, the sealing portion 164 and the sink portion 161 may be integrally formed by extending the protruding portion 1611 of the sink portion 161 to the end of the sealing portion 164 . Of course, a depression 1612 may b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sions 1611 .
  • the protrusion 1611 may include a first part 1611a and a second part 1611b.
  • the first part 1611a may be bent from the sealing portion 164 and may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rt 1611a contacts the inner panel 130 .
  • the second part 1611b may be formed to be bent from the first part 1611a.
  • the first part 1611a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anel 130 and assist the sealing part 164 in its role. That is, the first part 1611a contacts the inner panel 130 to partially block the gap between the frame 160 and the inner panel 130 to prevent air from leaking out of the door 20 from the gap. can be partially supp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및 냉각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는,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냉각유로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조리기기는 전자기파의 일종인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놓여 조리되는 공간인 캐비티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로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10-2008-0070408에 개시된다.
조리기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조리기기의 효율적인 사용, 설치공간의 절약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 예를 들어, 가열식 오븐, 가스레인지 등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를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하면, 사용자는 조리기기와 가열조리장치가 인접한 환경에서 움직임을 줄여 편리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를 후드로 사용하여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은 조리기기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조리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다른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가전기기의 허브역할을 하는 경우, 음식물의 조리 이외의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터치방식으로 조리에 필요한 명령, 기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와 기타 도어에 장착된 부품에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이 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열기, 유증기 등에 의해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기타 도어에 장착된 부품이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도어 내부 부품의 냉각을 위해, 도어에는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유동 경로가 형성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는 도어에 구비되는 송풍장치에 의해 에어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도어 내부를 강제유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와 디자인의 고급화를 위해, 조리기기의 도어는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슬림한 구조로 인해, 도어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원활하게 도어 내부를 유동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슬림한 형태를 가지는 도어 내부에서 공기의 유로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측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이 도어에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모듈의 냉각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외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도어에 열기, 유증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디스플레이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구조와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차폐구조가 형성된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공간이 확장된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송풍팬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에어가이드의 유입구를 통해 도어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를 통해 도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아우터패널의 제1통공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유입구로부터 도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송풍팬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을 도어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송풍팬을 통과하면서 에어가이드의 장착홀을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에서 유동방향이 도어의 상하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장착홀의 전방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장착홀을 통과한 공기는 에어가이드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일부는 도어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서 분기되는 공기는 도어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분기된 공기는 특히 도어 전면 부위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도어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및 냉각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는,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냉각유로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냉각유로부 내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도어는,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아우터패널, 아우터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이너패널, 아우터패널과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이너패널에 결합하는 에어가이드, 에어가이드에 장착되는 송풍장치, 및 이너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너패널에 결합하고, 일측부가 본체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에어가이드를 바라보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에어가이드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는,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확장부는, 길이방향이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프레임의 양측부위에 서로 이격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피스, 및 한 쌍의 제1피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확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너패널의 일면과 접촉하여 에어가이드로 유입되는 공기가 프레임과 이너패널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고, 프레임에 결합하고,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외부방출을 차단하는 초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전자기파를 가두어 소멸시키는 싱크부를 포함하고, 초크부재는 싱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부는, 복수의 돌출부와 복수의 함몰부가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용홈은, 초크부재의 외측부 및 내측부가 싱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돌출부와 함몰부가 배열된 방향과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싱크부의 돌출부는 실링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는, 실링부로부터 절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이너패널과 접촉하는 제1파트, 및 제1파트로부터 절곡되는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아우터패널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아우터패널에 장착시키는 배플, 및 배플의 전방에 배치되고, 배플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프런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아우터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하부상태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배플 및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프레임에 장착되고, 캐비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캐비티를 촬영하는 제3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배플 및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제2카메라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휴먼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아우터패널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는 스피커, 아우터패널의 상측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 및 아우터패널에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조리기기에서의 조리상황을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다른 가전기기의 허브역할을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를 통해 도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각종의 전자부품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오염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디스플레이부 전면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 후면과 도어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전자기파의 차폐구조를 모두 가지는 도어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및 차폐구조는 서로 결합하여 도어를 전체적으로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에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및 차폐구조를 모두 형성하더라도 도어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확장부는 에어가이드를 바라보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함몰부위만큼 유로공간의 체적을 확장할 수 있다. 확장부에 의해 에어가이드의 유입구와 직접 연결되는 유로공간에서 공기는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유입구에서 에어가이드의 상하방향인 공기의 유동방향이 장착홀에서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으로 변경되더라도, 공기의 유로공간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공기는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부가 구비된 구조로 인해, 도어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공간이 확장되고 따라서 도어에서의 공기 흡입량과 토출량이 증가하여,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전장부품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실링부는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너패널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를 포함한 유로공간에서 프레임과 이너패널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인해, 틈새로부터 공기가 도어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도어 외부로 유출이 억제되어, 설계된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강제유동 공기에 의한 도어의 냉각효과와 에어커튼 형성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와 아우터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패널과 에어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초크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이너패널과 에어가이드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L부분을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18a는 도 17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8b는 도 17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6에서 M부분을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서 N부분을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조리기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 예를 들어, 가열식 오븐, 가스레인지 등이 배치된 위치의 상측에 상기 가열조리장치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의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포함한 조리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는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의 후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리기기는 후드로 사용되기 위한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전자기파의 일종인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캐비티(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캐비티(11)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놓일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11)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캐비티(11)에서 발생하는 습기, 유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벤트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벤트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본체(10) 하부에는 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자신의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후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캐비티(11)의 입구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20)가 닫힌 경우에 일면이 초크부재(17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11)를 폐쇄하는 전면패널(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은 캐비티(11)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소정의 폭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히면, 상기 도어(20)의 가장자리 부위와 캐비티(11)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면패널(12)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1)를 실링하여 캐비티(11)에 놓인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습기, 유증기 등이 캐비티(11)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어(20)의 배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어(20)는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및 차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도어(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통해 조리기기의 캐비티(11)의 내부를 볼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유로부(22)를 통해 도어(20) 내부를 유동하여 도어(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차폐부(23)는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23)는 캐비티(11)에서 발생하여 조리기기 외부로 전파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23)는 본체(10) 내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전자기파(마이크로웨이브)가 도어(2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여 도어(20) 내부에 장착된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도어(20)을 냉각하는 공기가 내부에 유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박형으로 형성되고 그 면적이 도어(20)의 일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도어(20)의 전면부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면적이 커지므로 사용자에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형의 화면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형화되므로 발열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냉각공기가 유동하는 냉각유로부(22)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방에 배치되어 냉각공기가 유동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는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1)에 장착되는 발열부품도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즉,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부(110) 기타 각종 발열부품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냉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 전체가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유로부(22)를 통과하여 도어(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냉각유로부(22) 내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냉각공기가 냉각유로부(22) 내부에서 분기되어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냉각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 전체와 접촉하면서 유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가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배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및 도어(20)의 주위에 에어커튼을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에는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 기타 전장부품이 구비되고, 냉각유로부(22)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장치(150)와 같은 전장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전장부품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냉각유로부(22) 후방에는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디스플레이부(110)와 각종의 전장부품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된 냉각유로부(22)가 배치되고,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모듈(21)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에 전자기파가 도달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21)은 조리기기의 전면부 즉, 도어(20)의 최전방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모듈(2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 등의 부품이 효과적으로 냉각되고, 디스플레이부(110) 등이 구비되는 도어(20) 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동시에 도어(20)의 주위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냉각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또한 도어(20)에 장착되는 전장부품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모듈(21)은 도어(20)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되고, 차폐부(23)는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도어(20)는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차폐부(23)가 도어(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공기가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배출구(123)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배출구(124)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도어(2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차폐부(23)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구조로 구현된 도어(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1배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124)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공기는 도어(20) 내부 전체를 유동하여 도어(20) 전체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0), 아우터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조리에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인식 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다른 가전기기, 그리고 현관문에 구비되는 카메라, 잠금장치 등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필요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가전기기의 작동, 외부인의 방문, 기타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고, 디스플레이부(110)를 사용하여 가전기기, 기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와 연결되는 장치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도어(20)는 사용자에게 생활에 필요한 가전기기, 기타 장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러한 장치들에게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종의 사물인터넷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대체로 중공(1201)을 가지고 도어(2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패널(1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팬(152)을 통과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의 발열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전술한 구조를 가지므로 내장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내장공간에 각종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도어(20)의 전후방 방향의 폭은 거의 아우터패널(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상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12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제1통공(121)은 복수의 슬릿형상의 홀들이 거리를 두고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통공(121)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다소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일 측부에는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하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손잡이(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2)는 예를 들어 아우터패널(120)의 측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일 측부,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122)가 형성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버튼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장치(300)를 조작하여 조리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전기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의 작동에 관한 세부적인 조작은 디스플레이부(110)에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아우터패널(120)은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의 각종 부품을 지지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패널(130)에는 후술하는 에어가이드(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에어가이드(140)와 함께 도어(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어(20)에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재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캐비티(11) 내부 또는 조리기기 하부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제1카메라(210), 제2카메라(220), 제3카메라(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0)의 하부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시선방향이 조리기기의 하부로 향하도록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의해, 상기 가열조리장치의 상태와 가열조리장치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20)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조리기기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후술하는 배플(190) 및 프런트커버(200)를 관통하여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카메라(220)에 의해 촬영되어 기록된 조리기기의 전방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제2카메라(220)는 조리기기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현관문 밖 기타 원격지에 있는 다른 사람과 영상통화를 하는데 상기 제2카메라(220)가 이용될 수 있다.
제3카메라(230)는 후술하는 프레임(160)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티(11)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11)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제3카메라(230)의 시선은 상기 캐비티(11)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캐비티(11)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캐비티(11)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190) 및 상기 프런트커버(200)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카메라(2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휴먼감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먼감지부(24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인식, 동작 인식 방식 등으로 도어(20)의 전방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휴먼감지부(240)를 통해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에 필요한 조리기기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도어(20냉각유로부(22)는 이너패널(130), 에어가이드(140), 송풍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패널(130)에는 후술하는 에어가이드(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에어가이드(140)와 함께 도어(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패널(130)는 에어가이드(140)가 장착되고, 프레임(160)과 결합되어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과 상기 이너패널(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13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40)는 외부로부터 도어(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고,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상기 에어가이드(140)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에어가이드(140)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차폐부(23)는 프레임(160). 초크부재(170), 배플(190), 프런트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상기 이너패널(1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130)에 결합하고, 일측부가 상기 본체(1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160)이 회전하면서 도어(20)가 회전하여 조리기기의 캐비티(11)를 개폐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이너패널(130)과 결합하여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자기파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구조 즉, 초크부재(170)를 가지고, 도어(20)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초크부재(170)는 상기 프레임(16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60)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외부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초크부재(170)는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60)의 가장자리 부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배플(190), 프런트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플(19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패널(120)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배플(190)은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젤(bezel)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런트커버(200)는 상기 배플(19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19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200)는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와 배플(190)을 아우터패널(12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1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120)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110)와 아우터패널(1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음성, 알람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260)는 도어(2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도어(20)가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기 위한 일체의 음성, 알람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270)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상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폰(270)을 통해 조리기기를 조작하는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잇다. 또한, 마이크로폰(270)은 도어(20)가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기 위한 역할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상기 스피커(260) 및 상기 마이크로폰(270)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는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므로, 도어(20)에 구비되는 통신부(28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28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통신부(280)는 서로 다른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80)는 무선통신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통신부(280)는 지그비통신장치, 와이파이통신장치, 제트웨이브통신장치 또는 블루투스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통신부(280)의 통신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부(280)는 유선통신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아우터패널(120)에는 조리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보드(290)에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에는 홀더(120a), 개방홀(120b), 제1관통구(120c), 제2관통구(120d), 장착가이드(120e), 끼움돌기(120f)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120a)는 스피커(26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더(120a)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스피커(260)의 원형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피커(260)는 홀더(120a)에 장착되어 아우터패널(120)에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홀더(120a)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한 쌍의 스피커(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120b)은 아우터패널(120)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개방홀(120b)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홀(120b)을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하측을 바라볼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상기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스피커(260)가 배치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스피커(26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동시에 스피커(2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매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제1관통구(120c)를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외부와 연통되어, 사용자에게 알람, 기타 음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2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제1관통구(120c)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한 쌍의 스피커(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120d)는 아우터패널(120)의 일측부의 하부에 아우터패널(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120d)를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버튼장치(300)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우터패널(120)의 노출된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버튼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형성되어 복수의 통신부(28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가이드(120e)는 복수의 통신부(28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통신부(280)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80)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형성을 가진 돌출부위가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가이드(120e) 각각은 복수의 통신부(280) 각각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끼움돌기(120f)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120f)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120f)에는 제어보드(290)가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돌기(120f)는 판형의 제어보드(290)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보드(290)는 모서리가 끼움돌기(120f)에 끼워져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보드(290)의 모서리가 끼워지도록, 끼움돌기(120f)에는 제어보드(29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끼워맞춤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120)은 상부에 상기 제1배출구(123)가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제2배출구(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아우터패널(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124)는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도어(20)가 조립되면,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는 배플(190)과 프런트커버(200)에 의해 일부가 막힐 수 있다. 이때, 배플(190)에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고, 제2배출구(124)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장치(150)에 의해 도어(20)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의 하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커튼은 외부의 공기유동이 도어(2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배출구(123) 및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외부의 공기유동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 또는 경계구역을 에어커튼이라 할 수 있다.
제1배출구(123) 및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은 외부공기가 도어(20)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하부에 가열조리장치가 배치되므로, 상기 가열조리장치의 사용시 발생하는 열기,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는 상승하여 조리기기에 침투할 수 있다.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조리기기로 전달되는 열기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20)의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와 이의 작동에 관계되는 회로, 소장 등이 내장되는 부품은 열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조리되는 음식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증기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20)에 부착될 수 있다. 유증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기타 도어(20)에 장착되는 부품의 표면에 부착되어 이러한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0)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상기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도어(2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각종의 전자부품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40)는 유입구(141)와 장착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41)는 에어가이드(1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41)는 아우터패널(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통공(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제1통공(121)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에서 상기 유입구(1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장치(15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를 도어(20)의 전후방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유입구(141)를 통해 에어가이드(14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고, 다시 장착홀(142)을 통해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방향이 변경되어 유동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케이싱(151)과 송풍팬(15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장착홀(142)에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송풍팬(152)이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152)은 상기 케이싱(15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은 전기를 인가받아 회전하여 도어(20)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는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은 케이싱(151)의 중앙에 형성되어 송풍팬(152)이 배치되는 중공의 위치, 면적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도어(20)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공기의 유동을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송풍팬(152)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에어가이드(140)의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52)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제1통공(121)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유입구(141)로부터 도어(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도어(20)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송풍팬(152)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송풍팬(152)을 상기 도어(20)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송풍팬(152)을 통과하면서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을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152)에서 유동방향이 도어(20)의 상하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장착홀(142)의 전방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장착홀(14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40)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배출구(123)로 배출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배출구(124)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서 분기되는 공기는 도어(20)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분기된 공기는 특히 도어(20) 전면 부위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도어(20)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배출구(1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공기의 도어(20) 내부 유동구조로 인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20) 내부 전체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과 아우터패널(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전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면 전체를 냉각하고, 아우터패널(120) 기타 도어(20)의 다른 부분에 장착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아우터패널(120)에는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 발열되는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품은 아우터패널(120) 전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아우터패널(120) 내부 전체를 유동하면서 이러한 발열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과 유입구(141)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송풍팬(152)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제1통공(121)과 유입구(141)을 통해 에어가이드(140) 내부로 유입되어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송풍장치(15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프레임(1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송풍장치(150)의 송풍팬(152)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152)을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15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혀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를 통과한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힌 후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유동이 분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으로 향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에 상측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123)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하측으로 향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에 하측에 구비되는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면서, 디스플레이부(110) 전면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면과 도어(20)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60)과 초크부재(17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장착홀(142)에 대응하는 위치, 크기 및 형상의 중공을 가지고 상기 중공에는 송풍팬(152)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중공과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에 중공(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은 프레임(160)에 막히므로,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으로 새어나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너패널(130)과 프레임(160)은 함께 도어(20) 내부를 냉각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프레임(160)의 측부에 장착되고, 일부가 상기 프레임(16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래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250)는 도어(20)의 전면패널(12)에 형성되는 홈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250)는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유입구(141)가 형성되는 상측부(140a)와 송풍장치(150)가 배치되는 하측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이 결합되면 하측부(140b)는 대체로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의 상부에서 에어가이드(140)를 내려다 보았을 경우에,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의 단면적은 하측부(140b)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부(140a)의 단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유입구(141)의 단면적도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14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1)가 확장되어 외부공기가 에어가이드(14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는 단면적이 상측부(140a)에 비해 작지만,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에는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이 대응되므로, 하측부(140b)에 대응되는 부위의 공기의 유동공간은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프레임(160)을 향하여 확장될 수 있다. 결국,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도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공기의 유동공간이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대응하는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가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가 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되지만,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의 유동공간은 프레임(160)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에 의해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와 하측부(140b)는 그 단면적이 모두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이 결합된 구조에서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공간은 충분히 넓고, 공기는 외부로부터 원활하게 유입되고 또한 이너패널(130)의 하측부(140b)에 장착되는 송풍장치(15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의 단면적이 감소함으로 인해, 반대로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에서 송풍장치(15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은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50)를 통과한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부(110)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가지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도어(2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프레임(160)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전자기파를 가두어 소멸시키는 싱크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싱크부(161)는 초크부재(170)에 의해 덮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초크부재(170)는 상기 싱크부(16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수용홈(171)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부(161)는 복수의 돌출부(1611)와 복수의 함몰부(1612)가 상기 프레임(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611)와 상기 함몰부(1612)는 초크부재(17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돌출부(1611)와 함몰부(1612)가 교대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 싱크부(161)에는 캐비티(11)로부터 전파되는 전자기파가 모일 수 있고, 전자기파는 초크부재(170)에 의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싱크부(161)에서 소멸될 수 있다.
초크부재(170)에 형성되는 수용홈(171)은 상기 싱크부(161)를 전부 덮어 싱크부(161)에 모인 전자기파가 싱크부(161)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71)은 상기 초크부재(170)의 외측부 및 내측부가 상기 싱크부(161)를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돌출부(1611)와 상기 함몰부(1612)가 배열된 방향과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초크부재(170)는 싱크부(161)를 전부 덮어 싱크부(161)에 모인 전자기파가 싱크부(161)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레임(160)에 구비된 싱크부(161)와 싱크부(161)를 덮도록 구비되는 초크부재(170)에 의해, 캐비티(11)에서 발생한 전자기파는 본체(10) 외부로 전파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해한 전자기파에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20)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전자기파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6은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L부분을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18a는 도 17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8b는 도 17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6에서 M부분을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서 N부분을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17, 도 19, 도 20을 참조하면, 이너패널(130)의 전방에는 에어가이드(140)가 배치되고, 이너패널(130)의 후방에는 프레임(16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41)를 통해 에어가이드(1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40), 중공을 가진 이너패널(130) 및 프레임(160)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유로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와 디자인의 고급화를 위해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슬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되도록 많은 양의 공기의 도어(20) 내부를 원활하기 위해, 도어(20) 내부의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은 되도록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너패널(130)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따라서 전술한 상기 유로공간은 에어가이드(140), 이너패널(130) 및 프레임(16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20) 내부에 유입구(141)와 직접 연통되는 유로공간은 도어(20)의 슬림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60)은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40)를 바라보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40)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163)는 프레임(16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에어가이드(140)를 바라보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에어가이드(140)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63)는 에어가이드(140)를 바라보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함몰 부위만큼 상기 유로공간의 체적을 확장할 수 있다. 확장부(163)에 의해 에어가이드(140)의 유입구(141)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유로공간에서 공기는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공간은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과 직접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히 넓은 상기 유로공간으로부터 장착홀(142)을 통해 공기가 에어가이드(14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유입구(141)에서 에어가이드(140)의 상하방향인 공기의 유동방향이 장착홀(142)에서 에어가이드(140)의 전후방향으로 변경되더라도, 공기의 유로공간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공기는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부(163)는 상기 프레임(16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제1피스(1631)와 제2피스(1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1631)는 길이방향이 상기 프레임(16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60)의 양측부위에 서로 이격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피스(1632)는 한 쌍의 상기 제1피스(1631)의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프레임(160)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163)의 폭과 깊이가 클수록 상기 유로공간이 넓어져, 도어(20) 내부의 공기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그러나, 확장부(163)의 폭과 깊이가 과도하게 클 경우, 도어(20)가 닫힌 경우에 캐비티(11)의 실질적인 체적이 줄어들 수 있고, 도어(20)가 슬림하지 않고 두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확장부(163)의 폭과 깊이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19와 도 20를 참조하면, 도어(20)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인렛공간(20-1)과 아웃렛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공간(20-1)은 공기가 도어(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간으로 이너패널(130)과 프레임(160)의 확장부(163)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63)에 의해 인렛공간(20-1)은 확장될 수 있다.
아웃렛공간(20-2)은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에는 중공(130a)이 형성되므로,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가 결합하면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아웃렛공간(20-2)은 확장될 수 있다.
유입구(141)는 인렛공간(20-1)과 연통될 수 있다. 인렛공간(20-1)은 아웃렛공간(20-2)과 연통될 수 있다. 아웃렛공간(20-2)은 송풍팬(152)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와 도 20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공간(20-1)과 아웃렛공간(20-2)은 서로 연통되고,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인렛공간(20-1)과 아웃렛공간(20-2)을 거쳐 송풍팬(15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확장부(163)에 의해 인렛공간(20-1)이 확장되고,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아웃렛공간(20-2)이 확장되므로, 공기유동이 이러한 확장된 공간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어(20)가 전체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인렛공간(20-1)과 아웃렛공간(20-2)이 확장되어 도어(20) 내부에서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부에서 원활하게 공기가 유동하면서 슬림한 구조를 가진 도어(20)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프레임(160)은 상기 확장부(163)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너패널(130)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에어가이드(140)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프레임(160)과 상기 이너패널(130)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64)는 상기 프레임(1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너패널(130)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63)를 포함한 상기 유로공간에서 프레임(160)과 이너패널(130)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틈새로부터 공기가 도어(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도어(20) 외부로 유출이 억제되어, 설계된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강제유동 공기에 의한 도어(20)의 냉각효과와 에어커튼 형성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싱크부(161)의 상기 돌출부(1611)는 상기 실링부(164)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164)의 단부에 싱크부(161)의 돌출부(1611)를 연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링부(164)와 싱크부(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1611) 사이에는 함몰부(16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611)는 제1파트(1611a)와 제2파트(16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611a)는 상기 실링부(164)로부터 절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너패널(130)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파트(1611b)는 상기 제1파트(1611a)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파트(1611a)는 상기 이너패널(130)과 접촉하여, 상기 실링부(164)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제1파트(1611a)는 이너패널(130)과 접촉하여 프레임(160)과 이너패널(130) 사이의 틈새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틈새로부터 공기가 도어(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1.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및
    상기 냉각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아우터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부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이너패널;
    상기 아우터패널과 상기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에 결합하는 에어가이드; 및
    상기 에어가이드에 장착되는 송풍장치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이너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에 결합하고, 일측부가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외부방출을 차단하는 초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를 바라보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장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위에 서로 이격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피스; 및
    한 쌍의 상기 제1피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피스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확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너패널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에어가이드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이너패널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전자기파를 가두어 소멸시키는 싱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크부재는 상기 싱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부는,
    복수의 돌출부와 복수의 함몰부가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초크부재의 외측부 및 내측부가 상기 싱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가 배열된 방향과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부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링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링부로부터 절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너패널과 접촉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로부터 절곡되는 제2파트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패널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시키는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프런트커버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상태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 및 상기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를 촬영하는 제3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 및 상기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카메라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휴먼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는 스피커;
    상기 아우터패널의 상측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아우터패널에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로폰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냉각유로부 내부에서 분기되는,
    조리기기.
PCT/KR2022/007167 2021-10-28 2022-05-19 조리기기 WO20230750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6027 2021-10-28
KR10-2021-0146027 2021-10-28
KR1020220013985A KR20230061217A (ko) 2021-10-28 2022-02-03 조리기기
KR10-2022-0013985 2022-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053A1 true WO2023075053A1 (ko) 2023-05-04

Family

ID=8389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167 WO2023075053A1 (ko) 2021-10-28 2022-05-1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3553A1 (ko)
EP (1) EP4174382A1 (ko)
WO (1) WO202307505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678A (ko) * 2001-02-22 2002-08-28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도어의 전파 차폐구조
KR20040016352A (ko) * 2002-08-15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50099797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KR100807384B1 (ko) *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CN101684948A (zh) * 2008-09-23 2010-03-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冷却结构的微波炉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49B1 (ko) * 2005-12-21 2006-09-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도어 냉각용 전자레인지
KR100851640B1 (ko) 2007-01-26 200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
DE102010062579A1 (de) * 2010-12-08 2012-06-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ackofen sowie Backofentür
SI25366A (sl) * 2017-02-01 2018-08-31 Gorenje Gospodinjski Aparati, D.D. Vrata multifunkcijske pečice in/ali mikrovalovne pečice
WO2019235003A1 (ja) * 2018-06-07 2019-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WO2021141080A1 (ja) * 2020-01-09 2021-07-15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210115872A (ko) * 2020-03-16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678A (ko) * 2001-02-22 2002-08-28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도어의 전파 차폐구조
KR20040016352A (ko) * 2002-08-15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50099797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KR100807384B1 (ko) *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CN101684948A (zh) * 2008-09-23 2010-03-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冷却结构的微波炉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33553A1 (en) 2023-05-04
EP4174382A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1750A1 (ko) 냉장고
WO2018199478A1 (ko) 냉장고
AU2016346866B2 (en)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WO2017082603A1 (ko) 오븐 및 오븐의 도어 개폐 방법
WO2017007186A1 (ko) 오븐
WO2018174576A1 (ko) 냉장고
WO2010117142A2 (en) Air conditioner
WO201503041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116099A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WO2020145717A1 (ko) 조리기기
WO2017007188A1 (ko) 오븐
WO2019035570A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WO2020226463A1 (ko) 블렌더
WO202208093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075053A1 (ko) 조리기기
WO2017039194A1 (ko) 냉장고
WO2023075056A1 (ko) 조리기기
WO2023277318A1 (ko) 조리 기기
WO2022255608A1 (ko) 조리 기기
WO2024053908A1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39900A1 (ko) 후드 겸용 조리기기
WO2020226459A1 (ko) 블렌더
WO2024053891A1 (ko) 조리 기기
WO2023090845A1 (ko) 가전 기기
WO2024019370A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72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AU2022378098

Country of ref document: 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