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727A - 에어 클리너 - Google Patents

에어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727A
KR20040015727A KR10-2003-7015785A KR20037015785A KR20040015727A KR 20040015727 A KR20040015727 A KR 20040015727A KR 20037015785 A KR20037015785 A KR 20037015785A KR 20040015727 A KR20040015727 A KR 2004001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holding frame
case
holding
clean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855B1 (ko
Inventor
히사도미마사루
곤노겐지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1/004777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101225A1/ja
Publication of KR2004001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02M35/0203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by using clamps, catches, locks or the like, e.g. for disposable plug-in filter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44Connections of intake ducts to each other or to an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2Motorcycles; All-terrain vehicles, e.g. quads, snowmobiles; Small vehicles, e.g. forkli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유지 프레임(Fh)에 클리너 엘리먼트(30)을 유지해서 되는 엘리먼트 조립체 (AS)을 클리너 케이스(1) 내에 수용해서 하기 클리너 케이스(1)안을 오염측(9)과 청정측(10)과에 구획하고, 오염측(9)에 유입한 타카시暗키요라垂기를 클리너 엘리먼트(30)을 통과 입혀서 청정화한 뒤, 청정측(10)에 유입시키도록 한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조립停(AS)은, 클리너 엘리먼트(30)과, 그 유지 프레임(F h)과를 별체에 구성하고, 그 클리너 엘리먼트(30)을 유지 프레임(Fh)로부터 분리해서 교환 가능하게 했다, 일근이륜차용 엔진의 흡기계에 접 오사무れる에어 클리너이며 클리너 엘리먼트를 단체에서 교환할 수 있게 하고, 그 메인터넌스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또한 자원 절약화에 기여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에어 클리너{AIR CLEANER}
종래에, 자동 2륜차용 엔진의 흡기계에 접속되는 에어 클리너로서는, 클리너 엘리먼트(clraner element)와,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frame)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클리너 엘리먼트 조립체를, 분할 가능한 클리너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치하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2-39627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 클리너는, 클리너 엘리먼트와, 그 유지 프레임이 분리될 수 없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교환 부품인 클리너 엘리먼트를 교환할 때에는, 아직 사용 가능한 유지 프레임도 클리너 엘리먼트와 함께 교환하지 않을 수 없고, 그 결과, 폐기 부품이 많아지고, 자원의 유효한 이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외에, 사용자에게 여분의 경제적 부담을 준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클리너 엘리먼트를, 그 유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할 수 있도록 해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신규인 에어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 주로 자동 2륜차 등의 차량용 엔진의 흡기계(吸氣系)에 적용되는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 클리너의 일부 파단(破斷) 전체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선 화살표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3선 화살표에서 본 가상선 주위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4선 화살표에서 본 가상선 주위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상기 에어 클리너의 클리너 엘리먼트 유지부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도 5의 6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7은, 도 6의 7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8은, 도 6의 8-8선에 따르는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에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하게 되는 엘리먼트 조립체를 클리너 케이스 내에 수용해서 그 클리너 케이스 내를 오염측과 청정측으로 구획하고, 오염측에 유입한 미청정 공기를 클리너 엘리먼트를 통과시켜서 청정화한 뒤, 청정측에 유입시키도록 한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조립체는, 클리너 엘리먼트와, 그 유지 프레임을 별개체로 구성하고, 그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할 수 있고, 그 교환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에 폐기 처분하고 있었던 유지 프레임의 재이용에 의해, 자원의 유효한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클리너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유지 프레임과,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하여, 클리너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유지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를, 제1유지 프레임에 꽉 눌러, 제2유지 프레임과의 사이에 협지(挾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할 수 있고, 그 교환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에 폐기 처분하고 있었던 유지 프레임의 재이용에 의해, 자원의 유효한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게다가, 클리너 엘리먼트의, 클리너 케이스에의 조립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클리너 엘리먼트의 외주(外周)에, 밀봉체를 일체로 고착(固着)하도록 하면,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할 수 있고, 그 교환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에 폐기 처분하고 있었던 유지 프레임의 재이용에 의해, 자원의 유효한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클리너 엘리먼트의, 클리너 케이스에의 조립 부착이 용이해져, 더욱 클리너 엘리먼트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청정측 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유지 프레임에는, 클리너 엘리먼트를 역화(逆火)(backfire)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플레임 트랩(flame trap)을 설치하도록 하면,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할 수 있고, 그 교환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에 폐기 처분하고 있었던 유지 프레임의 재이용에 의해, 자원의 유효한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의, 클리너 케이스에의 조립 부착이 용이해져, 더욱 클리너 엘리먼트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고, 그 위에, 클리너 엘리먼트를 역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제1유지 프레임은, 클리너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와 커버체와의 접합면 사이에서 지지되도록 하면, 클리너 엘리먼트를 유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할 수 있고, 그 교환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에 폐기 처분하고 있었던 유지 프레임의 재이용에 의해, 자원의 유효한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의, 클리너 케이스에의 조립부착이 용이해져, 더욱 클리너 엘리먼트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고, 그 위에, 클리너 엘리먼트를 역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 케이스 본체 및 커버체의 조립 부착이 용이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AC)의 클리너 케이스(1)는, 경질(硬質)의 합성 수지제(樹脂製)이며,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로 분할되어, 그것들의 분할 개구(開口) 단면(端面)을 맞붙히고, 그것들의 주변에 형성된 외향(外向) 플랜지(2a, 3a) 끼리를 복수 개의 스크루(4)에 의해 일체로 접합해서 밀폐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2) 및 커버체(3)의 분할 개구 단면에는, 각각 서로 일치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끼워 맞춤 홈(5, 6)이 형성되어, 이것들의 끼워 맞춤 홈(5, 6)에, 패킹(packing)(7, 8)을 통해서 후술하는, 유지 프레임(Fh)의 제1유지 프레임(17)의 바깥 가장자리부가 기밀(氣密)로 협지 고정된다(도 3).
클리너 케이스(1) 내에는,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와의 접속부 사이에 있어서, 뒤에 상술하는 클리너 엘리먼트 조립체(AS)가 유지되며, 이 클리너 엘리먼트 조립체(AS)에 의해, 클리너 케이스(1) 내는, 그 커버체(3) 측에 오염측(9)이, 또한, 그 케이스 본체(2) 측에 청정측(10)이 각각 구획 형성된다.
클리너 케이스(1)의 커버체(3)에는, 그 저벽(底壁)(3b)을 관통해서, 흡입로(吸入路)(11)가 지지되어 있으며, 이 흡입로(11)의 외단(外端)은 대기에 개구되고, 또한, 그 내단(內端)은 클리너 케이스(1)의 오염측(9)에 연통된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1)의 케이스 본체(2)에는, 그 단벽(端壁)(2b)을 관통해서 배출로(12)가 지지되어 있으며, 이 배출로(12)의 내단은 청정측(10)에 연통되고, 또한, 그 외단은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흡기관(In)에 연통된다.
상기 커버체(3)의 상벽(上壁)(3c)에는, 클리너 케이스(1) 내에, 후술하는 클리너 엘리먼트를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14)가 개구되고, 더욱이, 이 출입구(14)의 근방에는, 후술하는 제2유지 프레임(18)의 상부 가장자리를 걸기 위한, 걸림 구멍(13)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출입구(14)는, 거기에 스크루(16)로써 고정되는 리드(lid)(1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닫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요지인, 클리너 엘리먼트 조립체(AS)의 구조를, 도 1, 도 2에, 도 3∼도 8을 아울러 참조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이 클리너 엘리먼트조립체(AS)는, 제1, 제2유지 프레임(17, 18)과, 이들의 유지 프레임(17, 18) 사이에 협지되는 엘리먼트 유닛(19)으로 구성되며, 이것들은, 클리너 케이스(1) 내에 조립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유지 프레임(17, 1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지 프레임(Fh)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유지 프레임(17)은, 경질의 합성 수지제로서, 4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창문 구멍(22)에는, 플레임 트랩(23)이 펴져서 설치된다. 상기 제1유지 프레임(17)은, 짧은 각이진 통부(筒部)(17a)와, 이 각이진 통부(17a)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외향(外向)으로 연장되는 외향 플랜지부 (17b)와, 이 각이진 통부(17a)의 내부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내향(內向)으로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17c)를 구비하고, 그 내향 플랜지부(17c)의 내주(內周) 가장자리에서 상기 창문 구멍(22)이 테두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향 플랜지부 (17b)의 외단(外端)에는, 단면이 T자 형상의 바깥 가장자리부(17d)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바깥 가장자리부(17d)가, 상기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와의 맞춤면에 기밀로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상기 내향 플랜지부(17c)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돌출편(突出片)(17e)이 돌출 설치되며, 이 돌출편(17e)에 2개의 차입(差入) 구멍(24)이, 폭 방향에 간격을 두어서 구멍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트랩(23)은, 평직(平織)의 금속망에 의해 4각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한 중앙부(23a)와, 그 상부 가장자리에 연속되는 경사진 상부 가장자리부(23b)와, 그 아래 가장자리에 연속되는 경사진 하부 가장자리부(23c)를 구비하고, 그 경사진 하부 가장자리부(23c)는, 상기 경사진 상부 가장지리부(23b) 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고, 그것 보다도 경사가 완만하다. 그리고, 이 플레임 트랩(23)은, 그 종단면이 후술하는 엘리먼트 유닛(19)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게다가, 아래 가장자리가, 제1유지 프레임(17)의 창문 구멍(22)의 위, 아래 내부 가장자리에 히트 코킹(heat caulking) 등의 결착(結着) 수단(25)에 의해 일체로 연결 부착된다.
상기 제2유지 프레임(18)은,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서, 창문 구멍(27)을 개구한 4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엘리먼트 유닛(19)을 향해서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확장되는 테이퍼(taper) 면을 갖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각이진 통체(筒體)로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 유지부(18a)를 구비하고, 이 엘리먼트 유지부(18a)의, 엘리먼트 유닛(19) 측의 1측면에는, 이 엘리먼트 유닛(19)을 끼워 맞추기 위한 단차가 있는 끼워 맞춤부(18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엘리먼트 유지부(18a)의 상변(上邊)에는, 2개의 걸림부(18b, 18b)가, 또한, 그 하변에는 2개의 차입부(18c, 18c)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걸림부(18b, 18b)는, 엘리먼트 유지부(18a)의 상변으로부터 뿔 형상으로 상향에 돌출 설치되어 있어서, 그 엘리먼트 유지부(18a)의 외주 가장자리의 내단으로부터 단면이 U자 형상으로 접혀 굴곡 형성되며, 그 자유단은 엘리먼트 유지부(18a)의 바깥 쪽에 있어서, 그 내측에 훅(hook) 형상의 걸림 갈고리(18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 갈고리(18d)는, 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클리너 케이스(1)에의 조립 부착 시에는, 그 커버체(3)에 개구한 걸림 구멍(13)에 걸림 및 떼어냄이 자유롭게 걸어 맞추어진다. 또한, 상기 2개의 차입부(18c, 18c)는, 엘리먼트 유지부(18a)의 아래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차입부(18c, 18c)는, 상기 제1유지 프레임(17)의 2개의 차입 구멍(24, 24)에 부착 및 떼어냄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진다. 도 6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이진 통 형상의 엘리먼트 유지부(18a)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양측에는, 쌍을 이루는 산(山) 형상의 돌출편(18e, 18e)이 돌출 설치되고, 이들의 돌출편(18e, 18e) 사이에, 오조립(誤組立) 방지편(18f)이 일체로 다리를 놓아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조립 방지편(18f)은, 후에 기술하는 클리너 엘리먼트(30)의 홈에 끼워 넣어져서, 엘리먼트 유닛(19)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제2유지 프레임(17, 18)의 사이에 끼워져서 유지되는, 상기 엘리먼트 유닛(19)은, 클리너 엘리먼트(30)와, 그 외주 가장자리에 죔값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밀봉체(31)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30)는, 얇은 건식(乾式)의 여과지를 접어 피치(pitch) 2.5mm∼4mm로서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뒤집어 접어, 정면에서 보아 4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밀봉체(31)는, 피막이 붙은 발포 우레탄 수지에 의해, 4각의 무단(無端)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 클리너 엘리먼트(30)의 코너부를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 맞춤 단차부로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 유지부(3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엘리먼트 유지부(31a)에, 1.5mm의 죔값을 가지고,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 (30)의, 청정측 쪽의 코너부가 끼워 맞추어져서 일체로 형성되며, 클리너 엘리먼트(30) 단체로서의 형태 유지가 확보되어서, 엘리먼트 유닛(19)이 구성된다.
엘리먼트 유닛(19)에 있어서의 밀봉체(31)의 엘리먼트 유지부(31a)에, 제2유지 프레임(18)의 단차가 있는 끼워 맞춤부(18g)를 끼워 맞춤으로써, 엘리먼트 유닛(19)은, 제2유지 프레임(18)의 내측에 직경 방향에 중첩하도록 조립 부착된다. 그리고, 엘리먼트 유닛(19)과 제2유지 프레임(18)과의 조립체는, 클리너 케이스(1)에 개구한 출입구(14)를 통해서 그 클리너 케이스(1) 내에 장입(裝入)되어,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와의 접합면 사이에 일체로 협지되는 제1유지 프레임(17)에 조립 부착된다. 즉, 제1유지 프레임(17)의 아래 가장자리의 2개의 차입 구멍(24, 24)에, 제2유지 프레임(18) 아래 가장자리의 2개의 차입부(18c, 18c)를 끼워 넣은 후, 밀봉체(31)를 제1유지 프레임(17)의 측면에 꽉 눌러, 제2유지 프레임(18)의 걸림 갈고리(18d, 18d)를, 커버체(3)의 상부 가장자리의 걸림 구멍(13)에 걸어 맞춘다. 이 때, 엘리먼트 유닛(19)에 대하여 제2유지 프레임(18)을 오조립하지 않도록, 오조립 방지편(18f)은, 클리너 엘리먼트(30)의 홈에 끼워 넣어진다.
이상에 의해, 제1, 제2유지 프레임(17, 18) 및 엘리먼트 유닛(19)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너 엘리먼트 조립체(AS)는, 클리너 케이스(1) 내의,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와의 접합 부분에 조립 부착된다. 그리고, 플레임 트랩(23)의 평탄한 중앙부(23a)는, 클리너 엘리먼트(30)의 측면에 근소한 간극(間隙)을 두고 대면된다.
이어서,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엔진의 운전에 의해 발생하는 흡기 부압(負壓)은, 흡기계(In)를 통해서 클리너 케이스(1)의 청정측(10),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30)를 통과해서 오염측(9)에 작용하고, 이것에 의해, 대기는 흡입로(11)를 통해서 오염측(9)으로 유입된다. 오염측(9) 내의 유입 대기, 즉 미청정 공기는, 클리너 엘리먼트(30)를 통해서 청정화된 뒤, 청정측(10)에 유입되고, 배출로(12)를 통해서 엔진의 흡기계(In)에 인도된다.
이 때, 플레임 트랩(23)은, 클리너 엘리먼트(30)를 엔진의 역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에어 클리너(AC)의 사용에 의해, 클리너 엘리먼트(30)는, 대기 중의 먼지 등에 의해 점차 오손(汚損)되어서 소기(所期)의 기능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이것을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엘리먼트 유닛(19)을, 제2유지 프레임(18)과 함께 상기 조립 부착의 경우와 반대의 순서로, 클리너 케이스(1)로부터 떼어내고, 또한, 엘리먼트 유닛(19)을 제2유지 프레임(18)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오손된 엘리먼트 유닛(19)의 대신에 새로운 엘리먼트 유닛(19)을, 아직 사용이 가능한 제2유지 프레임(18)에 유지시킨 뒤, 상기의 요령으로 다시 클리너 케이스(1) 내에 조립 부착한다.
이상과 같이, 엘리먼트 유닛(19)은, 이것을 제1, 제2유지 프레임(17, 18)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할 수 있고, 아직 사용 가능한, 제1, 제2유지 프레임(17, 18), 즉 유지 프레임(Fh)을 그대로 재이용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에어 클리너의 정비 비용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키고, 또한, 자원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에어 클리너를 엔진의 흡기계에 실시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을 대기의 청정이 필요한, 다른 기기에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실시예에서는, 클리너 엘리먼트는, 밀봉체와 함께 교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클리너 엘리먼트 단체로서 교환하도록 해도 좋으며, 그 경우는, 클리너 엘리먼트 자체로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5)

  1. 유지 프레임(Fh)에 클리너 엘리먼트(cleaner element)(30)를 유지해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 조립체(AS)를 클리너 케이스(cleaner case)(1) 내에 수용해서 그 클리너 케이스(1) 내를 오염측(9)과 청정측(10)으로 구획하고, 오염측(9)에 유입된 미청정 공기를 클리너 엘리먼트(30)를 통과시켜서 청정화한 뒤, 청정측(10)에 유입시키도록 한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조립체(AS)는, 클리너 엘리먼트(30)와, 그 유지 프레임(Fh)을 별개체로 구성하고, 그 클리너 엘리먼트(30)를 유지 프레임(Fh)으로부터 분리해서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Fh)은, 클리너 케이스(1)에 고정되는 제1유지 프레임(17)과,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30)를 유지하고, 클리너 케이스(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유지 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 (30)를, 제1유지 프레임(17)에 꽉 눌러, 제2유지 프레임(18)과의 사이에 협지(挾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리너 엘리먼트(30)의 외주(外周)에, 밀봉체 (31)를 일체로 고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측(10) 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유지 프레임(17)에는, 클리너 엘리먼트(30)를 역화(逆火)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플레임 트랩(flame trap)(2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 프레임(17)은, 클리너 케이스(1)의,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와의 접합면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KR1020037015785A 2001-06-06 2001-06-06 에어 클리너 KR100573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4777 WO2002101225A1 (en) 2000-03-31 2001-06-06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727A true KR20040015727A (ko) 2004-02-19
KR100573855B1 KR100573855B1 (ko) 2006-04-25

Family

ID=342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785A KR100573855B1 (ko) 2001-06-06 2001-06-06 에어 클리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3855B1 (ko)
CN (1) CN10039223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2412C (zh) * 2004-08-13 2008-11-12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引擎的空气滤清器装置
JP4478058B2 (ja) * 2005-03-30 2010-06-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ー装置
CN101282775B (zh) * 2005-10-12 2011-08-10 科勒公司 空气滤清器组件
DE102012005732A1 (de) * 2012-03-23 2013-09-26 Mann + Hummel Gmbh Flachfilterelement und Luftfilter
CN104110334B (zh) * 2014-07-21 2016-09-28 江门市大长江集团有限公司 一种摩托车空滤器的防火板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350U (ja) * 1992-11-05 1994-05-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JP4036988B2 (ja) * 1998-11-04 2008-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JP4240431B2 (ja) * 1999-09-24 2009-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2234C (zh) 2008-06-04
CN1513083A (zh) 2004-07-14
KR100573855B1 (ko) 200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398B2 (en) Filter cartridges; features and methods of assembly; air cleaner assemblies; and, filter cartridge combinations
JP2793361B2 (ja) 二重機能エアフィルタ
EP1201289B1 (en) Filter with retained safety element
US4300927A (en) Pocket filter arrangement
JP4079689B2 (ja) エアクリーナ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100573855B1 (ko) 에어 클리너
JP4438723B2 (ja) エアクリーナ
JP3837275B2 (ja) エアクリーナ
KR930005288B1 (ko) 미스트 제거장치
KR20030093063A (ko) 산업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200421098Y1 (ko) 에어크리너 케이스
KR100406313B1 (ko) 여과지 교환형 집진기 필터
JP4079688B2 (ja) エアクリーナ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JP4112937B2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JP4024590B2 (ja) エアクリーナのシール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用いた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US11958007B2 (en) Filter element
JPS5985472A (ja) エアクリ−ナのガスマツト取付構造
EP3934789B1 (en) Air filter with improved handle
JP2596809Y2 (ja) エアクリーナ
EP4252887A1 (en) Filter system and filter element
KR200158843Y1 (ko) 교체형 에어크리너
KR100325004B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19990047832A (ko) 트럭의 에어 크리너 내장형 인테이크 덕트
WO2022072277A1 (en) Filter element
KR20190135118A (ko)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조립구조, 에어클리너 및 조립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