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556A -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556A
KR20040014556A KR10-2003-7016276A KR20037016276A KR20040014556A KR 20040014556 A KR20040014556 A KR 20040014556A KR 20037016276 A KR20037016276 A KR 20037016276A KR 20040014556 A KR20040014556 A KR 2004001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energy absorbing
pillar
guide surface
passeng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863B1 (ko
Inventor
타카하라이사무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3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or roof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22)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10)이 필러부(32) 및 루프 사이드 레일(31)과 같은 차체의 구조 부재(31,32)를 따라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공 에너지흡수부재(51,52)는, 에어백이 필러부(32)와 상기 필러부(32)를 덮는 필러 가니시(42) 사이 및 루프 사이드 레일(31)과 상기 루프 사이드 레일(31)을 덮는 측면 레일 가니시(41) 사이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위치에 인접해 있는 방식으로 필러부 및 루프 레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백(10)의 전개방향이 안정화될 수 있다. 승객실 안쪽으로 돌출되는 가니시의 양을 줄임으로써, 승객실의 공간, 양호한 가시성 및 보다 높은 탑승자 승하차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장착방법{WINDOW AIR BA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관련기술의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의 일 예시에서는,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이 필러(pillar)부 및 루프 사이드 레일부(차체의 도어 개구부의 상부 에지)를 따라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예를 들어, JP(A) 3052085가 위와 같은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된 JP(A) 3052085에 개시된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서, 에너지흡수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시트 리브(sheet rib)들이 A필러 가니시(garnish)의 뒷면(즉, 전방 필러 가니시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시트 리브는 접힌 에어백의 뒷쪽에 배치되고, 시트 리브와 A필러(전방 필러) 사이에 에어백의 전개를 돕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를 향하는 각각의 시트 리브는 사각모가 나지 않은 매끈한 곡면을 가진다.
상술된 JP(A) 3052085에 개시된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시트 리브들이 미리설정된 간격으로 A필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동안 시트 리브들에 의해 잡아 당겨지기 쉽다. 즉, 에어백의 전개방향이 안정화되기 쉽지 않다. 또한, 원하는 에너지흡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트 리브들은 긴 스트로크를 필요로 하며, 에어백의 전개를 돕는 통로는 공주(idle-running) 스트로크(에너지의 흡수에 기여하지 않는 스트로크)를 조성한다. 따라서, 시트 리브에서 원하는 에너지흡수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시트 리브는 A필러가 승객실내로 많이 돌출되도록 확대되어야만 한다. A필러가 승객실내부로 많이 돌출된다면, 승객실 공간의 가용성, 가시성 및 탑승자 승하차의 용이성에 있어서의 단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에어백이 수납될 때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
도 3은 에어백이 수납될 때 도 1의 라인 3-3를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나타낸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나타낸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고자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서는,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이 필러부 및 루프 사이드 레일과 같은 차체의 구조 부재를 따라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상기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은, 에어백이 구조 부재와 가니시 사이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위치에 인접해 있는 방식으로, 중공 에너지흡수부재가 구조 부재와 상기 구조 부재를 덮는 가니시 사이에서 상기 구조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서, 적절한 센서가 차량의 측면 충돌이나 전복과 같은 긴급상황의 경우 설정된 값 이상의 가속도를 검출하자 마자 인플레이터가 접힌 상태로 수납된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한다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에어백이 팽창된다. 에어백이 팽창될 때, 구조부재와 가니시 사이에 접힌 상태로 수납된 에어백의 부분은 가니시의 단부와 구조 부재 사이의 갭을 통해 가니시로부터 승객실 내부로 방출된다.
본 발명에서, 구조 부재와 가니시 사이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의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에너지흡수부재는 구조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공 부재이고, 상기 에너지흡수부재에는 구조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벽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에어백이 전개될 경우, 에어백의 부분이 에너지흡수부재에 의하여 쉽게 잡아 당겨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에어백의 전개방향이 안정화되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에너지흡수부재는 구조 부재와 가니시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 등의 경우에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가니시와 부딪히더라도, 에너지흡수부재는 제기능을 수행하여 탑승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에 채택되는 에너지흡수부재는 중공이며 관련 기술에 따른 시트 리브보다 높은 에너지흡수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한정된 체적(한정된 공간)을 가지고도 원하는 에너지흡수 성능이 얻어질 수 있다. 승객실 내부로 돌출되는 가니시의 양을 줄임으로써, 승객실의 공간, 양호한 가시성 및 보다 좋은 탑승자 승하차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 형태에 따르면, 접힌 상태로 저장되는 에어백 부분의 전개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면은 에너지흡수부재의 및 측면상에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상술된 바와 같이 에너지흡수부재의 일 측면에 형성된다면, 에어백의 전개는 에너지흡수부재의 안내면을 사용함으로써 안내될 수 있다. 즉, 에어백에 추가 구성요소를 제공할 필요없이 에어백이 미리설정된 방향으로 전개되는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필러부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의 부분이 안내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안내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필러부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의 부분이 상술된 바와 같이 안내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안내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에어백의 전개방향은 에어백과 안내면간의 교차각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필러부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의 부분이 안내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안내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필러부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의 부분이 안내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안내면과 접촉하여 배치된다면, 안내면과 에어백간의 갭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에어백의 전개방향이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필러부가 A필러 또는 C필러이고, 에어백의 부분이 팽창부가 없는 기저직포로 만들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필러부가 A필러 또는 C필러이고 에어백의 부분이 팽창부를 갖지 않는 기저직포로 만들어진다면, A필러부 또는 C필러부와 필러 가니시 사이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팽창부를 갖지 않는 기저직포로 만들어진) 에어백의 부분이, 상기 에어백이 팽창될 때 필러 가니시의 단부와 A필러부 또는 C필러부 사이의 갭을 통과한다. 갭이 좁은 경우에도, 상기 에어백의 부분은 그것을 쉽고 빠르게 통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백의 전개가 완료될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서는, 중공 에너지흡수부재가, B필러 가니시 상단부의 위 및 접힌 에어백의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에너지흡수부재에는 에어백이 승객실 내부로 확실히 전개되도록 하는 안내면이 제공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이 필러부와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접힌 상태로 배치된다. 중공 에너지흡수부재는 B필러 가니시의 상단부 위 및 접힌 에어백의 아래에 배치되는 루프 사이드 레일의 부분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에너지흡수부재에는 에어백이 승객실 내부로 확실히 전개되도록 하는 안내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에너지흡수부재의 안내면이 에어백을 승객실 내부로 확실히 전개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에어백이 B필러 가니시와 B필러 사이의 갭내에 잠겨들어가거나(immersed) B필러의 상단부에 의하여 잡아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에너지흡수부재는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 등의 경우에 탑승자의 머리가 B필러 상부의 루프 사이드 레일과 부딪히더라도, 에너지흡수부재가 제기능을 수행하며 탑승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에너지흡수부재는 중공이며 관련기술에 따른 시트 리브보다 높은 에너지흡수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한정된 체적(한정된 공간)을 가지고도 원하는 에너지흡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승객실 내부로 돌출되는 필러 가니시의 양을 줄임으로써, 승객실의 공간, 양호한 가시성 및 보다 높은 탑승자 승하차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안내면이 에너지흡수부재의 몸체쪽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안내면이 에너지흡수부재의 몸체쪽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면, 안내면의 경사 각도를 적절히 설정하여 용이하게 에어백몸체의 전개방향을 조정하고 상술된 효과(즉, 승객실 내부로 에어백몸체가 전개되는 효과)를 최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에너지흡수부재가 압출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중공부재 또는 종이와 금속 포일로 만들어진 중공부재인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에너지흡수부재가 압출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중공부재 또는 종이와 금속 포일로 만들어진 중공부재라면, 한정된 체적을 가지고도 원하는 에너지흡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에너지흡수부재의 무게 감축이이루어진다. 또한, 접힌 에어백 및 에너지흡수부재가 차체의 한정된 공간내에 잘 들어 맞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을 장착시키는 방법에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이 필러부 및 루프 사이드 레일과 같은 차체의 구조 부재를 따라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먼저, 중공 에너지흡수부재가 루프 사이드 레일 및 필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그 다음, 에너지흡수부재가 차체에 장착된 후에 에어백이 차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에너지흡수부재는 에어백이 차체에 장착되기 전에 상기 차체에 장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에어백이 차체에 장착되기 전에 에너지흡수부재가 차체에 장착되기 때문에, 앞서 차체에 장착된 에너지흡수부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이 상기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체에 에어백을 장착시키는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차용으로 디자인된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100)은 에어백(10) 및 인플레이터(22)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백(10)은 승객실 측방향의 영역에 배치되고 커튼형상으로 팽창되어 앞좌석 및 뒷좌석 탑승자(도시 안됨)를 머리부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인플레이터(22)는 확산관(21)을 통해 에어백(10)에 공기를 공급한다. 에어백(10)은 에어백몸체(11) 및 인장포(tension cloth:12)로 이루어진다. 에어백몸체(11)는 팽창부 및 비팽창부를 가진다. 팽창부를 갖지 않는 인장포(12)는 에어백몸체(11)의 전단부에 부착된다.
에어백몸체(11)는 직조패턴이 길이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백의 형상으로 직조된다. 에어백몸체(11)의 표면에는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코팅재가 도포된다. 에어백몸체(11)는, 가스공급포트(11a), 가스공급포트(11a)의 하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즉 가스공급포트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스통로(11b), 가스통로(11b)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 중간의 비팽창부(11e), 전방끝단의 비팽창부(11f) 및 4개의 장착 스트립부(11g)를 가진다. 장착 스트립부(11g) 각각은 에어백몸체(11)가 루프 사이드 레일(31)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구멍(11g1)을 가진다.
(에어백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백(10)의 인장포(12)는 삼각형상(필요하다면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음)을 가지고, 에어백몸체(11)를 구성하는 직포보다 얇고 저렴한 비코팅 직포(비팽창부를 갖는 기저직포)로 만들어진다. 인장포(12)는 그것의 후단부에서 전단부의 비팽창부(11f)에 봉합된다. 인장포(12)의 전단부(12b)는 인장포(12)가 A필러(3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구멍(12b1)을 가진다(도 1 참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몸체(1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접힌후에 루프 사이드 레일(31)을 따라 상기 루프 사이드 레일(31)과 루프 헤드 라이닝(41)의 측방향 주변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수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포(12)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접힌후에 A필러(32)를 따라 상기 A필러(32)와 그를 덮기 위하여 상기 A필러(32)에 부착되는 A필러 가니시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납된다. 벨로우즈형상으로 접힌 에어백몸체(11) 및 인장포(12)는 에어백(10)이 팽창될 때 파열되는 속스(socks) 또는 테이프(도시 안됨)에 의하여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필러(32)와 A필러 가니시(42) 사이에서 접힌 상태의 에어백(10)의 인장포(12)가 배치되는 위치에 근접한 방식으로 중공 에너지흡수부재(51)가 배치된다. 에너지흡수부재(51)는 A필러(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에어백(10)이 차체에 장착되기 전에 삽입구멍(51a)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루(61)에 의해 A필러(32)에 고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전에 A필러(32)에 고정된 용접너트(71)내로 스크루가 견고하게 나사결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에너지흡수부재(51)는 알루미늄과 같은 압출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중공부재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외부 측면(오른쪽)에는 인장포(12)의 전개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안내면(51b)이 형성된다. 안내면(51b)은 편평하고 접힌 인장포(12)가 배치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접힌 인장포(12)의 차량의 내부 측면(왼쪽)은 안내면(51b)과 전체적으로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에너지흡수부재(52)가 루프 사이드 레일(31)의 일 부분(31a)에 배치된다. 상기 부분(31a)은 접힌 에어백몸체(11)의 아래 및 그것을 덮도록 칩(63)에 의하여 B필러(33)에 장착되는 B필러 가니시(43)의 상단부 위에 배치된다.
에너지흡수부재(52)는 B필러(33)와 상호협동의 목적으로 루프 사이드 레일(3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에너지흡수부재(52)는, 에어백(10)이 차체에 설치되기 전에 삽입구멍(52a)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루(62)에 의하여 루프 사이드 레일(31)에 고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스크루(62)는 사전에 루프 사이드 레일(31)에 고정되는 용접너트(72)내로 나사결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너지흡수부재(52)는 루프 헤드 라이닝(41)의 단부(하단부)와 루프 사이드 레일(31) 사이에 배치되어, 루프 헤드 라이닝(41)의 단부(41a)가 차량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에너지흡수부재(52)는 알루미늄과 같은 압출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중공부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몸체(11)가 승객실내로 확실히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면(52b)이 차량 안쪽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다. 안내면(52b)은 에너지흡수부재(52)의 몸체쪽 장착면(52c)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차량 외부 측면상의 접힌 에어백몸체(11)의 하단부는 안내면(52b)의 상단부와 접촉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 적절한 센서(도시 안됨)가 차량의 측면충돌이나 전복과 같은 긴급사태의 경우 설정된 값 이상의 가속도를 검출하자마자,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10)의 에어백몸체(11)의 가스공급포트(11a)에 인플레이터(22)로부터 확산관(21)을 통해 가스가 공급된다면, 에어백(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몸체(11)의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가 공급된 가스에 의하여 전개된다.
이 경우에, 에어백몸체(11)가 팽창되면, A필러(32)와 A필러 가니시(42) 사이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에어백(10)의 인장포(12)는 A필러 가니시(42)의 후방 단부(42a)와 A필러(32) 사이의 갭을 통하여 A필러 가니시(42)로부터 승객실내로 방출된다. 인장포(12)가 승객실로 방출될 때 A필러 가니시(42)의 후방 단부(42a)가 승객실내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A필러(32)의 단부에 끼워맞춰지는 틈마개(weather strip:39)의 설부(tongue portion:39a)가 A필러 가니시(42)의 후방 단부(42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인장포(12)가 지나갈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A필러(32)와 A필러 가니시(42) 사이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인장포(12)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에너지흡수부재(51)는 A필러(3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공부재이다. 에너지흡수부재(51)는 A필러(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안내면(51b)(낮은 슬라이딩 저항을 갖는 압출가능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매끈한 벽면)이다. 따라서, 인장포(12)는 에어백(10)의 전개시 에너지흡수부재(51)에 의해 쉽사리 잡아 당겨지지 않는다. 즉, 에어백(10)의 전개방향이 쉽게 안정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흡수부재(51)는 A필러(32)의 길이방향을 따라 A필러(32)와 A필러 가니시(42)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차량 충돌 등의 경우에 탑승자의 머리가 A필러 가니시(42) 부딪히더라도, 에너지흡수부재(51)가 소성변형을 통한 제기능을 수행하여 탑승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A필러(32)에 채용되는 에너지흡수부재(51)는 중공이며, 관련 기술에 따른 시트 리브보다 높은 에너지흡수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한정된 체적(한정된 공간)을 가지고도 원하는 에너지흡수성능을 얻을 수 있다. 승객실내로 돌출되는 A필러 가니시(42)의 양을 줄임으로써, 승객실의 공간, 양호한 가시성 및 보다 높은 탑승자 승하차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면(51b)은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인장포(12)의 전개방향을 형성하도록 에너지흡수부재(51)의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백(10)의 전개방향은 에너지흡수부재(51)의 안내면(51b)을 이용함으로써 안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백(10)은 에어백(10)에 추가 구성요소를 제공할 필요없이 미리설정된 방향으로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인장포(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너지흡수부재(51)의 안내면(51b)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에너지흡수부재(51)의 안내면(51b)과 접촉해 있다. 따라서, 에어백(10)의 전개방향은 안내면(51b)의 경사각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장포(12)는 팽창부가 없는 기저직포로 만들어진다. 에어백(10)이 팽창될 때에, A필러(32)와 A필러 가니시(42) 사이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인장포(12)는 A필러 가니시(42)의 단부(42a)와 A필러(32)(보다 상세하게는, A필러 가니시(42) 단부(42a)의 승객실 안쪽으로의 예각의 곡률의 결과로서 틈마개(39)의 설부(39a)와 A필러 가니시(42)의 단부(42a)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과한다. 갭이 좁은 경우라도, 인장포(12)는 그것을 쉽고 빠르게 통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백(10)의 전개가 완료될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에너지흡수부재(52)가 B필러 가니시(43)의 상단부(43a) 위와 접힌 에어백몸체(11)의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 31a의 루프 사이드 레일(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에너지흡수부재(52)는 승객실안쪽으로 에어백(11)이 확실히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면(52b)을 갖는다.
따라서, 에너지흡수부재(52)의 안내면(52b)은 에어백몸체(11)가 확실히 승객실 안쪽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전개되는 에어백몸체(11)가 B필러 가니시(43)와 B필러(33) 사이의 갭내에 잠겨 들어가거나 B필러 가니시(43)의 상단부(43a)에 의하여 잡아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에어백몸체(11)가 전개되는 경우, 루프 헤드 라이닝(41)의 단부(하단부)(41a)가 승객실 안쪽으로 예리하게 만곡되어 루프 헤드 라이닝(41)의 단부(41a)와 B필러 가니시(43)의 상단부(43a)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흡수부재(52)는 루프 사이드 레일(31)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의 머리가 B필러(33) 위의 루프 사이드 레일(31) 31a부분(B필러(33)에 의하여 강성이 보강됨)과 부딪히는 경우에도, 에너지흡수부재(52)는 소성변형의 결과로서 제기능을 수행하며 탑승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사이드 레일(31)에 채용되는 에너지흡수부재(52)는 중공이며 높은 에너지흡수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한정된 체적(한정된 공간)을 가지고도 원하는 에너지흡수 성능을 얻는것이 가능해진다. 승객실내로 돌출되는 B필러 가니시(43) 및 루프 헤드 라이닝(41)의 양을 줄임으로써, 승객실의 공간, 양호한 가시성 및 보다 높은 탑승자 승하차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흡수부재(52)는 몸체쪽 장착면(52c)에 대하여 경사진 안내면(52b)을 가진다. 따라서, 안내면(52b)의 경사 각도가 적절히 설정된다면, 에어백몸체(11)의 전개방향을 쉽게 조정하고 상술된 효과(즉, 에어백몸체(11)의 승객실안쪽으로의 전개 효과)를 최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흡수부재(51,52) 각각은 압출가능한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중공부재이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을 가지고도 원하는 에너지흡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에어지흡수부재(51,52)의 무게감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접힌 에어백(10) 및 에너지흡수부재(51,52)는 차체의 한정된 공간내에 잘 들어 맞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흡수부재(51,52)는 에어백(10)이 차체에 장착되기 전에 차체에 장착된다. 따라서, 에어백(10)(접힌 에어백몸체(11) 및 인장포(12))는 앞서 차체에 장착된 에너지흡수부재(51,5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백(10)을 차체에 장착시키는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인장포(12)는 에너지흡수부재(51)의 안내면(51b)과 접촉해 있다. 하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인장포(12)가 에너지흡수부재(51)의 안내면(51b)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에어백(10)의 전개방향은 안내면(51b)과 인장포(12) 사이의 갭(S)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인장포(12)가 에너지흡수부재(51)의 안내면(51b)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인장포(12)가 에너지흡수부재(51)의 안내면(51b)과 미리설정된 각도 θ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에어백(10)의 전개 방향은 인장포(12)와 안내면(51b)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θ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에너지흡수부재(51,52) 각각은 압출가능한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중공부재로서 디자인된다. 하지만, 일본국 특개평 제2000-2724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에너지흡수부재(51,52)가 종이와 금속 포일(예를 들어, 철 포일 또는 알루미늄 포일)로 이루어진 중공부재로서 디자인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에어백몸체(11)는 직포를 백의 형상으로 직조함으로써 제조된다. 하지만, 직포의 조각들을 서로 꿰메거나 접착(열용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백 또한 에어백(10)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에어백(10)이 에어백몸체(11) 및 상기 에어백몸체(11)의 전방 단부에 잘 들어 맞는 인장포(12)로 이루어지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에어백이 상이하게 구성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은 팽창부와 비팽창부를 갖는 에어백 및 팽창부를 갖지 않는 전방 및 후방 인장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인장포는 에어백몸체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각각 피팅된다. 이 경우에, 상술된 실시예의 A필러의 영역에 채택되는 구조가 A필러 및 C필러의 영역에 채택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가 에어백몸체(11)의 중앙으로부터 공급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예를 들어 에어백 후방으로부터 공급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 있어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이 필러부 및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중공 에너지흡수부재는, 에어백이 필러부와 상기 필러부를 덮는 필러 가니시 사이 및 루프 사이드 레일과 상기루프 사이드 레일을 덮는 측면 레일 가니시 사이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위치에 인접해 있는 방식으로 필러부 및 루프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전개방향이 안정될 수 있다. 승객실 안쪽으로 돌출되는 가니시의 양을 줄임으로써, 승객실의 공간, 양호한 가시성 및 보다 높은 탑승자 승하차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구조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는 별개로,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례 및 등가의 형태를 아우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요소들이 전형적인 여러 조합 및 구조로 제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 및 범위내에는 많거나 적은, 또는 단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여타의 조합 및 구성들도 존재한다.

Claims (11)

  1. 인플레이터(22)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10)이 필러(pillar)부(32) 및 루프 사이드 레일(31)과 같은 차체의 구조 부재(31,32)를 따라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이 상기 구조 부재(31,32)와 가니시(garnish:41,42) 사이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위치에 인접해 있는 방식으로 중공 에너지흡수부재(51,52)가 상기 구조부재(31,32)와 상기 구조부재(31,32)를 덮는 가니시(41,42,43) 사이에서 상기 구조부재(31,3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의 전개시에 상기 에어백을 안내하는 안내면(51b,52b)이 상기 에너지흡수부재(51,52)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필러부(32)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상기 에어백(10)의 부분(12)은 상기 안내면(51b)과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필러부(32)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상기 에어백(10)의 부분(12)은 상기 안내면(51b)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필러부(32)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상기 에어백(10)의 부분(12)은 상기 안내면(51b)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필러부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상기 에어백(10)의 부분(12)은 상기 안내면(51b)와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부는 A필러(32) 또는 C필러이며,
    상기 에어백(10)의 부분(12)은 팽창부가 없는 기저직포(base cloth)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에너지흡수부재(52)는 B필러 가니시(43)의 상단부 위와 접힌 에어백(10) 아래의 상기 루프 사이드 레일(31)의 부분(31a)상에 배치되며,
    상기 에너지흡수부재(52)에는 상기 승객실 안쪽으로 상기 에어백(10)이 확실히 전개되도록 하는 안내면(52b)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52b)은 상기 에너지흡수부재(52)의 몸체쪽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흡수부재(51,52) 각각은 압출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중공부재 또는 종이와 금속 포일로부터 만들어진 중공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11. 인플레이터(22)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승객실의 측방향 영역에서 커튼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디자인된 에어백(10)이 필러부(32) 및 루프 사이드 레일(31)과 같은 차체의 구조 부재(31,32)를 따라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기 구조 부재(3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 에너지흡수부재(51,52)를 피팅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흡수부재(51,52)가 상기 차체에 피팅된 후에 상기 에어백(10)을 상기 차체에 피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에어백시스템 장착방법.
KR10-2003-7016276A 2001-06-13 2002-06-11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장착방법 KR100521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8328A JP3722013B2 (ja) 2001-06-13 2001-06-13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JP-P-2001-00178328 2001-06-13
PCT/IB2002/002126 WO2002100689A2 (en) 2001-06-13 2002-06-11 Lateral window air bag system and method of mou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556A true KR20040014556A (ko) 2004-02-14
KR100521863B1 KR100521863B1 (ko) 2005-10-14

Family

ID=1901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276A KR100521863B1 (ko) 2001-06-13 2002-06-11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59629B2 (ko)
EP (1) EP1545939B1 (ko)
JP (1) JP3722013B2 (ko)
KR (1) KR100521863B1 (ko)
CN (1) CN1299934C (ko)
AU (1) AU2002314402A1 (ko)
BR (1) BR0210329B1 (ko)
CA (1) CA2449581C (ko)
DE (1) DE60213681T2 (ko)
ES (1) ES2268052T3 (ko)
WO (1) WO20021006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6722B2 (ja) * 2001-07-23 2005-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077424B2 (en) * 2002-06-17 2006-07-18 Toyoda Gosei Co., Ltd.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FR2852562B1 (fr) * 2003-03-19 2006-03-24 Mollertech Sas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sac gonflable et d'un dispositif facilitant le deploiement du sac
US7322601B2 (en) * 2004-12-10 2008-01-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siliently compressible deployment ramp for inflatable curtain
EP1772328A3 (en) * 2005-10-07 2008-03-26 Delphi Korea Corporation Automobile side airbag guide plate
FR2893894B1 (fr) * 2005-11-29 2008-02-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lateral pour un vehicule,a sac gonflable et moyen de deviation de la sangle de limitation du deploiement de ce sac
KR100736006B1 (ko) 2006-01-24 2007-07-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모듈
US7607684B2 (en) * 2006-03-20 2009-10-27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Integrated inflatable curtain deployment ramp into vehicle body trim
US7658401B2 (en) * 2007-01-31 2010-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curtain airbag systems
US7677593B2 (en) * 2007-02-16 2010-03-16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Side airbag curtain directional deployment bracket
JP5808983B2 (ja) * 2011-09-02 2015-11-10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4162313A (ja) * 2013-02-22 2014-09-08 Toyot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US9174602B1 (en) 2014-11-12 2015-11-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ide pillar assemblies with multi-surface retention structures for side airbags
JP2019014425A (ja) * 2017-07-10 2019-01-31 スズキ株式会社 フロントピラーの周辺構造
DE102017216430A1 (de) 2017-09-15 2019-03-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uteilsystem zur Fixierung eines Verkleidungsteils und Kraftfahrzeug
US11135904B2 (en) 2017-12-20 2021-10-05 Inteva Products, Llc Door presenter with hold open and power cinch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6385B (en) 1995-02-20 1999-08-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JP3129408B2 (ja) * 1996-11-07 2001-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3501741B2 (ja) 1996-11-07 2004-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3684723B2 (ja) 1996-12-11 2005-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
EP0903269B1 (de) * 1997-09-18 2002-10-02 DaimlerChrysler AG Airbagmodul in einem Kraftfahrzeug
JP3099784B2 (ja) * 1997-09-26 2000-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袋体を搭載した車両の内装品取付構造
DE19812737A1 (de) 1998-03-24 1999-05-27 Autoliv Dev Seitenairbag mit Energieabsorptionselement
JP3093199B2 (ja) 1998-05-12 2000-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JP3976398B2 (ja) 1998-05-12 2007-09-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DE19849490C1 (de) * 1998-10-27 1999-09-30 Daimler Chrysler Ag Airbagmodul
JP3428469B2 (ja) * 1998-11-27 2003-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2000272488A (ja) 1999-03-29 2000-10-03 Akebono Brake Ind Co Ltd ブレーキ力制御装置
JP3052085B1 (ja) * 1999-04-15 2000-06-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US6231071B1 (en) * 1999-09-27 2001-05-1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ide curtain air bag module
US6460877B2 (en) * 2000-03-23 2002-10-08 Toyoda Goseki Co., Ltd. Airbag
JP4523182B2 (ja) 2001-01-26 2010-08-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3941398B2 (ja) 2001-02-01 2007-07-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内装材構造
JP3644401B2 (ja) * 2001-03-27 2005-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3592654B2 (ja) 2001-06-11 2004-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3681T2 (de) 2007-08-09
EP1545939B1 (en) 2006-08-02
WO2002100689A2 (en) 2002-12-19
JP3722013B2 (ja) 2005-11-30
BR0210329B1 (pt) 2013-04-24
WO2002100689A3 (en) 2004-05-13
EP1545939A2 (en) 2005-06-29
CN1299934C (zh) 2007-02-14
ES2268052T3 (es) 2007-03-16
BR0210329A (pt) 2004-07-20
AU2002314402A1 (en) 2002-12-23
CA2449581C (en) 2007-12-04
US20040130129A1 (en) 2004-07-08
DE60213681D1 (de) 2006-09-14
CN1529666A (zh) 2004-09-15
US7059629B2 (en) 2006-06-13
JP2002370603A (ja) 2002-12-24
CA2449581A1 (en) 2002-12-19
KR100521863B1 (ko) 200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6646B2 (ja) エアバッグ
KR100521863B1 (ko) 윈도우 에어백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장착방법
US9266494B2 (en)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EP1591323B1 (en) Vehicle having an airbag system
JP5036401B2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66935B2 (en) Double fold and roll cushions for IC
US20120286500A1 (en) Side-impact airbag module
EP1533196B1 (en) Airbag system
US6736422B2 (en) Head-protecting bag device
JP7312669B2 (ja) エアバッグ
JP3560127B2 (ja) 前後席用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3521765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872373B2 (ja) エアバッグ
CN114302832B (zh) 帘式安全气囊组件
US11718261B2 (en) Vehicle passenger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an airbag module
JP2002067860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100389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JP2002293212A (ja) スライドドア車両の頭部保護エアバッグ配設構造
JP2023093101A (ja) エアバッグ
JP2002321584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