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872A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872A
KR20210115872A KR1020200032254A KR20200032254A KR20210115872A KR 20210115872 A KR20210115872 A KR 20210115872A KR 1020200032254 A KR1020200032254 A KR 1020200032254A KR 20200032254 A KR20200032254 A KR 20200032254A KR 20210115872 A KR20210115872 A KR 2021011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d
outlet
air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박경준
양재경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872A/ko
Priority to EP20925745.0A priority patent/EP4122295A4/en
Priority to PCT/KR2020/004970 priority patent/WO2021187660A1/en
Priority to US16/905,511 priority patent/US11297696B2/en
Publication of KR2021011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 캐비티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는 배기장치, 하우징에 연결되는 도어, 도어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다. 도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having hood}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주방의 가스레인지 위에 설치되며, 가스레인지에서 조리를 할 때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후드와 전자레인지를 결합한 장치이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하나의 장치로 두 가지 가전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내부 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내부 공간이 부족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디스플레이를 결합하려고 할 때,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 공간이 필요하지만, 공간이 제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올라오는 오염 공기로 인해 디스플레이가 쉽게 오염되어 청결을 유지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올라오는 조리기기의 오염 공기가 기기에 부착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추가되는 모듈에 따라 부족한 내부 공간을 해결하기 위한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추가되는 모듈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 캐비티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는 배기장치, 하우징에 연결되는 도어, 도어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도어의 내면에 장착되는 쿨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는 흡입구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구는 도어로 흡입된 공기를 전면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토출구는 디스플레이 보다 높게 형성된 제2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구는 도어로 흡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토출구는 도어의 하면에 형성된 제3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토출구는 도어로 흡입된 공기를 도어의 아래로 안내할 수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제3 토출구 주변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아래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도어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도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제3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는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디스플레이 보다 높게 형성된 제2 토출구, 도어의 하면에 형성된 제3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에는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제1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1 공기 유로와,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제2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2 공기 유로와,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제3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3 공기 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별도의 공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아래에서 올라오는 조리기기의 오염 공기가 도어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여 도어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발열을 방지하는 도어 내부의 냉각 유로에 의해 도어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리를 하는 동안 레시피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가 각종 모듈을 구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주방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1)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에는 가스레인지, 인덕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조리기기(1)의 사용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주방의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벽걸이형 배기장치와 전자 레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하우징(6)에 연결되는 도어(4)와 하우징(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4)는 후술할 하우징(6)의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도어(4)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는 후술할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하우징(6) 하부에 장착되는 배기장치(10)에 의해 조리기기(1) 사용시 발생되는 오염공기는 하우징(6) 하부로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도어(4)에서는 공기를 토출하여 오염공기가 도어(4) 측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내부와 주변의 공기 흐름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4)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와 흡입구(2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30)는 도어(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0)는 디스플레이(40)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32), 디스플레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2 토출구(31), 도어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3 토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는 흡입구(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도어(4) 내부로 유입되고, 제1 토출구(32), 제2 토출구(31), 제3 토출구(33)를 통해 각각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같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하우징(6)은 전자레인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캐비티(3)와 캐비티(3)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8)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8)은 캐비티(3) 내부에 열을 제공하여, 캐비티(3)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가열원(8)은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 마그네트론에 고압 전류를 공급하는 고압 트랜스 및 캐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4)는 마이크로웨이브 차폐 초크(70, 도 5 참고)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차폐 초크(70)는 도어(4) 내부에 위치하여, 가열원(8)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도어(4)에 구비되는 모듈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하우징(6)의 하부에 장착되는 배기장치(10)와 연결되는 배기유로(5) 및 배기유로(5)에 설치되는 벤트팬(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3)와 배기유로(5)는 별도의 공간으로 구비된다. 즉,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에서 수행되는 조리 동작과 배기장치(10)의 배기 동작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하우징(6)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6A)과, 아우터 하우징(6A)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캐비티(3)가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6B)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기유로(5)가 이너 하우징(6B)과 아우터 하우징(6A)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배기유로(5)는 아우터 하우징(6A)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 유로(5)는 이너 하우징(6B) 내부인 캐비티(3)와 구획될 수 있다.
하우징(6)에는 외부의 공기가 배기유로(5)로 흡입되는 하우징 흡입공(6C)과, 벤트팬(7)에서 송풍된 공기를 하우징(6) 외부로 배출하는 하우징 배기공(6D)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면, 배기장치(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5)를 따라 유동된다. 즉, 배기장치(10)에 의해 하우징 흡입공(6C)으로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5)를 따라 안내되고, 하우징 배기공(6D)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로(5) 또는 하우징 배기공(6D)은 벽(W)이나 천장에 형성된 배기 구멍과 연통되어,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조리기기(1) 및 배기장치(10)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필요로 하는 장소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1)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는 도어(4)에 흡착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기장치(10)를 통해 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4)에 형성된 흡입구(20)와 토출구(30)는 조리기기(1)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가 도어(4)로 유도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기기(1)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공기를 오염 공기로 칭하고, 도어(4)의 주변에서 도어로 흡입되는 공기를 외부 공기로 칭하여 설명한다.
이하,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도어(4) 부분에서 공기 흐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어(4)는 도어 상면(4a), 도어 하면(4b), 도어 전면(4c)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어 상면(4a)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하면(4b) 및 도어 전면(4c)에는 토출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4)의 내부에는 흡입구(20)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30)로 토출되도록 안내되는 도어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통로(P)는 도어 내벽(400) 및 쿨링팬(50)에 의해 제1 도어 통로(P1)와 제2 도어 통로(P2)로 구분될 수 있다.
쿨링팬(50)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흡입구(20)에서의 공기의 흡입과 토출구(30)에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할 수 있는 기계장치를 의미한다. 쿨링팬(50)은 도어 내벽(400)에 부착되어, 제1 도어 통로(P1)에서 제2 도어통로(P2)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 통로(P1)의 끝에는 흡입구(20)가 위치하고, 제2 도어 통로(P2)의 끝에는 토출구(30)가 위치할 수 있다.
쿨링팬(50)의 구동 시, 외부 공기는 도어(4)의 흡입구(20)를 통해 도어(4)의 내부인 제1 도어 통로(P1)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20)를 통해 도어(4)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토출구(3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토출구(30)는 유입된 외부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흡입구(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조리기기(1)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도어(4)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4)에 쿨링팬(5), 흡입구(20) 및 토출구(30)를 구비하여 오염방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20)를 통해 도어(4)의 내부인 제1 도어 통로(P1)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제1 도어 통로(P1)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흐르며, 일부 공기는 제1 쿨링팬(51)에 의해 제2 도어통로(P2)로 유동되고, 제1 쿨링팬(51)에 의해 제2 도어 통로(P2)로 유동되지 않고 아래로 흘러내려온 공기는 제2 쿨링팬(52)에 의해 제2 도어 통로(P2)로 유동된다. 제2 도어 통로(P2)로 유동된 외부 공기는 제1 토출구(3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토출구(32)는 디스플레이(40)의 아래에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도어(4)의 전면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토출구(32)는 토출되는 외부 공기가 도어(4)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1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로는 흡입구(20)로 흡입된 공기가 제1 토출구(32)로 토출되는 공기 유로일 수 있다. 제1 공기 유로는 아래에서 올라오는 오염 공기가 도어(4)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로는, 흡입구(20)에서 흡입된 공기가 제1 토출구(32)로 빠져나가면서 도어 내벽(400)에 장착되는 각종 모듈 및 디스플레이(40) 주변을 지나가게 되므로, 공기의 순환을 통해 도어(4)에 장착되는 모듈 및 디스플레이(40)를 냉각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흡입구(20)로 흡입된 공기가 제1 토출구(32)로 토출되는 냉각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유로는 오염 방지 유로 겸 냉각 유로일 수 있다.
도어(4)는 제2 토출구(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구(31)는 디스플레이(40)보다 높게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디스플레이(40)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흡입구(20)를 통해 도어(4)의 내부인 제1 도어 통로(P1)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제1 도어 통로(P1)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흐르며, 일부 공기는 제1 쿨링팬(51)에 의해 제2 도어통로(P2)로 유동되고, 제1 쿨링팬(51)에 의해 제2 도어통로(P2)로 유동된 공기는 제2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토출구(31)를 통해 빠져나온 공기가 디스플레이(40) 방향으로 향하는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는 흡입구(20)로 흡입된 공기가 제2 토출구(31)로 토출되는 공기 유로일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는 아래에서 올라오는 오염 공기가 도어 전면(4c)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4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공기 유로는 오염 방지 유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오염 방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4)는 제3 토출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토출구(33)는 도어(4)의 하면(4b)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도어(4)의 아래로 안내할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제3 토출구(3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면, 토출된 공기가 도어(4)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4)에는 흡입구(20)로 흡입된 공기가 제1 도어 통로(P1)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흐르다가 제3 토출구(33)로 토출되는 제3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후술하는 제3 토출구(33) 주변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시야 확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공기 유로는 카메라 시야 확보 유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4)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4)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도어(4) 형상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4)의 상측에는 전면(4c)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토출구(31)는 제1 돌출부(410)의 하면(4d)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된 외부 공기는 도어(4) 전면(4c)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40)를 타고 수직방향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도어(4)의 제1 돌출부(410)는 토출되는 외부 공기가 아래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안내하여 디스플레이(40)에 닿을 수 있는 오염 공기의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어(4)의 하측에는 전면(4c)에서 돌출된 제2 돌출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32)는 제2 돌출부(420)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토출구(32)는 제2 돌출부(420)의 전면(4e)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4)의 제2 돌출부(420)는 토출되는 외부 공기를 도어(4) 전면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아래에서 올라오는 오염 공기가 디스플레이(40)에 부착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돌출부(420) 자체가 아래에서 올라오는 오염 공기가 디스플레이(40)를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배기 장치와 전자레인지의 결합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등 새로운 기기를 결합시키는 데에 있어 내부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부족한 내부 공간에 결합된 기기의 모듈을 동작 시킬 때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모듈 장착에 있어서, 내부 공간 부족 문제와 발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는 각종 모듈을 도어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구비하고, 이를 냉각시키기 위해 도어(4)에 냉각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가 각종 모듈을 구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4)는 카메라 모듈(60), 통신 모듈(80), 음향 출력부(90)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 통신 모듈(80), 음향 출력부(90)는 도어 내벽(400)에 부착될 수 있으나, 각 모듈은 도어 내벽(400)에 부착되지 않고 도어(4)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위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술하였듯이, 흡입구(20)로 유입되어 도어 통로(P)를 지나 토출구(30)로 유출되는 외부 공기는 각 모듈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도어(4)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는 냉각 유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 공기 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냉각 유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각 모듈의 배치 및 토출구(30)의 배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60)은 제1 카메라 모듈(63), 제2 카메라 모듈(62), 제3 카메라 모듈(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63)은 도어 하면(4b)에 위치하는 제3 토출구(33) 주변에 장착되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아래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 모듈(63)은 조리기기(1)에서 조리되고 있는 음식물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아래에서 발생한 오염 공기는 제1 카메라 모듈(63)의 렌즈에 부착될 수 있고, 이 경우 오염 공기는 제1 카메라 모듈(63)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구(20)로 흡입되어 제3 토출구(33)로 토출되는 공기는 이러한 오염 공기가 제1 카메라 모듈(63)의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가 흡입구(20)로 흡입되어 제3 토출구(33)로 토출되는 제3 공기 유로는 카메라 시야 확보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62)은 도어(4) 내부에 위치하여 캐비티(3)를 촬영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62)은 캐비티(3)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동안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캐비티(3)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제3 카메라 모듈(61)은 도어 전면(4c)에 위치하여 도어(4)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이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기기를 통해 영상통화를 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를 구성하는 각종 모듈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170)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은 제1 카메라 모듈(63), 제2 카메라 모듈(62), 제3 카메라 모듈(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카메라 모듈(6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8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60)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조리기기(1)에서 조리되고 있는 조리물 또는 캐비티(3)에서 조리되고 있는 조리물의 모습을 디스플레이(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격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통신 모듈(8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80)은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80)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ZigBee, NFC, Wi-Fi, Wi-Fi Direct, Wireless USB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 모듈(80)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음성 파일, 영상 파일 등을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90)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40)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를 하면서 요리 레시피 영상, 화상 통화 등을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음향 출력부(90)는 스피커 등 오디오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 모듈(80)을 통해 수신한 음성 파일, 영상 파일 등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조리기기 2: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4: 도어 6: 하우징
40: 디스플레이 10: 배기장치
20: 흡입구 30: 토출구
50: 쿨링팬 60: 카메라 모듈

Claims (14)

  1.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캐비티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는 배기장치;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도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에 장착되는 쿨링팬을 더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 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는
    상기 도어로 흡입된 공기를 전면 방향으로 안내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다 높게 형성된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도어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도어의 하면에 형성된 제3 토출구를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토출구는
    상기 도어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도어의 아래로 안내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토출구 주변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아래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제3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상기 디스플레이 보다 높게 형성된 제2 토출구, 상기 도어의 하면에 형성된 제3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1 공기 유로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2 공기 유로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3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3 공기 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20200032254A 2020-03-16 2020-03-16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210115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254A KR20210115872A (ko) 2020-03-16 2020-03-16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EP20925745.0A EP4122295A4 (en) 2020-03-16 2020-04-13 MICROWAVE OVEN WITH A HOOD
PCT/KR2020/004970 WO2021187660A1 (en) 2020-03-16 2020-04-13 Microwave oven having hood
US16/905,511 US11297696B2 (en) 2020-03-16 2020-06-18 Microwave oven having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254A KR20210115872A (ko) 2020-03-16 2020-03-16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872A true KR20210115872A (ko) 2021-09-27

Family

ID=7766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254A KR20210115872A (ko) 2020-03-16 2020-03-16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97696B2 (ko)
EP (1) EP4122295A4 (ko)
KR (1) KR20210115872A (ko)
WO (1) WO2021187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1633B2 (en) * 2020-07-24 2023-11-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r-the-range microwave including airflow regulating features
US11821631B2 (en) * 2020-07-24 2023-11-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r-the-range microwave including airflow regulating features
US20220113035A1 (en) * 2020-10-08 2022-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ntilation hood
KR20230061236A (ko) *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053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230132766A1 (en) * 2021-10-28 2023-05-04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US20230132856A1 (en) * 2021-10-28 2023-05-04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3075056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06B1 (ko) 2002-05-23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705098B1 (ko) * 2004-03-09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13510B1 (ko) * 2004-04-12 200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KR100628081B1 (ko) * 2005-12-22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KR100851640B1 (ko) * 2007-01-26 200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
JP6596252B2 (ja) * 2015-07-23 2019-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DE102017202778A1 (de) * 2017-02-21 2018-08-23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einer Aufnahme für ein entnehmbar ausgebildetes Sensormodul
KR102506666B1 (ko) * 2018-02-19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레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US10830453B2 (en) * 2018-08-03 2020-11-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ing exhaust systems having one or more airflow features
US11287140B2 (en) * 2019-01-04 2022-03-29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with an imaging device
US11112121B2 (en) * 2019-10-04 2021-09-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ing eng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cooktop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2295A1 (en) 2023-01-25
EP4122295A4 (en) 2024-04-17
US20210289593A1 (en) 2021-09-16
US11297696B2 (en) 2022-04-05
WO2021187660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5872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US10865995B2 (en) Ventilation system for induction cooktop
KR101304691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JP6333040B2 (ja) 加熱調理器
EP1221827B1 (en) Hood apparatus of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EP3056822B1 (en) Cooking appliance
KR102208563B1 (ko) 조리기기
KR20020050027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US20230139545A1 (en) Cooking appliance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KR20100112338A (ko) 스팀조리기기
KR100747815B1 (ko) 전기오븐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EP4174385A1 (en) Cooking appliance
EP4174387A1 (en) Cooking appliance
EP4174382A1 (en) Cooking appliance
EP4175415A1 (en) Cooking appliance
CN210601759U (zh) 厨具
JP2012164606A (ja) 加熱調理器
KR20220153891A (ko) 후드 겸용 조리기기
JP2018105520A (ja) レンジフード
KR20230174404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1001822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230103500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220115074A (ko) 조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