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717A -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717A
KR20020007717A KR1020000041126A KR20000041126A KR20020007717A KR 20020007717 A KR20020007717 A KR 20020007717A KR 1020000041126 A KR1020000041126 A KR 1020000041126A KR 20000041126 A KR20000041126 A KR 20000041126A KR 20020007717 A KR20020007717 A KR 20020007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ealth
customer
interne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선
Original Assignee
양진호
주식회사 바이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호, 주식회사 바이오라이프 filed Critical 양진호
Priority to KR102000004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7717A/ko
Publication of KR2002000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7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상의 소비자로 하여금 간단한 설문 조사에 응하여 소비자 개인의 건강 정보를 간단한 리스트 형태로 작성 입력하는 것만으로 한의학, 양의학 및 영양학 등 건강과 관련된 광범위한 분야에서 소비자의 체질, 증상, 영양 등 현재의 건강상태를 진단,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요약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판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소비자가 구매를 원하는 식품의 적부 여부를 재차 판단하여 표시함으로써 해당 식품의 구매를 유도하거나, 소비자의 특별 주문에 따라 적절한 식품을 추천 또는 제조하여 공급하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가 상기 방법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되는 인터넷 상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간단한 설문에 응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의학 전 부분에 걸친 다양한 건강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상태에 따라 적절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medical examination and food sell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hereto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한 온라인 상의 소비자가 건강과 관련된 간단한 신상 정보를 설문 형태로 입력하게 하고, 한의학, 양의학, 영양학 등 의학 전 분야의 DB를 구축하고 있는 건강 분석 시스템을 이용해 입력된 자료를 분석, 판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소비자의 체질, 증상, 영양상태 등 전반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상태에 알맞은 식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제시된 결과에 따른 소비자의 식품 구매신청이나 별도주문을 접수하여 온라인 결제를 거쳐 제조, 배송, 판매하는 일련의 전자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요즘, 시간과 비용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현대인들에 있어 직접적인 의료 혜택의 수단은 점차 그 폭이 멀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수요자인 개개인에 의한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서 운동이나 식이요법에 따른 양생과 같은 소극적 예방방법과 책이나 방송 등 여러 가지 매체들을 이용한 자가진단과 같은 적극적 예방방법이 강조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예방의학의 존재는 현대에 와서 강조가 되고 있을 뿐, 실제로는 이미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특히 한의학에 있어서는 그 본류를 이룰 정도로 의학분야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서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는 컴퓨터 정보통신과 기술적인 접목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인터넷을 통해 보다 많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의료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상의 예방의학 정보는 그 방대한 정보량으로 인해 각 부문별로 나누어져 제공되고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식이요법의 경우 인터넷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만 그치고 있어 실제적인 건강증진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없지 않았다.
다시 말해, 한의학에 있어서의 식이요법을 통한 예방의학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 사상의학에 따른 체질별 식품분류법의 경우, 개인별로 사상의학상의 체질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체질유형에 알맞은 식품의 목록을 제시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체질에 적합한 식품을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적정 식품을 추천 또는 안내하는 정보의 제공일 뿐, 인터넷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를 외면할 경우 적극적인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서는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영양학적 측면에서의 영양 과부족별 자가진단방법의 경우에도 특정 영양소의 과부족 시 나타나는 증상을 나열 설명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자로 하여금 합리적인 식생활 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은 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사용자의 잘못된 식생활 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왜냐하면, 이러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인터넷 사용자는 별도의 조치나 행동을 통해 제공된 정보에 따라 해당 식품을 입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했기 때문이다.
또한, 위와 같은 각종 예방의학의 수단들은 그 분야별로 분리된 채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통합적인 의료정보의 입수를 통한 건강관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건강관리 서비스 및 건강상품 판매를 위한 종래의 전자 상거래 방식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원화되어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방식(100)에 의해 건강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먼저, 고객(101)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103)로 접속을 한 뒤 회원 가입을 하고 간단한 신상 정보를 주어진 형식에 따라 입력하게 된다. 이때 당연히 고객(101)은 사이트(103)에서 제공하는 사이버 쇼핑몰(105)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객(101)의 가입 요청이 있는 경우 사이트와 연계된 메인 서버(103)는 고객(101)의 신상정보를 DB화하게 되며, 사이버 쇼핑몰(105)을 통한 고객(101)의 상품 구매주문이 있는 경우 재고로 확보하고 있는 해당 상품을 배송한다. 해당 상품이 재고로 확보되어 있지 않거나 재고가 부족한 경우에는 상품의 적정 재고를 관리하기 위해 원자재 판매상(107)에게 원재료에 대한 구매 주문을 하게 된다. 원자재 판매상(107)은 위의 구매 주문에 대해 알맞은 원자재를 쇼핑몰(105)로 배송하게 되며, 배송된 상품은 제품 자체로 또는 일정한 가공을 거쳐 인터넷 쇼핑몰(105)에 진열, 전시된다.
이상 간략히 살펴본 바와 건강상품을 거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전자 상거래 방식과 다를 바 없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인터넷을 통해 건강상품을 사고 파는 것 밖에는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건강과 관련하여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또 다른 형태의 전자 상거래 방식으로서 예를 들 수 있는 것이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분야이다. 이 분야의 인터넷 사업 모델의 경우에도 기존의 일반적인 정보 서비스 제공업과 크게 다를 바 없으며, 그 대체적인 흐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에 참조번호 2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정보 서비스 제공방식에 의하면 먼저 고객(201)은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203)에 접속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정해진 양식에 맞게 입력하고 회원 가입을 하게 된다. 고객(201)의 가입신청이 있는 경우 사이트를 관리하는 메인 서버(203)는 DB(205)에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 저장하고 필요하다면 입력된 고객(201) 정보의 출력을 DB(205)에 요청할 수 있으나 이때 고객 개인정보는 접속 인증이나 관리 차원에서 필요할 뿐 특별히 서비스와 관련되어 이용되지는 않는다. 가입절차를 필한 고객(201)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메인 서버(203)는 회원 고객(201)에게 다양한 건강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위해 건강정보를 문의, 요청할 각 의료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의료 자문단(207)과 연계되어 건강관련 자료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상에서의 건강정보 제공 서비스도 지금까지는 단순히 건강관리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회원에게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었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는 자신의 체질이나 증상 또는 영양상태 등에 관한 정보만을 얻는 데 그치고 있었고, 건강상품 판매와 연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예방의학 정보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비자가 인터넷을 통해 한의학, 양의학, 영양학 등 의학 전 분야에 걸쳐 종합적으로 자신의 체질이나 병증에 따른 증상 또는 영양상태를 온라인 상에서 스스로 검사, 진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결과로 제시된 자신의 체질이나 증상 및 영양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원하는 경우 자신의 체질 등에 알맞은 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합적인 건강관리 및 이를 위한 식품구입이 가능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방식의 한 유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온라인 건강정보 서비스의 한 유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4a 및 4b는 도 3에 도시된 진단 및 서비스 방법의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a 및 5b는 도 3에 도시된 진단 및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진단 및 서비스 방법 3 : 인터넷 서버
5 : 고객 7 : 배송업자
9 : 자문단 11 : 쇼핑몰
13 : 건강분석 시스템 15 : DB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웹 서버와 DB 서버로 이루어진 메인 서버로의 인터넷을 통한 접속단계, 상기 메인 서버 상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리스트를 통한 신상정보 입력 및 회원가입단계, 상기 회원 신상정보를 건강상태 분석시스템을 이용해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건강상태의 판정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이 가능하면 상기 판정결과를 회원정보로 DB화한 뒤 표시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구매하고자 하는 품목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판정결과와 상기 구매신청 품목을 비교하여 상기 구매신청 품목이 상기 회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교 판단결과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매신청을 접수하고 온라인 결제를 하는 단계,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신청품의 재고를 확인하고 배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단 및 판매 서비스 방법(1)은 인터넷 메인 서버(3)를 매개로 인터넷 이용자인 고객(5), 고객(5)과 메인 서버(3) 운영자를 물류적으로 연결해 주는 배송업자(7) 그리고 서비스로 이용되는 각종 건강 관련 컨텐츠를 공급하는 의료 전문가 집단인 자문단(9)이 인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메인 서버(3)는 다시 고객(5)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쇼핑몰(11), 회원 고객(5)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체질, 병증, 영양상태 등을 광범위하게 분석 정리하는 건강분석 시스템(13), 그리고 고객 개인정보나 분석된 결과 등을 저장하는 DB(15)를 시스템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자문단(9)은 양의학, 한의학, 영양학 등 의학 전 분야에 걸친 다양한 인적 구성의 집단을 말하며, 예컨대 한의학의 경우 체질분석과 관련하여 사상체질별 식품 분류법에 의거 사상체질에 따라 유무해한 식품을 분류하여 자료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음양오행법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 식품과 건강 간의 상호관계를설명한 자료 또는 맥진법에 의거 맥박의 횟수나 강약으로 현재의 건강상태를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설명 자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양의학의 경우에는 증상별 또는 혈액형별로 건강상태를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설명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영양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예컨대 특정 영양소의 과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영양상태에 따른 자각 증상 등을 설명자료로서 제공할 수 있다.
자문단(9)을 통해 제공되는 위와 같은 다양한 건강 진단 자료들은 건강 분석 시스템(13)의 분석 기초자료로서 사용되는데, 건강분석 시스템(13)은 회원 가입 시 고객이 입력하게 되는 개인정보의 각 항목을 변수로 하여 해당 고객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분석, 종합하여 제시한다. 예를 들면 혈액형의 경우 개인정보 기재란에 혈액형을 O형이라고 기입한 경우에 자문단(9)을 통해 이미 확보하고 있는 O형과 관련된 병증상에 대한 자료들을 분석의 한 자료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개인 정보란의 항목을 다양화할수록 보다 정확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한의학의 경우 기재항목에 따른 분석결과를 예시하여 보면, 사상체질을 이용하여 체질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자세한 기재 항목을 가지게 되는데, 고객의 사상의학적 체질을 알기 위해서는 크게 외모, 심성, 병증에 따른 항목을 기재하도록 하여야 하며, 다시 외모는 신체 각 부위의 크기나 발달정도를 세분하여 기재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해서 사상체질에 따른 체질의 유형이 결정되면 유형에 따른 전형적인 병증을 직접 분석자료로 이용할 수도 있고, 각 유형마다 유익한 또는 해로운 식품의 목록을 뽑아 개인정보로 취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오양오행법을 이용한 체질분석을 위해서는 음력으로 기재된 생년월일을 개인정보로서 필요로 하게 되며, 사주에 따른 체질별 특징을 분석자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양의학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건강 분석 시스템(13) 내에 예/아니오 문답식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고객의 자각증상을 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건강상태의 보다 구체적인 진단이 가능하게 되고, 진단 결과를 또한 최종 분석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땀을 많이 흘리는 고객의 경우 최초 '전신에 흐르는 땀의 양이 많은가?'라고 묻고 예면 다시 '고열이 동반되나?', 아니오 면 '식은땀을 흘리는가?'하는 식으로 문답식 질문을 계속해서 결론적으로 '폐결핵 가능성이 있음'하는 구체적인 증상을 이끌어 내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도 4a 및 4b에 예시된 플로우 차트와 같은 운영방식으로 서비스되며, 도 3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진단 및 판매 서비스 방법은 크게 고객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단계(S10), 고객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상태 진단단계(S20) 그리고 진단 결과에 따른 적정 음식물의 추천 및 판매 단계(S30)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차적으로 고객이 특정 식품의 입수를 원하는 경우 제조 판매하거나 구입처를 추천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먼저 인터넷 사이트 접속단계(S10)는 다시 인터넷을 통한 메인서버 접속단계(S11)와 개인정보 설문입력 및 회원가입단계(S12)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 사이트 접속단계(S10)에서 고객(5)은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방식과 마찬가지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메인 서버(3)에 접속한다(S11).
접속이 이루어지면 고객(5)은 주어진 항목에 따라 이름과 같은 기본적인 신상자료 뿐 아니라 자신의 신체 각 부위 치수, 혈액형, 가족 병력, 선호 식품, 일반적인 자각 증상등 건강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기입한 뒤 회원 가입을 하게 된다(S12).
접속단계(10)가 완료되면 고객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게 되는데(S20), 먼저 입력된 고객(5)의 신상자료와 건강상태에 관한 분석자료 등 회원정보는 건강분석 시스템(13)에 입력되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각 의학 부문별로 구체적으로 분석된다(21). 분석이 완료되면 분석되어 나온 부문별 자료들은 하나의 의료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정리된다(S22). 이때 종합된 의료정보를 가지고 고객의 건강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S23) 종합된 정보로부터 하나의 통합된 결론을 도출할 수 없는 경우 해당 고객에 대해서는 링크된 다른 전문 의료 사이트의 이용을 권고한다. 건강상태의 판정이 가능한 경우 분석된 결과를 가지고 회원 고객의 건강상태를 종합적으로 판정한다(S24). 그리고 나서 회원의 신상자료와 함께 판정결과 또는 분석결과를 DB(15)에 저장한다(S25). 이렇게 해서 회원정보의 DB화가 끝나면 판정결과 또는 분석결과를 출력 표시하여 고객(5)으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6).
이렇게 해서 건강상태 진단단계(S20)가 종료되면, 고객은 해당 판정결과에 따라 식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는데(S30), 식품 구매에 앞서 식품 구매를 희망하는 지 여부를 질문 받게 되며(S31), 식품 구매를 원치 않는 경우 진단단계(S20)에서 제시된 진단결과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접속을 끝낼 수 있고, 구매를 원한다면 구매를 신청하고자 하는 품목을 별도의 쇼핑몰(11) 등에서 기재 입력한다(S32). 구매를 원하는 식품의 품목이 입력되면 메인 서버(3)에서는 진단단계(20)의 판정결과 또는 분석결과와 구매신청 품목을 비교하여 고객(5)의 체질, 병증, 영양상태 등과 신청한 식품이 과연 적합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S33), 적합한 정도에 따라 '적합', '보통' 또는 '부적합' 등의 결과를 표시한다(S34). 그리고 나서 적합 또는 보통인 경우에 구매신청을 접수하고(S35), 온라인 상으로 결제를 마치게 되면(S36), 구매 신청품에 대한 재고 확인을 거쳐 배송을 의뢰한다(S37). 배송 의뢰를 받은 배송업자(7)는 최종적으로 고객(5)에게 해당 식품을 배송하게 된다(S38).
그런데, 고객은 단계(S31)를 거치면서 식품구매를 원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식품구매 신청을 할 필요는 없고, 혼합 식품 등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는 다소 특이한 식품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주문을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특정 주문품목 입력단계(S40)를 통해 이루어진다. 단계(31) 후 먼저 쇼핑몰(11) 상에서 특별히 주문하고 싶은 품목을 직접 기재 입력하면(S41), 마찬가지로 주문한 식품이 건강상태 판정결과에 부합하는 지 비교해 본 뒤 적합한 경우에 주문 식품의 제조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판단 결과 제조가 곤란하면 적절한 구매처를 추천 안내하고, 제조가 가능하다면 이를 접수한다(S43). 그리고 나서 결제를 마친 뒤 주문된 특정 식품을 제조하여(S44) 배송하면 고객의 특별한 식품 주문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따른 진단 및 판매 서비스 방법은 최초 소비자가 서비스 사이트에 접근한 경우의 절차를 기술한 것으로, 회원 가입이 이루어진 고객의 경우에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와 같은 절차만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은 회원 인증 단계(S51)를 거쳐 이미 DB(15) 상에 저장된 자신의 건강상태 판정결과를 재차 확인할 수 있으며(S52), 이후에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절차와 동일하게 판매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고객인 소비자는 건강진단 측면에서 인터넷을 통해 한의학, 양의학, 영양학, 민간요법 등 건강과 관련된 막대한 정보 중 자신의 체질이나 증상, 영양상태 등에 알맞은 정보만을 선별하여 입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입수된 정보를 이용이 용이한 상태로 조작하여 자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수준에서 머물지 않고, 예방 차원에서 건강 상태에 부합하는 식품을 추천 받거나 구매할 수 있게 되며, 역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식품이 자신의 체질이나 병증에 적합한 것인 지를 판단하여 식이요법의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 자신의 건강을 진단하고 아울러 진단 결과에 따라 적정 음식물을 입수할 수 있게 되므로 식품을 통해 보다 편리하면서도 정확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고객(5)의 인터넷 사이트(3) 접속단계(S10), 상기 고객(5)의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상태 진단단계(S20) 및, 상기 진단단계(S20)의 결과에 따른 식품 판매단계(S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사이트(3) 접속단계(S10)의 회원가입단계(S12)에서는 기본적인 신상자료 및 신체 각 부위의 치수, 혈액형, 가족 병력, 선호식품, 식생활 습관, 자각 증상 등을 기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상태 진단단계(S20)는 상기 회원 가입단계(S12)에서 입력된 개인정보를 건강분석 시스템(13)에 의해 분석하는 단계(S21), 상기 분석단계(S21)에서 분석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단계(S22), 상기 단계(S22)에서 종합된 결과로 고객(5)의 건강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경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회원 고객의 건강상태를 종합적으로 판정하는 단계(S24), 고객(5)의 신상자료와 함께 상기 단계(S24)의 판정결과를 DB화하는 단계(S25), 및 상기 판정결과를 고객(5)이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S2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판매 단계(S30)는 고객(5)이 식품의 구매를 원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1), 상기 단계(S31)에서 식품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구매를 원하는 식품의 품목을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S32), 상기 단계(S32)에서 입력된 품목과 상기 진단단계(S20)에서 판정된 결과를 비교하여 식품의 섭취가 적정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 상기 단계(S33)에서의 판단결과를 고객이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S34), 상기 단계(S33)에서의 판단결과 부적합하지 않은 경우 구매신청을 접수하는 단계(S35), 상기 단계(S35)에서의 접수에 대한 온라인 결제 단계(S36), 상기 단계(S36)에서 결제된 식품의 배송을 배송업자(7)에 의뢰하는 단계(S37), 및 배송업자(7)에 의해 상기 식품이 고객(5)에게 배송되는 단계(S3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판매단계(S30)는 상기 고객(5)이 유통되지 않는 특정 식품의 입수를 원하는 경우 원하는 특정주문 품목을 입력하는 단계(S41), 상기 단계(S41)에서 입력된 식품을 상기 진단단계(S20)에서의 판정결과와 비교하여 부적합하지 않은 경우 제조 가능한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2), 및 상기 단계(S42)에서 확인결과 제조가 가능한 경우 상기 특정주문을 접수하는 단계(S43), 상기 단계(S43)에서 접수된 주문에 대한 온라인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주문품을 제조하여 배송하는 단계(S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
  6. 인터넷을 통한 고객의 메인 서버 접속단계(S11), 상기 메인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고객의 신상 및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에 가입하는 단계(S12), 상기 건강관련 정보를 건강상태 분석 시스템(13)에 의해 분석하는 단계(S21), 상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건강상태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DB화한 뒤 고객의 확인을 위해 표시하는 단계(S22 내지 S26), 구매 신청품목으로 기재된 식품과 상기 판정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구매 신청품목이 고객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32 내지 S34), 및 상기 단계(S32 내지 S34)에서의 판단결과 적합한 경우 상기 고객의 구매 신청을 접수하고 온라인 결제하는 단계(S35, S36), 상기 결제에 따라 구매 신청품의 재고를 확인하고 배송하는 단계(S37, S3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 방법.
KR1020000041126A 2000-07-18 2000-07-18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KR20020007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126A KR20020007717A (ko) 2000-07-18 2000-07-18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126A KR20020007717A (ko) 2000-07-18 2000-07-18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717A true KR20020007717A (ko) 2002-01-29

Family

ID=1967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126A KR20020007717A (ko) 2000-07-18 2000-07-18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7717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96A (ko) * 2000-08-09 2000-11-06 김종이 사상의학체질온라인진단처방전에의한섭생식품택배서비스시스템
KR20020010460A (ko) * 2000-07-27 2002-02-04 강용기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식 음식주문 서비스 시스템
KR20020019229A (ko) * 2000-09-05 2002-03-12 강삼태 네트워크를 매개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20024730A (ko) * 2000-09-26 2002-04-01 박진영 생물 소재 전문 인터넷 포탈 사이트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3449B1 (ko) * 2000-09-22 2003-05-12 서무수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40012368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KR20040017203A (ko) * 2002-08-20 2004-02-26 홍기 체질음식 적용 시스템
KR20040049738A (ko) * 2002-12-07 2004-06-12 박용식 인터넷을 이용한 공급자 및 주문자간 양방향 맞춤음식물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51741A (ko) * 2002-12-11 2004-06-19 주식회사 엘키토산코리아 건강 식품 판매 방법
US8706731B2 (en) 2007-09-11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program service based on vital signals and condition information
KR20140121158A (ko) 2013-04-05 2014-10-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 진단체계에 대한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KR2017000065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아르고테크놀리지 식품 성분 정보와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이용한 식품 유해성 여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467B1 (ko) 2016-08-19 2017-04-05 김길수 건강식품의 온라인 주문, 제조 및 판매 방법
WO2019225805A1 (ko) * 2018-05-23 2019-11-28 주식회사 3업플러스 미병 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식품보조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6837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이비엠 상담 프로세스 기반 멀티 처방 방법
KR20210009683A (ko) * 2019-07-17 2021-01-27 혁 허 건강검진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온라인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2435750A (zh) * 2020-12-10 2021-03-02 山西慧虎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区块链和产品健康码的健康管理方法及系统
CN114095482A (zh) * 2020-07-29 2022-02-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987A (ko) * 2000-07-05 2000-10-05 강현무 인터넷상에서 회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정보를사주와 오행 기운을 분석하여 각 오행에 맞는 처방 과이를 통한 물품판매 시스템
KR20010090388A (ko) * 2000-03-25 2001-10-18 신요택 인터넷을 이용한 식단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010098214A (ko) * 2000-04-28 2001-11-08 이상호 인터넷환경을 기반으로 한 건강식품 신유통 비즈니스모델개발
KR20010098206A (ko) * 2000-04-28 2001-11-08 박재원 네트워크 기반의 식단 제공 시스템
KR20010097198A (ko) * 2000-04-20 2001-11-08 신동우 통합 건강관리 및 건강식품 판매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88A (ko) * 2000-03-25 2001-10-18 신요택 인터넷을 이용한 식단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010097198A (ko) * 2000-04-20 2001-11-08 신동우 통합 건강관리 및 건강식품 판매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KR20010098214A (ko) * 2000-04-28 2001-11-08 이상호 인터넷환경을 기반으로 한 건강식품 신유통 비즈니스모델개발
KR20010098206A (ko) * 2000-04-28 2001-11-08 박재원 네트워크 기반의 식단 제공 시스템
KR20000058987A (ko) * 2000-07-05 2000-10-05 강현무 인터넷상에서 회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정보를사주와 오행 기운을 분석하여 각 오행에 맞는 처방 과이를 통한 물품판매 시스템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460A (ko) * 2000-07-27 2002-02-04 강용기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식 음식주문 서비스 시스템
KR20000063896A (ko) * 2000-08-09 2000-11-06 김종이 사상의학체질온라인진단처방전에의한섭생식품택배서비스시스템
KR20020019229A (ko) * 2000-09-05 2002-03-12 강삼태 네트워크를 매개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383449B1 (ko) * 2000-09-22 2003-05-12 서무수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20024730A (ko) * 2000-09-26 2002-04-01 박진영 생물 소재 전문 인터넷 포탈 사이트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12368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KR20040017203A (ko) * 2002-08-20 2004-02-26 홍기 체질음식 적용 시스템
KR20040049738A (ko) * 2002-12-07 2004-06-12 박용식 인터넷을 이용한 공급자 및 주문자간 양방향 맞춤음식물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51741A (ko) * 2002-12-11 2004-06-19 주식회사 엘키토산코리아 건강 식품 판매 방법
US8706731B2 (en) 2007-09-11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program service based on vital signals and condition information
KR20140121158A (ko) 2013-04-05 2014-10-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 진단체계에 대한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KR2017000065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아르고테크놀리지 식품 성분 정보와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이용한 식품 유해성 여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467B1 (ko) 2016-08-19 2017-04-05 김길수 건강식품의 온라인 주문, 제조 및 판매 방법
WO2018034455A1 (ko) * 2016-08-19 2018-02-22 김길수 건강식품의 온라인 주문, 제조 및 판매 방법
WO2019225805A1 (ko) * 2018-05-23 2019-11-28 주식회사 3업플러스 미병 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식품보조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6837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이비엠 상담 프로세스 기반 멀티 처방 방법
KR20210009683A (ko) * 2019-07-17 2021-01-27 혁 허 건강검진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온라인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4095482A (zh) * 2020-07-29 2022-02-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435750A (zh) * 2020-12-10 2021-03-02 山西慧虎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区块链和产品健康码的健康管理方法及系统
CN112435750B (zh) * 2020-12-10 2023-09-05 山西慧虎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区块链和产品健康码的健康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771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KR102005195B1 (ko) 건강관리 시스템
Crow et al. Measurement of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Implications for practice from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US11972469B2 (en) System and machine-readable media for selection of regulated products
Wu et al. Analysing complaint intentions in online shopping: the antecedents of justice and technology use and the mediator of customer satisfaction
Krapfel Jr An advocacy behavior model of organizational buyers’ vendor choice
JP2007518170A (ja) バランスの取れたケア製品の特注生産
Gutknecht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ethods used to evaluate patient preferences in psoriasis treatments
Pevec et al. Empirical evaluation of a conceptual model for the perceived value of health services
KR20000036873A (ko) 인터넷을 이용 피부상태를 진단하고 그 처방에따라화장품을 제조하는 시스템.
US20190385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ely Managing Product Information and Customer Preferences and for Dispensing a Product from a Point of Sale Vending Machine
Chaudhuri et al. THE ROLE OF STORE TRUST AND SATISFACTION IN CREATING PREMIUM PRICES.
KR101633181B1 (ko) 코드 및 상품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마켓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8236B1 (ko) 영양 테라피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마켓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6367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Gurtner et al. Do patients value a hospital’s innovativeness reputation? A multi-method approach to assess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novativeness reputation in patients’ hospital choice
Mutia et al. Literature review: Application of the 7P Mix Marketing on Patient Satisfaction at Hospitals
Yousefi Darestani et al. Prioritizing brand equity methods from customers’ perspective for the food industry
Istianingsih Behavior of Using the Food Marketplace System in the New Normal Era of COVID-19 in Indonesia
US201901084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e Inventory
JP2016009437A (ja) サプリメントの生産管理システム
JP7443456B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100744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based management of therapeutic products
Wickremasinghe et al.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Eq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of Care and Loyalty of Customers Towards the Lady Ridgeway Hospital for Children, Colombo
Vargas Perez et al. Components of dental clinic patient loyalty as perceived by the dent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