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218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218A
KR20230061218A KR1020220013987A KR20220013987A KR20230061218A KR 20230061218 A KR20230061218 A KR 20230061218A KR 1020220013987 A KR1020220013987 A KR 1020220013987A KR 20220013987 A KR20220013987 A KR 20220013987A KR 20230061218 A KR20230061218 A KR 2023006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cooking appliance
dispos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민
변재원
김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943,54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36254A1/en
Priority to EP22201890.5A priority patent/EP4174387A1/en
Publication of KR2023006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8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는,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 및 에어가이드에 장착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에어가이드는,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및 유입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송풍장치가 장착되는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조리기기는 전자기파의 일종인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놓여 조리되는 공간인 캐비티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로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10-2008-0070408에 개시된다.
조리기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조리기기의 효율적인 사용, 설치공간의 절약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 예를 들어, 가열식 오븐, 가스레인지 등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를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하면, 사용자는 조리기기와 가열조리장치가 인접한 환경에서 움직임을 줄여 편리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를 후드로 사용하여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은 조리기기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조리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다른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가전기기의 허브역할을 하는 경우, 음식물의 조리 이외의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터치방식으로 조리에 필요한 명령, 기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가열조리장치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와 기타 도어에 장착된 부품에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이 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열기, 유증기 등에 의해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기타 도어에 장착된 부품이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도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측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유증기 등이 도어에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모듈의 냉각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외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도어에 열기, 유증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디스플레이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구조와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차폐구조가 형성된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및 냉각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냉각유로부 내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도어의 일 실시예는,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아우터패널, 아우터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이너패널, 아우터패널과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이너패널에 결합하는 에어가이드, 및 에어가이드에 장착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및 유입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송풍장치가 장착되는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는 에어가이드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장착홀은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는, 장착홀에 배치되는 케이싱, 및 케이싱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에어가이드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패널은, 상부에 배치되고, 송풍장치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하부에 배치되고, 송풍장치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송풍팬으로 유입되고, 송풍팬을 도어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하고, 에어가이드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되어 일부는 도어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배출구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의 상부면에는 유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와 이너패널은 서로 결합하여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공간과, 제1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송풍장치가 장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와 아우터패널 사이에는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분배되어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3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간의 단면적은 도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공간의 단면적은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지점에서 도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홀은 제2공간 및 제3공간을 연통시키고, 송풍팬은 공기를 제2공간으로부터 제3공간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에어가이드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제1공간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제1공간이 형성되는 위치에 에어가이드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장착홀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을 장착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아우터패널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아우터패널에 장착시키는 배플, 배플의 전방에 배치되고, 배플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프런트커버, 및 이너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너패널에 결합하고, 일측부가 본체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아우터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하부상태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배플 및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프레임에 장착되고, 캐비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캐비티를 촬영하는 제3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배플 및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제2카메라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휴먼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조리기기에서의 조리상황을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다른 가전기기의 허브역할을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서 분기되는 공기는 도어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분기된 공기는 특히 도어 전면 부위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도어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각종의 전자부품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오염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디스플레이부 전면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 후면과 도어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유입구와 제1공간의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외부공기는 유입구를 통해 제1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도어의 냉각효과와 에어커튼 형성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가이드핀이 에어가이드에 장착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고, 이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장착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전자기파의 차폐구조를 모두 가지는 도어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및 차폐구조는 서로 결합하여 도어를 전체적으로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에 디스플레이구조, 냉각구조 및 차폐구조를 모두 형성하더라도 도어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와 아우터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패널과 에어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어에서 이너패널과 에어가이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조리장치 예를 들어, 가열식 오븐, 가스레인지 등이 배치된 위치의 상측에 상기 가열조리장치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의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포함한 조리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는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의 후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리기기는 후드로 사용되기 위한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전자기파의 일종인 마이크로웨이브 및/또는 히터열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캐비티(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캐비티(11)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놓일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11)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벤트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본체(10) 하부에는 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자신의 하측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후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캐비티(11)의 입구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20)가 닫힌 경우에 일면이 초크부재(17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11)를 폐쇄하는 전면패널(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은 캐비티(11)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소정의 폭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히면, 상기 도어(20)의 가장자리 부위와 캐비티(11)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면패널(12)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1)를 실링하여 캐비티(11)에 놓인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습기, 유증기 등이 캐비티(11)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어(20)의 배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어(20)는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및 차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도어(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통해 조리기기의 캐비티(11)의 내부를 볼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유로부(22)를 통해 도어(20) 내부를 유동하여 도어(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차폐부(23)는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23)는 캐비티(11)에서 발생하여 조리기기 외부로 전파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23)는 본체(10) 내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전자기파(마이크로웨이브)가 도어(2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여 도어(20) 내부에 장착된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도어(20)을 냉각하는 공기가 내부에 유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박형으로 형성되고 그 면적이 도어(20)의 일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도어(20)의 전면부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면적이 커지므로 사용자에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형의 화면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형화되므로 발열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냉각공기가 유동하는 냉각유로부(22)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방에 배치되어 냉각공기가 유동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는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1)에 장착되는 발열부품도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즉,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부(110) 기타 각종 발열부품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냉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 전체가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유로부(22)를 통과하여 도어(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냉각유로부(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냉각유로부(22) 내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냉각공기가 냉각유로부(22) 내부에서 분기되어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냉각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 전체와 접촉하면서 유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가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배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및 도어(20)의 주위에 에어커튼을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에는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 기타 전장부품이 구비되고, 냉각유로부(22)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장치(150)와 같은 전장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전장부품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냉각유로부(22) 후방에는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디스플레이부(110)와 각종의 전장부품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모듈(21)을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된 냉각유로부(22)가 배치되고,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모듈(21)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에 전자기파가 도달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21)은 조리기기의 전면부 즉, 도어(20)의 최전방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모듈(2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 등의 부품이 효과적으로 냉각되고, 디스플레이부(110) 등이 구비되는 도어(20) 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동시에 도어(20)의 주위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냉각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또한 도어(20)에 장착되는 전장부품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모듈(21)은 도어(20)의 최전방에 배치되고, 냉각유로부(22)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되고, 차폐부(23)는 냉각유로부(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도어(20)는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차폐부(23)가 도어(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공기가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배출구(123)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배출구(124)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도어(2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모듈(21), 냉각유로부(22), 차폐부(23)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구조로 구현된 도어(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1배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124)는 디스플레이모듈(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공기는 도어(20) 내부 전체를 유동하여 도어(20) 전체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디스플레이부(110), 아우터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조리에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인식 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다른 가전기기, 그리고 현관문에 구비되는 카메라, 잠금장치 등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필요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가전기기의 작동, 외부인의 방문, 기타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고, 디스플레이부(110)를 사용하여 가전기기, 기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와 연결되는 장치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도어(20)는 사용자에게 생활에 필요한 가전기기, 기타 장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러한 장치들에게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종의 사물인터넷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대체로 중공(1201)을 가지고 도어(2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패널(1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팬(152)을 통과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의 발열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은 전술한 구조를 가지므로 내장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내장공간에 각종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도어(20)의 전후방 방향의 폭은 거의 아우터패널(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유입구(1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12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제1통공(121)은 복수의 슬릿형상의 홀들이 거리를 두고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통공(121)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다소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일 측부에는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하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손잡이(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2)는 예를 들어 아우터패널(120)의 측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의 일 측부,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122)가 형성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버튼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장치(300)를 조작하여 조리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전기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의 작동에 관한 세부적인 조작은 디스플레이부(110)에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아우터패널(120)은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의 각종 부품을 지지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에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재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캐비티(11) 내부 또는 조리기기 하부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제1카메라(210), 제2카메라(220), 제3카메라(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0)의 하부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시선방향이 조리기기의 하부로 향하도록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의해, 상기 가열조리장치의 상태와 가열조리장치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20)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조리기기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220)는 후술하는 배플(190) 및 프런트커버(200)를 관통하여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카메라(220)에 의해 촬영되어 기록된 조리기기의 전방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제2카메라(220)는 조리기기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현관문 밖 기타 원격지에 있는 다른 사람과 영상통화를 하는데 상기 제2카메라(220)가 이용될 수 있다.
제3카메라(230)는 후술하는 프레임(160)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티(11)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11)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제3카메라(230)의 시선은 상기 캐비티(11)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캐비티(11)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캐비티(11)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190) 및 상기 프런트커버(200)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카메라(2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휴먼감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먼감지부(24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인식, 동작 인식 방식 등으로 도어(20)의 전방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휴먼감지부(240)를 통해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에 필요한 조리기기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냉각유로부(22)는 이너패널(130), 에어가이드(140), 송풍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패널(130)에는 후술하는 에어가이드(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은 에어가이드(140)와 함께 도어(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패널(130)는 에어가이드(140)가 장착되고, 프레임(160)과 결합되어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과 상기 이너패널(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13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40)는 외부로부터 도어(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고,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상기 에어가이드(140)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에어가이드(140)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50)는 케이싱(151)과 상기 케이싱(151)에 장착되어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152)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23)는 프레임(160). 초크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상기 이너패널(1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130)에 결합하고, 일측부가 상기 본체(1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160)이 회전하면서 도어(20)가 회전하여 조리기기의 캐비티(11)를 개폐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이너패널(130)과 결합하여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자기파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구조 즉, 초크부재(170)를 가지고, 도어(20)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초크부재(170)는 상기 프레임(16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60)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외부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초크부재(170)는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60)의 가장자리 부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은 배플(190), 프런트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플(19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패널(120)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배플(190)은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젤(bezel)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런트커버(200)는 상기 배플(19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19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200)는 대체로 중공을 가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와 배플(190)을 아우터패널(12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프레임(160)의 측부에 장착되고, 일부가 상기 프레임(16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래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250)는 도어(20)의 전면패널(12)에 형성되는 홈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250)는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1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120)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110)와 아우터패널(1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음성, 알람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260)는 도어(2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도어(20)가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기 위한 일체의 음성, 알람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270)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상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폰(270)을 통해 조리기기를 조작하는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잇다. 또한, 마이크로폰(270)은 도어(20)가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기 위한 역할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상기 아우터패널(120)에 상기 스피커(260) 및 상기 마이크로폰(270)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는 사물인터넷 허브로 기능하므로, 도어(20)에 구비되는 통신부(28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28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통신부(280)는 서로 다른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80)는 무선통신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통신부(280)는 지그비통신장치, 와이파이통신장치, 제트웨이브통신장치 또는 블루투스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통신부(280)의 통신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부(280)는 유선통신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아우터패널(120)에는 조리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보드(290)에는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현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20)에는 홀더(120a), 개방홀(120b), 제1관통구(120c), 제2관통구(120d), 장착가이드(120e), 끼움돌기(120f)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120a)는 스피커(26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더(120a)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스피커(260)의 원형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피커(260)는 홀더(120a)에 장착되어 아우터패널(120)에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홀더(120a)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한 쌍의 스피커(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120b)은 아우터패널(120)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210)는 개방홀(120b)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홀(120b)을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하측을 바라볼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상기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스피커(260)가 배치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관통구(120c)는 스피커(26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동시에 스피커(2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매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260)는 제1관통구(120c)를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외부와 연통되어, 사용자에게 알람, 기타 음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2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제1관통구(120c)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한 쌍의 스피커(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120d)는 아우터패널(120)의 일측부의 하부에 아우터패널(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120d)를 통해 아우터패널(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버튼장치(300)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패널(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우터패널(120)의 노출된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버튼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형성되어 복수의 통신부(28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가이드(120e)는 복수의 통신부(28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통신부(280)가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장착가이드(120e)는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80)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형성을 가진 돌출부위가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가이드(120e) 각각은 복수의 통신부(280) 각각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끼움돌기(120f)는 아우터패널(12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120f)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120f)에는 제어보드(290)가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돌기(120f)는 판형의 제어보드(290)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보드(290)는 모서리가 끼움돌기(120f)에 끼워져 아우터패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보드(290)의 모서리가 끼워지도록, 끼움돌기(120f)에는 제어보드(29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끼워맞춤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120)은 상부에 제1배출구(123)가 배치되고, 하부에 제2배출구(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아우터패널(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124)는 아우터패널(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도어(20)가 조립되면,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는 배플(190)과 프런트커버(200)에 의해 일부가 막힐 수 있다. 이때, 배플(190)에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고, 제2배출구(124)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장치(150)에 의해 도어(20) 내부를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의 하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커튼은 외부의 공기유동이 도어(2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는 제1배출구(123) 및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외부의 공기유동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 또는 경계구역을 에어커튼이라 할 수 있다.
제1배출구(123) 및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은 외부공기가 도어(20)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하부에 가열조리장치가 배치되므로, 상기 가열조리장치의 사용시 발생하는 열기,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는 상승하여 조리기기에 침투할 수 있다.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조리기기로 전달되는 열기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20)의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와 이의 작동에 관계되는 회로, 소장 등이 내장되는 부품은 열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조리되는 음식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증기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도어(20)에 부착될 수 있다. 유증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기타 도어(20)에 장착되는 부품의 표면에 부착되어 이러한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0)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조리장치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상기 에어커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기와 유증기에 의해 도어(2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각종의 전자부품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40)는 유입구(141)와 장착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41)는 에어가이드(1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41)는 아우터패널(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통공(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제1통공(121)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에서 상기 유입구(1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장치(15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를 도어(20)의 전후방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41)는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42)은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40)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유동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공기는 유입구(141)를 통해 에어가이드(140)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고, 다시 장착홀(142)을 통해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방향이 변경되어 유동할 수 있다.
송풍장치(150)는 케이싱(151)과 송풍팬(15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장착홀(142)에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송풍팬(152)이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152)은 상기 케이싱(15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은 전기를 인가받아 회전하여 도어(20)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는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은 케이싱(151)의 중앙에 형성되어 송풍팬(152)이 배치되는 중공의 위치, 면적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40)와 상기 이너패널(130)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141)가 형성되는 제1공간(20a)과, 상기 제1공간(20a)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50)가 장착되는 제2공간(20b)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간(20a)에서 도어(20)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제2공간(20b)에서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도어(20)의 전후방향으로 유동하여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40)와 상기 아우터패널(120) 사이에는 송풍장치(150)에 구비되는 송풍팬(152)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분배되어 상기 제1배출구(123) 및 상기 제2배출구(124)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3공간(20c)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공간(20c)의 전방은 디스플레이부(110) 등에 의해 막혀있다. 따라서, 송풍팬(152)을 통과하여 제3공간(20c)에 유입된 공기는 분기되어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유동하고, 분기된 공기는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도어(20)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공기의 유동을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송풍팬(152)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에어가이드(140)의 유입구(141)를 통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되고,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52)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제1통공(121)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유입구(141)로부터 도어(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도어(20)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송풍팬(152)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송풍팬(152)을 상기 도어(20)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송풍팬(152)을 통과하면서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을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152)에서 유동방향이 도어(20)의 상하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장착홀(142)의 전방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장착홀(14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40)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배출구(123)로 배출될 수 있다. 분기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배출구(124)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는 유입구(141)를 통해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도어(20) 내부의 제1공간(20a)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제2공간(20b)에서 유동방향이 에어가이드(140)의 전후방향으로 변경되어 장착홀(142)을 통과할 수 있다.
장착홀(142)을 통과하여 제3공간(20c)에 유입된 공기는 전방이 막혀있으므로, 분기되어 제3공간(20c)에서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기는 제3공간(20c) 전체를 유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과 하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서 분기되는 공기는 도어(20)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분기된 공기는 특히 도어(20) 전면 부위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배출구(123)와 제2배출구(12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어(20)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기기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조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유증기가 도어(20)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배출구(1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공기의 도어(20) 내부 유동구조로 인해, 도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20) 내부 전체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과 아우터패널(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전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면 전체를 냉각하고, 아우터패널(120) 기타 도어(20)의 다른 부분에 장착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아우터패널(120)에는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통신부(280), 제어보드(290) 등 발열되는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품은 아우터패널(120) 전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아우터패널(120) 내부 전체를 유동하면서 이러한 발열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121)과 유입구(141)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송풍팬(152)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제1통공(121)과 유입구(141)을 통해 에어가이드(140) 내부로 유입되어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송풍장치(15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프레임(1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송풍장치(150)의 송풍팬(152)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152)을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15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혀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송풍팬(152)를 통과한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부딪힌 후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유동이 분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으로 향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에 상측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123)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하측으로 향하는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에 하측에 구비되는 제2배출구(124)를 통해 도어(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면서, 디스플레이부(110) 전면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부(110) 후면과 도어(20)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어(20)에서 이너패널(130)과 에어가이드(140)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홀(142)은 에어가이드(14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장착홀(142)에 대응하는 위치, 크기 및 형상의 중공을 가지고 상기 중공에는 송풍팬(152)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51)은 상기 중공과 에어가이드(140)의 장착홀(142)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에 중공(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은 프레임(160)에 막히므로,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으로 새어나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너패널(130)과 프레임(160)은 함께 도어(20) 내부를 냉각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와 심미감을 위해, 도어(20)는 전후방향의 폭을 줄여 슬림한 형태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다만,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1)의 단면적이 넓을수록 도어(20)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도어(20)의 냉각효과와 에어커튼 형성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체적으로 슬림하면서도 유입구(141)의 단면적이 확장된 도어(20)의 구조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공간(20a)의 단면적은 상기 도어(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공간(20a)의 단면적은 제1공간(20a)의 상단 즉, 유입구(141)에서 최대가 될 수 있다.
제3공간(20c)은 제1공간(20a)과 에어가이드(140)에 의해 경계지워지므로, 제3공간(20c)의 형태는 제1공간(20a)의 형태와 반대의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공간(20c)의 단면적은 상기 제1공간(20a)과 상기 제2공간(20b)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도어(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홀(142)은 상기 제2공간(20b) 및 상기 제3공간(20c)을 연통시키고, 상기 송풍팬(152)은 공기를 상기 제2공간(20b)으로부터 상기 제3공간(20c)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에어가이드(140)의 상측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40)를 바라보았을 때, 유입구(141)를 포함하는 제1공간(20a)의 단면적은 제2공간(20b)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141)와 제1공간(20a)의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외부공기는 상기 유입구(141)를 통해 제1공간(20a)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도어(20)의 냉각효과와 에어커튼 형성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제1공간(20a)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43)는 제1단(143a)과 제2단(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143a)은 경사부(143)의 상부에 형성되고,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단(143b)은 경사부(143)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143a)과 연결되고, 상기 제1단(143a)과 비교하여 더 급한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40)는 상기 제1공간(20a)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에어가이드(140)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장착홀(142)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141)로 유입된 공기을 상기 장착홀(142)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핀(14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14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장착홀(142)을 향하여 놓이도록, 길이방향이 에어가이드(140)의 상하방향과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가이드핀(14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장착홀(142)을 향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핀(144)이 에어가이드(140)에 장착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고, 이에 따라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장착홀(142)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는 유입구(141)가 형성되는 상측부(140a)와 송풍장치(150)가 배치되는 하측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이 결합되면 하측부(140b)는 대체로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의 상부에서 에어가이드(140)를 내려다 보았을 경우에,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의 단면적은 하측부(140b)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부(140a)의 단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유입구(141)의 단면적도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14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1)가 확장되어 외부공기가 에어가이드(14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는 단면적이 상측부(140a)에 비해 작지만,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에는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이 대응되므로, 하측부(140b)에 대응되는 부위의 공기의 유동공간은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프레임(160)을 향하여 확장될 수 있다. 결국,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도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공기의 유동공간이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대응하는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가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가 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되지만, 이너패널(130)의 중공(130a)에 의해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의 유동공간은 프레임(160)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에 의해 에어가이드(140)의 상측부(140a)와 하측부(140b)는 그 단면적이 모두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140)와 이너패널(130)이 결합된 구조에서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공간은 충분히 넓고, 공기는 외부로부터 원활하게 유입되고 또한 이너패널(130)의 하측부(140b)에 장착되는 송풍장치(15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의 단면적이 감소함으로 인해, 반대로 에어가이드(140)의 하측부(140b)에서 송풍장치(15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은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50)를 통과한 공기는 아우터패널(120)의 중공(1201)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부(110)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가지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도어(2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11: 캐비티
12: 전면패널 13: 벤트홀
20: 도어 20a: 제1공간
20b: 제2공간 20c: 제3공간
110: 디스플레이부 120: 아우터패널
121: 제1통공 122: 손잡이
123: 제1배출구 124: 제2배출구
130: 이너패널 140: 에어가이드
141: 유입구 142: 장착홀
143: 경사부 143a: 제1단
143b: 제2단 144: 가이드핀
150: 송풍장치 151: 케이싱
152: 송풍팬 160: 프레임
190: 배플 200: 프런트커버
210: 제1카메라 220: 제2카메라
230: 제3카메라 240: 휴먼감지부
250: 래치 260: 스피커
270: 마이크로폰 280: 통신부
290: 제어보드 300: 버튼장치

Claims (16)

  1. 캐비티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유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부는,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 및
    상기 에어가이드에 장착되는 송풍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장치가 장착되는 장착홀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영상 또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아우터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부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되는 이너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아우터패널과 상기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에 결합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은 상기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패널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송풍팬으로 유입되고, 상기 송풍팬을 상기 도어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분기되어 일부는 상기 도어의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배출구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도어의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되는,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패널의 상부면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통공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이너패널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가 장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아우터패널 사이에는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분배되어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3공간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도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도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제2공간 및 상기 제3공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송풍팬은 공기를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에어가이드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제1공간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사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공간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에어가이드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장착홀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을 상기 장착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핀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냉각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패널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아우터패널에 장착시키는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프런트커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이너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패널에 결합하고, 일측부가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상태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 및 상기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를 촬영하는 제3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플 및 상기 프런트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카메라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기기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휴먼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20013987A 2021-10-28 2022-02-03 조리기기 KR20230061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43,540 US20230136254A1 (en) 2021-10-28 2022-09-13 Cooking appliance
EP22201890.5A EP4174387A1 (en) 2021-10-28 2022-10-17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024 2021-10-28
KR20210146024 2021-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218A true KR20230061218A (ko) 2023-05-08

Family

ID=863814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987A KR20230061218A (ko) 2021-10-28 2022-02-03 조리기기
KR1020220013988A KR20230061219A (ko) 2021-10-28 2022-02-03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988A KR20230061219A (ko) 2021-10-28 2022-02-0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6121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219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6900B2 (en) Cooking apparatus having cooling flow path
EP3660403A1 (en) Cooking appliance
US20230139545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18A (ko) 조리기기
EP4174387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17A (ko) 조리기기
EP4174385A1 (en) Cooking appliance
EP4174382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16A (ko) 조리기기
EP4175415A1 (en) Cooking appliance
EP4174384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28A (ko) 조리기기
KR20230174404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N118266266A (en) Cooking apparatus
CN118202787A (zh) 烹饪设备
CN218572032U (zh) 烹饪器具的门组件及烹饪器具
KR20030057816A (ko)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EP2095023B1 (en) A household appliance
JP4010987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22039641A (ja) 加熱調理器
KR20030080776A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차폐구조
KR20000014344A (ko) 전자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