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384B1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384B1
KR100807384B1 KR1020070008498A KR20070008498A KR100807384B1 KR 100807384 B1 KR100807384 B1 KR 100807384B1 KR 1020070008498 A KR1020070008498 A KR 1020070008498A KR 20070008498 A KR20070008498 A KR 20070008498A KR 100807384 B1 KR100807384 B1 KR 10080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y
air
cavity assembly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384B1/ko
Priority to US12/448,905 priority patent/US20100170895A1/en
Priority to CA2674286A priority patent/CA2674286C/en
Priority to PCT/KR2007/006580 priority patent/WO20080881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하여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의 유동시킨 다음에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하방에 구비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고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밴트팬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냉각팬어셈블리와 밴트팬어셈블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공기 및 연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밴트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인접공간의 효율적인 사용과 조리실의 내외부로의 음식물의 용이한 출납, 도어의 용이한 분리, 전장실 면적의 충분한 확보, 구성부품의 용이한 수리/교체, 디스플레이부의 손상 및 사용자의 부상방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공기유동시스템, 도어냉각유로, 핸들냉각유로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A air flow system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래치보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지지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에어베리어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밴트그릴 및 리드와이어캡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캐비티어셈블리에 밴트그릴 및 리드와이어캡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 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를 보인 정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서 도어를 캐비티어셈블리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지지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다른 도어지지장치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캠힌지를 보인 사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의 회동에 따른 캠힌지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캐비티어셈블리 111: 조리실
113: 흡입통공 115: 배출통공
121: 흡기부 123,124: 배기부
125: 단자개구 127: 서비스개구
129: 개폐브라켓 131: 도어지지브라켓
132: 고정리브 133: 힌지브라켓
134: 힌지홈 135: 체결플랜지
136: 체결공 137: 힌지커버
138: 힌지안착개구 139: 관통공
141: 스프링고정부 143: 스프링고정돌기
145: 래치슬롯 146: 래치보드
147: 구동레버 148: 래치스위치
149: 토션스프링 151: 연기유입구
153: 전장실 154: 마그네트론
155: 캐퍼시터 157: 연통개구
159: 냉각팬어셈블리 161: 에어베리어
162: 냉기공급개구 163: 가이드부
164: 부품설치부 165: 부품설치공
166: 밴트팬어셈블리 167,168: 에어가이드
169: 밴트유로 171,172: 에어덕트
173: 밴트그릴 174: 흡기유로
174A,174B: 흡기그릴 174C: 흡기개구
175,176: 배기유로 175A,176A: 배기구
175B,176B: 배기개구 177: 구획리브
178: 고정리브 178A: 관통공
179: 와이어인출개구 181: 리드와이어캡
182: 와이어인출공간 183: 걸림돌기
183: 손잡이리브 200: 도어
201: 도어냉각유로 210: 도어패널
211: 투시개구부 213: 디스플레이개구부
215: 간섭방지부 217: 흡기공
219: 배기공 220: 도어프레임
221: 쵸크 223: 다공부
225: 간섭방지부 227: 힌지플랜지
228: 힌지핀 229: 스프링고정핀
230: 쵸크커버 231: 투시개구부
233: 간섭방지부 235: 스프링안착부
237: 래치개구 240: 전면커버
250: 전면글래스 260: 디스플레이부
261: 메인인쇄회로기판 262: 표시장치
262A: 고정브라켓 263: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
265: 리플렉터 266: 버튼
267: 디스플레이커버 269: 디스플레이글래스
270: 도어핸들 271: 핸들냉각유로
281: 래치돌기 300: 가스스프링
310: 실린더 320: 피스톤로드
S: 스크류 W: 리드와이어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티어셈블리의 내외부를 유동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 및 히터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자레인지에는 가구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후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 및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전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조리실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전자레인지의 양측에 인접하는 공간에는 물품을 위치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그 회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의 내외부로 음식물을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가 임의로 회동하여 음식물의 출납이 방해받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구장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런데 전자레인지가 가구장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어셈블리는 가구장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전자레인지를 가구장으로부터 분리시켜야 되는 불편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에 후드 기능을 위한 유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에 상기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공간, 즉 전장실이 면적이 상기 유로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전장부품을 비롯한 각종 구성부품도 실질적으로 가구장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장부품 등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자레인지를 가구장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 움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손상을 입거나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하여 손으로 잡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를 위한 음식물의 출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장실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 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하여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의 유동시킨 다음에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하방에 구비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고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밴트팬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냉각팬어셈블리와 밴트팬어셈블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공기 및 연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밴트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의 상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에 의하여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냉각유로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어냉각유로를 유동하여 도어를 냉각시키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전달되는 공기가 배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냉각유도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그 양단이 고정되는 도어핸들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어냉각유로와 연통되는 핸들냉각유로를 유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냉각유로는 상기 흡기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도어의 양측 및 하부를 유동하여 상기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냉각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냉각유로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전자레인지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컨트롤부를 냉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는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제1에어덕트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흡입통공을 통하여 조리실의 내부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조리실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조리실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배출통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제2에어덕트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팬어셈블리는 상기 흡입통공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 전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과 상기 냉각팬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부분을 구획하는 에어베리어에 의하여 안내되어 전장부품을 냉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트팬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조리기의 연기는 상기 밴트팬어셈블리의 상면에 구비되는 한쌍의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밴트유로를 유동하여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과 상기 밴트유로를 구획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단을 향하여 상기 전장실의 면적은 증가되고 상기 밴트유로의 유동단면적은 감소되도록 양자를 구획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트그릴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비되는 간섭방지부에 의하여 도어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와의 간섭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트그릴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트그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유로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조리실을 순환한 공기를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기유로,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조리기의 연기를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기유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인접공간의 효율적인 사용과 조리실의 내외부로의 음식물의 용이한 출납, 도어의 용이한 분리, 전장실 면적의 충분한 확보, 구성부품의 용이한 수리/교체, 디스플레이부의 손상 및 사용자의 부상방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래치보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지지브라켓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에어베리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밴트그릴 및 리드와이어캡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캐비티어셈블리에 밴트그릴 및 리드와이어캡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이하에서는 '전자레인지'라 칭함)의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11)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111)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20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조리실(111)의 일측면과 상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흡입통공(113)(도 12c 참조)과 배출통공(115)(도 12c참조)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입통공(113)은 상기 조리실(111)의 도면상 우측면에 구비되어 조리실(11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통공(115)은 상기 흡입통공(113)으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상기 조리실(111)의 도면상 상면 좌측단부에 구비되어 조리실(111)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단에는 흡기부(121)와 배기부가 구비된다. 상기 흡기부(121)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단 일측단부, 도면상 우측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흡기부(121)는 도어(200)를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흡기부(121)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단 타측단부, 즉 도면상 좌측단부에 구비되는 제1배기부(123)와, 상기 흡기부(121)와 제1배기부(12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단 중앙부에 구비되는 제2배기부(1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배기부(123)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제2배기부(124)는 아래에서 설명할 밴트팬어셈블리(166)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하방에 구비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티어셈 블리(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 제1배기부(123)와 제2배기부(124)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단에는 한쌍의 단자개구(1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개구(125)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단자하우징(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단자하우징에는 도어(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60)로 전원 및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미도시)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흡기부(121)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도면상 우측단부에는 서비스개구(127)가 형성된다. 상기 서비스개구(127)는 아래에서 설명할 캐퍼시터(155)의 교체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개구(127)의 크기 및 형상은 캐퍼시터(155)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서비스개구(127)는 개폐브라켓(129)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개폐브라켓(129), 즉 실질적으로 상기 서비스개구(127)는 도어(200)가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서비스개구(127)는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한 상태에서 도어(200)의 이면과 밀착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양측단부 내측에는 도어지지브라켓(13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은 도어(200)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L자형상의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은 그 전면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양측단부 내측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의 이면에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리브(13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에는 힌지브라켓(133)과 힌지커버(13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33)는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의 전단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단 양측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33)은 대략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힌지브라켓(133)은 전자레인지가 상기 조리기의 상방에 구비되는 가구장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구장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 즉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공(136)이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양측면에는 힌지홈(134)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홈(134)은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양측면 상단 일부가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홈(13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힌지핀(228)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33)에는 체결플랜지(135)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135)는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바닥면 일부가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대략 ㄱ자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밴딩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체결플랜지(135)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브라켓(133)에 힌지커버(137)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136)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은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가구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힌지브라켓(133)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힌지커버(137)는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상단 양측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힌지커버(137)는 대략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커버(137)는 그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힌지홈(134)에 삽입된 힌지핀(228)이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커버(137)의 양측면 하단에는 각각 힌지안착개구(138)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안착개구(138)는 상기 힌지커버(137)의 양측면 하단 일부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힌지커버(137)의 회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힌지안착개구(138)에는 상기 힌지홈(134)에 삽입된 힌지핀(228)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힌지커버(137)가 하방으로 회동한 상태, 즉 상기 힌지안착개구(138)에 상기 힌지핀(228)이 삽입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힌지브라켓(133)은 힌지커버(137)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커버(137)의 내부에 상기 힌지브라켓(133)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양측면 상단이 상기 힌지커버(137)의 상면 내측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137)의 상면에는 관통공(139)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커버(137)의 관통공(139)을 관통한 스크류(S)가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힌지커버(137)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힌지홈(134)에 삽입된 힌지핀(228)의 탈거를 방지한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하는 것이 방 지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커버(137)의 관통공(139)은 힌지커버(137)가 하방으로 회동한 상태, 즉 상기 힌지커버(137)가 상기 힌지핀(228)의 탈거를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과 상하로 연통되도록 힌지커버(137)의 일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힌지커버(137)의 관통공(139)도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과 동일하게 가구장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힌지커버(137)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양측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고정부(141)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141)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스스프링(30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고정부(141)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지지브라켓(13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양측을 통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고정부(141)에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스프링고정돌기(14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하단 양측에는 래치슬롯(14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래치슬롯(145)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 하단 양측 일부가 대략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래치슬롯(145)은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돌기(281)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슬롯(145)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에는 래치보드(146)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보드(146)에는 구동레버(147)와 한쌍의 래치스위치(148), 그리고 한쌍의 토션스프링(149)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레버(147)는 상기 래치슬롯(145)에 삽입되는 래치돌기(281)가 임 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200)가 임의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구동레버(147)는 상기 래치슬롯(145)에 삽입되는 래치돌기(281)에 의하여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로 상향경사지게 이동하여 상기 래치스위치(148)를 온조작시키거나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로 하향경사지게 이동하여 상기 래치스위치(148)를 오프조작시킨다. 상기 래치스위치(148)는 상기 구동레버(147)에 의하여 온/오프조작되어 전자레인지의 동작, 즉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149)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래치보드(146)와 구동레버(147)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레버(147)가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구동레버(147)에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레버(147)는 래치돌기(281)가 상기 래치슬롯(145)으로부터 탈거되면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이동한다.
한편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저면에는 연기유입구(151)가 구비된다. 상기 연기유입구(151)는 상기 조리기의 연기가 밴트팬어셈블리(166)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곳이다. 상기 연기유입구(151)에는 상기 조리기의 연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부(12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 일측, 즉 도면상 우측에는 전장실(153)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53)에는 마그네트론(154)과 캐퍼시터(155)와 같은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전장부품 은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를 발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장실(153)의 바닥면 일측에는 연통개구(157)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개구(157)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를 상기 조리실(111)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기부(121)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 전단에는 냉각팬어셈블리(159)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팬어셈블리(159)는 실질적으로 도어(200)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 및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조리실(11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유분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냉각팬어셈블리(159)의 흡입부는 상기 흡기부(121)에 인접되고, 상기 냉각팬어셈블리(159)의 배출부는 상기 전장실(153), 즉 도면상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 전단과 상기 전장실(153) 사이에는 에어베리어(161)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베리어(161)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장부품과 냉각팬어셈블리(159)를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팬어셈블리(159)의 구동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전장부품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베리어(16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방형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베리어(161)에는 상기 냉각팬어셈블리(159)의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전장실(153)로 공급되는 공기공급개구(16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베리어(161)에는 상기 공기공급개구(162)를 통하여 상기 전장실(153)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전장실(153)에 설치되는 전장부품, 특히 상기 마그네트 론(154)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63)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공급개구(162)를 형성하기 위하여 장방형으로 절개된 상기 에어베리어(161)의 일부가 에어베리어(161)에 대하여 상기 마그네트론(154)을 향하여 공기가 안내되도록 밴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1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베리어(161)의 일측에는 부품설치부(164)가 구비된다. 상기 부품설치부(164)는 상기 에어베리어(161)의 일부가 에어베리어(161)의 나머지부분에 대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을 향하여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설치부(164)에는 부품설치공(165)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설치공(165)은 상기 서비스개구(127)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부품설치부(164)의 일부가 설치되는 부품, 즉 상기 캐퍼시터(155)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개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2배기부(124)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 후단에는 밴트팬어셈블리(166)가 구비된다. 상기 밴트팬어셈블리(166)는 상기 조리기의 연기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밴트팬어셈블리(166)의 흡기부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양측을 향하고, 상기 밴트팬어셈블리(166)의 배기부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단, 즉 상기 제2배기부(124)를 향한다.
상기 제2배기부(124)와 밴트팬어셈블리(166)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에이가이드(167)(168)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에이가이드(167)(168)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에 전후방으로 길 게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밴트팬어셈블리(166)에 의하여 상기 제2배기부(1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조리기의 연기가 유동하는 밴트유로(169)를 형성한다.
상기 제1에이가이드(167)는 도면상 상기 밴트유로(169)의 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전장실(153)과 상기 밴트팬어셈블리(166)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에이가이드(167)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장실(153)과 밴트유로(169)를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전장실(153)의 측면과 후면을 둘러싸는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에이가이드(167)는 상기 제2배기부(124)를 향하여 상기 밴트유로(169)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도면상 좌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에이가이드(167)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전장실(153)의 일부가 상기 밴트유로(169)의 내부로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일측면에는 제1에어덕트(17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에어덕트(171)는 상기 냉각팬어셈블리(159)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를 상기 조리실(111)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에어덕트(171)는 상기 전장실(153)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도면상 우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통공(113) 및 연통개구(157)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 일측에는 제2에어덕트(17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에어덕트(172)는 상기 조리실(111)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를 상기 제1배기부(123)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에어덕트(172)는 상기 배출 통공(115) 및 제1배기부(123)와 연통되도록 상기 조리실(111)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도면상 상면 좌측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흡기부(121)와 제1 및 제2배기부(123)(124)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에는 밴트그릴(173)이 구비된다. 상기 밴트그릴(173)은 상기 흡기부(121)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배기부(123)(124)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및 연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트그릴(173)은 좌우로 긴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트그릴(173)의 내부에는 흡기유로(174)와 제1 및 제2배기유로(175)(176)가 구비된다. 상기 흡기유로(174)와 제1 및 제2배기유로(175)(176)는 상기 흡기부(121)와 제1 및 제2배기부(123)(124)에 대응하여 상기 밴트그릴(173)의 내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흡기유로(174)와 제1배기유로(175)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유로(176)는 상기 흡기유로(174)와 제1배기유로(175)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자하우징은 상기 밴트그릴(173)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밴트그릴(173)의 내부에는 상기 흡기유로(174)와 제1 및 제2배기유로(175)(176)를 구획하기 위한 한쌍의 구획리브(177)가 구비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유로(174)와 제1 및 제2배기유로(175)(176)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내면과 상기 구획리브(177)의 양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흡기유로(174)는 상기 흡기부(121)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흡기유로(174)의 상면과 일측면 및 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과 일측면 및 후면에는 상기 흡기유로(174)와 연통되는 제1 및 제2흡기그릴(174A)(174B)과 흡기개구(174C)가 구비된다. 상기 제1흡기그릴(174A)은 상기 밴트그릴(173)의 도면상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흡기그릴(174B)은 상기 제1흡기그릴(174A)에 인접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 우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개구(174C)는 상기 제2흡기그릴(174B)에 대응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후면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흡기그릴(174A)(174B)은 도어(200)를 냉각시킨 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유로(174)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흡기개구(174C)는 상기 흡기유로(174)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흡기부(121)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기부(121)와 연통된다.
상기 제1 및 제2배기유로(175)(176)는 상기 제1 및 제2배기부(123)(124)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및 연기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밴트그릴(173)의 전면이 상향경사지게 라운딩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배기유로(175)(176)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 및 연기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방으로 안내된다.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상면 및 후면에 대응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 및 후면에는 제1배기구(175A)와 제1배기개구(175B)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배기구(175A)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도면상 상면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개구(175B)는 상기 제1배기구(175A)에 대응하는 상기 밴트그 릴(173)의 후면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배기구(175A)는 상기 제1배기유로(175)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고, 상기 제1배기개구(175B)는 상기 제1배기부(123)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상기 제1배기유로(175)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배기유로(176)의 상면 및 후면에 대응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 및 후면에는 제2배기구(176A)와 제2배기개구(176B)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배기구(176A)는 상기 제2흡기그릴(174B)과 제1배기구(175A)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배기개구(176B)는 상기 제2배기구(176A)에 대응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후면 중앙, 즉 상기 제1흡기그릴(174A)과 제1배기개구(175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후면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제2배기구(176A)는 상기 제2배기구(176A)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배기개구(176B)는 상기 제2배기부(124)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를 상기 제2배기유로(176)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 후단에는 한쌍의 고정리브(17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리브(178)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 후단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고정리브(178)에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체결되는 스크류(S)가 관통하는 관통공(178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일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도 면상 좌측면에는 와이어인출개구(179)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인출개구(179)는 상기 단자하우징에 결합되는 상기 단자와 디스플레이부(260)를 연결하는 리드와이어(W)가 인출되어 도어(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인출개구(179)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도면상 좌측면 일부가 그 후단에서 전단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배기유로(175)에는 리드와이어캡(181)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은 상기 제1배기유로(175)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리드와이어(W)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구획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의 내부에 해당하는 공간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역할을 하고, 상기 밴트그릴(173)과 리드와이어캡(181) 사이의 공간이 상기 리드와이어(W)가 위치되는 와이어인출공간(182)의 역할을 한다.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은 그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유로(175)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전면과 양측면이 각각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전면과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내면 및 구획리브(177)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은 상기 제1배기구(175A)를 통하여 상하로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내외부로 착탈된다.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의 전면 상단에는 걸림돌기(183)와 손잡이리브(184)가 구비 된다. 상기 걸림돌기(183)는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의 전면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리브(184)는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의 전면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림돌기(183)는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이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배기구(175A)에 인접하는 상기 밴트그릴(173)의 상면 내측에 걸림으로써 리드와이어캡(181)이 제1배기유로(175)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리브(184)는 사용자가 상기 리드와이어캡(181)을 상기 제1배기유로(175)의 내외부로 착탈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조리실(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0)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에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210)과 도어프레임(220), 쵸크커버(230), 전면커버(240), 전면글래스(250), 디스플레이부(260), 그리고 도어핸들(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패널(210)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중앙부에는 투시개구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투시개구부(211)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0)를 열지 않고 상기 조리실(111)의 내부를 외부에서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투시개구부(211)는 도어패널(210)의 중앙부가 대략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투시개구부(211)의 하방에 해당하는 도어패널(21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개구부(213)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디스플레이개 구부(213)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디스플레이개구부(213)는 상기 투시개구부(211)의 하방에 해당하는 도어패널(210)의 일부가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상단부에는 간섭방지부(215)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간섭방지부(215)는 상기 도어(200)가 상기 조리실(111)을 개폐하기 위하여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밴트그릴(173)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패널(210)의 간섭방지부(215)는 도어패널(210)의 상단 일부가 상기 밴트그릴(173)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210)의 상단에는 흡기공(217)과 배기공(219)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217)은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냉각유로(201)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공(219)은 도어냉각유로(201)를 유동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흡기공(217)은 상기 도어(200)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배기구(175A)에 인접하는 도어(200)의 상면 일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공(219)은 상기 흡기공(217)으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간섭방지부(215)의 일단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도어패널(210)의 이면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쵸크(221)가 구비된다. 상기 쵸크(221)는 상기 조리실(111)의 내부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투시 개구부(211)에 대응하는 다공부(2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상단부에도 간섭방지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간섭방지부(225)는 도어프레임(220)의 상단 일부가 상기 도어패널(210)의 간섭방지부(215), 즉 상기 밴트그릴(173)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상단 양측에는 한쌍의 힌지플랜지(22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플랜지(227)는 좌우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플랜지(227) 사이에는 힌지핀(228)이 각각 수평으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228)은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200)의 회동중심이 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홈(13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안착개구(138)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플랜지(227)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양측에는 스프링고정핀(229)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고정핀(229)은 가스스프링(3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스프링안착부(235)의 일측을 관통하여 스프링안착부(235)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쵸크커버(23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이면, 즉 상기 도어프레임(220)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패널(210)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200)의 이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쵸크커버(230)에도 상기 도어패널(210)의 투시개구부(211) 및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다공부(223)에 대응하는 그 중앙부 일부가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투시개구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쵸크커버(230)의 상단부에도 간섭방지부(233)가 구비된다. 상기 쵸크 커버(230)의 간섭방지부(233)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간섭방지부(215)와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간섭방지부(225)와 동일하게 그 상단 일부가 상기 밴트그릴(173)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쵸크커버(230)의 양측에는 스프링안착부(23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안착부(235)에는 상기 도어(200)가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한 상태에서 가스스프링(300)이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안착부(235)는 상기 쵸크커버(230)의 양측 일부가 상하로 긴 육면체형상으로 상기 도어프레임(220)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슬롯(145)에 대응하는 상기 쵸크커버(230)의 양측에는 래치개구(237)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개구(237)는 상기 도어(2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래치돌기(281)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래치개구(237)는 상기 쵸크커버(230)의 일부가 래치돌기(281)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좌우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240)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전면커버(240)는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커버(240)가 상기 도어패널(210)의 투시개구부(211) 및 디스플레이개구부(213)를 둘러싸도록 대략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글래스(250)는 상기 전면커버(240)와 함께 상기 도어(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글래스(250)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투 시개구부(211) 및 간섭방지부(215)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글래스(250)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투시개구부(211) 및 간섭방지부(215)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전자레인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도어냉각유로(20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메인인쇄회로기판(261)과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 리플렉터(265), 디스플레이커버(267), 디스플레이글래스(2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261)은 상기 도어패널(210)의 디스플레이개구부(213)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200)의 내부, 즉 상기 도어패널(210)과 도어프레임(2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261)의 전면에는 표시장치(262)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장치(262)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디스플레이개구부(21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전자레인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시장치(262)로는 저속 전자선에 의한 형광체의 발광현상을 이용한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262)는 고정브라켓(262A)에 의하여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26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26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의 동작을 위한 다수개의 전기적 소자(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261)에는 상기 와이어인출개구(179)를 통하여 인출되어 상기 도어(20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리드와이어(W)가 연결된다.
상기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은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261)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200)의 내부, 즉 상기 도어패널(210)과 메인인쇄회로기판(26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아래에서 설명할 버튼(266)의 식별을 위한 빛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에는 상기 표시장치(262)가 관통하는 표시개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265)는 상기 도어패널(210)과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2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265)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265)의 전면, 즉 상기 도어패널(210)의 디스플레이개구부(21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리플렉터(265)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버튼(266)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266)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리플렉터(265)에도 상기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의 표시개구에 대응하는 표시개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67)는 상기 리플렉터(265)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67)에는 상기 버튼(266)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형상 등이 인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67)는 상기 버튼(266)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통전가능한 ITO(Indium Tin Oxide)화합물이 코팅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67)에도 상기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 및 리플렉터(265)의 표시개구에 대응하는 표시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글래스(269)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67)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200)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글래스(269)는 상기 도어패널(210)의 디스플레이개구부(213)에 대응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도어패널(210)의 디스플레이개구부(213)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패널(210)의 이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261)과 백라이팅인쇄회로기판(263), 리플렉터(265), 디스플레이커버(267), 그리고 디스플레이글래스(269)는 상기 도어(200)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과 별개인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패널(210)의 이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270)은 사용자가 상기 도어(20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240)에 좌우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270)은 그 양단이 상기 전면커버(240)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패널(2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220)과 쵸크커버(230) 사이에는 한쌍의 래치돌기(281)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돌기(281)는 상기 래치개구(237)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20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래치돌기(281)는 상기 도어(200)가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한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래치돌기(281)는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래치돌기(281)에는 상기 구동레버(147)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래치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내부에는 도어냉각유로(20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 냉각유로(201)는 상기 도어(200),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패널(210)과 쵸크커버(23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어냉각유로(201)는 상기 도어(200)의 내부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이 각각 상기 흡기공(217) 및 배기공(219)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270)의 내부에는 핸들냉각유로(271)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냉각유로(271)는 상기 도어핸들(270)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양단이 상기 도어냉각유로(201)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냉각유로(271)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냉각유로(201)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11)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0)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가스스프링(300)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스프링(300)은 상기 도어(200)가 완전하게 열린 상태와 완전하게 차폐된 상태 사이의 어느 한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200)가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방향 또는 차폐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상기 도어(200)에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200)가 완전하게 열린 상태와 완전하게 차폐된 상태의 중간위치를 기준(도 11c참조)으로, 이에 비하여 상기 도어(200)가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스프링(300)이 상기 조리실(111)이 개방되는 방향, 즉 상기 도어(200)가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외력을 도어(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가 기준이 되는 중간위치에 비하여 하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스프링(300)이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200)가 하방으로 회동하도록 외력을 도어(200)에 제공한다.
상기 가스스프링(300)은 각각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는 실린더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에 가스압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로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10)의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320)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310)의 타단부와 상기 피스톤로드(320)의 타단부는 각각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과 상기 도어(200)의 이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실린더(310)의 타단부는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4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20)의 타단부는 상기 스프링고정핀(229)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가스스프링(300)은 상기 도어(200)가 닫힌 상태, 즉 상기 조리실(111)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안착부(235)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과 상기 도어(200)의 이면 사이가 상기 가스스프링(300)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도어를 캐비티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서 도어를 캐비티어셈블리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캐비티어셈블리(100)가 조리기의 상방에 구비되는 가구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228)이 힌지홈(134)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도록 도어(200)를 캐비티어셈블리(100)에 대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은 상기 가구장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커버(137)를 하방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힌지홈(134)에 삽입된 상기 힌지핀(228)이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힌지핀(228)은 힌지안착개구(138)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힌지커버(137)의 관통공(139)은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과 상하로 연통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핀(228)의 탈거가 방지된 상태에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S)가 상기 힌지커버(137)의 관통공(139)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류(S)가 상기 힌지커버(137)의 관통공(139)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힌지커버(137)가 상기 힌지핀(228)의 탈거를 방지한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브라켓(133)의 체결공(136) 및 상기 힌지커버(137)의 관통공(139)은 상기 가구장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를 상기 가구장의 외부로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도어(200)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에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의 바람직 한 실시예에서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가 닫힌 상태, 즉 조리실(111)이 차폐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0)의 이면이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이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200)가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한 상태에서, 래치돌기(281)는 래치슬롯(145)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슬롯(145)에 삽입된 상기 래치돌기(281)에는 구동레버(147)가 삽입되어 래치돌기(281)가 래치슬롯(145)으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래치슬롯(145)에 삽입된 상기 래치돌기(281)에 의하여 상기 구동레버(147)가 이동하여 래치스위치(148)를 온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60)의 버튼(266)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서 전자레인지가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111)에 수납된 음식물이 조리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11)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200)를 열여서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시킨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도어핸들(270)을 잡고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잡아당기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가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이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200)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래치돌기(281)는 상기 래치슬롯(145)으로부터 탈거된다. 또한 상기 래치돌기(281)가 탈 거되면, 상기 구동레버(147)는 토션스프링(149)으로부터 부여받은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회동하는 상기 도어(200)는 가스스프링(300)으로부터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동, 즉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하방으로 회동하도록 외력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계속하여 상기 도어핸들(270)을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잡아당기지 않게 되면, 상기 도어(200)가 상기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하단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시키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70)을 계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200)가 상기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가 완전하게 열린 상태와 완전하게 차폐된 상태의 중간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200)가 상기 가스스프링(300)으로부터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외력, 즉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시기 위하여 회동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핸들을 잡고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잡아당기지 않더라도, 상기 도어(200)가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가 상기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방으로 완전하게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이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11)에서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조리할 음식물을 조리실(111)에 수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어(200)는 상기 가스스프링(300)으로부터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외력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가 임의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의 내외부로의 음식물의 출납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11)의 내외부로의 음식물의 출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270)을 손으로 잡고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밀어서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하는 과정은 상술한 조리실(111)을 개방시키는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70)을 잡고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밀면, 상기 도어(200)가 상기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하단이 하방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가 도 11c에 도시된 위치에 비하여 하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가스스프링(300)으로부터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하방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외력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상기 도어핸들(270)을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밀지 않더라도, 상기 도어(200)가 상기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하단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1)을 차폐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흐름도이다.
먼저 전자레인지가 동작하면, 냉각팬어셈블리(159)가 구동하여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흡기공(217)을 통하여 도어냉각유로(201)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냉각유로(20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어셈블리(159)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도어냉각유로(201)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도어(200), 특히 디스플레이부(260)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어냉각유로(20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핸들냉각유로(271)로 전달되어 도어핸들(270)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냉각유로(271)를 유동하면서 상기 도어핸들(270)을 냉각시킨 공기는 다시 상기 도어냉각유로(201)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도어냉각유로(201)를 유동하면서 상기 도어(200) 및 도어핸들(270)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도어(200)의 배기공(219)을 통하여 도어냉각유로(201)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공(219)을 통하여 상기 도어냉각유로(201)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밴트그릴(173)의 제1흡기그릴(174A)을 통하여 상기 밴트그릴(173)의 흡기유로(174)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밴트그릴(173)의 흡기유로(174)로 전달된 공기는 밴트그릴(173)의 흡기개구(174C) 및 캐비티어셈블리(100)의 흡기부(121)를 통하여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물론 상기 밴트그릴(173)의 제1흡기그릴(174A)을 통한 상기 도어(200)를 냉각시킨 공기뿐만 아니라 상기 밴트그릴(173)의 제2흡기그릴(174B)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도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에어베리어(161)의 공기공급개구(162)를 통하여 전장실(153)로 전달되어 마그네트론(154)과 캐퍼시터(155)와 같은 전장부품을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개구(162)를 통하여 상기 전장실(153)로 전달되는 공기는 에어베리어(161)의 가이드부(163)에 의하여 상기 전장부품을 향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연통개구(157)를 통하여 제1에어덕트(171)로 안내된다.
상기 제1에어덕트(171)로 안내된 공기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111)의 흡입통공(113)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111)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조리실(1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실(111)의 내부에 안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유분 및 냄새를 포함한 상태로 상기 조리실(111)의 배출통공(115)을 통하여 제2에어덕트(172)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덕트(172)로 안내된 공기는 제1배기부(123)를 통하여 상기 밴트그릴(173)의 제1배기유로(175)로 안내되어 밴트그릴(173)의 제1배기구(175A)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밴트그릴(173)의 제1배기유로(175)는 밴트그릴(173)의 제1배기구(175A)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한다.
한편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트팬어셈블리(166)가 구동하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연기유입구(151)를 통하여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조리기의 연기는 상기 밴트팬어셈블 리(166)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밴트유로(169)를 유동하여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제2배기부(124)를 통하여 상기 밴트그릴(173)의 제2배기유로(176)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밴트그릴(173)의 제2배기유로(176)로 안내된 상기 조리기의 연기는 밴트그릴(173)의 제2배기구(176A)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캐퍼시터(155)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를 상기 가구장의 외부로 분리시키지 않고 이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0)를 상기 힌지핀(228)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조리실(111)을 개방시키면, 서비스개구(127), 즉 개폐브라켓(129)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브라켓(129)을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서비스개구(127)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개구(127)가 개방되면, 이를 통하여 상기 에어베리어(161)의 부품설치공(165)에 설치된 상기 캐퍼시터(155)를 분리하고 새로운 캐퍼시터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캐퍼시터(155)를 교체한 다음에 상기 개폐브라켓(129)을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전면에 고정하여 상기 서비스개구(127)를 차폐함으로써,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지지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다른 도어지지장치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캐비티어셈블리(미도시)에 도어(미도시) 를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상단 양측에 힌지브라켓(41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브라켓(410)의 선단에는 힌지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홈(420)은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브라켓(410)의 선단은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410)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개폐부재(43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기 힌지홈(4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430)는 그 일측면이 상기 힌지브라켓(410)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그 전면이 상기 힌지홈(4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기 힌지홈(420)과 전후방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개폐부재(430)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로는 상하로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부여받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430)가 상기 힌지홈(420)을 차폐한 상태에서 힌지홈(420)을 개방시키는 방향, 즉 하방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이면 상단 양측에는 좌우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힌지플랜지(44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힌지플랜 지(440)의 이격되는 간격은 적어도 상기 힌지브라켓(410)과 차폐부재(430)의 좌우두께를 합한 값 이상이 되어야 한다.
상기 힌지플랜지(440)는 상기 도어의 이면 상단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플랜지(440) 사이에는 힌지핀(450)이 각각 수평으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450)은 상기 힌지홈(420)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도어의 회동중심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도어를 이동시켜서 상기 힌지핀(450)이 상기 차폐부재(430)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힌지핀(450)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450)은 상기 차폐부재(43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힌지브라켓(410)의 일측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힌지핀(450)도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홈(420)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힌지핀(450)이 상기 차폐부재(430)로부터 이격되어 차폐부재(430)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홈(420)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핀(450)이 상기 힌지홈(4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힌지홈(420)으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캐비티어셈블리(미도시)의 전면 상단 양측에 힌지브라켓(51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브라켓(510)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상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 라켓(510)에는 좌우로 연통되게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미도시)의 이면 상단에는 각각 좌우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힌지플랜지(52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플랜지(520)는 상기 도어의 이면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플랜지(52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힌지핀(530)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530)은 상기 힌지플랜지(51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그 선단이 힌지플랜지(510) 중 다른 하나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수평으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530)은 상기 힌지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530)이 상기 힌지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플랜지(52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힌지핀(530)의 선단 사이에는 차폐부재(540)가 삽입된다. 상기 차폐부재(540)는 상기 힌지핀(530)이 상기 힌지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힌지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캠힌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어셈블리(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리실(미도시)이 도어(미도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 여 한쌍의 캠힌지(600)가 구비된다.
상기 캠힌지(600)는 상기 도어의 회동각도에 따라서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외력을 상기 도어에 부여한다. 즉 상기 캠힌지(600)는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상기 도어의 회동궤적 중 어느 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가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기준위치보다 큰 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을 상기 도어에 부여하고, 상기 도어가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기준위치보다 작은 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을 상기 도어에 부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캠힌지(6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캠하우징(610)과, 상기 캠하우징(610)의 일단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힌지돌기(620), 상기 캠하우징(610)의 내부에 상기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캠(630), 상기 캠하우징(610)의 내부에 캠하우징(6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캠(640), 그리고 상기 이동캠(64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힌지(600)는 상기 힌지돌기(6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도어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캠하우징(610)은 상기 캠힌지(6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하우징(610)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돌기(620)가 관통하는 힌지공(611)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돌기(620)는 상기 힌지공(611)을 관통하여 그 일부는 상기 캠하우 징(610)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캠하우징(610)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돌기(620)는 상기 힌지공(611)을 관통하여 상기 캠하우징(6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그 일부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형성되는 힌지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의 회동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돌기(620)는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기 캠하우징(610)에 대하여 상대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630)은 상기 캠하우징(6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힌지돌기(620)의 일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캠(630)은 상기 도어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힌지돌기(620)가 회전하면 상기 캠하우징(610)의 내부에서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돌기(6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회전캠(630)의 일면에는 캠홈(631)이 구비된다. 상기 캠홈(631)은 상기 회전캠(630)의 일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캠(640)은 상기 회전캠(6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캠하우징(6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캠(630)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캠(640)의 일면, 즉 상기 캠홈(631)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캠(640)의 일면에는 캠돌기(641)가 구비된다. 상기 캠돌기(641)는 상기 회전캠(630)의 일부가 상기 캠홈(631)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650)는 상기 이동캠(640)이 상기 회전캠(63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이동캠(640)에 부여한다. 상기 탄성부재(650)로는 상기 캠하우징(610)의 내부에 캠하우징(6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힌 지돌기(6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캠하우징(610)의 타단과 상기 이동캠(640)의 일면에 그 양단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도어의 회동에 따른 캠힌지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어가 조리실을 차폐한 상태, 즉 상기 도어가 캐비티어셈블리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홈(631)에 캠돌기(641)가 삽입되어 회전캠(630)과 이동캠(64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캠(630)이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도어가 임의로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기 위하여 회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상향경사지게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그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돌기(620)가 상기 도어의 회동에 의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캠돌기(641)는 상기 캠홈(6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탈거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상기 이동캠(640)는 탄성부재(650)로부터 상기 회전캠(63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받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캠돌기(641)가 상기 캠홈(631)으로부터 완전하게 탈거되지 않은 상태, 즉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 재(6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캠돌기(641)가 상기 캠홈(63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캠(640)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상기 조리실을 차폐하는 방향, 즉 그 하단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그 하단이 소정의 각도이상 회동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돌기(641)가 상기 캠홈(631)으로부터 완전하게 탈거되어 그 일면이 상기 회전캠(630)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650)가 상기 이동캠(640)에 탄성력을 부여하더라도, 상기 회전캠(630)과 이동캠(64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캠(630)이 상기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도어가 임의로 상기 힌지돌기(620)를 중심으로 그 하단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을 차폐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가스스프링이 안착되는 상기 스프링안착홈이 상기 도어의 이면에 형성되지만, 상기 스프링안착홈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하단과 상기 도어의 이면 하단 중 어느 일측에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와 도어 사이의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방으로 회동하여 여닫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열여서 상기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전자레인지의 좌우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자레인지가 설치되는 주방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가스스프링 또는 캠힌지에 의하여 열린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의 내외부로 식품을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를 캐비티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어셈블리가 전자레인지가 설치되는 가구장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를 상기 가구장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밴트그릴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간섭방지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를 회동시켜서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와 밴트그릴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서비스개구를 통하여 전장실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의 수리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밴트유로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전장실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전장실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밴트유로를 유동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안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과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밴트그릴과 와이어보호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리드와이어가 인출/인입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교체 및 수리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유지 및 보수가 보다 용이해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 및 도어핸들이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상기 도어 또는 도어핸들에 의하여 부상을 입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Claims (16)

  1. 삭제
  2.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하여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의 유동시킨 다음에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하방에 구비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고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밴트팬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냉각팬어셈블리와 밴트팬어셈블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공기 및 연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밴트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에 의하여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냉각유로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어냉각유로를 유동하여 도어를 냉각시키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전달되는 공기가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냉각유도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그 양단이 고정되는 도어핸들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어냉각유로와 연통되는 핸들냉각유로를 유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냉각유로는 상기 흡기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도어의 양측 및 하부를 유동하여 상기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공기유동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냉각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냉각유로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전자레인지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컨트롤부를 냉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공기유동시스템.
  6.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하여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의 유동시킨 다음에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하방에 구비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고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밴트팬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냉각팬어셈블리와 밴트팬어셈블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공기 및 연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밴트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는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제1에어덕트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흡입통공을 통하여 조리실의 내부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8. 제 6 항에 잇어서,
    상기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조리실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조리실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배출통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제2에어덕트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어셈블리는 상기 흡입통공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 전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과 상기 냉각팬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부분을 구획하는 에어베리어에 의하여 안내되어 전장부품을 냉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11.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하여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의 유동시킨 다음에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하방에 구비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고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밴트팬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냉각팬어셈블리와 밴트팬어셈블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공기 및 연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밴트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밴트팬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조리기의 연기는 상기 밴트팬어셈블리의 상면에 구비되는 한쌍의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밴트유로를 유동하여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과 상기 밴트유로를 구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단을 향하여 상기 전장실의 면적은 증가되고 상기 밴트유로의 유동단면적은 감소되도록 양자를 구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14.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하여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의 유동시킨 다음에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하방에 구비되는 조리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고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기되는 연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밴트팬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냉각팬어셈블리와 밴트팬어셈블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공기 및 연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밴트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밴트그릴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에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비되는 간섭방지부에 의하여 도어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와의 간섭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밴트그릴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밴트그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유로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조리실을 순환한 공기를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기유로,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조리기의 연기를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기유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20070008498A 2007-01-17 2007-01-26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80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98A KR100807384B1 (ko) 2007-01-26 2007-01-26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US12/448,905 US20100170895A1 (en) 2007-01-17 2007-12-17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CA2674286A CA2674286C (en) 2007-01-17 2007-12-17 A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PCT/KR2007/006580 WO2008088131A1 (en) 2007-01-17 2007-12-17 A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98A KR100807384B1 (ko) 2007-01-26 2007-01-26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384B1 true KR100807384B1 (ko) 2008-02-28

Family

ID=3938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498A KR100807384B1 (ko) 2007-01-17 2007-01-26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38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6634B (zh) * 2008-09-18 2012-1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换气格栅及设有换气格栅的烹饪装置
KR20160068576A (ko) * 2014-12-05 2016-06-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60068577A (ko) * 2014-12-05 2016-06-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00002319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조립이 용이한 침대프레임과 이에 의해 조립된 침대
US20210204371A1 (en) * 2019-12-25 2021-07-01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ing apparatus
CN113786931A (zh) * 2021-09-14 2021-12-14 浙江越德环保科技有限公司 油烟净化一体机
WO2023282499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3075053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816U (ja) 1982-04-30 1983-11-09 三洋電機株式会社 高所設置型調理器
KR19980045304U (ko) * 1996-12-27 1998-09-25 배순훈 전자레인지의 도어냉각구조
KR20010029178A (ko) * 1999-09-29 2001-04-06 윤종용 전자렌지
KR20010068546A (ko) * 2000-01-06 2001-07-23 윤종용 전자렌지
KR20040059039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50030374A (ko) * 2003-09-25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50056724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610670B1 (ko) 2005-05-13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816U (ja) 1982-04-30 1983-11-09 三洋電機株式会社 高所設置型調理器
KR19980045304U (ko) * 1996-12-27 1998-09-25 배순훈 전자레인지의 도어냉각구조
KR20010029178A (ko) * 1999-09-29 2001-04-06 윤종용 전자렌지
KR20010068546A (ko) * 2000-01-06 2001-07-23 윤종용 전자렌지
KR20040059039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50030374A (ko) * 2003-09-25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50056724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610670B1 (ko) 2005-05-13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6634B (zh) * 2008-09-18 2012-1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换气格栅及设有换气格栅的烹饪装置
US9888531B2 (en) 2014-12-05 2018-02-0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60068577A (ko) * 2014-12-05 2016-06-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86303B1 (ko) * 2014-12-05 2016-12-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86304B1 (ko) * 2014-12-05 2016-12-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US9854628B2 (en) 2014-12-05 2017-12-2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60068576A (ko) * 2014-12-05 2016-06-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118554B1 (ko) 2018-06-29 2020-06-03 주식회사 네오퍼스 조립이 용이한 침대프레임과 이에 의해 조립된 침대
KR20200002319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조립이 용이한 침대프레임과 이에 의해 조립된 침대
US20210204371A1 (en) * 2019-12-25 2021-07-01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ing apparatus
US11864297B2 (en) * 2019-12-25 2024-01-02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ing apparatus
WO2023282499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CN113786931A (zh) * 2021-09-14 2021-12-14 浙江越德环保科技有限公司 油烟净化一体机
CN113786931B (zh) * 2021-09-14 2023-09-08 浙江越德环保科技有限公司 油烟净化一体机
WO2023075053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640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
KR100807384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87977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부품서비스구조
EP0875723A1 (en) Microwave oven
US8658954B2 (en) Microwave oven including hood
KR20180080062A (ko) 조리기기
KR100229138B1 (ko) 전자렌지의 필터장치
US8698057B2 (en)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KR100811304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냉각시스템
KR20080082848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064766B1 (ko) 스팀조리기기
KR100785425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리드와이어 보호구조
KR20080070409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789736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도어지지장치
KR101486593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CA2674286C (en) A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US20230003392A1 (en) Cooking apparatus
KR20080013687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N101660791A (zh) 具备通风罩功能的微波炉
US20220390120A1 (en) Cooking apparatus
CN101737832A (zh) 具备通风罩功能微波炉的门冷却系统
US20240077209A1 (en) Cooking appliance
KR102366426B1 (ko) 빌트인 타입 전자레인지
KR20030057816A (ko)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230006359A (ko) 조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