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098Y1 - 에어크리너 케이스 - Google Patents

에어크리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098Y1
KR200421098Y1 KR2020060010379U KR20060010379U KR200421098Y1 KR 200421098 Y1 KR200421098 Y1 KR 200421098Y1 KR 2020060010379 U KR2020060010379 U KR 2020060010379U KR 20060010379 U KR20060010379 U KR 20060010379U KR 200421098 Y1 KR200421098 Y1 KR 200421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cleaner
filtration element
cov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봉섭
Original Assignee
가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봉섭 filed Critical 가봉섭
Priority to KR2020060010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0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엘리먼트의 점검 및 교환시 분해 및 조립작업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되어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와 아웃케이스간의 기밀성을 향상하여 상기 커버와 아웃케이스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다수개의 통기공(10)이 외주부에 천공된 아웃케이스(1)와 그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주에 다수개의 통기공(20)이 형성되어 있는 인너케이스(2)와 상기 아웃케이스(1) 및 인너케이스(2)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베이스(22)와, 상기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 사이에 구비된 여과 엘리먼트(3)와, 상기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의 타측에는 커버(4)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에어크리너에 있어서,
중앙으로 손잡이(40)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 절곡면(42)에는 다수의 절개부(41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4)와, 상기 절개부(412)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120)가 타측 선단 외주면에 구비된 아웃케이스(1)와, 상기 절개부(412)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120)가 타측 선단 내주면에 구비된 인너케이스(2)와, 상기 여과 엘리먼트(3) 양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 엘리먼트(3)와 결합되는 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돌부(50)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5)으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여과 엘리먼트(3)의 양측면 상하단에 각각 간격유지 돌부(3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커버(4) 중앙 내주 하방측으로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내주 절곡면(41)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끼움돌부(50)가 외측은 넓고 내측은 좁게 형성된 것과,
상기 끼움돌부(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5)의 외주연측으로만 구비되는 외주돌부(500)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끼움돌부(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외주돌부(500)로부터 이격되며 방사상으로 중앙 내측 내주연으로 분리되며 돌출되는 내주돌부(501)를 형성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는 커버와 아웃케이스 및 인너케이스를 서로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하고 내부에 여과 엘리먼트를 소모시기에 따라 교환하도록 하여 에어크리너의 전체적인 교환 없이 소모품인 여과 엘리먼트만의 교체를 통해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반영구적인 사용을 도모함으로서 비용을 감소시키고 환경오염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제조 및 조립의 용이함과 함께 상기 아웃케이스 및 인너케이스와 커버의 체결을 더욱 견고히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서 여과 엘리먼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 기 여과 엘리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여과 엘리먼트의 본래의 역할인 필터링을 더욱 정교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아웃케이스, 인너케이스, 절개부, 끼움돌기, 패킹.

Description

에어크리너 케이스{Case of air cleaner}
도 1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와 패킹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다른실시예의 패킹과 여과 엘리먼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과 여과 엘리먼트간 분리 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가 펼친 상태에서 패킹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커버의 이면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커버와 케이스의 분리된 상태에서 커버 이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에어크리너 케이스 커버 이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여과 엘리먼트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아웃케이스 2 : 인너케이스
3 : 여과 엘리먼트 4 : 커버
5 : 패킹 10 : 통기공
22 : 고정베이스 30 : 간격유지 돌부
40 : 손잡이 41 : 내주 절곡면
42 : 외주 절곡면 50 : 끼움돌기
120 : 체결돌기 412 : 절개부
413 : 가이딩돌출부 500 : 외주돌부
501 : 내주 돌부
본 고안은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엘리먼트의 점검 및 교환시 분해 및 조립작업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되어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와 아웃케이스간의 기밀성을 향상하여 상기 커버와 아웃케이스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소실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시키는 흡기장치에는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에어를 공급시키기 전에 대기중의 습기나 먼지 등을 여과시켜 깨끗한 에어를 공급시키기 위한 에어크리너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크리너의 수명은 여과 엘리먼트의 불순물 여과 성능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여과 엘리먼트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면 공기 여과 성능이 낮아져 기관으로 불순물이 유입될 수 있기 대문에 대략 3~6개월 마다 교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크리너는 여과 엘리먼트만 따로 교환하는 것이 아니고, 여과 엘리먼트를 지지 고정하는 도금처리된 아웃/인너케이스 및 커버, 고정베이스 등으로 이루어진 전체를 교환하기 때문에 재활용 가능한 고가의 금속재 부품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물로 처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금속재 부품은 산업폐기물로 처리되고 있으며, 표면 부식을 막기 위해 아연 도금 처리하고 있어 공해 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이는 충분한 재활용 가능한 금속재 부품을 따로 재사용하지 못하고 여과 엘리먼트와 함께 폐기하는데서 나타나는 것으로, 다쓴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폐기물로 처리할때 여과 엘리먼트를 케이스를 빼내지 못하고 그대로 함께 폐기하기 때문에 소각도 어렵고 금속재 부품만 따로 분류하지 못해 자원 낭비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근래에 들어 여과 엘리먼트만 분리하여 폐기 가능하도록 한 에어크리너 케이스가 출원되어 있으나, 종래에 출원된 에어크리너 케이스는 상기의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또 다른 문제점인 커버와 아웃케이스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원천적으로 봉쇄치 못하는 문제점과,
상기 여과 엘리먼트와 패킹간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과 엘리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간격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필터링의 불완전성 등의 문제점과,
커버의 구성요소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비경제성 및 제작의 곤란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한 것으로서,
첫째, 커버의 장착 및 탈거가 간편하여 여과 엘리먼트의 점검 및 교환시 별 도의 공구가 구비되지 않고도 그 작업이 용이한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커버와 아웃케이스 및 인너케이스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이 빈번하게 행해지더라도 부품이 마모될 염려가 없으므로 초기의 기밀상태가 유지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부품의 간소화로 인하여 제작공수 및 제작시간이 단축되므로 그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그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째, 여과 엘리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주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여과 엘리먼트의 주 역할이 필터링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키 위한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다수개의 통기공이 외주부에 천공된 아웃케이스와 그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주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인너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및 인너케이스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베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 사이에 구비된 여과 엘리먼트와, 상기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의 타측에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에어크리너에 있어서,
중앙으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 절곡면에는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절개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가 타측 선단 외주면에 구비된 아웃케이스와, 상기 절개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가 타측 선단 내주면에 구비된 인너케이스와, 상기 여과 엘리먼트 양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 엘리먼트와 결합되는 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으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여과 엘리먼트의 양측면 상하단에 각각 간격유지 돌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커버 중앙 내주 하방측으로 절개부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주 절곡면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끼움돌부가 외측은 넓고 내측은 좁게 형성된 것과,
상기 끼움돌부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의 외주연측으로만 구비되는 외주돌부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끼움돌부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외주돌부로부터 이격되며 방사상으로 중앙 내측 내주연으로 분리되며 돌출되는 내주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와 패킹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다른실시예의 패킹과 여과 엘리먼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과 여과 엘리먼트간 분리 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가 펼친 상태에서 패킹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커버의 이면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커버와 케이스의 분리된 상태에서 커버 이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에어크리너 케이스 커버 이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여과 엘리먼트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여과 엘리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공지된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수개의 통기공(10)이 외주부에 천공된 아웃케이스(1)와, 상기 아웃케이스(1)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주에 다수개의 통기공(20)이 형성되어 있는 인너케이스(2)와,
상기 아웃케이스(1) 및 인너케이스(2)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베이스(22)와,
상기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여과 엘리먼트(3)와,
상기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의 타측에는 커버(4)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있어서,
본 고안에 있어 커버(4)는 중앙 표면에 십자형상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십자형상 사이에 홈을 형성하여 손잡이(40)를 구비하고 그 이면에는 내주 절곡면(41)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내주 절곡면(41)에는 다수의 절개부(4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커버(4)의 외주는 절곡한 상태로 외주 절곡면(42)을 형성한 후 상기 외주 절곡면(42)에도 상기 내주 절곡면(41)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절개부(41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한 내주 절곡면(41)을 구비하지 않는 상태에서 외주 절곡면(42)만으로 구성하여 상기 커버(4)를 아웃케이스(1)와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다음, 아웃케이스(1)에는 상기 절개부(412)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120)가 타측 선단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다.
다음, 인너케이스(2)에는 상기 절개부(412)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120)가 타측 선단 내주면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서 상기 커버(4)를 아웃케이스(1) 및 인너케이스(2)에 체결시 상기 커버(4)를 회동하여 상기 절개부(412)에 상기 체결돌기(120)가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커버(4)가 더 이상 회동치 아니하고 상기 체결돌기(120)가 절개부(412)로 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키 위하여 상기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패킹(5)은 기밀성을 유지키 위한 패킹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상기 여과 엘리먼트(3)의 외주부에 형성된 주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키 위함으로서 여과 엘리먼트(3)의 필터링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키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여과 엘리먼트(3) 양단에 결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 엘리먼트(3)와 결합되는 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돌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돌부(50)가 일측은 넓고 타측은 좁게 형성되게 함으로서 상기 여과 엘리먼트(3)의 주름 형상을 자연스럽게 유지토록 하였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돌부(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외주돌부(500)와 내주돌부(501)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와 달리 도 5에서 보듯이 끼움돌부(50) 중 외주돌부(500)만으로 돌출 형성하여 이룰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있어서 내주돌부(501)와 엘리먼트(3)의 양단간 결합 작업시 내주측으로 갈수록 엘리먼트(3)의 틈새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와같이 좁은 틈으로 상기 내주돌부(501)의 끼워짐 작업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도면에서 보듯이 선택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끼움돌부(50)의 다양한 예시가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바라식의 절첩된 여과 엘리먼트(3)의 양측면 상하단에 각각 간격유지 돌부(30)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간격유지 돌부(30)를 양측면에 형성하여 절첩된 여과 엘리먼트(3)의 간격을 별도의 패킹(5)에 형성된 끼움돌부(50)가 없이도 여과 엘리먼트(3) 자체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도 가능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바라식의 절첩된 여과 엘리먼트(3)의 양면 상하단에 각각 간격유지 돌부(30)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간격유지 돌부(30)를 양면에 교호로 형성하여 절첩된 여과 엘리먼트(3)의 간격을 별도의 패킹(5)에 형성된 끼움돌부(50)가 없이도 여과 엘리먼트(3) 자체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여과 엘리먼트(3)의 양단에 패킹(5)을 체결함에 있어 일단 여과 엘리먼트(3)의 하단에 패킹(5)을 결합하는 과정은 상기 패킹(5)의 끼움돌기(50) 사이마다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여과 엘리먼트(3)의 접혀진 부위를 순차적으로 끼우고 상기 여과 엘리먼트(3)가 상기 패킹(5)과 같이 원형을 이루면 양끝면을 접착제로 부착 고정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여과 엘리먼트(3)의 상단에 또 다른 패킹(5)을 상기 하단에 결합된 패킹(5)과 같은 방법으로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여과 엘리먼트(3)을 완성한 상태에서, 일측에 고정베이스(22)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외주에 다수개의 통기공(20)이 형성되어 있는 인너케이스(2)와 다수개의 통기공(10)이 외주부에 천공된 아웃케이스(1) 사이에 상기 여과 엘리먼트(3)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한 다음 상기 커버(4)을 체결하면 되는데 상기 커버(4)를 체결하는 과정은 상기 커버(4)를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 상단에 회동하여 결합하는데 고정키 위해서는 상기 커버(4)의 절개부(412)에 상기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 외주 상단에 형성된 끼움돌기(50)가 삽입되면 더이상 상기 커버(4)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이와 같은 상태가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에 커버(4)가 체결 고정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돌기(50)가 절개부(412)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여과 엘리먼트(3)의 교환을 위해서는 상기 커버(4)의 체결순서의 역순으로 커버(4)를 해지한 후 상기 여과 엘리먼트(3)를 꺼내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엘리먼트(3)에 형성된 간격유지 돌부(30)에 의해서 상기 절첩된 여과 엘리먼트(3)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주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별도의 패킹(5)에 형성된 끼움돌부(50)가 없이도 여과 엘리먼트(3)의 주 역할이 필터링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엘리먼트(3)에 형성된 간격유지 돌부(30)에 의해서 상기 절첩된 여과 엘리먼트(3)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주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여과 엘리먼트(3)의 양면 상하단 또는 소정의 위치에 각각 교호로 형성함으로서 별도의 패킹(5)에 형성된 끼움돌부(50)가 없이도 여과 엘리먼트(3)의 주 역할이 필터링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케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에어크리너 케이스는 커버와 아웃케이스 및 인너케이스를 서로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하고 내부에 여과 엘리먼트를 소모시기에 따라 교환하도록 하여 에어크리너의 전체적인 교환 없이 소모품인 여과 엘리먼트만의 교체를 통해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반영구적인 사용을 도모함으로서 비용을 감소시키고 환경오염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제조 및 조립의 용이함과 함께 상기 아웃케이스 및 인너케이스와 커버의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서 여과 엘리먼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 엘리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여과 엘리먼트의 본래의 역할인 필터링을 더욱 정교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와 거의 같은 기능을 하는 기차(전동차)의 공기청정기, 건설기계(중장비)용 공기청정기, 각종 산업기계의 여과기, 세탁기 내장용 여과기 등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음으로 모두가 같은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다수개의 통기공(10)이 외주부에 천공된 아웃케이스(1)와 그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주에 다수개의 통기공(20)이 형성되어 있는 인너케이스(2)와 상기 아웃케이스(1) 및 인너케이스(2)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베이스(22)와, 상기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 사이에 구비된 여과 엘리먼트(3)와, 상기 아웃케이스(1)와 인너케이스(2)의 타측에는 커버(4)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에어크리너에 있어서,
    중앙으로 손잡이(40)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 절곡면(42)에는 다수의 절개부(41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4)와,
    상기 절개부(412)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120)가 타측 선단 외주면에 구비된 아웃케이스(1)와,
    상기 절개부(412)에 체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돌기(120)가 타측 선단 내주면에 구비된 인너케이스(2)와,
    상기 여과 엘리먼트(3) 양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 엘리먼트(3)와 결합되는 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돌부(50)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엘리먼트(3)의 양측면 상하단에 각각 간격유지 돌부(3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 중앙 내주 하방측으로 절개부(412)와 연하여 끝단에는 가이딩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내주 절곡면(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50)가 외측은 넓고 내측은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5)의 외주연측으로만 구비되는 외주돌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외주돌부(500)로부터 이격되며 방사상으로 중앙 내측 내주연으로 분리되며 돌출되는 내주돌부(50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
KR2020060010379U 2006-04-18 2006-04-18 에어크리너 케이스 KR200421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79U KR200421098Y1 (ko) 2006-04-18 2006-04-18 에어크리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79U KR200421098Y1 (ko) 2006-04-18 2006-04-18 에어크리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098Y1 true KR200421098Y1 (ko) 2006-07-10

Family

ID=4176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379U KR200421098Y1 (ko) 2006-04-18 2006-04-18 에어크리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0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90B1 (ko) * 2006-09-30 2007-09-04 한국가스공사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101025100B1 (ko) 2009-06-18 2011-03-25 허정 자동차용 공기여과장치
KR101418302B1 (ko) 2012-11-16 2014-07-10 문정희 산업용 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90B1 (ko) * 2006-09-30 2007-09-04 한국가스공사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101025100B1 (ko) 2009-06-18 2011-03-25 허정 자동차용 공기여과장치
KR101418302B1 (ko) 2012-11-16 2014-07-10 문정희 산업용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1122B1 (en) Filter element and methods
RU2417819C2 (ru) Фильтра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фильтраци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KR200421098Y1 (ko) 에어크리너 케이스
KR0139487B1 (ko) 에어크리너 필터 프레임
WO2006112853A1 (en) Liquid filter arrangemet and method
JP2010185452A (ja) 内燃機関における空気フィルタ
KR20120012131A (ko) 보조망이 구비된 집진기용 카트리지필터
KR20130012621A (ko) 탈부착이 가능한 집진 필터
KR101522090B1 (ko) 고정링을 구비한 필터백 및 이의 고정장치
KR200402273Y1 (ko) 이중 필터장치
KR101769256B1 (ko) 효율이 향상된 집진기
KR200412481Y1 (ko) 필터백 설치구조
KR200195455Y1 (ko) 에어크리너 케이스
CN209302382U (zh) 一种便于更换滤芯的空气滤清器
CN210738641U (zh) 滤芯装置
KR20040015727A (ko) 에어 클리너
CN211885636U (zh) 一种用于工业过滤器上的芯轴保护装置
KR200377238Y1 (ko) 튜닝차량용 에어필터 고정 장치
KR100409576B1 (ko) 에어 클리너의 카바와 바디의 체결 구조
KR200215605Y1 (ko)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필터
KR200314259Y1 (ko) 자동차용 에어필터
KR200285881Y1 (ko) 여과지 교환형 에어크리너유니트
KR200193818Y1 (ko) 차량용 엔진오일 필터
JP6238423B1 (ja) フィルター構造体
CN218717919U (zh) 一种防污型空气滤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