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236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236A
KR20230061236A KR1020220073232A KR20220073232A KR20230061236A KR 20230061236 A KR20230061236 A KR 20230061236A KR 1020220073232 A KR1020220073232 A KR 1020220073232A KR 20220073232 A KR20220073232 A KR 20220073232A KR 20230061236 A KR20230061236 A KR 20230061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posed
cooking appliance
door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민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및 냉각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은,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아우터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는, 아우터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이너패널, 아우터패널과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이너패널에 결합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ELECTRONIC RANG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조리기기는 전자기파의 일종인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놓여 조리되는 공간인 캐비티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로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10-2008-0070408에 개시된다.
조리기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조리기기의 효율적인 사용, 설치공간의 절약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 예를 들어, 가열식 오븐, 가스레인지 등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를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하면, 사용자는 조리기기와 가열조리장치가 인접한 환경에서 움직임을 줄여 편리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를 후드로 사용하여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은 조리기기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조리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다른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가전기기의 허브역할을 하는 경우, 음식물의 조리 이외의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터치방식으로 조리에 필요한 명령, 기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와 기타 도어에 장착된 부품에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이 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열기, 유증기 등에 의해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기타 도어에 장착된 부품이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도어 내부 부품의 냉각을 위해, 도어에는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유동 경로가 형성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에어가이드 가장자리의 틈새에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경우에 도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에어커튼을 형성하거나 도어 내부를 냉각하는데 지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의 하부에는 조리기기의 하부에 놓인 가열조리장치의 상태를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은 상승하여 카메라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열기에 의해 카메라가 오작동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유증기가 카메라의 표면에 부착될 경우, 유증기는 카메라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촬영되는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거나 촬영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측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이 도어에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모듈의 냉각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외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도어에 열기, 유증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디스플레이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구조와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차폐구조가 형성된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 틈새에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열기, 유증기 등이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카메라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및 냉각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냉각유로부 내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송풍팬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에어가이드의 유입구를 통해 도어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를 통해 도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아우터패널의 제1통공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유입구로부터 도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송풍팬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을 도어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송풍팬을 통과하면서 에어가이드의 장착홀을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에서 유동방향이 도어의 상하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장착홀의 전방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장착홀을 통과한 공기는 에어가이드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일부는 도어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서 분기되는 공기는 도어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분기된 공기는 특히 도어 전면 부위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도어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아우터패널, 아우터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이너패널, 아우터패널과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이너패널에 결합하는 에어가이드, 및 에어가이드에 장착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패널은,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에어가이드를 향하여 돌출되고, 에어가이드와 형합되어 에이가이드와 이너패널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돌기는, 이너패널의 하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이너패널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차단부, 및 제1차단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이너패널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가장자리에 차단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차단돌기와 형합되어 에이가이드와 이너패널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형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형합홈부는, 제1차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에어가이드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형합부, 및 제2차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에어가이드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형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형합홈부는, 이너패널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절곡부,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차단돌기의 끝단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절곡부, 및 제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3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돌기는 제2차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형합홈부는 제2형합부에 형성되고,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후크가 끼워지는 끼움홀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한 쌍의 제2차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끼움홀은 한 쌍의 제2형합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형합부는,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제2형합부의 나머지 부위와 적어도 일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끼움홀이 형성되고, 후크가 끼움홀에 끼워지는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후크는 제2차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끼움홀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끼움홀은 제2형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의 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은, 상부에 배치되고, 송풍장치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하부에 배치되고, 송풍장치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하고, 에어가이드는,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및 유입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송풍장치가 장착되는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는, 장착홀에 배치되는 케이싱, 및 케이싱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에어가이드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송풍팬으로 유입되고, 송풍팬을 도어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하고, 에어가이드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되어 일부는 도어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배출구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아우터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하부상태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는,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장착되는 촬영부, 및 촬영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에 장착되는 보호글래스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보호글래스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냉각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배출홀은, 냉각유로부로부터 공기배출홀을 통과하는 공기가 보호글래스를 둘러싸면서 보호글래스의 외곽을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은, 이너패널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셀을 지지하여 하우징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는 단부가 제1셀의 표면과 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지지리브와 제1셀은 서로 접촉하여, 지지리브가 제1셀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조리기기에서의 조리상황을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다른 가전기기의 허브역할을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를 통해 도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각종의 전자부품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오염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디스플레이부 전면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 후면과 도어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전자기파의 차폐구조를 모두 가지는 도어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및 차폐구조는 서로 결합하여 도어를 전체적으로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에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및 차폐구조를 모두 형성하더라도 도어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는 형합홈부와 차단돌기에 의해 틈새가 차단되어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와 이너패널의 결합부위에서 도어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도어 외부로 유출이 억제되어, 설계된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강제유동 공기에 의한 도어의 냉각효과와 에어커튼 형성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차단돌기에 후크가 형성되고 형합홈부에는 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홀을 후크에 끼움으로써 에어가이드와 이너패널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갯수를 줄임과 동시에 에어가이드와 이너패널을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도어의 조립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형합홈부가 차단돌기에 장착되면, 제1절곡부와 제3절곡부는 이너패널과 에어가이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2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패널과 에어가이드가 결합하여 형성된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는 이러한 틈새로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카메라의 하우징에 형셩되는 공기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제1카메라의 하측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에어커튼은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열기, 유증기 등이 제1카메라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은 열기에 의한 제1카메라의 오작동 또는 파손을 억제하고, 유증기에 의해 제1카메라의 시야가 저하되는 억제하여 제1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화질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제1카메라를 지지하도록 이너패널에 돌출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는 제1카메라의 하우징과 접촉하여 하우징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카메라를 아우터패널에 장착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하우징의 일측 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제1보스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우징이 제1보스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지리브가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인해 제1카메라의 장착시 하우징이 회전하여 제1카메라의 시선방향이 설계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변경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1카메라가 의도하지 않은 부분을 촬영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도어에서 디스플레이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와 아우터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패널과 에어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1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에어가이드, 송풍장치 및 이너패널이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D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E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가 아우터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F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가 아우터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가 아우터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1카메라, 아우터패널 및 이너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1카메라, 아우터패널 및 이너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9는 제1카메라와 아우터패널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0은 제1카메라와 이너패널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조리기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 예를 들어, 가열식 오븐, 가스레인지 등이 배치된 위치의 상측에 상기 가열조리장치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의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포함한 조리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는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의 후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리기기는 후드로 사용되기 위한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전자기파의 일종인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캐비티(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캐비티(11)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놓일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11)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벤트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본체(10) 하부에는 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자신의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후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캐비티(11)의 입구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20)가 닫힌 경우에 일면이 초크부재(17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11)를 폐쇄하는 전면패널(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은 캐비티(11)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소정의 폭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히면, 상기 도어(20)의 가장자리 부위와 캐비티(11)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면패널(12)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1)를 실링하여 캐비티(11)에 놓인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습기, 유증기 등이 캐비티(11)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어(20)의 배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어(20)는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및 차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도어(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통해 조리기기의 캐비티(11)의 내부를 볼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유로부(22)를 통해 도어(20) 내부를 유동하여 도어(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차폐부(23)는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23)는 캐비티(11)에서 발생하여 조리기기 외부로 전파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23)는 본체(10) 내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전자기파(마이크로웨이브)가 도어(2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여 도어(20) 내부에 장착된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도어(20)을 냉각하는 공기가 내부에 유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박형으로 형성되고 그 면적이 도어(20)의 일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도어(20)의 전면부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면적이 커지므로 사용자에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형의 화면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형화되므로 발열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냉각공기가 유동하는 냉각유로부(22)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방에 배치되어 냉각공기가 유동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는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1)에 장착되는 발열부품도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즉,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부(110) 기타 각종 발열부품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냉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 전체가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유로부(22)를 통과하여 도어(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냉각유로부(22) 내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냉각공기가 냉각유로부(22) 내부에서 분기되어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냉각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 전체와 접촉하면서 유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가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배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및 도어(20)의 주위에 에어커튼을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에는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 기타 전장부품이 구비되고, 냉각유로부(22)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장치(150)와 같은 전장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전장부품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냉각유로부(22) 후방에는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디스플레이부(110)와 각종의 전장부품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된 냉각유로부(22)가 배치되고,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모듈(21)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에 전자기파가 도달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21)은 조리기기의 전면부 즉, 도어(20)의 최전방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모듈(2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 등의 부품이 효과적으로 냉각되고, 디스플레이부(110) 등이 구비되는 도어(20) 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동시에 도어(20)의 주위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냉각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또한 도어(20)에 장착되는 전장부품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모듈(21)은 도어(20)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되고, 차폐부(23)는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도어(20)는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차폐부(23)가 도어(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공기가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배출구(123)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배출구(124)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도어(2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차폐부(23)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구조로 구현된 도어(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1배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124)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공기는 도어(20) 내부 전체를 유동하여 도어(20) 전체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디스플레이부(110), 아우터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조리에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인식 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다른 가전기기, 그리고 현관문에 구비되는 카메라, 잠금장치 등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필요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가전기기의 작동, 외부인의 방문, 기타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고, 디스플레이부(110)를 사용하여 가전기기, 기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와 연결되는 장치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도어(20)는 사용자에게 생활에 필요한 가전기기, 기타 장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러한 장치들에게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종의 사물인터넷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대체로 중공(1201)을 가지고 도어(2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패널(1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팬(152)을 통과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의 발열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전술한 구조를 가지므로 내장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내장공간에 각종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도어(20)의 전후방 방향의 폭은 거의 아우터패널(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상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12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제1통공(121)은 복수의 슬릿형상의 홀들이 거리를 두고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통공(121)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다소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일 측부에는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하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손잡이(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2)는 예를 들어 아우터패널(120)의 측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일 측부,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122)가 형성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버튼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장치(300)를 조작하여 조리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전기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의 작동에 관한 세부적인 조작은 디스플레이부(110)에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아우터패널(120)은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의 각종 부품을 지지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에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재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캐비티(11) 내부 또는 조리기기 하부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제1카메라(210), 제2카메라(220), 제3카메라(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0)의 하부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시선방향이 조리기기의 하부로 향하도록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의해, 상기 가열조리장치의 상태와 가열조리장치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20)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조리기기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후술하는 배플(190) 및 프런트커버(200)를 관통하여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카메라(220)에 의해 촬영되어 기록된 조리기기의 전방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제2카메라(220)는 조리기기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현관문 밖 기타 원격지에 있는 다른 사람과 영상통화를 하는데 상기 제2카메라(220)가 이용될 수 있다.
제3카메라(230)는 후술하는 프레임(160)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티(11)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11)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제3카메라(230)의 시선은 상기 캐비티(11)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캐비티(11)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캐비티(11)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190) 및 상기 프런트커버(200)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카메라(2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휴먼감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먼감지부(24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인식, 동작 인식 방식 등으로 도어(20)의 전방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휴먼감지부(240)를 통해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에 필요한 조리기기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프레임(160)의 측부에 장착되고, 일부가 상기 프레임(16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래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250)는 도어(20)의 전면패널(12)에 형성되는 홈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250)는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냉각유로부(22)는 이너패널(130), 에어가이드(140), 송풍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패널(130)에는 후술하는 에어가이드(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에어가이드(140)와 함께 도어(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패널(130)는 에어가이드(140)가 장착되고, 프레임(160)과 결합되어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과 상기 이너패널(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13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40)는 외부로부터 도어(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고,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상기 에어가이드(140)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에어가이드(140)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차폐부(23)는 프레임(160). 초크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상기 이너패널(1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130)에 결합하고, 일측부가 상기 본체(1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160)이 회전하면서 도어(20)가 회전하여 조리기기의 캐비티(11)를 개폐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이너패널(130)과 결합하여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자기파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구조 즉, 초크부재(170)를 가지고, 도어(20)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초크부재(170)는 상기 프레임(16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60)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외부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초크부재(170)는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60)의 가장자리 부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배플(190), 프런트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플(19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패널(120)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배플(190)은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젤(bezel)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런트커버(200)는 상기 배플(19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19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200)는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와 배플(190)을 아우터패널(12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도어(20)에서 디스플레이모듈(21)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21)은 커버글래스(21a), 장착바(21b), 장착플레이트(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글래스(21a)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부착될 수 있다. 커버글래스(21a)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은 커버글래스(21a)를 통과할 수 있다.
커버글래스(21a)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글래스(21a)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장착바(21b)는 커버글래스(21a)의 전방에 배치되고, 커버글래스(21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커버글래스(21a)와 디스플레이부(110)를 아우터패널(1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장착바(21b)는 커버글래스(21a)의 상부에 결합하는 제1바(21b-1)와 커버글래스(21a)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2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21b-1)와 제2바는 커브글래스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21c)는 제1바(21b-1)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21c)에는 제2카메라(220)와 휴먼감지부(24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21c)는 대체로 제1바(21b-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바(21b-1)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가 조립되면 장착플레이트(21c)는 제1바(21b-1)에 중첩되고 제1바(21b-1)에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1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120)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110)와 아우터패널(1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음성, 알람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260)는 도어(2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도어(20)가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기 위한 일체의 음성, 알람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270)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상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폰(270)을 통해 조리기기를 조작하는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잇다. 또한, 마이크로폰(270)은 도어(20)가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기 위한 역할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상기 스피커(260) 및 상기 마이크로폰(270)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는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므로, 도어(20)에 구비되는 통신부(28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28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통신부(280)는 서로 다른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80)는 무선통신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통신부(280)는 지그비통신장치, 와이파이통신장치, 제트웨이브통신장치 또는 블루투스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통신부(280)의 통신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부(280)는 유선통신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아우터패널(120)에는 조리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보드(290)에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에는 홀더(120a), 개방홀(120b), 제1관통구(120c), 제2관통구(120d), 장착가이드(120e), 끼움돌기(120f)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120a)는 스피커(26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더(120a)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스피커(260)의 원형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피커(260)는 홀더(120a)에 장착되어 아우터패널(120)에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홀더(120a)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한 쌍의 스피커(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120b)은 아우터패널(120)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개방홀(120b)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홀(120b)을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하측을 바라볼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상기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스피커(260)가 배치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스피커(26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동시에 스피커(2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매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제1관통구(120c)를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외부와 연통되어, 사용자에게 알람, 기타 음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2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제1관통구(120c)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한 쌍의 스피커(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120d)는 아우터패널(120)의 일측부의 하부에 아우터패널(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120d)를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버튼장치(300)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우터패널(120)의 노출된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버튼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형성되어 복수의 통신부(28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가이드(120e)는 복수의 통신부(28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통신부(280)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80)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형성을 가진 돌출부위가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가이드(120e) 각각은 복수의 통신부(280) 각각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끼움돌기(120f)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120f)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120f)에는 제어보드(290)가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돌기(120f)는 판형의 제어보드(290)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보드(290)는 모서리가 끼움돌기(120f)에 끼워져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보드(290)의 모서리가 끼워지도록, 끼움돌기(120f)에는 제어보드(29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끼워맞춤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120)은 상부에 상기 제1배출구(123)가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제2배출구(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아우터패널(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124)는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도어(20)가 조립되면,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는 배플(190)과 프런트커버(200)에 의해 일부가 막힐 수 있다. 이때, 배플(190)에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고, 제2배출구(124)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장치(150)에 의해 도어(20)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의 하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커튼은 외부의 공기유동이 도어(2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배출구(123) 및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외부의 공기유동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 또는 경계구역을 에어커튼이라 할 수 있다.
제1배출구(123) 및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은 외부공기가 도어(20)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하부에 가열조리장치가 배치되므로, 상기 가열조리장치의 사용시 발생하는 열기,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는 상승하여 조리기기에 침투할 수 있다.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조리기기로 전달되는 열기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20)의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와 이의 작동에 관계되는 회로, 소장 등이 내장되는 부품은 열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조리되는 음식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증기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20)에 부착될 수 있다. 유증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기타 도어(20)에 장착되는 부품의 표면에 부착되어 이러한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0)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상기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도어(2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각종의 전자부품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40)는 유입구(141)와 장착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41)는 에어가이드(1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41)는 아우터패널(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통공(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제1통공(121)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에서 상기 유입구(1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장치(15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를 도어(20)의 전후방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유입구(141)를 통해 에어가이드(14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고, 다시 장착홀(142)을 통해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방향이 변경되어 유동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케이싱(151)과 송풍팬(15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장착홀(142)에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송풍팬(152)이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152)은 상기 케이싱(15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은 전기를 인가받아 회전하여 도어(20)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는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은 케이싱(151)의 중앙에 형성되어 송풍팬(152)이 배치되는 중공의 위치, 면적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도어(20)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공기의 유동을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송풍팬(152)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에어가이드(140)의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52)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제1통공(121)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유입구(141)로부터 도어(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도어(20)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송풍팬(152)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송풍팬(152)을 상기 도어(20)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송풍팬(152)을 통과하면서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을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152)에서 유동방향이 도어(20)의 상하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장착홀(142)의 전방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장착홀(14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40)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배출구(123)로 배출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배출구(124)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서 분기되는 공기는 도어(20)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분기된 공기는 특히 도어(20) 전면 부위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도어(20)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배출구(1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공기의 도어(20) 내부 유동구조로 인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20) 내부 전체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과 아우터패널(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전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면 전체를 냉각하고, 아우터패널(120) 기타 도어(20)의 다른 부분에 장착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아우터패널(120)에는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 발열되는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품은 아우터패널(120) 전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아우터패널(120) 내부 전체를 유동하면서 이러한 발열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과 유입구(141)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송풍팬(152)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제1통공(121)과 유입구(141)을 통해 에어가이드(140) 내부로 유입되어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송풍장치(15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프레임(1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송풍장치(150)의 송풍팬(152)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152)을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15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혀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를 통과한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힌 후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유동이 분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으로 향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에 상측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123)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하측으로 향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에 하측에 구비되는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면서, 디스플레이부(110) 전면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면과 도어(20)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장착홀(142)에 대응하는 위치, 크기 및 형상의 중공을 가지고 상기 중공에는 송풍팬(152)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중공과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에 중공(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은 프레임(160)에 의해 막히므로,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으로 새어나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너패널(130)과 프레임(160)은 함께 도어(20) 내부를 냉각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패널(130)은,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에어가이드(140)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40)와 형합되어 상기 에이가이드와 상기 이너패널(130)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돌기(131)는 이너패널(130)에서 대체로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돌기(131)는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가 결합한 경우에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에러가이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차단돌기(131)는 제1차단부(131a), 제2차단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단부(131a)와 제2차단부(131b)는 이너패널(130)의 일면에서 에어가이드(14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1차단부(131a)는 상기 이너패널(130)의 하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이너패널(130)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차단부(131b)는 상기 제1차단부(131a)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이너패널(13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상기 차단돌기(131)와 형합하는 구조를 가진 형합홈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합홈부(143)는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에 상기 차단돌기(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돌기(131)와 형합되어 상기 에이가이드와 상기 이너패널(130)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의 형합홈부(143)는 홈을 가지고, 이에 대응하는 이너패널(130)의 차단돌기(131)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형합홈부(143)는 차단돌기(131)와 형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는 형합홈부(143)와 차단돌기(131)에 의해 틈새가 차단되어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와 이너패널(130)의 결합부위에서 도어(20)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도어(20) 외부로 유출이 억제되어, 설계된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강제유동 공기에 의한 도어(20)의 냉각효과와 에어커튼 형성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형합홈부(143)는 제1형합부(143a)와 제2형합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형합부(143a)는 상기 제1차단부(131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형합부(143b)는 상기 제2차단부(131b)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차단부(131a)와 제1형합부(143a)가 서로 형합되도록 결합하고, 제2차단부(131b)와 제2형합부(143b)가 서로 형합되도록 결합하여,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에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유입구(141)가 형성되는 상측부(140a)와 송풍장치(150)가 배치되는 하측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이 결합되면 하측부(140b)는 대체로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의 상부에서 에어가이드(140)를 내려다 보았을 경우에,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의 단면적은 하측부(140b)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부(140a)의 단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유입구(141)의 단면적도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14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1)가 확장되어 외부공기가 에어가이드(14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는 단면적이 상측부(140a)에 비해 작지만,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에는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이 대응되므로, 하측부(140b)에 대응되는 부위의 공기의 유동공간은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프레임(160)을 향하여 확장될 수 있다. 결국,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도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공기의 유동공간이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대응하는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가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가 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되지만,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의 유동공간은 프레임(160)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에 의해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와 하측부(140b)는 그 단면적이 모두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이 결합된 구조에서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공간은 충분히 넓고, 공기는 외부로부터 원활하게 유입되고 또한 이너패널(130)의 하측부(140b)에 장착되는 송풍장치(15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의 단면적이 감소함으로 인해, 반대로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에서 송풍장치(15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은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50)를 통과한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부(110)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가지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도어(2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1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상기 차단돌기(131)는 상기 제2차단부(131b)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합홈부(143)는 상기 제2형합부(143b)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1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1311)가 끼워지는 끼움홀(1434)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돌기(131)에 후크(1311)가 형성되고 형합홈부(143)에는 상기 후크(13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홀(143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홀(1434)을 후크(1311)에 끼움으로써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갯수를 줄임과 동시에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도어(20)의 조립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후크(1311)와 끼움홀(1434)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1311)와 끼움홀(1434)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1311)는 한 쌍의 상기 제2차단부(131b)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1434)은 한 쌍의 상기 제2형합부(143b)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형합부(143b)는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형합부(143b)의 나머지 부위와 적어도 일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1434)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1311)가 상기 끼움홀(1434)에 끼워지는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되는 탄성변형부(143b-1)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홀(1434)이 형성되는 부위에서 후크(1311)가 용이하게 끼워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끼움홀(1434)에는 전술한 구조의 탄성변형부(143b-1)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143b-1)에 끼움홀(1434)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143b-1)는 제2형합부(143b)의 나머지 부위와 분리되어 용이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1311)에 끼움홀(1434)이 끼워지거나 반대로 후크(1311)가 끼움홀(1434)에서 탈거되는 경우에 탄성변형부(143b-1)는 탄성변형함으로써, 도어(20)의 조립시 후크(1311)를 끼움홀(1434)이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후크(1311)와 끼움홀(1434)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후크(1311)와 끼움홀(1434)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크(1311)와 끼움홀(1434)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크(1311)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후크(1311)는 상기 제2차단부(131b)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홀(1434)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끼움홀(1434)은 상기 제2형합부(143b)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의 상기 후크(13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에어가이드(140), 송풍장치(150) 및 이너패널(130)이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D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E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형합홈부(143)는 홈모양을 형성하여 상기 차단돌기(131)와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동시에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제1절곡부(1431), 제2절곡부(1432), 제3절곡부(143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절곡부(1431)는 상기 이너패널(130)의 단부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2절곡부(1432)는 상기 제1절곡부(1431)로부터 절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돌기(131)의 끝단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절곡부(1433)는 상기 제2절곡부(1432)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1절곡부(1431), 제2절곡부(1432) 및 제3절곡부(1433)는 일체로 형성되어, 홈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형합홈부(143)가 차단돌기(131)에 장착되면, 제1절곡부(1431)와 제3절곡부(1433)는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2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가 결합하여 형성된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는 이러한 틈새로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210)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F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210)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카메라(210)는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20)의 하부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210)는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조리기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와 가열조리장치에 놓여 조리되는 음식을 촬영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어(20)는 사물인터넷의 허브로 기능하므로,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는 도어(20)에 구비되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는 도어(20)에 구비되는 통신장치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1카메라(210)는 하우징(211), 촬영부(212), 보호글래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1)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되고, 촬영부(212)를 보호할 수 있다. 촬영부(212)는 하우징(211)에 장착되고,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212)는 피사체를 향하여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부(2121)와, 이러한 렌즈부(2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렌즈부(2121)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21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2122)은 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렌즈부(2121)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조리기기의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각종의 소자를 구비하고, 인쇄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2122)에는 렌즈부(2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미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에서 피사체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다.
보호글래스(213)는 촬영부(212)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211)에 장착될 수 있다. 보호글래스(213)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광은 보호글래스(213)를 통과하여 렌즈부(2121)로 입사할 수 있다.
보호글래스(213)의 일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타면은 렌즈부(2121)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글래스(213)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유증기, 수증기 등의 이물질이 렌즈부(2121)를 포함하는 촬영부(212)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촬영부(212)를 보호할 수 있다.
가열조리장치에서 올라오는 열기(뜨거운 공기)가 촬영부(212)에 유입되면 촬영부(212)의 과열로 인한 제1카메라(210)의 오작동,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보호글래스(213)가 이러한 열기를 일부 차단하지만, 열기가 보호글래스(213)에 닿으면 전도, 복사 등에 의해 촬영부(212)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부(212)가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열기가 촬영부(2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촬영부(212)의 과열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유증기는 보호글래스(213)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유증기가 부착되면 보호글래스(213)는 유증기에 의해 불투명해지고, 이에 따라 제1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유증기가 보호글래스(213)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유증기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제1카메라(210)로 열기, 유증기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하우징(211)에는 공기배출홀(2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배출홀(211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210)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210)의 단면도이다. 도 24에서 송풍팬(152)에 의해 공기배출홀(2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210)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하우징(211)은 보호글래스(21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2111)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52)에 의해 도어(20)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부(22)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공기배출홀(2111)을 통과하여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11)은 보호글래스(213)에 의해 폐쇄되고 하우징(2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2121)는 관통홀(2112)을 통해 피사체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공기배출홀(2111)은, 냉각유로부(22)로부터 공기배출홀(2111)을 통과하는 공기가 보호글래스(213)를 둘러싸면서 보호글래스(213)의 외곽을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유로부(22)는 보호글래스(213)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보호글래스(213)를 둘러싸면서 유동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공기가 보호글래스(213)를 둘러싸면서 유동하도록, 공기배출홀(2111)은 관통홀(2112)을 둘러싸고, 관통홀(2112)의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배출홀(2111)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2113)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공기배출홀(2111)은 길이방향이 보호글래스(213)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좁고 긴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홀(2111)은 복수로 구비되고 격벽(2113)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전체적으로 원주의 형상으로 하우징(211)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배출홀(2111)은 관통홀(2112)의 외곽에 관통홀(2112)을 둘러싸고 관통홀(2112)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기배출홀(2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대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진 보호글래스(213)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에어커튼은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대류현상에 의해 이동하여 보호글래스(213)로 접근하는 열기, 유증기, 수증기 등이 보호글래스(213)로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카메라(210)의 촬영부(212)로 열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보호글래스(213)의 표면에 유증기가 부착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송풍팬(152)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촬영부(212)의 회로기판(2122)을 향하여 유동하고 다음으로 공기배출홀(2111)을 통해 도어(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는 회로기판(2122)을 냉각하여 회로기판(2122)이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하우징(211)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되고, 하우징(211)에 촬영부(21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11)은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11)은 제1셀(211a), 제2셀(211b), 제1보스(211c), 결합돌기(2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셀(211a), 제2셀(211b), 제1보스(211c), 결합돌기(211d)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1)을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하여 제1셀(211a), 제2셀(211b), 제1보스(211c), 결합돌기(211d)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셀(211a)은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중앙부에 관통홀(2112)과 공기배출홀(2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셀(211a)은 대략적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고, 면적이 두께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셀(211a)의 중앙부에 관통홀(2112)이 형성되고, 보호글래스(213)가 하우징(211)에 장착되면 관통홀(2112)은 보호글래스(21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공기배출홀(2111)은 관통홀(2112)을 둘러싸고 관통홀(211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셀(211b)은 제1셀(211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2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부(212)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셀(211b)의 내부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관통홀(2112)과 연통될 수 있다.
제2셀(211b)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대체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부(2121)가 장착될 수 있다. 제2셀(211b)의 단부에는 회로기판(2122)이 장착될 수 있다. 제2셀(211b)의 단부에는 회로기판(2122)이 장착되고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셀(211b)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는 보호글래스(213)가 장착될 수 있다.
제2셀(211b)에 형성된 공간은 관통홀(2112)과 연통되고 보호글래스(213)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제2셀(211b)에 형성된 공간에 장착된 렌즈부(2121)는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와 가열조리장치에 놓인 음식물을 볼 수 있고, 제1카메라(210)는 이들을 촬영할 수 있다.
제1보스(211c)는 제1셀(211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211)을 아우터패널(120)에 결합시키는 결합기구가 체결될 수 있다. 결합기구는 예를 들어 제1보스(211c)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볼트(211e)일 수 있다.
제1보스(211c)에는 제1볼트(211e)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은 제1보스(211c)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1)은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과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놓이는 아우터패널(120)의 측벽에 결합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제1보스(211c)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기구에 의해 제1보스(211c)와 결합되는 제2보스(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보스(1202)는 아우터패널(1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보스(1202)에는 제1볼트(211e)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구비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슬림한 구조의 도어(20)를 형성하기 위해,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은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에는 제1카메라(210)가 결합되는 구조물을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우터패널(120)에서 바닥판과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놓이는 측벽에 제2보스(1202)를 형성하여 제1보스(211c)와 제2보스(1202)를 제1볼트(211e)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제1카메라(210)가 아우터패널(12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하고, 제1카메라(210)를 아우터패널(120)의 내측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보스(211c)는 제2셀(211b)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를 아우터패널(1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제1보스(211c)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11)의 중앙부에는 제2셀(211b)이 돌출되므로 제2셀(211b)을 회피하여 제2셀(211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셀(211b)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제1보스(211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보스(1202)는 한 쌍의 제1보스(211c)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보스(1202)는 아우터패널(1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합돌기(211d)는 길이방향이 렌즈부(21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제1셀(211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1d)에는 결합기구에 의해 회로기판(2122)이 결합할 수 있다. 결합기구는 예를 들어 결합돌기(211d)에 나사결합하는 제2볼트(211f)일 수 있다.
회로기판(2122)에는 제1볼트(211e)가 관통하여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1d)에는 제2볼트(211f)가 나사결합하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촬영부(212)의 렌즈부(2121)와 회로기판(2122)은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2122)을 결합돌기(211d)에 제2볼트(211f)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면, 촬영부(212)는 하우징(211)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볼트(211e)와 제2볼트(211f)는 길이방향이 대체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볼트(211e)는 제1카메라(210)의 하우징(211)을 아우터패널(120)의 측벽에 결합시키고, 제2볼트(211f)는 촬영부(212)를 하우징(2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210)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1카메라(210), 아우터패널(120) 및 이너패널(13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1카메라(210), 아우터패널(120) 및 이너패널(13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1보스(211c)는 제1셀(211a)의 일측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제1셀(211a)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볼트(211e)를 제1보스(211c)의 홀에 삽입하여 하우징(211)을 아우터패널(120)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경우, 제1보스(211c)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제1보스(211c)를 중심으로 하우징(211) 전체가 다소 회전할 수 있다.
하우징(211)을 아우터패널(120)에 결합시키는 작업에 의해 하우징(211) 전체가 회전하면,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에 형성된 통공부(120g)를 바라보도록 설계된 렌즈부(212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렌즈부(2121)가 회전하면 렌즈부(2121)의 시선방향은 설계된 방향과 다르게 되고, 렌즈부(2121)의 시야의 일부가 통공부(120g)를 벗어나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을 볼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렌즈부(2121)를 포함하는 촬영부(212)는 가열조리장치의 일부만을 촬영하고, 다른 일부는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을 촬영하게 되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부(212)가 설계된 시선방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1카메라(210)의 하우징(211)을 아우터패널(120)에 결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하우징(211)이 회전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이너패널(130)에 지지리브(13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이너패널(13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셀(211a)을 지지하여 하우징(211)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리브(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1301)는 이너패널(130)에서 하우징(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지지리브(1301)는 이너패널(130)로부터 돌출되고, 이너패널(130)과 아우터패널(120)이 결합하면 지지리브(1301)가 하우징(211)에 접촉하여 하우징(211)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되고 아우터패널(120)과 이너패널(130)이 서로 결합하면, 지지리브(1301)는 단부가 제1셀(211a)의 표면과 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리브(1301)와 제1셀(211a)은 서로 접촉하여, 지지리브(1301)가 제1셀(211a)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어(20)의 조립작업은 먼저 제1카메라(210)를 아우터패널(120)에 장착한 후에 아우터패널(120)과 이너패널(130)을 결합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를 아우터패널(120)에 장착하는 작업을 진행하면, 제1보스(211c)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제1보스(211c)를 중심으로 하우징(211) 전체가 다소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부(2121)가 회전하면 렌즈부(2121)의 시선방향은 설계된 방향과 다르게 되고, 렌즈부(2121)의 시야의 일부가 통공부(120g)를 벗어나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을 볼 수가 있다.
제1카메라(210)를 아우터패널(120)에 장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하우징(211)은 제1보스(211c)를 중심으로 다소 회전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물론, 제1카메라(210)의 장착작업이 올바르게 진행될 경우, 하우징(211)은 회전하지 않고 설계된 위치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하우징(211)이 회전한 상태에서 아우터패널(120)과 이너패널(130)이 결합하면 이너패널(130)에 구비된 지지리브(1301)의 하단은 하우징(211)의 표면 구체적으로 제1셀(211a)의 상측표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패널(120)과 이너패널(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지리브(1301)는 제1셀(211a)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회전한 하우징(211)은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설계된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패널(120)과 이너패널(130)이 결합하면, 지지리브(1301)에 의해 하우징(211)은 원래의 설계된 위치로 되돌아오고 이에 따라 결합작업으로 인해 회전한 상태에 있던 렌즈부(2121)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설계된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지지리브(1301)는 아우터패널(120)과 이너패널(130)이 결합되고, 조리기기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에도 외력에 의해 제1카메라(210)가 움직여 렌즈부(2121)의 시선방향이 설계된 방향을 벋어나지 않도록, 렌즈부(2121)가 설계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우징(211)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9는 제1카메라(210)와 아우터패널(120)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0은 제1카메라(210)와 이너패널(130)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에는 통공부(120g)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1)의 단부는 통공부(120g)에 장착되고, 렌즈부(2121)는 보호글래스(213)와 통공부(120g)를 관통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와 이에 놓인 음식물을 바라볼 수 있다.
통공부(120g)는 아우터패널(120)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2보스(1202)와 하우징(211)에 형성되는 제1보스(211c)가 서로 결합하면 하우징(211)의 단부가 통공부(120g)에 삽입되는 위치에 오도록 아우터패널(120)의 바닥판에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130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리브(1301)는 제2셀(211b)의 반대편에서 제1셀(211a)의 상측표면과 접촉하여 하우징(211)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리브(1301)는 하우징(211)의 제2셀(211b), 제1보스(211c), 결합돌기(211d)와 간섭을 회피하면서 제1셀(211a)의 상측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너패널(130)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0)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카메라(210)의 하우징(211)에 형셩되는 공기배출홀(2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제1카메라(210)의 하측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에어커튼은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올라오는 열기, 유증기 등이 제1카메라(210)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은 열기에 의한 제1카메라(210)의 오작동 또는 파손을 억제하고, 유증기에 의해 제1카메라(210)의 시야가 저하되는 억제하여 제1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화질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카메라(210)를 지지하도록 이너패널(130)에 돌출되는 지지리브(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1301)는 제1카메라(210)의 하우징(211)과 접촉하여 하우징(211)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카메라(210)를 아우터패널(120)에 장착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하우징(211)의 일측 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제1보스(211c)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우징(211)이 제1보스(211c)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지리브(1301)가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인해 제1카메라(210)의 장착시 하우징(211)이 회전하여 제1카메라(210)의 시선방향이 설계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변경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1카메라(210)가 의도하지 않은 부분을 촬영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도어
110: 디스플레이부
120: 아우터패널
130: 이너패널
140: 에어가이드
150: 송풍장치
200: 프런트커버
300: 버튼장치

Claims (20)

  1.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아우터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부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이너패널; 및
    상기 아우터패널과 상기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에 결합하는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상태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보호글래스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호글래스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호글래스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홀은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고, 상기 관통홀의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홀은,
    상기 냉각유로부로부터 상기 공기배출홀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보호글래스를 둘러싸면서 상기 보호글래스의 외곽을 유동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과 상기 공기배출홀이 형성되는 제1셀;
    상기 제1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촬영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셀; 및
    상기 제1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아우터패널에 결합시키는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제1보스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패널은 상기 제1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기구에 의해 상기 제1보스와 결합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스는 상기 제2셀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보스는 한 쌍의 상기 제1보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널은,
    상기 이너패널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셀을 지지하여 상기 하우징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리브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단부가 상기 제1셀의 표면과 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제1셀은 서로 접촉하여,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제1셀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패널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시키는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프런트커버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되는 커버글래스; 및
    상기 커버글래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글래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커버글래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시키는 장착바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널은,
    상기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에어가이드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와 형합되어 상기 에이가이드와 상기 이너패널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돌기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기는,
    상기 이너패널의 하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이너패널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차단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이너패널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차단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가장자리에 상기 차단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돌기와 형합되어 상기 에이가이드와 상기 이너패널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형합홈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홈부는,
    상기 제1차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에어가이드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형합부; 및
    상기 제2차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형합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홈부는,
    상기 이너패널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돌기의 끝단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3절곡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기는 상기 제2차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형합홈부는 상기 제2형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끼움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합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형합부의 나머지 부위와 적어도 일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끼움홀에 끼워지는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되는 탄성변형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한 쌍의 상기 제2차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은 한 쌍의 상기 제2형합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조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후크는 상기 제2차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끼움홀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끼움홀은 상기 제2형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의 상기 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KR1020220073232A 2021-10-28 2022-06-16 조리기기 KR20230061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027 2021-10-28
KR20210146027 2021-10-28
KR20220013986 2022-02-03
KR1020220013986 2022-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236A true KR20230061236A (ko) 2023-05-08

Family

ID=8389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232A KR20230061236A (ko) 2021-10-28 2022-06-1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9545A1 (ko)
EP (1) EP4174386A1 (ko)
KR (1) KR202300612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9884S1 (en) * 2019-06-20 2022-01-04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286A (ko) * 2003-09-29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851640B1 (ko) 2007-01-26 200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
JP2008286470A (ja) * 2007-05-17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CN201310949Y (zh) * 2008-12-12 2009-09-16 申家群 无辐射微波炉
JP7253723B2 (ja) * 2019-09-12 2023-04-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210115872A (ko) * 2020-03-16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4386A1 (en) 2023-05-03
US20230139545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0403B1 (en) Cooking appliance
JP7198972B2 (ja) 加熱調理器
KR20230061236A (ko) 조리기기
US20230136254A1 (en) Cooking appliance
EP4174385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16A (ko) 조리기기
EP4174382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18A (ko) 조리기기
KR20230061217A (ko) 조리기기
EP4174384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28A (ko) 조리기기
CN112005055B (zh) 加热烹调器
CN112005057B (zh) 加热烹调器
EP4175415A1 (en) Cooking appliance
CN112005056B (zh) 加热烹调器
KR20230174404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N218572032U (zh) 烹饪器具的门组件及烹饪器具
KR20230092658A (ko) 조리 기기
US20230199922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133559A1 (en) Cooking appliance
US20230160576A1 (en) Door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CN112005053B (zh) 加热烹调器
CN118140593A (zh) 烹饪设备
KR20240057938A (ko) 조리 기기
CN117157487A (zh) 加热烹调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