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368A -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368A
KR20040012368A KR1020020045916A KR20020045916A KR20040012368A KR 20040012368 A KR20040012368 A KR 20040012368A KR 1020020045916 A KR1020020045916 A KR 1020020045916A KR 20020045916 A KR20020045916 A KR 20020045916A KR 20040012368 A KR20040012368 A KR 2004001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information
disease
web server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철
박상희
김양진
조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Priority to KR102002004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2368A/ko
Publication of KR2004001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3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의 산출에 필요한 각종 설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질병종류별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각 위험요인에 대한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합산하고, 각 위험점수를 일반인의 유병율과 곱하여 평균인구위험지수를 합산하는 단계; 합산된 위험점수를 평균인구위험지수로 나누어, 해당 위험요인에 노출된 개인의 일반인 대비 상대적 위험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인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위험지수에 따라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식습관이나 생활행동양식 등 개인 고유의 정보로부터 암, 심혈관계질환, 및 당뇨병의 질병위험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신뢰성있게 산정할 수 있다. 특히, 생명보험회사와 같이 고객의 질병위험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업자가 오프라인상에서나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보험 가망 고객에게 접근하여 보험가입을 유도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Metho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risk of disease based on epidemiological evidence }
본 발명은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의 식습관, 생활행동양식, 가족력, 과거병력, 출산력, 환경적 요인등의 설문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암을 비롯한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등의 질병위험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역학적 결과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산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개인의 질병에 관하여 진단하거나 질병 위험성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은 전문적인 의료기관에서의 정밀조사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지만,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개인별 질병위험정보를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 하나의 예가 보험 서비스인데, 현재의 보험 판매방식은 크게 설계사나 대리점에 의한 판매와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사이버 마케팅에 의한 판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들 판매 방식은 가망고객선정, 보험상품의 전달과 가입설득, 및 가입의 3단계 마케팅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보험회사에서는 보험상품의 전달 및 가입설득 과정에 있어서 공통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상품의 전달 및 가입설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고는 있지만, 종래의 생명보험가입 유도는 대부분 특정사례를 확대하거나 또는 국내 주요사망원인 등의 일반적인 자료제시로 일관되어 보험가입에 대한 설득력이 낮다.
또한, 일부 보험사에서는 직업, 흡연여부 등 개인 고유의 변수에 대해 연령별 혹은 사망원인별 통계, 교통사고 통계 및 기타 통계청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위험을 산정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제한된 설문과 결과론적인 접근으로 인해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각 개인별로 자세한 설문정보를 입력받아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자료에 근거하여 신뢰성있는 개인 질병위험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후 고객에게 전달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의 산출에 필요한 각종 설문정보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되어 웹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대상 질병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위험요인과 각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에 대한 위험점수를 조회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확인된 각 위험요인에 대한 상기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합산하고, 또한 상기 각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해당 유병율(Prevalence: 통계적으로 총인구 중 해당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백분율)과 곱한 값인 평균인구위험지수를 합산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합산된 위험점수를 상기 합산된 평균인구위험지수로 나누어, 해당 위험요인에 노출된 개인의 일반인 대비 상대적 위험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인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산출된 위험지수를 기 규정되어 있는 위험지수 크기별 위험 가능성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 형태로 작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험설계사등의 개인 컴퓨터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입력된 개인별 정보와 산출된 질병위험의 결과정보는 인터넷의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특정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도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
도 3은 개별 설문을 위한 설문과정의 일 실시예,
도 4는 통합 설문(남성)을 위한 설문과정의 일 실시예,
도 5는 통합 설문(여성)을 위한 설문과정의 일 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은 설문과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실시예,
도 9 내지 도 10은 질병위험정보를 제공하는 결과 화면의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클라이언트20: 인터넷
30: 웹 서버31: 질병위험 산정모듈
40: 데이터베이스 서버41: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
42: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43: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실시예로서, 웹 서버(30)는 인터넷(20)을 통해 각 클라이언트(10)와 접속하여 개인별 질병위험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질병으로는 크게 암, 심혈관계질환, 당뇨병을 포함하며, 암으로는 위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결장암, 방광암, 신장암, 췌장암을 포함하고, 심혈관계질환으로 고혈압, 뇌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등을 포함한다. 그 외 당뇨병에 대한 발병위험 가능성을 역학적 결과에 근거하여 산정함으로써 한국인 사망원인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는 암, 뇌/심장/혈관질환 및 기타질환의 대부분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라이언트(1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이며, 자신의 질병위험에 관한 정보를 알고자 하는 개인의 컴퓨터일 수도 있고, 보험설계사의 컴퓨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웹 서버(30)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각종 웹 페이지들로서 이루어지는 홈 페이지를 운용하는 구성요소이며, 데이터베이스 서버(40)와 연동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41),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42), 및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43)를 관리한다.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41)는 고객이 직접 입력하거나 보험설계사가 업로드(uopload)한 개인별 신상정보, 식습관정보, 건강관련 행동양식 정보, 출산력등 여성관련정보, 병력정보 등을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42)는 질병종류별로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한 항목인 위험요인과 각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에 대한 위험점수, 유병율(Prevalence: 통계적으로 총인구 중 해당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백분율), 위험지수, 통계청이나 국가 암등록사업등의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위험요인이란 각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하나 이상의 항목(예: 나이, 성별, 과거 질환력 등)을 의미하며,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이란 해당 위험요인의 정도(값)를 세분화한 항목을 의미한다. 예로서, 위험요인이 "나이"일 경우 세부항목은 10세-20세, 20세-30세, 등 나이 범위별로 구분되는 것이며, 위험요인이 흡연여부일 경우에는 '흡연'과 '비흡연'이 세부항목이 될 수 있다. 또한 위험점수는 각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에 대하여 할당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중요한 구성요소인 '위험점수'는 각 위험요인에 대한 비례위험도를 부여하고, 이 비례위험도에 따라 가중점수를 반영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례위험도와 가중점수의 예는 각각 다음의 표 1과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그러나, 각 위험요인의 세부항목에 대하여 부여하는 위험점수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가장 합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하는 것으로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하는지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은 사업자가 산출한 위험요인별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규정해놓은 값을 사용하여 질병위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43)는 질병종류별 일반정보와 예방정보, 위험요인별 상세 설명, 국내사망원인, 년도별 추이, 질병종류별 스크리닝 정보 등과 같이 인터넷을 통해 고객들에게 제공할 일반 정보들이 저장된다.
한편, 웹 서버(30)에는 클라이언트(10)로부터 입력되는 개인별 설문정보에 따라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42)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개인의 질병위험을 산출하는 질병위험 산정모듈(31)이 설치되어 있다.
질병위험 산정모듈(31)은 클라이언트(1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설문정보와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42)에 기록되어 있는 위험요인별 판단기준을 기초로 개인별 질병위험을 산정하며, 결론적으로 도출되는 개인 질병위험정보를 그래프와 함께 생성한다.
이러한, 질병위험 산정모듈(31)은 클라이언트(10)로부터 수신되는 설문정보로부터 대상 질병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추출하는 모듈, 각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점수와 평균인구위험지수를 처리하여 해당 위험요인에 노출된 개인의 일반인 대비 상대적 위험가능성을 분석하는 모듈, 및 분석 결과로서 나타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를 고객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처리(예: 그래프화)하는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질병위험 산정모듈(31)은 웹 서버(30)와 연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바람직하게 구현할 수 있다.
위험요인(Risk Factor)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위험요인이란 각종 질병별로 그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의미하는데, 국내외의 암, 심혈관계질환, 당뇨병에 관한 논문들을 수집하고 이들 중 질병과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만을 선택하여 해당 질병에 대한 위험요인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표 3에 각 질병별 위험요인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었다.
질병 위험요인
위암 생과일 또는 야채선호도, 짠음식 선호도, 혈액형, 가족력, 흡연, 음식조리방법, 두부섭취
폐암 야채섭취빈도, 과일, 가족력, 대도시거주, 과거흡연력, 흡연량, 흡연기간, 처음흡연연령, 나이, 비만도, 운동여부
간암 나이, 성별, 가족력, 과거 질환력, 당뇨병질환력, 음주, 흡연, 수혈력, 경구용 피임약 복용, 출산력
유방암 야채선호도, 육륙선호도, 비만도, 초산연령, 모유수유, 유방질환력, 폐경, 가족력, 나이
자궁경부암 키, 출산력, 초산연령, 성 감염증, 피임법, 유방절제력, 흡연, 나이, 초경연령, 폐경연령, 가족력, 결혼상태
자궁암 비만도, 출산력, 피임약 복용기간, 폐경 연령,당뇨병 증상, 가족력, 흡연
난소암 출산력, 모유 수유, 난관수술, 자궁절제력, 가족력초경연령, 폐경여부
결장암 야채선호도, 육류선호도, 음주, 피임약 복용기간, 복합비타민제 복용, 운동여부, 가족력
전립선암 키, 동물성 지방섭취, 정관절제력, 가족력
방광암 가족력, 흡연
신장암 비만도, 가족력, 흡연
췌장암 야채선호도, 만성 췌장염 여부, 당뇨병 증상,가족력, 흡연
심혈관계질환 뇌혈관계질환 비만도, 혈압, 당뇨병력, 흡연
관상동맥질환 혈압, 총콜레스테롤, 흡연, 커피 등의 차 선호도
고혈압 혈압, 음주, 운동여부, 비만도
당뇨병 비만도, 체중증가, 가족력, 흡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10)를 통해 개인별 질병위험정보의 산출에 필요한 각종 설문정보가 입력되어 웹 서버(30)로 전송된다(S21). 이 때, 클라이언트(10)에서 설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서버(31)에서 전송해주는 입력용 웹 페이지일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10)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입력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웹 서버(30)로 전송해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설문정보는 암, 심혈관계질환, 및 당뇨병 등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사항을 통합하고 이를 설문의 특성에 따라 개인신상정보, 식습관정보, 건강관련 행동양식정보, 여성관련정보, 병력정보 등으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분류별 설문정보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신상정보: 나이, 성명, 주민등록번호, 성별과 같은 일반항목과 키, 몸무게, 혈액형, 결혼여부, 직업 등의 개인신상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2)식습관정보: 야채선호도, 과일선호도, 육류선호도, 짠음식선호도, 조리방법, 두부선호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건강관련 행동양식정보: 흡연여부, 흡연기간, 초기흡연연령, 음주, 운동, 수혈여부, 복합비타민제 복용여부, 대도시 거주기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4) 여성관련정보: 피임방법, 자녀수, 초산연령, 모유수유, 초경연령, 폐경여부, 폐경경험나이, 유방질환 경력, 유방절제술 경험, 결혼생활상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5) 병력정보: 당뇨병, C형 간염, B형 간염, 간경화증, 성감염증에 대한 과거 및 현재 병력과 가까운 친척이나 가족의 위암, 폐암, 간암, 간질환, 결장암(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에 대한 과거 및 현재 병력에 대한 사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문은 개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질병위험정보만 제공되는 개별 설문과 한번의 설문으로 모든 질병에 대한 개인의 질병위험정보가 한꺼번에 제공되는 통합 설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유방암에 대한 개별 설문정보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연령, 키, 몸무게등 개인정보, 야체 및 육류선호도 정보, 초산경험나이 정보를 입력한다(S3-1 내지 S3-3). 그리고, 기혼인 경우에는 출산경험이 있는 고객으로부터 첫출산을 경험한 나이와 모유수유 경험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3-4). 또한, 폐경경험이 있는 고객으로부터는 폐경을 경험한 나이정보를 입력받고(S3-5), 유방암 가족력 정보를 입력받는다(S3-6).
통합 설문의 경우에는 설문문항이 보다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통합 설문을 입력받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객의 성별이 남자일 경우에는(S4-1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령, 키, 몸무게, 혈액형 등의 개인정보와 식생활 선호도 정보를 입력받은 다음(S4-12,S4-13), 흡연자의 경우에는 처음 피운 나이, 총흡연기간, 하루평균 흡연량 등의정보를 입력받는다(S4-14). 그리고, 음주량, 운동량, 수혈경험, 복합비타민제 복용여부, 대도시 거주 경험 등의 생활정보, 병력경험, 및 각종 암의 가족력 정보를 입력받는다(S4-15 내지 S4-17).
그러나, 고객의 성별이 여자일 경우에는(S4-11),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남자일 경우에 입력받은 절차와 동일한 절차(S4-21 내지 S4-24)를 진행한 후, 피임도구로서 콘돔이나 먹는 피임약 사용여부, 초경경험정보를 입력받고(S4-25), 기혼자인 경우에는 출산경험의 여부에 따라 첫출산을 경험한 나이와 모유수유 경험여부에 관한 정보 및 결혼상태 유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4-26). 그리고, 폐경경험의 여부에 따라 폐경경험 나이를 입력받고(S4-27), 유방관련질환 경험여부, 당뇨병과 C형 간염, B형 간염, 간경화증, 성감염증 등의 병력정보, 및 각종 암의 가족력 정보를 입력받는다(S4-28 내지 S4-30).
이러한 설문절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고객으로부터 설문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6은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결혼여부, 키, 몸무게, 혈액형, 직업, 주소와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사용자는 '등록' 아이템이나 '취소' 아이템을 선택하여 자신이 입력한 정보를 웹 서버(30)로 전송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41)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우측의 '통합설문지 작성' 아이템을 선택하여 통합 설문을 작성하거나, '개별설문지작성' 아이템을 선택하여 개별 설문을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 아이템을 선택하여 질병위험정보를 받아볼 수 있으며, 'Next'와 'Preview' 아이템을 통해 이전 화면과 다음 화면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야체, 과일, 고기, 짠 음식, 끓인 음식, 구운 음식, 두부 등의 선호도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도 8은 흡연 관련 사항과 수혈, 복합 비타민제 복용여부, 및 대도시 거주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임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과 입력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문정보를 입력하는 절차가 종료하면, 이 정보는 인터넷(20)을 통해 웹 서버(30)로 전송된다. 그러면, 웹 서버(30)는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42)를 조회하여 대상 질병의 위험요인을 확인한다(S22). 즉, 현재 고객이 위험성을 알고자하는 대상 질병에 대하여 규정되어 있는 위험요인이 어떠한 것들로서 이루어지는지를 조사하는 과정이다.
단계 S22에서 대상 질병에 관한 위험요인이 어떠한 항목들로서 이루어지는지가 확인되면, 웹 서버(30)는 확인된 각 위험요인에 대응하는 설문정보 값을 조사하고, 이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세부항목의 위험점수를 검색하여 합산한다. 또한 각 위험요인에 대하여 해당 위험점수를 일반인의 통계적 유병율과 곱한 값인 평균인구위험지수를 계산하여 합산한다(S23).
단계 S23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유방암의 위험요인이 첫출산 연령, 가족력, 폐경여부, 연령, 육류섭취 항목으로 이루어질 때, 폐경을 경험한 60세 여성으로서 첫출산연령이 36세이고 자매가 유방암에 걸린 경험이 있으며 고기를 일주일에 3회정도 섭취하는 외에 다른 위험요인은 해당하지 않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예에서, 각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에 해당하는 위험점수가 다음의 표 4와 같이 규정되어 있다면, 위험점수의 합은 90점이 된다.
또한, 개인별 질병위험을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질병위험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위험요인별 해당 유병률(Prevalence), 즉 우리나라의 각종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얻은 해당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인구 백분율(%)을 앞서 얻어진 각 위험점수에 곱하여 '표준인구평균점수'를 얻고, 각 표준인구평균점수를 합산한다. 우리나라 여성에 대한 유방암 평균위험점수의 예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으며, 표 5의 평균인구위험점수의 합은 23.174이다.
웹 서버(30)는 단계 S23에서 합산된 위험점수를 평균인구위험지수로 나누어, 해당 위험요인에 노출된 개인의 일반인 대비 상대적 위험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인 위험지수를 산출한다(S24).
표 5에 도시한 예에서는, 폐경을 경험한 60세 여성으로서 초산연령이 36세이고 자매가 유방암에 걸린 경험이 있으며 고기를 일주일에 3회정도 섭취하는 외에 다른 위험요인은 해당되지 않는 여성의 경우 유방암 위험지수는 3.88(90÷23.174)이 된다.
이제, 웹 서버(30)는 단계 S24에서 산출된 위험지수를 아래의 표 6에 도시한 예와 같이 기 규정되어 있는 위험지수 크기별 위험 가능성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개인별 질병위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 형태로 작성한 후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해준다(S25).
표 6에 도시한 예에 따르면, 위의 고객은 위험지수가 3.88이므로 유방암에 걸릴 위험수준(Level of risk)이 우리나라 평균 여성보다 "위험"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단계 S25에서 산정된 질병위험정보는 도 9에 도시한 예와 같이 개인 질병위험 가능성을 매우위험 - 보통 - 매우안전의 범위에서 그래픽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질병에 걸릴 위험확율의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개별질병(유방암)에 관한 질병위험정보를 나타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질병정보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되어 잇는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이 관심있는 질병에 대한 일반정보, 예방정보, 위험요인별 상세정보, 기타 통계자료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위에서는 고객의 설문정보가 웹 서버(30)와는 원격적으로 떨어져있는 일반 고객 혹은 보험설계사의 컴퓨터(1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질병위험 산정모듈과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구비된 개별 컴퓨터 시스템에서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보험설계사는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곳에서도 고객정보를 입력하여 즉시 질병위험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된 고객정보와 질병위험정보는 이후에 인터넷에 연결하여 웹 서버(30)로 업로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1)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의 산출에 필요한 각종 설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2) 상기 대상 질병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위험요인과 각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에 대한 위험점수를 조회하여 확인하는 단계.
(3) 상기 확인된 각 위험요인에 대한 상기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합산하고, 또한 상기 각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해당 유병율과 곱한 값인 평균인구위험지수를 합산하는 단계.
(4) 상기 합산된 위험점수를 상기 합산된 평균인구위험지수로 나누어, 해당 위험요인에 노출된 개인의 일반인 대비 상대적 위험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인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5) 상기 산출된 위험지수를 기 규정되어 있는 위험지수 크기별 위험 가능성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 형태로 작성하여 일정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위의 (1) 내지 (5)의 과정은 인터넷을 통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5)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도 그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식습관이나 생활행동양식 등 개인 고유의 정보로부터 일반사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 심혈관계질환, 및 당뇨병의 질병위험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산정할 수 있다. 특히, 국내외의 신뢰성있는 역학적 결과를 위험 가능성 판단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므로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생명보험회사와 같이 고객의 질병위험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오프라인상에서나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보험 가망 고객에게 접근하여 보험가입을 유도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 보험가입자에 대한 지속적인 고객관리 뿐아니라 보험료 지급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할 수 있으며 향후 개인 고유의 위험가능성에 따른 보험요율 차등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3)

  1.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접속하는 웹 서버를 통해 개인별 질병위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의 산출에 필요한 각종 설문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웹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대상 질병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위험요인과 각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에 대한 위험점수를 조회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확인된 각 위험요인에 대하여 상기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합산하고, 또한 상기 각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해당 유병율(Prevalence: 통계적으로 총인구 중 해당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백분율)과 곱한 값인 평균인구위험지수를 합산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합산된 위험점수를 상기 합산된 평균인구위험지수로 나누어, 해당 위험요인에 노출된 개인의 일반인 대비 상대적 위험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인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산출된 위험지수를 기 규정되어 있는 위험지수 크기별 위험 가능성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 형태로 작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제공 방법.
  2.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의 산출에 필요한 각종 설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대상 질병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위험요인과 각 위험요인별 세부항목에 대한 위험점수를 조회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각 위험요인에 대한 상기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합산하고, 또한 상기 각 설문정보 값에 대응하는 위험점수를 해당 유병율 (Prevalence: 통계적으로 총인구 중 해당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백분율)과 곱한 값인 평균인구위험지수를 합산하는 단계;
    상기 합산된 위험점수를 상기 합산된 평균인구위험지수로 나누어, 해당 위험요인에 노출된 개인의 일반인 대비 상대적 위험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인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험지수를 기 규정되어 있는 위험지수 크기별 위험 가능성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질병에 관한 개인별 질병위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 형태로 작성하여 일정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기재된 각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20045916A 2002-08-02 2002-08-02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KR20040012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916A KR20040012368A (ko) 2002-08-02 2002-08-02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916A KR20040012368A (ko) 2002-08-02 2002-08-02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68A true KR20040012368A (ko) 2004-02-11

Family

ID=3732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916A KR20040012368A (ko) 2002-08-02 2002-08-02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23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226B1 (ko) * 2009-11-30 2012-03-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변증 판별 장치 및 비만 변증 판별 방법
KR102012633B1 (ko) * 2018-08-17 2019-08-21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간암 진단을 위한 전기화학 방식의 바이오-마커 검출 방법 및 장치
CN111968710A (zh) * 2020-08-24 2020-11-20 遵义医科大学 一种老年常见病快速诊疗方法及系统
KR20200136687A (ko) * 2019-05-28 2020-12-08 이신재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404A (ja) * 1993-12-20 1995-07-14 Hitachi Ltd 健康指導システム
KR20000049660A (ko) * 2000-04-20 2000-08-05 이창덕 인터넷 방송을 통한 건강진단/처방 및 농산품 전자상거래방법
KR20000054566A (ko) * 2000-06-12 2000-09-05 이종길 인터넷 웹상에서 체력측정 및 평가와 운동프로그램처방방법
KR20010000587A (ko) * 2000-10-07 2001-01-05 이종훈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717A (ko) * 2000-07-18 2002-01-29 양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KR20020084878A (ko) * 2001-05-04 2002-11-13 (주)유진사이언스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404A (ja) * 1993-12-20 1995-07-14 Hitachi Ltd 健康指導システム
KR20000049660A (ko) * 2000-04-20 2000-08-05 이창덕 인터넷 방송을 통한 건강진단/처방 및 농산품 전자상거래방법
KR20000054566A (ko) * 2000-06-12 2000-09-05 이종길 인터넷 웹상에서 체력측정 및 평가와 운동프로그램처방방법
KR20020007717A (ko) * 2000-07-18 2002-01-29 양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KR20010000587A (ko) * 2000-10-07 2001-01-05 이종훈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4878A (ko) * 2001-05-04 2002-11-13 (주)유진사이언스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04.16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226B1 (ko) * 2009-11-30 2012-03-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변증 판별 장치 및 비만 변증 판별 방법
KR102012633B1 (ko) * 2018-08-17 2019-08-21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간암 진단을 위한 전기화학 방식의 바이오-마커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200136687A (ko) * 2019-05-28 2020-12-08 이신재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
CN111968710A (zh) * 2020-08-24 2020-11-20 遵义医科大学 一种老年常见病快速诊疗方法及系统
CN111968710B (zh) * 2020-08-24 2024-02-02 遵义医科大学 一种老年常见病快速诊疗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ve et al. Potential impact of midwives in preventing and reducing maternal and neonatal mortality and stillbirths: a Lives Saved Tool modelling study
Pfinder et al. Taxation of unprocessed sugar or sugar‐added foods for reducing their consumption and preventing obesity or other adverse health outcomes
Gupta et al. A review of breast cancer awareness among women in India: Cancer literate or awareness deficit?
US20230245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ood recommendation based on food sensitivity testing
Jacobson et al. Self-reported adverse reactions associated with mycoprotein (Quorn-brand) containing foods
Yanikkerem et al. Planned and unplanned pregnancy: effects on health practice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JP5054984B2 (ja) 個別健康指導支援システム
US20190011700A1 (en) Customizable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visualization and multi-sensory system and method
WO2007061941A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life expectancy and providing customized advice for improving life expectancy
Lamichhane et al. Associations of built food environment with dietary intake among youth with diabetes
Minozzi et al. European Code against Cancer 4th Edition: Process of reviewing the scientific evidence and revising the recommendations
Col et al. Short-term menopausal hormone therapy for symptom relief: an updated decision model
Parisi et al. Weight resilience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African-American women in an obesogenic environment
Chalermsri et 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dietary diversity of Thai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
KR20040012368A (ko)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de Deus Mendonça et al. Intervention for promoting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in Brazilian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P2014021723A (ja) 食事メニュー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Soriano et al. High knowledge about obesity and its health risks, with the exception of cancer, among Mexican individuals
JP7226757B2 (ja) 健康管理支援装置、健康管理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iu et al. A continuous indicator of food environment nutritional quality
Siew et al. The role of combined modifiable lifestyle behaviors in th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allostatic load in Australian adults
KR20080065320A (ko) 폐쇄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한 간편한 진단방법과진단키트
Kahlenborn Breast cancer: Its link to abortion and the birth control pill
Zhao et al. Comparison of two instruments for hypertension self‐care assessments among older adults from China
Lin et al. Provision of health counseling in office-based practices and hospital outpatient cli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