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234A - 특수하물 취급을 위한 45톤 용량의 다목적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특수하물 취급을 위한 45톤 용량의 다목적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234A
KR20040013234A KR1020020046073A KR20020046073A KR20040013234A KR 20040013234 A KR20040013234 A KR 20040013234A KR 1020020046073 A KR1020020046073 A KR 1020020046073A KR 20020046073 A KR20020046073 A KR 20020046073A KR 20040013234 A KR20040013234 A KR 20040013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special
lifting device
crane
ha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180B1 (ko
Inventor
김이수
Original Assignee
김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수 filed Critical 김이수
Priority to KR10-2002-004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1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국내외적으로 대부분의 하물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운송되고 있으나 하물의 형상이 컨테이너박스 크기보다 넓거나 높거나 하여 컨테이너로 운송이 불가능 할 경우가 있다. 이런 하물의 선적 및 하역에 있어서 크레인의 달기 기구에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의 필요에 따라, 현재 부두 및 일반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크레인에 모두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최적설계를 통해 리프팅 장치의 무게를 극도로 제한하여 크레인의 권상능력(크레인 권상능력 = 하물의 무게 + 리프팅장치 무게)을 증가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상하부 구조물, 회전장치, 후크, 회전각도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리프팅 장치

Description

특수하물 취급을 위한 45톤 용량의 다목적 리프팅 장치{Multi-purpose lifting device (45 ton) for special size material}
본 발명은 콘테이너에 들어가지 않는 특수 형상의 하물을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취급하여 운송수단 (배 혹은 트럭)에 선적 또는 하역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테이너를 취급하기 위한 장치들은 다양하게 개발, 사용되고 있으나, 콘테이너에 수용할 수 없는 특수하물 (예: 트럭, 버스, 폭과 길이가 긴 철판 및 형강 묶음, 중장비 등)을 취급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은 미미하였으며 근래에 특수하물의 운송수요가 점점 증가추세에 있어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주로 적용하는 항만하역용 크레인의 용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컨테이너 크레인(01)은 헤드블록(10)을 이용하거나 헤드블록에 텔레스코픽 스프레다(04)를 조립하여 컨테이너(07)를 선적 및 하역한다. 텔레스코픽 스프레다(04)를 추가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컨테이너(07)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제 2도는 종래의 단순 리프팅 빔을 이용하여 하물을 취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크레인의 헤드블록(10)과 단순 리프팅 빔을 로프 2(13)으로 연결하고 다시 하물(30)과 로프 3(22)을 연결하여 취급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에서는 로프 2(13)를 연결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걸리며 헤드블록(10), 텔레스코픽 스프레다(04), 일반 크레인 등 모든 경우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으로 연결과정에서 불편함이 많았으며 또한 하물(30)을 회전 시킬수 없어 선박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형상의 하물을 효과적으로 취급하는데 있어서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아니라 신속한 작업진해을 가능케하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1) 45ton ×10.95m(길이)용 리프팅 장치의 총 자중은 8.5ton 이하여야 한다.
2) 헤드블록에 조립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3) 텔레스코픽 스프레다에 조립하여 사용가능 하도록 한다.
4) 일반 산업용 크레인으로도 사용가능 하여야 한다.
5) 하물이 원하는 각도로 회전가능 하여야 한다.
6) 하물이 회전 후 각도를 고정하고 다시 해제하는 장치가 있으야 하며 회전장치가 7~8m 공중에서도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7) 특수형상의 하물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부구조물에 수개의 러그를 부착하고 그 러그의 최대허용 하중은 각각 10ton으로 한다.
8) 특수 하물의 길이가 짧은 경우를 대비하여 45ton 용량의 후크를 중앙에 설치한다.
9) 사용 후 보관을 위해 편리한 스텐드를 갖춰야 한다.
10) 크레인과 분리 후 지게차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도는 크레인관련 용어를 나타낸 도면
제 2도는 종래의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제 4도는 회전장치 및 후크를 나타낸 단면도
제 5도는 회전각도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01 : 컨테이너 크레인
04 : 텔레스코픽 스프레다
07 : 컨테이너
10 : 컨테이너 크레인의 헤드블록
11 : 쉬브
12 : 로프 1 (크레인)
13 : 로프 2 (연결용)
20 : 종래 리프팅 빔
21 : 러그
22 : 로프 3 (연결용)
30 : 특수하물
40 : 상부 구조물
41 : 러그 (일반 크레인의 후크 연결용)
42 : 홀더 1 (크레인의 스프레더 연결용)
43 : 홀더 2 (크레인의 헤드블록 연결용)
44 : 상부핀홀
50 : 하부 구조물
51 : 러그 (특수하물 연결용)
52 : 홀더 3 (지게차용 - 위치이동용)
53 : 스텐드
54 : 하부핀홀
60 : 회전장치
61 : 회전기어
62 : 볼트 1 (상부구조물과 회전기어 연결용)
63 : 볼트 2 (하부구조물과 회전기어 연결용)
70 : 후크
71 : 고정볼트
80 : 회전각도 고정장치
81 : 고정핀
82 : 레바 1
83 : 레바고정 브라켓트
84 : 해제용 로프
85 : 무게 추
86 : 지지대
87 : 핀 1
88 : 핀2
89 : 핀 3
90 : 공간 지지대
91 : 레바 2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 하물을 회전가능하게 하기위해 상부 구조물(40)과 하부구조물(50)로 분리 제작하고 그 사이를 회전장치(60)와 볼트(61,62)로 연결하였으며, 하부 구조물 중앙에 별도 후크(70)를 설치하여 길이가 짧은 특수화물의 취급에 용이하도록 하고, 하물의 회전 및 회전구속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회전각도 고정장치(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사용조건을 면밀히 사전 파악하여 구조물의 최적설계, 피로 허용한계를 높이기 위한 보강재의 효과적인 배치, 형강류의 사용 등으로 총 자중의 한계치를 달성하였다. 크레인 헤드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게 상부 구조물(40)에 홀더2(43)를 설치하였고, 또한 텔레스코픽 스프레다로 사용 가능하도록 상부 구조물 (40)에 홀더1(42)를 취부하였고, 일반 산업용 크레인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4개의 러그(41)를 설치하였으며, 또한 하부 구조물(50)에는 특수 형상 하물의 러그 위치가 다양하게 변하므로 모두 16개의 10ton용 러그(51)를 취부하였고, 사용 후 보관을 위해 스텐드(53)를 취부 하였으며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홀드3(52)을 취부하였다.
제 4도는 회전장치(60) 및 후크(7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하물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크레인(01)에 매달리는 상부 구조물(40)과 하물(30)이 매달리는 하부 구조물(50)로 구성하고 그 연결은 회전기어(61)를 사용하여 상부 구조물(40)과 회전기어(61), 하부구조물(50)을 각각 볼트로 연결하여 하부 구조물(50) 및 하물(30)이 회전 되도록 하였으며, 특수 하물의 길이가 짧은 경우를 대비하여 하부 구조물(50) 중앙에 45ton 용 후크(70)를 설치 하였으며, 고정 볼트(71)의 체결 및 해제로 후크가 회전할 수 있다.
제 5도는 회전각도 고정장치(8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공중에서 편리한 기능 작동을 위하여 상부 구조물(40)에 상부 핀홀(44)을 용접 취부하였고, 하부 구조물(50)에 하부 핀홀(54)을 용접 취부하여 고정 핀(81)으로 상부 및 하부 구조물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원리이며, 회전각도 고정장치에는 고정핀에 연결된 레바1(82), 그리고 그에 부착되어 있는 무게 추(85)에 의하여 고정핀 (81)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해제시는 해제용 로프(84)를 잡아 당기면 레바 2(91)가 올라가면서 중간 지지대 (90)의 기능으로 고정 핀(81)이 해제되는 원리로 되어있다. 체결시는 로프(84)를 놓으면 무게 추(85)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핀이 체결된다.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컨테이너로 운송 불가능한 길이가 길거나, 무게중심이 현저히 차이가 나거나, 하물 외형의 높 낮이가 매우 다양한 경우등의 특수하물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하여 사용시 소요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보다 더 안전하게 선적할 수 있으며, 하물의 회전기능을 통해 선박의 공간을 유효 적절하게 활용하여 운송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수 있다.

Claims (5)

  1. 특수하물 취급을 위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45ton 용량급으로서 하물의 회전을 위한 상부 및 하부 구조물로 나누고 회전기어를 볼트로 연결하고 크레인의 헤드블록, 텔레스코픽 스프레다, 일반 크레인 등 다양한 연결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편리한 회전각도 고정 및 해제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리프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하부 구조물의 최적 구조형상
  3. 헤드블록 및 텔레스코픽 스프레다, 일반 크레인 어느 것으로도 연결될 수 있도록 고안된 상부 구조물의 형상
  4. 지게차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홀더, 특수하물 연결을 위한 16개의 러그, 중앙부 45ton 용 후크, 보관시 편리한 스텐드로 구성된 하부 구조물의 형상
  5. 공중에서 하물의 회전 후 고정을 위해 고안된 회전각도 고정장치
KR10-2002-0046073A 2002-08-05 2002-08-05 다목적 리프팅 장치 KR100471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073A KR100471180B1 (ko) 2002-08-05 2002-08-05 다목적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073A KR100471180B1 (ko) 2002-08-05 2002-08-05 다목적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234A true KR20040013234A (ko) 2004-02-14
KR100471180B1 KR100471180B1 (ko) 2005-03-08

Family

ID=3732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073A KR100471180B1 (ko) 2002-08-05 2002-08-05 다목적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841B1 (ko) * 2008-06-23 2010-1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가능한 크레인 후크 장치
KR20170000116U (ko) 2015-06-30 2017-0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상하 이동 구조의 화물 플랫폼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3996A1 (fr) * 1978-12-15 1980-07-11 Potain Sa Engin de levage tel que grue ou portique pour la manutention de conteneurs
KR100251593B1 (ko) * 1997-12-29 2000-04-15 윤영석 콘테이너취급크레인의스프레더미세조정장치
JPH11292454A (ja) * 1998-04-07 1999-10-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クレーンのスプレッ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180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US20040173654A1 (en) Cantilevered heavy duty hitch dolly
US7905528B2 (en) Spreader frame for cargo container
CN203402895U (zh) 新型液压叉吊多用车
CN101357738A (zh) 集装箱卸货装置
CN106966292A (zh) 集装箱吊具及起重机
US7621410B1 (en) Removable externally mounted bridge crane for shipping containers
CN105947904A (zh) 多功能抓举起重运输车
US20170190344A1 (en) Industrial Cart
US7726497B1 (en) Removable externally mounted slewing crane for shipping containers
JP2004502600A (ja) ユニットロードを操作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190024953A (ko) 공수 가능한 포크리프트 및 적재 방법
CN209038984U (zh) 一种叉车用多功能起重机
US3387730A (en) Container lifting frame with means to shift same laterally on a forklift truck
CN102632824A (zh) 一种装于半挂车的自装卸吊装机构
KR20040013234A (ko) 특수하물 취급을 위한 45톤 용량의 다목적 리프팅 장치
US7278670B2 (en) Lifting spreader for helicopter
CN104071703B (zh) 一种便携式通用吊机
CN204022345U (zh) 一种便携式通用吊机
CN205687434U (zh) 多功能抓举起重运输车
CN103963690B (zh) 一种保障集装箱托盘作业一贯化运输的设备及方法
CN114477017B (zh) 一体化载具
CN215558313U (zh) 一种旋转集装箱吊具上架
CN217230146U (zh) 一种辅助叉车装卸货物的起吊装置
CN217994251U (zh) 便于拆卸的随车起重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