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605A - 일방향 클러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605A
KR20040012605A KR1020030053580A KR20030053580A KR20040012605A KR 20040012605 A KR20040012605 A KR 20040012605A KR 1020030053580 A KR1020030053580 A KR 1020030053580A KR 20030053580 A KR20030053580 A KR 20030053580A KR 20040012605 A KR20040012605 A KR 2004001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gs
retainer
pocket
way clutch
p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174B1 (ko
Inventor
미우라요시히사
오오따니데쯔야
Original Assignee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 F16D41/0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between two cylindric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외측 유지기나 내측 유지기 등의 환형 부재의 공용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의 환형 공간에 그 원주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래그(3)와, 이들 스프래그(3)를 유지하는 외측 및 내측의 양 유지기(4, 5)와, 환형의 스프링 부재(6)를 구비한 일방향 클러치이며, 외측 유지기(4), 내측 유지기(5) 및 스프링 부재(6)에는 각각 충분히 많은 수의 스프래그용 포켓(4a, 5a, 6a)이 형성되어 이들 포켓(4a, 5a, 6a)의 일부에 스프래그(3)가 수용되어 있다. 외측 유지기(4) 등의 환형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사용 스프래그(3)의 개수와 동수의 포켓(4a)(5a, 6a)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Description

일방향 클러치 {ONE-WAY CLUTCH}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방향 클러치에는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공간에 장착되어 구동측 부재의 일방향 회전을 스프래그를 거쳐서 종동측 부재에 전달하는 것이 있다.
이 일방향 클러치는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의 환형 공간에 그 원주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래그와, 이들 스프래그를 유지하는 외측 및 내측의 양 유지기와, 상기 스프래그에 상기 환형 공간 내에서 기립하도록 탄력을 가하는 환형의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외측 유지기와, 내측 유지기와, 스프링 부재에는 각각 스프래그의 개수와 동수의 스프래그용 포켓이 원주 방향 등각도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포켓에 스프래그가 수용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종동측 부재에 대해 구동측 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스프래그는 양 부재의 환형 공간 내에서 그 반경 방향에 따르도록 기립하여 양 부재 사이에서 돌출되어 로크 상태가 되고, 구동측 부재의 일방향 회전이 종동측 부재에 전달된다. 종동측 부재에 대해 구동측 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각 스프래그는 구동측 부재의 회전에 추종하도록 쓰러진 자세가 되어 구동측 부재륜은 종동측 부재에 대해 공전한다.
그런데, 상기한 일방향 클러치는 동일 치수인 것이라도 사용 장소에 따라 필요해지는 전동 토오크의 값이 다른 경우가 있다. 전동 토오크에 기여하는 것은 스프래그이므로, 전동 토오크의 용량이 큰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많고, 전동 토오크의 용량이 작은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적다.
이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동일 치수인 것이라도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다른 경우가 많다.
일방향 클러치의 각 구성 부분 중, 외측 유지기나 내측 유지기 등의 환형의 부재는 각각 스프래그를 수용하는 포켓을 갖고 있다. 일정 치수의 환형 부재에 있어서,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증감하면, 포켓 사이의 피치를 바꾸어 포켓 수를 증감시킬 필요가 있다. 포켓의 수가 다른 외측 유지기 등의 환형 부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한 금형을 새롭게 준비해야만 해,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의 정면도로, 일부 파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일방향 클러치의 축방향에 따라서 단면한 확대 단면도.
도3은 도1의 일방향 클러치의 일부인 외측 유지기, 내측 유지기 및 리본 스프링의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환형 부재의 전개도로, (a)는 외측 유지기를, (b)는 리본 스프링을, (c)는 내측 유지기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의 일방향 클러치의 일부인 외측 유지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전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의 정면도로, 일부 파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의 일방향 클러치의 일부인 외측 유지기의 전개도로, (a)와 (b)는 접촉 부재의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륜(구동측 부재)
2 : 내륜(종동측 부재)
3 : 스프래그
4 : 외측 유지기
4a, 5a, 6a : 포켓
5 : 내측 유지기
6 : 리본 스프링(환형의 스프링 부재)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측 유지기, 내측 유지기 및 환형의 스프링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환형 부재를 공통 부품으로서, 동일 치수이며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다른 일방향 클러치에 공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은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1.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측 부재의 일방향의 회전을 상기 피구동축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일방향 클러치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환형 공간에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래그와,
상기 환형 공간의 내측과 외측의 제1과 제2 유지기이며, 상기 제1 유지기는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포켓과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비유지 포켓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유지기는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과 제2 유지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래그를 기립시키도록 상기 스프래그를 압박하기 위한 복수의 압박 포켓과 상기 스프래그를 압박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비압박 포켓을 포함하는 환형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과 상기 비유지 포켓은 상기 원주 방향 등각도의 간격으로 상기 제1 유지기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제2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기 압박 포켓의 각각의 위치는 서로 직경 방향에서 일치한다.
2. 청구항 1의 일방향 클러치이며, 상기 제2 유지기는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비유지 포켓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는 적어도 1개의 비유지 포켓을 갖는다.
3. 청구항 1의 일방향 클러치이며, 상기 제1 유지기는 내측 유지기이고, 상기 제2 유지기는 외측 유지기이다.
4. 청구항 1의 일방향 클러치이며,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의 수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비유지 포켓 수와의 합은 필요 전달 토오크의 상한치에 대해 설정되는 상기 스프래그의 상한 개수에 대응한다.
5. 청구항 1의 일방향 클러치이며, 상기 제2 유지기는 그 상기 유지 포켓과 상기 비유지 포켓의 인접하는 2개 사이의 부분에 상기 구동측 부재와 상기 피구동측 부재의 한 쪽 주위면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6. 청구항 1의 일방향 클러치이며, 상기 스프래그의 수는 짝수이고, 상기 각각의 스프래그는 상기 직경 방향으로 다른 스프래그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7. 청구항 1의 일방향 클러치이며,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과 상기 비유지 포켓은 동일 형상을 갖고, 상기 압박 포켓과 상기 비유지 포켓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1 실시 형태〕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의 정면도로, 일부 파단하여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2는 도1의 일방향 클러치의 축방향에 따라서 단면한 확대 단면도, 도3은 도1의일방향 클러치의 일부인 외측 유지기, 내측 유지기 및 환형의 스프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한 부재의 전개도로, (a)는 외측 유지기를, (b)는 스프링 부재를, (c)는 내측 유지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는 외륜(1)과, 내륜(2)과, 이들 내외 양륜(1, 2)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 공간에 그 원주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래그(3, 3…)와, 이들 스프래그(3)를 환형 공간의 외주측에서 유지하는 외측 유지기(4)와, 스프래그(3)를 환형 공간의 내주측에서 유지하는 내측 유지기(5)와, 스프래그(3)에 내외 양륜(1, 2) 사이에서 기립하도록 탄력을 가하는 환형의 스프링 부재인 리본 스프링(6)과, 내외 양륜(1, 2) 사이의 환형 공간의 축방향 양측을 덮는 엔드 베어링(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1에 있어서, 백색 화살표는 급유 구멍(8)의 배치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이 급유 구멍(8)은 5개가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외 양륜(1, 2)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래그(3)의 개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20개이다. 이들 스프래그(3)의 개수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후에 내외 양 유지기(4, 5) 등과 관련지어 상세하게 서술한다.
외측 유지기(4), 내측 유지기(5) 및 리본 스프링(6)의 각 환형 부재에는, 도3 및 도4에 명시한 바와 같이 각각 스프래그(3)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4a, 5a, 6a)이 있다.
상기한 3개의 환형 부재 중, 내측 유지기(5)에는 일정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8개)의 포켓(5a, …)이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내측 유지기(6)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포켓(5a, 5a)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다. 포켓(5a)의 수는 본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에 대해 그 치수 등으로 설정되는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에 대응하는 것이다.
일방향 클러치가 사용되는 환경에 의해 필요해지는 전동 토오크의 값은 다르기 때문에, 동일 치수의 외륜(1)과 내륜(2)을 일방향 클러치의 입출력 부분으로서 이용하였다고 해도 어느 정도의 범위를 갖고 전동 토오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동 토오크 범위의 최대치 혹은 그 미만의 근사치, 즉 그 일방향 클러치로 구해지는 최대 전동 토오크 혹은 그 미만의 근사치를 갖는 일방향 클러치를 만들 때에 필요한 스프래그(3)의 수를 상한 개수라 한다. 요컨대, 상한 개수의 스프래그(3)가 사용되고 있으면, 동일 치수의 일방향 클러치로서는 최대의 전동 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는, 설정되는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는 28개이다.
또한, 내측 유지기(5)에는 보강부로서 축방향 한 쪽의 측모서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모서리부(5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서리부는 축방향 다른 쪽의 측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이와 같은 모서리부가 생략되어 내측 유지기(5)의 전체가 짧은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내측 유지기(5)는 그 축방향 중앙 부분이 전체 주위에 걸쳐서 다른 부분보다 융기 혹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다.
리본 스프링(6)은 전체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주 방향의 각 부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굴곡한 부분이 있다. 이 리본 스프링(6)에도 내측 유지기(5)와마찬가지로,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와 동수(28개)의 스프래그용 포켓(6a)이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본 스프링(6)에는 그 포켓(6a) 내의 스프래그(3)를 직경 방향에 따라서 기립하도록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설편(6c)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 유지기(4)에는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와 동수(28개)의 포켓 형성 위치가 내측 유지기(5)의 포켓(5a)과 동일한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설정되지만, 실제로 형성되는 포켓(4a)의 수는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보다 적은 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8개의 포켓 형성 위치 중, 20개의 포켓 형성 위치에 포켓(4a)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8개의 포켓 형성 위치는 포켓 비형성부(4b)로서 잔존하고 있다. 도3 및 도4에는 포켓 비형성부(4b)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외측 유지기(4)에 있어서의 20개의 포켓(4a)은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늘어서는 3개의 포켓(4a) 세트와, 동일하게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늘어서는 2개의 포켓(4a)의 세트로 나뉘어지고, 이들 2개의 세트가 포켓 비형성부(4b)를 사이에 협지한 형태로 전체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외측 유지기(4)의 포켓(4a)의 배치에서는 어떠한 포켓(4a)도 외측 유지기(4)의 다른 포켓(4a)과 직경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외측 유지기(4)에는 축방향 한 쪽의 측모서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모서리부(4d)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모서리부는 축방향 다른 쪽의 측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어떠한 모서리부도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측 유지기(4)는 그 축방향 중앙 부분이 전체 주위에 걸쳐서 다른 부분보다융기 혹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다.
외측 유지기(4) 등의 환형 부재에 포켓(4a)(5a, 6a)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포켓(4a)(5a, 6a)의 전부를 일괄하여 펀칭하는 방법과, 환형 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각 포켓(4a)(5a, 6a)을 차례로 펀칭하는 방법이 있다. 어떠한 환형 부재에 대해서도 일괄 펀칭의 방법이 채용 가능하고, 그 경우는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포켓 형성을 행할 수 있지만, 외측 유지기(4)에 대해서는 포켓(4a)이나 포켓 비형성부(4b)의 수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차례로 펀칭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그 경우, 포켓(4a)이나 포켓 비형성부(4b)의 수나 위치가 변경되어도 그에 대응하는 금형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외측 유지기(4)가 리본 스프링(6) 및 내측 유지기(5)와 동축으로 동일 직경 방향에 일치하게 된 상태에서는, 외측 유지기(4)의 포켓(4a)은 리본 스프링(6)의 포켓(6a) 및 내측 유지기(5)의 포켓(5a)과, 내외주 대략 동일한 직경 방향에서 위치가 일치한다. 내외주에서 서로 위치가 일치된 포켓(4a, 5a, 6a)에는 스프래그(3)가 수용된다. 외측 유지기(4)의 포켓(4a)의 수와, 스프래그(3)의 개수는 동수(20개)이므로, 스프래그(3)는 모두 외측 유지기(4)의 포켓(4a)에 수용된다. 리본 스프링(6)의 포켓(6a) 및 내측 유지기(5)의 포켓(5a)에 대해서는 그 일부(8개)의 포켓(5a, 6a)이 스프래그(3)가 수용되지 않은 포켓으로서 남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측 유지기(4)의 포켓(4a)의 전부에 스프래그(3)가 수용됨으로써 스프래그(3)의 배치 위치는 외측 유지기(4)의 포켓(4a)의 위치와 동일해진다.
즉, 스프래그(3)는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늘어서는 3개의 스프래그(3)의 세트와, 동일하게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늘어서는 2개의 스프래그(3)의 세트로 나뉘어지고, 이들 2개의 세트가 포켓 비형성부(4b)를 사이에 협지한 형태로 전체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서는 어떠한 스프래그(3)도 다른 스프래그와 직경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내외륜(1, 2) 중 어느 한 쪽의 구동륜으로부터 다른 쪽의 종동륜에의 일방향의 회전이 전달되지만, 그 전동, 비전동의 동작은 스프래그를 갖는 동종의 일방향 클러치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
즉, 내륜(2)에 대해 외륜(1)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스프래그(3)는 내외 양륜(1, 2) 사이의 환형 공간 내에서 그 반경 방향에 따르도록 기립하여 내외 양륜(1, 2) 사이에서 돌출되어 로크 상태가 되고, 외륜(1)의 일방향의 회전이 내륜(2)으로 전동된다. 내륜(2)에 대해 외륜(1)이 역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각 스프래그(3)는 외륜(1)의 회전에 추종하도록 쓰러진 자세가 되고, 외륜(1)은 내륜(2)에 대해 공전한다.
상기 구성의 일방향 클러치는 소정의 상한 개수보다 적은 개수(20개)의 스프래그(3)를 포함하고 있고, 당연히 그 스프래그(3)의 개수로 결정되는 전동 토오크를 갖는 일방향 클러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각 구성 부분 중, 내측 유지기(5)와, 리본 스프링(6)에 대해서는 각각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와 동수의 스프래그용 포켓(5a, 6a)이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하는 스프래그(3)의 개수를 상한 개수까지 늘릴 수 있고, 따라서 동일 치수이며, 스프래그(3)의 사용 개수가 보다 많은 다른 일방향 클러치에도 공용 가능하다.
한편, 외측 유지기(4)에는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보다 적은 수의 포켓(4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모든 포켓(4a)에는 각각 스프래그(3)가 수용되는 구성이므로, 외측 유지기(4)를 외부로부터 보는 것만으로, 소요 개수의 스프래그(3)가 수용되어 있는지, 스프래그(3)가 일부 탈락하고 있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어 스프래그(3)가 부족한 상태에서의 조립이나 부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래그(3)의 배치 위치는 외측 유지기(4)에 설치되어 있는 포켓(4a)과 포켓 비형성부(4b)의 관계로부터 원주 방향 부등 배치되어 있지만, 도1에서의 도시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스프래그(3)는 모두 다른 스프래그(3)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스프래그(3)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와 대향하는 일이 없으므로, 균형 있게 하중을 부담할 수 있다.
이 밖에, 급유 구멍(8)이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해, 스프래그(3)는 원주 방향 부등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래그(3)의 전체가 원주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해도, 스프래그(3)가 급유 구멍(8)의 모든 위치에 합치하는 일이 없어 스프래그(3)와 급유 구멍(8)의 접촉에 의한 전동 토오크의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유 구멍(8)의 전부가 스프래그(3)에 의해 폐색되는 일이 없으므로, 급유가 원활하게 행해져 급유 부족에 수반하는 결점의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유지기(4)에 스프래그용 포켓(4a)과 포켓 비형성부(4b)가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스프래그용 포켓과 포켓 비형성부는 리본 스프링(6)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내측 유지기(5)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외측 유지기(4), 내측 유지기(5) 및 리본 스프링(6) 중 적어도 1개의 환형 부재에 전체 주위에 걸쳐서 스프래그용 포켓이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전체 주위에 스프래그용 포켓이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설치되어 있는 환형 부재는 그 포켓의 수를 한도로 하여 수용하는 스프래그(3)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동일 치수이며, 스프래그(3)의 사용 개수가 다른 일방향 클러치에도 공용 가능하다.
도5는 외측 유지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외측 유지기(4)에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외측 유지기(4)와 마찬가지로, 스프래그용 포켓(4a)과, 포켓 비형성부(4b)가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한 포켓 비형성부(4b)를 이용하여 그 일부(혹은 전부)를 수직 절곡함으로써 외륜(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부재(4c)는 외륜(1)에 대한 외측 유지기(4)의 마찰 저항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마찰 저항의 증가에 의해 외측 유지기(4)를 외륜(1)에 추종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접촉 부재는 소정의 피치로 서로 인접하는 포켓(4a, 4a) 사이에 있는 기둥부(4e)를 이용하여 그 일부를 수직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의 정면도로, 일부 파단하여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7의 (a), (b)는 모두 도6의 일방향 클러치의 일부인 외측 유지기의 전개도로, (a)와(b)는 접촉 부재의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가 외륜(1)과, 내륜(2)과, 이들 내외 양륜(1, 2) 사이의 환형 공간에 그 원주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래그(3, …)와, 이들 스프래그(3)를 유지하는 외측 및 내측의 양 유지기(4, 5)와, 스프래그(3)에 내외 양륜(1, 2) 사이에서 수직 절곡하도록 탄력을 가하는 환형의 리본 스프링(6)과, 내외 양륜(1, 2) 사이의 환형 공간의 축방향 양측을 씌우는 엔드 베어링(7)을 구비하고 있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와 동일하고, 제1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와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외측 유지기(4), 내측 유지기(5) 및 리본 스프링(6)의 각 환형 부재에, 각각 전체 주위에 걸쳐서 일정수(도시한 것에서는 28개)의 포켓(4a, 5a, 6a)이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유지기(4)에는, 도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외측 유지기(4)에 있어서와 같은 포켓 비형성부(4b)가 없고, 외측 유지기(4)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포켓(4a, 4a)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다. 도7의 (a)의 외측 유지기(4)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포켓(4a, 4a) 사이에 있는 기둥부(4e)를 이용하여 그 일부를 수직 절곡함으로써 외륜(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4f)가 형성되어 있다. 도7의 (b)의 외측 유지기(4)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포켓(4a, 4a) 사이의 기둥부(4e)의 전부를 수직 절곡함으로써 외륜(1) 내주면에의 접촉 부재(4f)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유지기(5) 및 리본 스프링(6)의 형상은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차이가없으므로 세부에 걸친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프래그의 상한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28개이다.
외측 유지기(4), 내측 유지기(5) 및 리본 스프링(6)의 각 환형 부재의 포켓(4a, 5a, 6a)의 수는 상기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에 대응하여 28개로 되어 있다.
외측 유지기(4), 내측 유지기(5) 및 리본 스프링(6)의 각각 포켓(4a, 5a, 6a)에는 스프래그(3)가 수용되지만, 수용되는 스프래그(3)의 개수는 상기한 상한 개수보다 적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20개이다.
이들 20개의 스프래그(3)는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늘어서는 3개의 세트와, 동일하게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늘어서는 2개의 세트로 나뉘어지고, 이들 2개의 세트가 스프래그(3)를 수용하지 않은 빈 포켓(4a, 5a, 6a)을 사이에 협지한 형태로 전체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서는 어떠한 스프래그(3)도 다른 스프래그(3)와 직경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일방향 클러치는 상한 개수보다 적은 20개의 스프래그(3)를 포함하고 있고, 당연히 그 스프래그의 개수(20개)로 결정되는 전동 토오크를 갖는 일방향 클러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각 구성 부분 중, 외측 유지기(4)와, 내측 유지기(5)와, 리본 스프링(6)에 대해서는 각각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와 동수의 스프래그용 포켓(4a, 5a, 6a)이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하는스프래그(3)의 개수를 상한 개수까지 늘릴 수 있다. 수용하는 스프래그(3)의 개수를 28개로 하면, 이들 스프래그(3)는 외측 유지기(4) 등의 포켓(4a)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체 주위에 걸쳐서 원주 방향 등각도(α)의 피치로 배치되게 되어 스프래그(3)의 개수(28개)로 결정되는 보다 큰 전동 토오크를 갖는 일방향 클러치로서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외측 유지기(4)와, 내측 유지기(5)와, 리본 스프링(6)은 각각 스프래그(3)의 상한 개수를 한도로 하여 수용하는 스프래그(3)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 치수이며, 스프래그(3)의 사용 개수가 다른 일방향 클러치에도 공용 가능하다.
또한, 스프래그(3)의 사용 개수를 상기 이외의 개수로 설정하는 경우, 그 개수를 짝수로 하여 각 스프래그(3)가 다른 스프래그(3)와 직경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배치에서는 어떠한 스프래그(3)도 그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다른 스프래그(3)가 존재하고, 스프래그(3)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가 대향하는 일은 없으므로, 균형 있게 하중을 부담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향 클러치는 외륜(1)과 내륜(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일방향 클러치의 부착 부위에 있는 구동측의 부재, 종동측의 부재를 각각 외륜, 내륜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그 경우는 외륜(1)과 내륜(2)을 생략한 것이 일방향 클러치가 되고, 그 일방향 클러치는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 공간에 장착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에 설치되어 있는 엔드 베어링(7)은 생략해도 좋다.
본건의 제1 발명은, 요컨대 외측 유지기나 내측 유지기 등의 환형 부재에, 각각 충분히 많은 수의 스프래그용 포켓을 형성하여 이들 포켓에 개수가 여유 있는 상태에서 포켓의 수보다 적은 개수의 스프래그를 수용시킨 것이고, 포켓에 수용하는 스프래그의 개수를 늘리면 보다 전동 토오크가 큰 일방향 클러치가 되므로, 외측 유지기 등의 포켓을 갖는 환형 부재는 공통 부품으로서 동일 치수이며, 보다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많은 다른 일방향 클러치에 공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다른 때마다 외측 유지기 등의 환형 부재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제2 발명은 외측 유지기 등의 환형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환형 부재에 충분히 많은 수의 스프래그용 포켓을 형성하고, 다른 환형 부재에는 보다 적은 수의 포켓을 형성하여 보다 적은 수의 포켓의 전부에 스프래그를 수용시킨 것이고, 충분히 많은 수의 포켓을 갖는 환형 부재는 동일 치수이며, 보다 스프래그의 사용 개수가 많은 다른 일방향 클러치에 공용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있어서, 다른 환형 부재보다 적은 수의 포켓이 형성되는 환형 부재가 외측 유지기인 경우, 그 외측 유지기의 포켓에는 모든 스프래그가 수용되므로, 외측 유지기를 밖에서 보는 것만으로 소요 개수의 스프래그가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한 눈에 알 수 있어 스프래그가 부족한 상태에서의 조립이나 부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측 부재의 일방향 회전을 피구동측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일방향 클러치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환형 공간에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래그와,
    상기 환형 공간의 내측과 외측의 제1과 제2 유지기이며, 상기 제1 유지기는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포켓과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비유지 포켓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유지기는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과 제2 유지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래그를 기립시키도록 상기 스프래그를 압박하기 위한 복수의 압박 포켓과 상기 스프래그를 압박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비압박 포켓을 포함하는 환형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과 상기 비유지 포켓은 상기 원주 방향 등각도의 간격으로 상기 제1 유지기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제2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기 압박 포켓의 각각의 위치는 서로 직경 방향에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기는 상기 스프래그를 유지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비유지 포켓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는 적어도 1개의비유지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기는 내측 유지기이고, 상기 제2 유지기는 외측 유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의 수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비유지 포켓 수와의 합은 필요 전동 토오크의 상한치에 대해 설정되는 상기 스프래그의 상한 개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기는 그 상기 유지 포켓과 상기 비유지 포켓의 인접하는 2개의 사이의 부분에, 상기 구동측 부재와 상기 피구동측 부재의 일방향 주위면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래그의 수는 짝수이고, 상기 각각의 스프래그는 상기 직경 방향으로 다른 스프래그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기의 상기 유지 포켓과 상기 비유지 포켓은 동일 형상을 갖고, 상기 압박 포켓과 상기 비압박 포켓은 동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KR1020030053580A 2002-08-02 2003-08-02 일방향 클러치 KR100614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5783 2002-08-02
JP2002225783A JP4100471B2 (ja) 2002-08-02 2002-08-02 一方向クラ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05A true KR20040012605A (ko) 2004-02-11
KR100614174B1 KR100614174B1 (ko) 2006-08-25

Family

ID=3118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580A KR100614174B1 (ko) 2002-08-02 2003-08-02 일방향 클러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32206B2 (ko)
EP (1) EP1391625B1 (ko)
JP (1) JP4100471B2 (ko)
KR (1) KR100614174B1 (ko)
DE (1) DE6033306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266A (ja) * 1993-12-10 1995-06-27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気体圧入膨張形包装用紙製緩衝材とその製造方法
DE102004028669A1 (de) * 2004-06-12 2005-12-29 Ina-Schaeffler Kg Freilaufkupplung
JP2007092913A (ja) * 2005-09-29 2007-04-12 Jtekt Corp 一方向クラッチ
US20080156596A1 (en) * 2006-12-28 2008-07-03 Caterpillar Inc. Sprag and bearing system
US8286353B2 (en) * 2007-07-19 2012-10-16 Nsk-Warner K.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uter retainer of a one way clutch that includes windows, by placing the outer retainer into a die and punching out slits in the outer retainer using a thin punch
MX2011002798A (es) * 2008-09-15 2011-07-29 Magna Powertrain Usa Inc Embrague de rodillos de sobremarcha, de alta capacidad, sellado.
CN102667214B (zh) * 2009-11-16 2015-11-25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持续在轨迹上运行的起动机的自由轮
JP2017053453A (ja) * 2015-09-10 2017-03-16 Ntn株式会社 スプラグ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20220032685A1 (en) * 2020-08-02 2022-02-03 Yu-Shan Huang Bicycle hub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5828B2 (ja) * 1993-08-31 1999-10-18 光洋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
JP3411681B2 (ja) * 1994-07-15 2003-06-03 Nskワーナー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5630670A (en) 1995-06-03 1997-05-20 INA W alzlager Schaeffler KG Axial rolling bearing
JP4184475B2 (ja) * 1998-03-30 2008-11-19 Nskワーナー株式会社 ワンウェイクラッチ用外輪
JP2001050312A (ja) 1999-08-05 2001-02-23 Koyo Seiko Co Ltd 一方向ク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32206B2 (en) 2005-08-23
DE60333061D1 (de) 2010-08-05
EP1391625A3 (en) 2006-06-07
EP1391625A2 (en) 2004-02-25
JP2004068851A (ja) 2004-03-04
US20040094382A1 (en) 2004-05-20
EP1391625B1 (en) 2010-06-23
JP4100471B2 (ja) 2008-06-11
KR100614174B1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9763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のリテーナ
KR100614174B1 (ko) 일방향 클러치
KR102538254B1 (ko) 프레스 압착된 리테이너 플레이트를 갖는 유체동역학적 토크 컨버터의 스테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78425A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20090056135A1 (en) Assembling method of bearing unit
EP1469219B1 (en) One-way clutch
JP7439648B2 (ja) ボールねじ装置
KR20030007115A (ko) 일방향 클러치 유닛
US7766141B2 (en) Outer retainer for one-way clutch
JP4659086B2 (ja) 一方向クラッチ
KR100411630B1 (ko) 일방향클러치
US6422371B1 (en) Centrifugal friction clu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3501352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20240175471A1 (en) Clutch device
JP2002098156A (ja) スラスト針状ころ軸受
JP5408306B2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24086270A (ja) カムクラッチユニット
JPH0921432A (ja) ワンウエイクラッチ用ケージ
KR20230063332A (ko) 캠 클러치
JPH09152006A (ja) ステータ
JP2024042447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KR20010102935A (ko) 선형 베어링
JP2004218665A (ja) 一方向クラッチ
KR20030024635A (ko) 일방향 클러치 및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
JP2019135416A (ja) 偏心揺動型歯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