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658A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658A
KR20230092658A KR1020220001776A KR20220001776A KR20230092658A KR 20230092658 A KR20230092658 A KR 20230092658A KR 1020220001776 A KR1020220001776 A KR 1020220001776A KR 20220001776 A KR20220001776 A KR 20220001776A KR 20230092658 A KR20230092658 A KR 2023009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oking
cooling fan
camera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철
윤상원
강한성
윤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295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13145A1/ko
Priority to EP22907616.1A priority patent/EP4391724A1/en
Priority to CN202280064046.2A priority patent/CN118140593A/zh
Priority to US17/959,426 priority patent/US20230199922A1/en
Publication of KR2023009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2Aspects relating to testing or detecting leakage in a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 기기는, 조리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조리실로 전자기파를 방사하도록 마련되는 전자기파 발생 장치,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 장치, 촬영 장치와 대응되도록 캐비닛에 형성되는 개구 및 조리실과 촬영 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전자기파에 의한 공진이 회피되는 공진 회피 챔버로서, 조리실 내부의 전자기파가 개구로 누설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마련되는 공진 회피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COOKING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Over The Range, OTR),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레인지는 전자기파를 통해 음식물 속 물 분자의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한편, 조리실 내에 배치된 음식물의 정보를 파악하거나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카메라를 구비한 조리 기기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 기기는 광학 신호가 통과할 수 있는 촬영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조리 기기의 경우, 촬영 개구를 통해 전자파가 누설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자기파 누설을 방지 또는 저감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실 내부 촬영이 용이한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조리실로 전자기파를 방사하도록 마련되는 전자기파 발생 장치,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조리실과 상기 촬영 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전자기파에 의한 공진이 회피되는 공진 회피 챔버로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전자기파가 상기 개구로 누설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마련되는 공진 회피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제1 개구이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공진 회피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개구와 마주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의 타 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진 회피 챔버와 상기 조리실을 연통시키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피 챔버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실로부터 구획되며 상기 전자기파 발생 장치 및 상기 촬영 장치가 수용되는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을 냉각시키도록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로 토출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촬영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냉각팬의 토출측 일부로부터 상기 촬영 장치로 연장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의 흡입측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의 토출측은 상기 공기 흡입구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전장실을 향하여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전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의 최대 폭은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2 이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제1 개구까지의 최소 거리는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8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실로부터 상기 촬영 장치를 보호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제1 글래스와, 상기 제1 글래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글래스와 상기 제2 글래스 사이에 공기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카메라 홀더 및 상기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개구 사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내부 캐비닛이고,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전장실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외부 캐비닛, 상기 전장실을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외부 캐비닛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유로 및 상기 배출 유로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 캐비닛의 하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외의 제2 영역으로서,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의 하방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피 챔버는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커버 패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전장실 내 배치되는 와이어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전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측이 상기 카메라와 대응되고 하측이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고 상기 조리실과 상기 카메라 사이에서 상기 조리실 내의 전자기파에 의한 공진이 회피되도록 마련되는 공진 회피 챔버,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전장실을 냉각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으로서, 상기 냉각팬의 흡입측이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냉각팬의 토출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메라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실로부터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에 마련되는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카메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공진 회피 챔버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피 챔버는,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영역의 최대 폭이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2 이하로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와 대응되는 영역까지의 높이가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8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 기기는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의 누설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 기기는 광학 신호가 통과하는 개구의 개구율을 높임으로써 조리실 내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 기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외부 캐비닛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3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3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촬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촬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촬영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3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3에 도시된 송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13에 도시된 송풍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 "전방", "후방", "상측", "하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X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지칭하고, Y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지칭하고, Z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에서 도어(20)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X 방향)으로 정의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X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 기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외부 캐비닛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조리실(30)과 전장실(40)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 캐비닛(11)과 외부 캐비닛 내측에 마련되는 내부 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캐비닛(11)은 내부 캐비닛(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캐비닛(11)은, 후술할 내부 캐비닛(12)의 어퍼 플레이트(12a) 및 사이드 플레이트(12b, 12c)를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11a)과, 후술할 내부 캐비닛(12)의 로어 플레이트(12d)를 커버하는 바텀 플레이트(1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a)과 바텀 플레이트(11b)는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커버 프레임(11a)과 바텀 플레이트(11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텀 플레이트(11b)에는 공기 배출구(7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72)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공기가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내부 캐비닛(12)은 어퍼 플레이트(12a)와, 사이드 플레이트(12b, 12c)와, 로어 플레이트(12d)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2a)와, 사이드 플레이트(12b, 12c)와, 로어 플레이트(12d)는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2a), 사이드 플레이트(12b, 12c) 또는 로어 플레이트(12d) 중 적어도 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플레이트(12b, 12c)는 측벽(12b, 12c)으로 지칭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b)는 좌측벽(12b)으로 지칭하고, 사이드 플레이트(12c)는 우측벽(12c)으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는 내부 캐비닛(12)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런트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내부 캐비닛(12)의 후방에 마련되는 리어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는 개방부(13a)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13a)는 조리실(30)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방부(13a)를 통해 조리실(30)로 접근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는 걸림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3b)는 후술할 도어(20)의 도어 돌기(22)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3b)는 도어 돌기(22)와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는 플레이트 홀(13c)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홀(13c)은 전장실(40)을 냉각시킨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 홀(13c)을 통과한 공기는 도어(20)와 전방 커버부(18) 사이의 틈새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에는 공기 흡입구(7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7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7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40)을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20)는 조리실(30)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돌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돌기(22)는 도어(2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돌기(22)는 본체(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어 돌기(20)는 프런트 플레이트(13)의 걸림부(13b)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돌기(20)는 프런트 플레이트(13)의 걸림부(13b)를 통과하여 본체(10) 내부에 마련된 래치 어셈블리(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 핸들(2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 핸들(21)을 파지하여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핸들(21)은 도어(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어(20)는 전자파 누설을 차폐 또는 저감하도록 쵸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조리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전방 커버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커버부(18)는 도어(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장실(4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커버부(18)에는 조작부(18a)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8a)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8a)는 조리 기기(1)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18a)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에이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조작부(18a)는 버튼 또는 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30)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내부 캐비닛(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실(30)은 내부 캐비닛(12)과 프런트 플레이트(13)와 리어 플레이트(1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30)에는 음식물이 놓일 수 있는 트레이(31)가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31)는, 트레이(31)에 놓인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조리실(3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원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원은 음식물에 마이크로파(전자기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51)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51)은 전자기파 발생 장치로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원은, 음식물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미도시) 또는 음식물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 가열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리 기기(1)는 다양한 방식의 가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는 전자 레인지 기능뿐 아니라 오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장실(40)은 조리 기기(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장품들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40)은 조리실(3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장실(40)은 조리실(30)의 측방에 마련될 수도 있다.
조리 기기(1)는 마그네트론(51)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51)은 전장실(40)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51)은 조리실(30) 내부로 방사되는 마이크로파(전자기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론(51)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는, 웨이브 가이드(52)를 통해, 조리실(3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웨이브 가이드(52)의 일 측은 마그네트론(51)과 연결되고, 웨이브 가이드(52)의 타 측은 조리실(3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브 가이드(52)의 타 측은 조리실(30)을 형성하는 측벽(12b, 12c)과 연통될 수 있다.
조리실(30) 내부에는 웨이브 가이드(52)로부터 안내된 마이크로파가 유입되는 마이크로파 유입부(9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실(30)의 우측벽(12c)에는 마이크로파 유입부(91)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30) 내부로 유입된 전자기파는 조리실(30) 내에서 공진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전장실(40)에는 마그네트론(51)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 트랜스(High Voltage Trans; HVT)(53)와, 콘덴서(54)와, 회로 기판(55)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조리 기기(1)에는 조리실(30)을 냉각하기 위한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 장치(56, 58, 5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장치는, 구동 모터(56)와 개폐 부재(57)와 에어 가이드(58)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58)는 전장실(40)의 공기를 조리실(30)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57)는 에어 가이드(58)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 모터(56)는 개폐 부재(57)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56)는 개폐 부재(5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리실(30) 내부에는 에어 가이드(58)로부터 안내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홀(92)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홀(92)은 조리실(30)의 우측벽(12c)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92)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로 전자기파를 방사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 내의 수분이 방출되는 바, 조리실(30) 내부에 습기가 찰 수 있다. 이때, 개폐 부재(57)는 에어 가이드(58)를 개방하며, 에어 가이드(58)는 조리실(30) 내부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실(3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조리실(30)로 열풍 또는 복사열을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실(30) 내부의 열기를 가두어야 한다. 이때, 개폐 부재(57)는 에어 가이드(58)를 폐쇄하며, 에어 가이드(58)는 조리실(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음식물은 조리실(30) 내부의 열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리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2a)의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15)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장품들은 지지 플레이트(15)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51), 고압 트랜스(53), 콘덴서(54), 회로기판(55), 구동 모터(56), 개폐 부재(57) 등이 지지 플레이트(15)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5)가 생략되고 어퍼 플레이트(12a)의 상측에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조리 기기(1)는 냉각팬 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전장실(40)을 냉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전장실(40) 내에 수용된 전장품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로써, 전장품의 오동작, 고장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냉각팬 어셈블리 수용부(66)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 어셈블리 수용부(66)는 전장실(4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 수용부(66)는 전장실(40)로부터 구획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 수용부(66)는 구획 프레임(16)과 리어 플레이트(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획 프레임(16)은 냉각팬 어셈블리 수용부(66)과 전장실(40)이 연통되도록 연통구(16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 프레임(16)은, 후술할 냉각팬(61)과 전장실(40)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구획부(161)와, 후술할 팬 구동장치(65)와 전장실(40) 사이에 마련되는 제2 구획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구(16a)는 제1 구획부(161)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16a)는 냉각팬(61)의 토출측(63)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 어셈블리(6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제1 냉각팬 어셈블리(60a)와 제2 냉각팬 어셈블리(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팬 어셈블리(60a)와 제2 냉각팬 어셈블리(60b)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냉각팬 어셈블리(60a)와 제2 냉각팬 어셈블리(60b)는 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냉각팬 어셈블리(60a)와 제2 냉각팬 어셈블리(60b)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냉각팬(61)과 팬 하우징(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팬 어셈블리(60a)와 제2 냉각팬 어셈블리(60b) 각각은 냉각팬(61)과 팬 하우징(64)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61)은 본체(10)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61)은, 리어 플레이트(14)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7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냉각팬(61)의 흡입측(62)은 리어 플레이트(14)의 공기 흡입구(71)와 연통될 수 있다.
냉각팬(61)은 전장실(40)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전장실(4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구획 프레임(16)의 연통구(16a)와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구획 프레임(16)의 연통구(16a)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6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연통구(16a)를 통과하여 전장실(40)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61)은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냉각팬(61)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팬 하우징(64)은 냉각팬(61)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하우징(64)은 냉각팬(6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전장실(40)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를 구동하기 위한 팬 구동장치(65)가 마련될 수 있다. 팬 구동장치(65)는 냉각팬(61)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구동장치(65)는 냉각팬 수용부(66)에 배치될 수 있다. 팬 구동장치(65)는 제2 구획부(162)와 리어 플레이트(1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구동장치(65)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팬(61)을 구동시킬 수 있다. 팬 구동장치(65)는 제1 냉각팬 어셈블리(60a)의 냉각팬(61)과, 제2 냉각팬 어셈블리(60b)의 냉각팬(6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팬 구동장치(65)는 제1 냉각팬 어셈블리(60a)의 냉각팬(61)과 제2 냉각팬 어셈블리(60b)의 냉각팬(61)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구동장치(65)는 모터를 포함하며, 냉각팬(6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조리 기기(1)의 공기 흡입 및 배출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조리 기기(1)는, 전장실(40)을 냉각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전장실(40)을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7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흡입구(7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71)는 제1 공기 흡입구(711)와 제2 공기 흡입구(7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흡입구(711)는 팬 구동장치(65)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2 공기 흡입구(712)는 냉각팬(6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 흡입구(71)는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위치 및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공기 흡입구(7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흡입된 외부 공기를 전장실(40)로 토출할 수 있다.
냉각팬(61)의 흡입측(62)은 공기 흡입구(71)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61)의 팬 구동장치(65)와 인접한 흡입측(62)은 제1 공기 흡입구(711)와 연통되고, 냉각팬(61)의 팬 구동장치(65)와 먼 흡입측(62)은 제2 공기 흡입구(712)와 연통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전장실(40)과 연통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전장실(4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 토출측(63)은 구획 프레임(16)에 형성된 연통구(16a)를 통해 전장실(40)과 연통될 수 있다. 냉각팬(61)은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냉각팬(61)에 의해 토출된 공기는, 구획 프레임(16)에 형성된 연통구(16a)를 통과하여 전장실(40)로 유입될 수 있다.
전장실(4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전장실(4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40)에 배치된 각종 전장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4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방으로 유동하면서 전장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1b)는 전장실(40)을 냉각시킨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7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7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40)과 공기 배출구(72) 사이에 배출 유로(17)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유로(17)는 측벽(12b, 12c)과 대응되게 연장될 수 있다. 배출 유로(17)는 내부 캐비닛(12)과 외부 캐비닛(11)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유로(17)는, 우측벽(12c)과 외부 캐비닛(1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배출 유로(171)와, 좌측벽(12b)과 외부 캐비닛(11) 사이에 마련되는 제2 배출 유로(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40)을 냉각시킨 공기는, 배출 유로(17)를 유동하여, 공기 배출구(72)로 배출될 수 있다. 전장실(40)을 냉각시킨 공기는, 제1 배출 유로(171)를 따라 우측 하방으로 유동하여, 공기 배출구(72)로 진입할 수 있다. 전장실(40)을 냉각시킨 공기는, 제2 배출 유로(172)를 따라 좌측 하방으로 유동하여, 공기 배출구(72)로 진입할 수 있다.
전장실(40)을 냉각시킨 공기는, 프런트 플레이트(13)의 플레이트 홀(13c)을 통과하여 도어(20)와 전방 커버부(18) 사이 틈새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확대도이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 장치(300)를 통해 조리실(30) 내부에 배치된 음식물의 정보를 파악하거나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조리 기기(1)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촬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조리실(30) 내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전장실(4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300)는 조리실(30)의 상방에 마련될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지지 플레이트(15)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촬영 장치(300)가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구(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210, 220)는 광학 신호가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구(210, 220)는 촬영 장치(300)와 대응될 수 있다. 개구(210, 220)는 조리실(30)과 촬영 장치(300)가 배치되는 전장실(40)의 일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210, 220)는 촬영 장치(300)에 인접한 제1 개구(210)와, 조리실(30)에 인접한 제2 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30)과 촬영 장치(300) 사이에 마련되는 공진 회피 챔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조리실(30) 내부의 전자기파에 의한 공진이 회피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조리실(30) 내부의 전자기파가 개구(210, 220)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 또는 저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존의 조리 기기는,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작은 개구(예를 들어, 대략 8mm 내외의 개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개구는 광학적 신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자파가 조리실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개구의 개구율이 낮은 바, 충분한 광학적 신호를 얻기 어려우며, 이미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촬영을 위한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즉,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며,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다만, 조리 기기가 개구율이 큰 개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개구를 통해 누설되는 전자기파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촬영 장치와 조리 기기의 동작을 위해 마련되는 각종 전장품들은, 조리실 외부로 누출된 전자기파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와 전장품들은 전자기파로 인해 열화될 수 있다. 또한, 개구를 통해 조리 기기 외부로 누출되는 전자기파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공진 회피 챔버(100)를 마련하는 바, 개구(210, 220)를 통해 조리실(30) 외부로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조리실(30) 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공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진 회피 챔버(100) 내의 전자기파의 전계 강도(intensity)가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조리 기기에서 조리실과 촬영 장치 사이에 개구가 있는 경우, 조리실 내에서 공진하는 전자기파는 개구를 통하여 바로 촬영 장치를 향하여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서, 조리실(30)과 촬영 장치(300) 사이에 공진이 회피되는 공간(즉, 공진 회피 챔버(100))가 마련됨에 따라, 조리실 내에서 공진하던 전자기파는 공진 회피 챔버(100)에서 공진이 회피될 수 있다. 이로써, 개구(210, 220)를 통하여 조리실(30) 외부로 누설되는 전자기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기기(1)는, 공진 회피 챔버(100)를 구비함으로써, 촬영 장치(300)와 인접한 제1 개구(210)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기존의 조리 기기와 비교하여, 누설되는 전자기파의 전계 강도 자체를 저감할 수 있는 바 상대적으로 높은 제1 개구(210)의 개구율을 확보할 수 있다. 결국, 조리 기기(1)는 전자기파의 누설을 최소화하면서 광학적 신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1 개구(210)의 평균 직경은 조리 기기(1)의 사용 주파수, 조리실(30) 크기, 촬영 장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동일 조건 대비, 개구만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공진 회피 챔버(100)를 구비하는 경우에서, 개구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210)의 평균 직경은 대략 12mm 내지 14mm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내부 캐비닛(1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내부 캐비닛(12)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조리실(30)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촬영 장치(300)는 조리실(30) 내의 전자기파, 열기, 습기, 이물질 등에 바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촬영 장치(300)의 손상이 방지되며, 촬영 장치(3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제1 개구(210)는 공진 회피 챔버(10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210)는 촬영 장치(300)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210)는 공진 회피 챔버(10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개구(220)는 제1 개구(210)와 마주보도록 공진 회피 챔버(100)의 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개구(220)는 공진 회피 챔버(100)와 조리실(100)을 연통시킬 수 있다.
제2 개구(220)는 제1 개구(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개구(210)보다 조리실(30)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220)는 제1 개구(2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장치(300)가 조리실(30)의 측방에 배치되는 경우(예를 들어, 전장실(40)이 조리실(30) 측방에 형성되는 경우), 제2 개구(220)는 제1 개구(210)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진 회피 챔버(100)는 내부 캐비닛(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어퍼 플레이트(12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퍼 플레이트(12a)는 촬영 장치(300)와 대응되는 개구(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진 회피 챔버(100)는 내부 캐비닛(12)과 커버 패널(1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패널(19)은 소정 공간(즉, 공진 회피 챔버(100))을 형성하도록 내부 캐비닛(1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패널(19)은 내부 캐비닛(12)의 하방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장치(300)가 조리실(30)의 측방에 배치되는 경우(예를 들어, 전장실(40)이 조리실(30) 측방에 형성되는 경우), 커버 패널(19)은 내부 캐비닛(12)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개구(210)는 내부 캐비닛(12)에 형성되고, 제2 개구(220)는 커버 패널(19)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진 회피 챔버(100)는 전자기파의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220)의 최대 폭(d1)은 전자기파 파장의 대략 1/2 이하로 마련되고, 제2 개구(220)로부터 제1 개구(210)까지의 최소 거리(d2)는 전자기파 파장의 대략 1/8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가 2.45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기파의 파장은 대략 122mm의 파장을 가진다. 이때, 제2 개구(220)의 최대 폭(d1)은 대략 61mm 이하로 마련되고, 2 개구(220)로부터 제1 개구(210)까지의 최소 거리(d2)는 대략 15.25mm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 기기(1)의 사용 주파수, 조리실(30) 크기, 촬영 장치 종류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공진 회피 챔버(100)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2 개구(220)의 최대 폭(d1)이 전자기파 파장의 대략 1/2을 초과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2 개구(220)를 통해 공진 회피 챔버(100)로 유입되는 전자기파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개구(220)로부터 제1 개구(210)까지의 최소 거리(d2)가 전자기파 파장의 대략 1/8 미만으로 마련되는 경우, 조리실(30) 내의 전자기파가 제2 개구(220)로부터 제1 개구(220)로 바로 유출될 수 있는 바, 전자기파의 공진이 회피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는 촬영 장치(300)를 냉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61)으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촬영 장치(300)를 향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촬영 장치(300)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 공기는, 구획 프레임(16)의 연통구(16a)를 통과하여, 촬영 장치(300)로 유동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냉각팬(61)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촬영 장치(300)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냉각팬(61)의 토출측(63) 일부로부터 촬영 장치(300)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의 일 단은 냉각팬(61)의 토출측(63)과 연결되고, 가이드 덕트(80)의 타 단은 촬영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의 일 단은 연통구(16a)와 연통되고, 가이드 덕트(80)의 타 단은 촬영 장치(300)와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냉각팬(61)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촬영 장치(300)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로써, 촬영 장치(30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300)를 냉각함으로써,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촬영 장치(300)의 고장, 화질 저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장실(40)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어셈블리(60)가 촬영 장치(300)도 냉각시킬 수 있는 바, 조리 기기(1)는 촬영 장치(300)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각 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조리 기기(1)의 내부 구성들의 컴팩트한 배치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300)는 전장실(40)에 배치될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냉각팬(61)의 토출측(6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로부터 촬영 장치(300)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덕트(80)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 덕트(80)에 의해 가이드되어, 촬영 장치(300)를 통과할 수 있다. 냉각팬 어셈블리(60)의 전방에 각종 전장품들과 촬영 장치(300)가 배치되며, 냉각팬(61)의 토출 공기는 전방으로 유동하면서 전장실(40) 내의 각종 전장품들과 촬영 장치(3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써, 냉각팬 어셈블리(60)는 전장품들(예를 들어, 마그네트론(51), 고압 트랜스(53), 콘덴서(54), 회로 기판(55) 등)과 촬영 장치(300) 모두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3에 도시된 어퍼 플레이트와 커버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조리실(30)의 상측벽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12a)와, 어퍼 플레이트(12a) 위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 상측에는 촬영 장치(300)와, 냉각팬 어셈블리(60)와, 가이드 덕트(8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 플레이트(15) 상측에는 각종 전장품들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5)가 생략될 수 있으며, 어퍼 플레이트(12a)의 상측에 촬영 장치(300)와, 냉각팬 어셈블리(60)와, 가이드 덕트(8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15)는 대응홀(15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는, 촬영 장치(300)가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개구(210, 220)와 대응되는 대응홀(15a)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촬영 장치(300)의 개스킷(gasket)(330)의 돌출부(333)는, 대응홀(15a)을 통과하여, 어퍼 플레이트(12a)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1 참조).
내부 캐비닛(12)의 일부는 공진 회피 챔버(100)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어퍼 플레이트(12a)와 커버 패널(1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어퍼 플레이트(12a)와 커버 패널(19)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캐비닛(12)은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2a)는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S2)은 제1 영역(S1) 외의 영역으로서, 제1 개구(210)를 포함하며 제1 영역(S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패널(19)은 제2 개구(220)를 포함하며 제2 영역(S2)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공진 회피 챔버(100)는 제2 영역(S2)과 제2 영역(S2)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커버 패널(1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 기기(1)는 촬영 장치(300)를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윈도우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400)는 공진 회피 챔버(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400)는 어퍼 플레이트(12a)와 커버 패널(19)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400)는 커버 패널(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 패널(19)은 공진 회피 챔버(100)를 형성하도록 어퍼 플레이트(12a)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패널(19)은 윈도우 부재(40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패널(19)은 캐비닛 결합부(191)와, 홈부(192)와, 연장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191)는 내부 캐비닛(12)과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191)는 어퍼 플레이트(12a)와 결합될 수 있다.
홈부(192)는 캐비닛 결합부(19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부(192)는 윈도우 부재(400)를 지지할 수 있다. 홈부(192)는 후술할 윈도우 부재(400)의 글래스 프레임(430)을 지지할 수 있다.
연장부(193)는 홈부(19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93)는 후술할 윈도우 부재(400)의 제2 글래스(4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193)에 제2 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3에 도시된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촬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촬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촬영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3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3에 도시된 송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13에 도시된 송풍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가이드 덕트(80)는 촬영 장치(30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촬영 장치(300)의 상방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촬영 장치(30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덕트(80)는 덕트 바디(81)와, 가이드부(82)와, 결합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82)는 덕트 바디(81)로부터 냉각팬 어셈블리(6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82)는 냉각팬(61)의 토출측(63)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82)는 냉각팬(61)의 토출 공기를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3)는 촬영 장치(30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83)는 후술할 촬영 장치(300)의 카메라 홀더(32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83)는 후술할 카메라 홀더(320)의 덕트 장착부(326)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83)는 결합홀(8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3)는 후크 걸림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3)의 결합홀(84)은, 카메라 홀더(320)의 결합 돌기(327)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83)의 후크 걸림부(85)는 카메라 홀더(320)의 덕트 고정 후크(328)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덕트(80)는 와이어 홀더(86)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홀더(86)는 전장실(40) 내에 배치되는 와이어(미도시)를 거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홀더(86)는 덕트 바디(8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와이어 홀더(86)는 와이어 홀더(86)에 거치된 와이어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클립(87)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87)은 와이어 홀더(86)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홀더(86)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300)는 카메라(3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렌즈(311), 경통(312), 이미지 센서(313)(도 11 참조) 및 카메라 회로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렌즈(311)로부터 들어온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카메라 홀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홀더(320)는 카메라(310)를 거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 홀더(320)는 카메라(310)를 지지할 수 있다. 카메라 홀더(320)에 카메라(3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홀더(320)는 홀더 바디(321)와, 홀더 개구(322)와, 개스킷 장착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개구(322)는 홀더 바디(3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 장착부(323)에는 후술할 개스킷(330)이 장착될 수 있다. 개스킷 장착부(323)는 홀더 개구(322)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홀더(320)는 카메라 지지 돌기(32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 돌기(324)는 홀더 바디(3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카메라 지지 돌기(324)는 카메라 지지 홈(324a)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카메라 지지 홈(324a)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회로부(314)의 각 코너는, 카메라 지지 홈(324a)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지지 돌기(324)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카메라 지지 돌기(324)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하이거나 4개 초과로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 홀더(320)는 카메라 고정 돌기(32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고정 돌기(325)는 홀더 바디(3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카메라 고정 돌기(325)는 카메라 고정 후크(325a)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카메라 고정 후크(325a)에 의해 카메라 홀더(3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회로부(314)의 일부는 고정 후크(325a)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 고정 돌기(325)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카메라 고정 돌기(325)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카메라 지지 돌기(324)와 카메라 고정 돌기(32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카메라 홀더(320)는 덕트 장착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덕트 장착부(326)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의 결합부(83)는 카메라 홀더(320)의 덕트 장착부(326)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 장착부(326)는 결합 돌기(327)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장착부(326)의 결합 돌기(327)는 가이드 덕트(80)의 결합홀(84)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장착부(326)의 덕트 고정 후크(328)는 가이드 덕트(80)의 후크 걸림부(85)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고정 후크(328)는 후크 걸림부(85)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카메라 홀더(320)의 덕트 장착부(326)에 의해 카메라 홀더(3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덕트 장착부(326)에 의해 전장실(4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80)는 카메라 홀더(3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바, 냉각팬 어셈블리(60)의 토출 공기를 촬영 장치(300)로 안내할 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촬영 장치(300)는 개스킷(gasket)(330)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카메라 홀더(3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카메라 홀더(320)의 개스킷 장착부(32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카메라(310)의 렌즈(311)를 지지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카메라(310)의 경통(312)을 지지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카메라(310)와 내부 캐비닛(12) 사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스킷(330)는 카메라(310)와 내부 캐비닛(12)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카메라(310)와 제1 개구(210) 사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스킷(330)는 카메라(310)와 공진 회피 챔버(10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카메라(310)와 내부 캐비닛(12) 사이를 단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스킷(330)은 내부 캐비닛(12) 내의 열기, 전자기파 등이 전장실(40)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330)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330)은 개스킷 개구(331)와, 안착부(332)와, 돌출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 개구(331)는 카메라(310)가 조리실(30) 내부의 광학적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스킷 개구(331)는 제1 개구(210)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332)에는 카메라(3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안착부(332)는 카메라(310)의 경통(312)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33)는 내부 캐비닛(12)을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33)는 대응홀(15a)을 통과하여 어퍼 플레이트(12a)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33)는 어퍼 플레이트(12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33)는 어퍼 플레이트(12a)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33)는 어퍼 플레이트(12a)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400)는 조리실(30)로부터 촬영 장치(300)를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실(30) 내의 전자기파, 습기, 열기, 이물질(오염) 등이 개구(210, 220)와 대응홀(15a)을 통해 촬영 장치(300)로 유입되는 경우, 촬영 장치(300)는 손상되거나 수명이 줄어들 수 있다. 윈도우 부재(400)는, 조리실 내의 전자기파, 습기, 열기, 이물질(오염) 등이 촬영 장치(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촬영 장치(3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410, 4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400)는 제1 글래스(410)와, 제1 글래스(4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글래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래스(410)와 제2 글래스(420) 사이에는 공기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글래스(420)는 제1 글래스(4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400)는 글래스(410, 420)를 고정하기 위한 글래스 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 프레임(430)은 글래스(410, 420)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431, 43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431, 432)은 프레임(430)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프레임(430)은, 제1 글래스(41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431)과 제2 글래스(42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4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냉각팬 어셈블리(60)는 냉각팬 어셈블리(60)는 냉각팬(61)과 팬 하우징(64)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61)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전장실(40)을 향해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61)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전장실(40)과 연통될 수 있다. 냉각팬(61)의 토출측(63)은 촬영 장치(300)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61)은, 허브 플레이트(610)와, 허브 플레이트(6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613)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61)은, 허브 플레이트(610)의 일 측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링(611)과, 허브 플레이트(610)의 타 측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링(612)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 플레이트(610)의 일 측은 팬 구동장치(650)와 인접한 측이고, 허브 플레이트(610)의 타 측은 허브 플레이트(610)의 일 측의 반대측일 수 있다.
조리 기기(1)의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팬(61)의 제1 링(611) 및 제2 링(612) 쪽으로 흡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611)은 제1 공기 흡입구(711)와 연통되고, 제2 링(612)은 제2 공기 흡입구(712)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61)은, 허브 플레이트(610)의 일 측과 제1 링(61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송풍부(614)와, 허브 플레이트(610)의 타 측과 제2 링(612)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송풍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부(614) 또는 제2 송풍부(615) 중 적어도 하나는, 촬영 장치(30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송풍부(614) 또는 제2 송풍부(615)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 덕트(80)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팬 어셈블리(60a)의 제1 송풍부(614)가 가이드 덕트(80)와 대응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팬 어셈블리(60a)의 제2 송풍부(615)가 가이드 덕트(80)와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제2 팬 어셈블리(60b)의 제1 송풍부(614) 또는 제2 송풍부(615) 중 적어도 하나가 가이드 덕트(80)와 대응될 수 있다.
팬 하우징(64)은 냉각팬(61)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하우징(64)은 냉각팬(61)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하우징(64)은 냉각팬(61)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641)와 냉각팬(61)으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64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641)는 냉각팬(61)의 흡입측(62)과 대응되고, 유출구(642)는 냉각팬(61)의 토출측(63)과 대응될 수 있다. 유출구(642)는 구획 프레임(16)의 연통구(16a)와 대응될 수 있다.
팬 구동장치(65)는 냉각팬(61)을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구동장치(65)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 구동원(651)과 팬 구동원(651)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냉각팬(61)으로 전달하는 샤프트(6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구동장치(65)는 제1 팬 어셈블리(60a)의 냉각팬(61)과 제2 팬 어셈블리(60b)의 냉각팬(61)을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 구동장치(65)는, 제1 팬 어셈블리(60a)의 냉각팬(61)과 제2 팬 어셈블리(60b)의 냉각팬(61) 각각을 구동시키도록, 별개의 복수의 구동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샤프트(652)는 팬 구동원(651)으로부터 제1 팬 어셈블리(60a)의 허브 플레이트(6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652)의 일 단은 제1 팬 어셈블리(60a)의 샤프트 결합부(616)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652)는 팬 구동원(651)으로부터 제2 팬 어셈블리(60b)의 허브 플레이트(6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652)의 타 단은 제2 팬 어셈블리(60b)의 샤프트 결합부(61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리 기기
10: 본체
20: 도어
30: 조리실
40: 전장실
100: 공진 회피 챔버
300: 촬영 장치

Claims (20)

  1. 조리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조리실로 전자기파를 방사하도록 마련되는 전자기파 발생 장치;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조리실과 상기 촬영 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전자기파에 의한 공진이 회피되는 공진 회피 챔버로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전자기파가 상기 개구로 누설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마련되는 공진 회피 챔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제1 개구이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공진 회피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와 마주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의 타 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진 회피 챔버와 상기 조리실을 연통시키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피 챔버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로부터 구획되며, 상기 전자기파 발생 장치 및 상기 촬영 장치가 수용되는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을 냉각시키도록,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로 토출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촬영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냉각팬의 토출측 일부로부터 상기 촬영 장치로 연장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흡입측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의 토출측은, 상기 공기 흡입구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전장실을 향하여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전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리 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최대 폭은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2 이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제1 개구까지의 최소 거리는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8 이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로부터 상기 촬영 장치를 보호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제1 글래스와, 상기 제1 글래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글래스와 상기 제2 글래스 사이에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는 조리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카메라 홀더; 및
    상기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개구 사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개스킷(gasket);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내부 캐비닛이고,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전장실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외부 캐비닛;
    상기 전장실을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외부 캐비닛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유로; 및
    상기 배출 유로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 캐비닛의 하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외의 제2 영역으로서,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의 하방에 배치되는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피 챔버는,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커버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 기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전장실 내 배치되는 와이어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홀더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6.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전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측이 상기 카메라와 대응되고 하측이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고, 상기 조리실과 상기 카메라 사이에서 상기 조리실 내의 전자기파에 의한 공진이 회피되도록 마련되는 공진 회피 챔버;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전장실을 냉각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으로서, 상기 냉각팬의 흡입측이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냉각팬의 토출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메라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로부터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도록, 상기 공진 회피 챔버에 마련되는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카메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공진 회피 챔버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피 챔버는,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영역의 폭이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2 이하로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와 대응되는 영역까지의 높이가 상기 전자기파 파장의 1/8 이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KR1020220001776A 2021-12-17 2022-01-05 조리 기기 KR20230092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2957 WO2023113145A1 (ko) 2021-12-17 2022-08-30 조리 기기
EP22907616.1A EP4391724A1 (en) 2021-12-17 2022-08-30 Cooking appliance
CN202280064046.2A CN118140593A (zh) 2021-12-17 2022-08-30 烹饪设备
US17/959,426 US20230199922A1 (en) 2021-12-17 2022-10-04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319 2021-12-17
KR20210181319 2021-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658A true KR20230092658A (ko) 2023-06-26

Family

ID=8694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776A KR20230092658A (ko) 2021-12-17 2022-01-05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6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05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US11274833B2 (en) Oven
KR102665015B1 (ko) 오븐
CA2987557C (en) Heat cooking device
CN112020625A (zh) 加热烹调器
KR880000798B1 (ko) 고주파 가열장치
US6956191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on door which extends a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KR20230092658A (ko) 조리 기기
EP4391724A1 (en) Cooking appliance
CN118140593A (zh) 烹饪设备
KR20230061236A (ko) 조리기기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CN112005057B (zh) 加热烹调器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US20240133559A1 (en) Cooking appliance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CN111771086A (zh) 加热烹调器
KR20240057938A (ko) 조리 기기
WO2023113145A1 (ko) 조리 기기
KR100557627B1 (ko) 전기오븐의 도어핸들 냉각 장치
US20220322501A1 (en) Cooking apparatus
US6750434B1 (en) Microwave oven
KR100587302B1 (ko) 전자 레인지의 방열 구조
KR20230006358A (ko) 조리 기기
KR20210083041A (ko) 오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