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304B1 -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304B1
KR101686304B1 KR1020140174473A KR20140174473A KR101686304B1 KR 101686304 B1 KR101686304 B1 KR 101686304B1 KR 1020140174473 A KR1020140174473 A KR 1020140174473A KR 20140174473 A KR20140174473 A KR 20140174473A KR 101686304 B1 KR101686304 B1 KR 10168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housing
p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577A (ko
Inventor
임준혁
이종진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304B1/ko
Priority to US14/597,959 priority patent/US9854628B2/en
Priority to CN201510026775.0A priority patent/CN105864841B/zh
Publication of KR2016006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4Aspects relating to lighting devices in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4Aspects rela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6Safety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조리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를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로 분리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상부 덕트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OVER THE RANGE AND METHOD OF USE THEREOF}
본 발명은 상측 덕트부 구조를 개선하여 습도센서의 감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와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 겸용 전자렌지(Over The Range)는 배기 기능을 갖춘 전자렌지를 지칭하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가스렌지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통상적인 후드 겸용 전자렌지는 조리부와 덕트부로 대별될 수 있고, 상기 조리부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또는 액체(이하, 음식물)를 가열한다.
여기서, 음식물의 가열 중에는 음식물에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음식물의 습도를 습도센서로써 측정하여 음식물 가열의 제어를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드 겸용 전자렌지에서 이러한 습도센서는 상기 조리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 가열시 상부로 유동되는 수증기의 습도를 센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는 상기 덕트부의 배기 유닛 또는 상기 조리부의 송풍팬의 영향을 받아 유동되므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 덕트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습도센서를 독립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구동되는 조리실 내부의 컨디션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구현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조리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를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로 분리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상부 덕트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조리부와 덕트부를 상, 하로 구획하되 상기 조리부에서 유출되는 수증기 토출부가 형성된 구획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하우징과 조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부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측 덕트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덕트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되, 배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중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구획 하우징 사이를 밀폐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1 수평부; 상기 한 쌍의 제1 수평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한 쌍의 경사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부 및 제2 수평부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은 상기 수증기 토출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수증기 토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부와 덕트부를 상, 하로 구획하되 상기 조리부에서 유출되는 수증기 토출부가 형성된 구획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조리부; 상기 하우징과 조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부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덕트부를 포함하는 덕트부;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측 덕트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덕트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되, 배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덕트모듈;을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중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구획 하우징 사이를 밀폐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1 수평부; 상기 한 쌍의 제1 수평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한 쌍의 경사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하나의 제1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전원부; 상기 하나의 경사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러닝 캐패시터(running capacitor); 상기 하나의 제2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퓨즈(fu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제1 플레이트 하측면에 배치된 조명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획 하우징은 상기 조명유닛의 광을 상기 조리부에 입사하는 광입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부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부로 배기를 유동시키는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유닛은 배기 모터와, 상기 배기 모터로써 구동되어 상기 덕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임팰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유입홀과, 제2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임팰러는 상기 제1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임팰러와, 상기 제2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임팰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입홀 및 제2 유입홀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배기 유닛을 가동하는 단계; 및 상기 가동된 배기 유닛에 의해, 하우징과 조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조리부 상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 덕트부를 통해 가스렌지 또는 전자렌지 구동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된 습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습도에 따라 상기 조리부의 가동 상태가 제어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측 덕트부의 덕트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유로 개선을 구현함과 동시에 확보된 공간에 독립적으로 습도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 덕트 모듈을 구현하여, 구동되는 조리실 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상측 하우징 및 측면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모듈이 장착된 제1 플레이트의 상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측 덕트부를 제거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절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절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상측 하우징 및 측면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모듈이 장착된 제1 플레이트의 상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측 덕트부를 제거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절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절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크게 하우징(100), 조리부(200), 덕트부(300), 배기 유닛(400) 및 덕트 모듈(600)을 포함하며, 필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크게 미도시된 상면 하우징과 측면 하우징과, 도시된 배면 하우징(110) 및 하측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하우징(100)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각각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100) 내부에서 조리부(200)와 덕트부(300)를 상, 하로 구획할 수 있는 구획 하우징(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획 하우징(130)은 상기 하우징(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볼트 체결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 하우징(130)은 상기 조리부(200)에서 유출되는 수증기 토출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조명유닛(660)의 광을 상기 조리부(200)에 입사하는 광입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토출부(131) 또는 광입사부(132)는 상기 구획 하우징(130)에 다수 개 구멍을 뚫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광입사부(132)가 다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조리부(2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온전한 수증기 토출부(131)로의 이동을 위해 유리 또는 투명 필름으로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후술할 덕트부(300)의 외벽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실과 전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은 전방에 도어(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10)는 상기 하우징(100)에 일측으로 개폐될 수 있게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어(210)를 쉽게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1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10)는 내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강화 유리와 같은 투명창(21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조리부(200)는 상기 도어(210) 일측에 컨트롤패널(2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조리부(200)를 조작할 수 있게 버튼, 터치패널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각종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후술할 덕트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버튼, 터치패널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습도센서(650)에 의해 감지된 조리부(200) 내부 상태로써 상기 조리부(200)의 조리 환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덕트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과 조리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를 형성하며, 크게 상측 덕트부(310)와 측면 덕트부(320)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덕트부(320)는 상기 조리부(200)와 미도시된 측면 하우징 사이 또는 상기 컨트롤패널(220)과 미도시된 측면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며, 이 경우 하우징(100)이 덕트부(300)의 외측벽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덕트부(320)는 상기 하측 하우징(120)에 개구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입구(3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후술할 상측 덕트부(310)로 유동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제1 유입구(321)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덕트부(310)는 상기 조리부(200) 상측에 배치되며, 제1 플레이트(311), 제2 플레이트(312) 및/또는 제3 플레이트(3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플레이트(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측 덕트부(310)로 인해, 실시예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배기 유동 경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더 큰 구동력을 이용하여도 난류 발생이 적으며, 전력 소모가 적고, 소음이 적은 후드 및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311)는 덕트부(300)를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덕트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구획 하우징(130)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조리부(20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플레이트(311)는 상기 구획 하우징(130)의 상면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구획 하우징(13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거나, 상기 구획 하우징(130)의 일부가 하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311)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311)는 후측에 상기 측면 덕트부(32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 덕트부(310)에 유입되는 제2 유입구(311a)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2 유입구(311a)는 후술할 제1 임팰러(411)와 제2 임팰러(412)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311) 후측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31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312)는 상기 제1 플레이트(311)와 하우징(100) 사이에 두 개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측 덕트부의 양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측 덕트부(31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는 배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호 대칭으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습도센서(650)의 밀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 중 하나의 제2 플레이트(312)는 상기 제1 플레이트(311)와 구획 하우징(130) 사이를 밀폐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는 후술할 제3 플레이트(313)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1 수평부(312a)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평부(312a)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경사부(312b)와, 상기 한 쌍의 경사부(312b)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2 수평부(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대칭적이면서도 전방으로 점점 좁아지는 유동 경로는 종래에 비해 배기 유로의 유동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부(312a)와 경사부(312b) 또는 상기 경사부(312b)와 제2 수평부(312c)의 연결면은 테이퍼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배기 유동 경로를 더욱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313)는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의 후측에 배치되어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313aa, 313a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배기 유동 경로는 하측 또는 측면에 형성된 제1 유입구(321),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제2 유입구(311a)를 지나, 후술할 임팰러(411, 412)를 지나 상기 유입홀(313aa, 313ab)에 유입되어 제1 플레이트(311), 제2 플레이트(312) 및 상측 하우징(100)이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313)는 후술할 제1 임팰러(411)에 대응되는 제1 유입홀(313aa)과, 후술할 제2 임팰러(412)에 대응되는 제2 유입홀(313ab)을 포함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공기 유동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313)는 상기 제1 유입홀(313aa) 및 제2 유입홀(313ab)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313b)를 더 포함하여, 공기 유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절곡부(313b)는 난류 방지라는 기능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절곡부(313b)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플레이트(314)는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 중 하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플레이트(314)는 후술할 습도센서(650)의 정확한 센싱을 위해 상기 습도센서(650)의 배치 구역을 밀폐하여 상기 조리부(200)에서 유입되는 수증기의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4 플레이트(314)는 상기 제1 플레이트(311)와 구획 하우징(130) 사이를 밀폐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수증기의 유동 경로는 조리부(200), 수증기 토출부(131),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 중 하나와 제4 플레이트(31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 및 전방의 배출구를 통해 자연 유동된다.
상기 배기 유닛(400)은 상기 제3 플레이트(313)와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홀(313aa, 313ab)로 배기를 유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 유닛(400)은 배기 모터(410)와, 상기 배기 모터(410)로써 구동되어 상기 유입홀(313aa, 313ab)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임팰러(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팰러(411, 412)는 상기 배기 모터(4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임팰러(411)와, 상기 배기 모터(4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임팰러(4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임팰러(411)와 제2 임팰러(412)의 양단은 전술한 제2 유입구(311a)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제1 플레이트(311) 및 제2 플레이트(312)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측 덕트부(31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덕트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덕트 모듈(600)로써 집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덕트 모듈(600)은 전원부(610), 러닝 캐패시터(620, running capacitor), 노이즈 필터(630, noise filter), 퓨즈(640, fus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650) 또는 조명유닛(6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조리부(200) 또는 덕트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분배한다. 이러한 전원부(610)는 상기 하나의 제1 수평부(312a)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러닝 캐패시터(620, running capacitor)는 기동 콘덴서라고도 하며, 상기 배기 모터(410)를 초기 구동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러닝 캐패시터(620)는 상기 하나의 경사부(312b)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필터(630)는 상기 배기 모터(410) 구동시 발생되는 교류의 노이즈 성분을 감쇠하고, 필요로 하는 신호 성분을 통과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나의 제2 수평부(312c)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640)는 조리부(200)에서 과도한 열(예를 들어, 약 90℃ 또는 150℃)이 발생하거나, 상기 배기 모터(410)의 과열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610)에서 분배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러한 퓨즈(640)는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수평부(312a)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650)는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부(200)에서 조리되는 음식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습도 또는 온도를 감지하여 조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조리부(200)의 제어부(미도시)에 보내거나, 상기 배기 모터(410)의 온/오프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습도센서(650)는 조리부(2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감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부(200) 상측에 배치되어야 하며, 상기 덕트 모듈(600)은 상기 다른 하나의 경사부(312b)와 제2 수평부(312c)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습도센서(650)의 정확한 센싱을 위해, 실시예는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경사부(312b) 및 제2 수평부(312c)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3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센서(650)는 상기 다른 하나의 경사부(312b), 제2 수평부(312c) 및 제4 플레이트(314)로 구획되는 공간 안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습도센서(650)는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312)와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도센서(650)는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312)와 제4 플레이트(314)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312)와 제4 플레이트(314)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은 상기 수증기 토출부(1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리부(200) 내의 상태를 정확히 센싱하기 위해, 상기 습도센서(650)는 상기 수증기 토출부(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습도센서(650)의 정확한 센싱을 위해, 상기 수증기 토출부(131) 상측에 밀폐되는 덕트 구조와 습도센서(650)의 배치로 인해, 실시예는 더욱 정확한 조리부(200)의 음식물 조리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습도센서(650)는 전술한 컨트롤패널(220)과 연계하여 조리부(200)의 조리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명유닛(660)은 상기 제1 플레이트(311) 하측면에 배치되어 조리부(200)의 내부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 하우징(130)에는 상기 조명유닛(660)과 대응되도록 광입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실시예는 상기 조리부(200) 상부에 필수적으로 배치되어야 하거나, 덕트부 구동을 위한 구성요소를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집약할 수 있도록 모듈화를 구현하여, 조립 공차 감소, 생산성 증가, 내부 공간 확보 또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러한 덕트부의 구조적 개선을 꾀함으로써, 습도센서(650)로써 조리부(200)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00)는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평부(312c)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500)는 차콜 필터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를 필터링하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단,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배치된 버튼, 터치패널 또는 다이얼로써, 배기 유닛(400)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배기 모터(410)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어 양측 임팰러(411, 412)가 축회전되고, 상기 측면 하우징의 제1 유입구(321)로부터 외기가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제2 유입구(311a)를 통해 임팰러(411, 412)로 유입된다.
이 후, 상기 임팰러(411, 412)로 유입된 공기는 고속으로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100), 제1 플레이트(311), 제2 플레이트(312)가 형성하는 덕트 내부로 상기 제3 플레이트(313)의 유입홀(313aa, 313ab)을 통해 유동된다.
이때, 상기 제3 플레이트(313)에 형성된 절곡부(313b)는 각각의 임팰러(411, 412)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따른 난류가 발생하지 않게 전방으로 공기 유동을 유도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312)의 상호 대칭으로 좁아지는 형상은 외부로 공기 배출을 빠르게 진행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 가장 좁은 유로인 제2 수평부(312c)에 배치되어, 효과적으로 오염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즉, 상기 가동된 배기 유닛(400)에 의해, 하우징(100)과 조리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조리부(200) 상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311)와, 상기 제1 플레이트(311)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와,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의 후측에 배치되어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313aa, 313ab)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313)를 포함하는 상부 덕트부(300)를 통해 가스렌지 또는 전자렌지 구동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기 유닛(400)을 후방에 배치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배기를 유도하며, 이러한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상호 대칭적이면서 배기구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하우징 110: 배면 하우징
120: 하측 하우징 200: 조리부
210: 도어 211: 손잡이
212: 투명창 220: 컨트롤패널
221: 디스플레이부 300: 덕트부
310: 상측 덕트부 320: 측면 덕트부
311: 제1 플레이트 311a: 제2 유입구
312: 제2 플레이트 312a: 제1 수평부
312b: 경사부 312c: 제2 수평부
313: 제3 플레이트 313aa: 제1 유입홀
313ab: 제2 유입홀 313b: 절곡부
314: 제4 플레이트 320: 측면 덕트부
321: 제1 유입구 400: 배기 유닛
410: 배기 모터 411: 제1 임팰러
412: 제2 임팰러 500: 필터부
600: 덕트 모듈 610: 전원부
620: 러닝 캐패시터 630: 노이즈 필터
640: 퓨즈 650: 습도센서
660: 조명 유닛

Claims (22)

  1.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조리부와 덕트부를 상, 하로 구획하되 상기 조리부에서 유출되는 수증기 토출부가 형성된 구획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조리부;
    상기 하우징과 조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부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덕트부를 포함하는 덕트부;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측 덕트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덕트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되, 배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중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구획 하우징 사이를 밀폐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수증기 토출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312)와 제4 플레이트(314)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덕트모듈;을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1 수평부;
    상기 한 쌍의 제1 수평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한 쌍의 경사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호 수평한 한 쌍의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부 및 제2 수평부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은 상기 수증기 토출부 상에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수증기 토출부 상에 배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하나의 제1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전원부;
    상기 하나의 경사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러닝 캐패시터(running capacitor);
    상기 하나의 제2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퓨즈(fuse);를 더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제1 플레이트 하측면에 배치된 조명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획 하우징은 상기 조명유닛의 광을 상기 조리부에 입사하는 광입사부가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부에는 필터가 배치되는 구조가 개선된 후드 겸용 전자렌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부로 배기를 유동시키는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닛은 배기 모터와, 상기 배기 모터로써 구동되어 상기 덕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임팰러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유입홀과, 제2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임팰러는 상기 제1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임팰러와, 상기 제2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임팰러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입홀 및 제2 유입홀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22. 삭제
KR1020140174473A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86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73A KR101686304B1 (ko)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US14/597,959 US9854628B2 (en) 2014-12-05 2015-01-15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1510026775.0A CN105864841B (zh) 2014-12-05 2015-01-20 悬挂式微波炉及其使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73A KR101686304B1 (ko)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77A KR20160068577A (ko) 2016-06-15
KR101686304B1 true KR101686304B1 (ko) 2016-12-13

Family

ID=5609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473A KR101686304B1 (ko)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54628B2 (ko)
KR (1) KR101686304B1 (ko)
CN (1) CN1058648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241B (zh) * 2017-12-29 2022-03-0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烘干水分的方法和洗涤器具
KR20230106027A (ko) * 2022-01-05 202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522Y1 (ko) * 2000-12-30 200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출 구조
KR200232523Y1 (ko) * 2000-12-30 200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KR100807384B1 (ko) *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047B1 (ko) * 1997-11-20 2001-11-22 윤종용 전자렌지용 노이즈 필터의 모니터 퓨즈 고정 위치 개선구조
KR200229365Y1 (ko) * 2000-12-28 200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장착플레이트 장착구조
KR100437383B1 (ko) * 2000-12-30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구조
KR100499023B1 (ko) * 2003-01-09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1291412B1 (ko) * 2006-12-27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1689882B1 (ko) * 2009-12-07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US20120170247A1 (en) * 2011-01-05 2012-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ing to illuminate the interior of microwave ovens
KR101890433B1 (ko) * 2011-10-04 2018-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522Y1 (ko) * 2000-12-30 200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출 구조
KR200232523Y1 (ko) * 2000-12-30 200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KR100807384B1 (ko) *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64841A (zh) 2016-08-17
CN105864841B (zh) 2018-08-24
US20160165674A1 (en) 2016-06-09
US9854628B2 (en) 2017-12-26
KR20160068577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33B1 (ko) 오븐
US7721728B2 (en) Oven
EP1731843B1 (en) Oven
CN102188169B (zh) 烤箱
US7296565B2 (en)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appliance
US20150241069A1 (en) Wall oven cooling system
EP3438552B1 (en) Oven
KR101686304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45822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50061702A (ko) 피자오븐 겸용 전자렌지의 오븐도어 냉각구조물
CN104235886B (zh) 燃气灶
KR101720995B1 (ko)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KR101686303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10070470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JP2008002756A (ja) 電子レンジ
JP2005351563A (ja) 蒸気調理器
KR100678665B1 (ko) 오븐
KR102019260B1 (ko) 조리 기기의 도어
KR100716001B1 (ko) 오븐 레인지
KR101646400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JP2017083100A (ja) 加熱調理器
KR100716253B1 (ko) 오븐 레인지와 오븐 레인지용 도어
KR20060125294A (ko) 오븐
JP200235294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310870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