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828A -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828A
KR20040014828A KR1020020047574A KR20020047574A KR20040014828A KR 20040014828 A KR20040014828 A KR 20040014828A KR 1020020047574 A KR1020020047574 A KR 1020020047574A KR 20020047574 A KR20020047574 A KR 20020047574A KR 20040014828 A KR20040014828 A KR 20040014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variable
cylinder
spline shaft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264B1 (ko
Inventor
김원
Original Assignee
어드반스 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반스 메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드반스 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2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28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rocking or rolling along resistive element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 공정에서 조립 완료된 완성품으로부터 가변저항의 가변저항값을 조절하여 최상의 조건이 되도록 하는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테이터에 공급된 보드가 소정의 지점에 도달하면 가변저항의 나사홈으로 공구를 자동으로 삽입하여 설정된 저항값만큼 나사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최적의 저항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설치판(7)에 설치되어 가변저항(11)의 설정된 저항값만큼 구동하는 모터(8)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판에 설치된 스플라인축(9)과,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어 로드(15a)가 스플라인축(9)에 고정된 고정판(14)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스플라인축(9)을 승강시키는 제 1 실린더(15)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로드에 끼워진 코일스프링(16)과, 상기 스플라인축에 자동조심장치(22)에 의해 연결되며 하단에는 가변저항(11)의 나사홈(12)에 끼워지는 공구(20)가 고정되는 가변축(21)과, 상기 가변축에 형성된 경사면(21a)에 접속되는 경사면(24a)을 갖으며 승강블럭(19)에 설치된 제 2 실린더(23)의 구동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변축(21)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정편(24)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Automatic Controlling Device of Variable Resistance}
본 발명은 생산 공정에서 조립 완료된 완성품으로부터 가변저항의 가변저항값을 조절하여 최상의 조건이 되도록 하는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가변저항을 조절하는 나사홈의 내부로 공구를 자동으로 삽입하여 설정된 저항값으로 가변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오디오의 보드는 조립 공정에서 조립 완성되고 나면 기능을 최상화하기 위해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여야만 된다.
이러한 가변저항의 가변저항값을 조절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보드(13)에 실장된 가변저항(11)의 나사홈(12)에 공구를 삽입한 다음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면서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조절하였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최적의 저항값으로 조절하는데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므로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으로 인해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됨은 물론 저항값을 수작업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로테이터에 공급된 보드가 소정의 지점에 도달하면 가변저항의 나사홈으로 공구를 자동으로 삽입하여 설정된 저항값만큼 나사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최적의 저항값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저항에 형성된 나사홈이 정위치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공구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나사홈으로 자동적으로 유도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X축 리니어모션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X축 슬라이더와, 상기 X축 슬라이더에 설치된 실린더의 구동으로 Y축 리니어모션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Y축 슬라이더와, 상기 Y축 슬라이더에 고정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어 가변저항의 설정된 저항값만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판에 설치된 스플라인축과, 상기 스플라인축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어 로드가 고정판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로드에 끼워진 코일스프링과, 상기 고정판이 고정되어 가이드판에 고정된 리니어모션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블럭과, 상기 스플라인축에 자동조심장치에 의해 연결되며 하단에는 가변저항의 나사홈에 끼워지는 공구가 고정되는 가변축과, 상기 가변축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속되는 경사면을 갖으며 승강블럭에 설치된 제 2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변축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카 오디오의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
도 3a는 스플라인축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도 3b는 제 1 실린더의 구동으로 스플라인축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도 3c는 제 2 실린더의 구동으로 위치조정편이 가변축의 홀딩을 해제한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설치판8 : 모터
9 : 스플라인축14 : 고정판
15 : 제 1 실린더16 : 코일스프링
20 : 공구21 : 가변축
21a, 24a : 경사면22 : 자동조심장치
23 : 제 2 실린더24 : 위치조정편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1)에 X축 리니어모션(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X축 리니어모션을 따라 X축 슬라이더(3)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X축 슬라이더(3)의 일측에는 실린더(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X축 슬라이더에 설치된 Y축 리니어모션(5)에는 Y축 슬라이더(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Y축 슬라이더(6)에는 설치판(7)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7)에 가변저항의 설정된 저항값만큼 구동하면서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모터(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와 소정 거리를 두고 스플라인축(9)이 회전은 물론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축과 스플라인축에 설치된 풀리사이에는 타이밍벨트(10)가 감겨져 있어 모터(8)가 구동함에 따라 스플라인축(9)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플라인축(9)에 고정판(14)이 고정되어 있고 고정판에는 상기 설치판(7)에 설치된 제 1 실린더(15)의 로드(15a)가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고정판과 로드사이에는 고정판(14)을 하방으로 편의하는 코일스프링(16)이 끼워져 있다.
상기 고정판(14)에는 가이드판(17)에 고정된 리니어모션(18)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블럭(19)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플라인축(9)의 하단에는 가변저항(11)의나사홈(12)에 끼워지는 공구(20)가 결합된 가변축(21)이 자동조심장치(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블럭(19)에 제 2 실린더(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실린더의 로드(23a)에는 가변축(21)에 끼워지는 위치조정편(24)이 승강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조정편(24)에는 경사면(2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정편(24)이 끼워진 가변축(21)에도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정편(24)에 가변축(21)의 경사면(21a)과 대응되는 경사면(24a)을 형성하여 스플라인축(9)의 승강시 가변축(21)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스플라인축(9)과 가변축(21)이 자동조심장치(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해 가변축(21)의 위치가 가변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같이 스플라인축(9)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보드의 자동공급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보드(13)가 공구(20)의 직하방으로 이송되었음이 감지됨과 동시에 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 1 실린더(15)가 구동하여 로드(15a)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도 3b와 같이 스플라인축(9)이 가변축(21)과 함께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제 2 실린더(23)의 로드(23a)는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어 위치조정편(24)의 경사면(24a)이 가변축(21)의 경사면(21a)에 접속되므로 가변축(21)이 스플라인축(9)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스플라인축(9)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가변축(21)의 끝단에 고정된 공구(20)가 가변저항(11)에 형성된 나사홈(12)의 정위치에 삽입되면 도 3c와 같이 제 2 실린더(23)의 구동으로 위치조정편(24)을 상사점까지 상승시켜 가변축(21)의 홀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는, 모터(8)가 구동함에 따라 스플라인축(9)과 함께 가변축(21)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스플라인축(9)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였지만, 공구(20)가 나사홈(12)의 정위치에 삽입되지 않으면 제 1 실린더(15)의 구동으로 스플라인축(9)이 하사점까지 하강시 고정판(14)이 코일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므로 코일스프링(16)이 복원력을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실린더(23)가 구동하여 위치조정편(24)을 상사점까지 상승시켜 가변축(21)의 홀딩상태를 해제시키면 자동조심장치(22)에 의해 가변축(21)이 X축 또는 Y축방향을 따라 미세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조심장치(22)에 의해 가변축(21)이 미세하게 움직여 나사홈(12)으로부터 어긋나 있던 공구(20)가 나사홈(12)과 일치되면 스플라인축(9)은 코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가변축(21)과 함께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되므로 공구(20)가 나사홈(12)에 정확히 삽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공구(20)가 가변저항(11)의 나사홈(12)에 삽입되고 나면 콘트롤러(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가변저항의 설정값과 일치될 때까지 모터(8)가 구동하여 공구(20)를 회전시켜 주므로 저항값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8)의 구동에 따른 나사의 회전으로 저항값이 조절되고 나면 콘트롤러에 의해 모터(8)의 구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제 1 실린더(15)가 구동하여 스플라인축(9)을 상사점까지 상승시킨다.
그 후, 스플라인축(9)이 상사점까지 상승하고 나면 제 2 실린더(23)가 구동하여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위치조정편(24)을 하강시켜 경사면(21a)(24a)에 의해 가변축(21)의 위치를 보상하므로 로테이터의 회전으로 새로운 보드가 이송됨에 따라 계속해서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보드에 실장된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보드 생산에 따른 자동화 실현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생산성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가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장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설치판에 설치되어 가변저항의 설정된 저항값만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판에 설치된 스플라인축과,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어 로드가 스플라인축에 고정된 고정판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스플라인축을 승강시키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로드에 끼워진 코일스프링과, 상기 스플라인축에 자동조심장치에 의해 연결되며 하단에는 가변저항의 나사홈에 끼워지는 공구가 고정되는 가변축과, 상기 가변축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속되는 경사면을 갖으며 승강블럭에 설치된 제 2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변축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KR10-2002-0047574A 2002-08-12 2002-08-12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KR10048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74A KR100485264B1 (ko) 2002-08-12 2002-08-12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74A KR100485264B1 (ko) 2002-08-12 2002-08-12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828A true KR20040014828A (ko) 2004-02-18
KR100485264B1 KR100485264B1 (ko) 2005-04-27

Family

ID=3732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574A KR100485264B1 (ko) 2002-08-12 2002-08-12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5071A (zh) * 2016-04-06 2016-06-08 王星竹 一种自动控制的高中实验用滑动变阻器
CN116864247A (zh) * 2023-08-14 2023-10-10 唐山恭成科技有限公司 一种贴片式陶瓷ptc热敏电阻调阻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902A (ja) * 1982-12-29 1984-07-17 Pioneer Electronic Corp 自動調整装置
JPH05253768A (ja) * 1992-03-05 1993-10-05 Seiko Epson Corp 可変抵抗器の回動調整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ドライバビットの位置合わせ及び継合方法
JPH06143061A (ja) * 1992-11-02 1994-05-24 Sony Corp 電子回路基板調整装置
KR960011213A (ko) * 1994-09-30 1996-04-20 김무 홀딩 체크 콘트롤밸브
KR100345616B1 (en) * 2002-04-08 2002-07-24 Imt Co Ltd Portable motor type variable resistance control un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5071A (zh) * 2016-04-06 2016-06-08 王星竹 一种自动控制的高中实验用滑动变阻器
CN116864247A (zh) * 2023-08-14 2023-10-10 唐山恭成科技有限公司 一种贴片式陶瓷ptc热敏电阻调阻设备
CN116864247B (zh) * 2023-08-14 2024-05-17 唐山恭成科技有限公司 一种贴片式陶瓷ptc热敏电阻调阻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264B1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36721U (zh) 一种电缆收线装置
CN110878450B (zh) 缝纫机剪线抬压脚和压脚压力调节装置及缝纫机
CN110983644B (zh) 缝纫机剪线松线抬压脚和压脚压力调节装置及缝纫机
CN110983645B (zh) 缝纫机剪线松线压脚压力调节装置及缝纫机
CN110983643B (zh) 缝纫机剪线松线抬压脚和压脚压力调节的方法
JP2018094655A (ja) 多軸ねじ締め装置
JP2010125565A (ja) ねじ部品仮締め機およびねじ部品仮締め方法
KR20040023897A (ko) 기계 가공용 높이 조절장치
KR100485264B1 (ko) 가변저항 자동조절장치
CN110983646B (zh) 缝纫机松线抬压脚和压脚压力调节装置及缝纫机
CN109637953B (zh) 基板处理装置的水平调节装置
KR102026358B1 (ko) 작업 위치 자동 조정 장치
WO2022160550A1 (zh) 智能高效数控钻机
CN209579446U (zh) 一种新型物料存放台
KR101993903B1 (ko) 탭핑장치
CN112248705A (zh) 一种玉石超声波雕刻机
US20040094010A1 (en) Cutting device for breaking fragile materials such as semiconductor wafers or the like
CN218284025U (zh) 一种轴类零件端头攻丝机构
CN219113375U (zh) 一种防过紧螺丝机
JP3239479U (ja) 加工装置
CN205343119U (zh) 桁架机器人
JPH05191097A (ja) 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加圧力制御装置
JP2508051Y2 (ja) ワ―ク送り装置
CN219380916U (zh) 一种自动上下料升降台
CN220406164U (zh) 自动注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