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183A -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및 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및 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183A
KR20240069183A KR1020220150430A KR20220150430A KR20240069183A KR 20240069183 A KR20240069183 A KR 20240069183A KR 1020220150430 A KR1020220150430 A KR 1020220150430A KR 20220150430 A KR20220150430 A KR 20220150430A KR 20240069183 A KR20240069183 A KR 2024006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lth functional
medicines
nutritional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소라
Original Assignee
남소라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소라 filed Critical 남소라
Priority to US18/103,40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61906A1/en
Priority to US18/103,403 priority patent/US20240161904A1/en
Publication of KR2024006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3Classification of content, e.g. text, photographs or tab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은, 문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가 산출되는 단계,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스캐닝을 통해서 사용자의 현재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양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에 대해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맞춤형 보조 제품이 추천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고 리뷰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및 추천 시스템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SUPPLEMENTS BASED ON LABEL IMAGE RECOGNITION DATA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MEDICAL SUPPLIES}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 이미지에 관한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및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영양제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라벨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분석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자신의 영양 정보와 관련하여 작성한 문진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개별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질병 치료 또는 예방 목적의 제품을 의미하고,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의 건강증진 또는 보건 용도에 유용한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의약품은 병원에서 의사에게 처방 받아 약국에서 수납하는 전문 의약품과, 별도의 처방 없이도 약국에서 수납하는 일반 의약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법규 상 약품으로 구분되지 않으므로 약국 외에 마트 등에서도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반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한 처방 없이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영양제로 이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영양제를 복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학 지식이 부족한 관계로 특정 영양 성분을 과잉 섭취할 수도 있고, 이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될 수도 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함과 동시에 의약품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각 제품의 구성 성분에 대한 분석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특정 성분의 과잉 또는 미달 섭취로 인해 오히려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6-0050572호(선행문헌 1)에는 사용자가 섭취하는 영양 성분 정보를 항목별로 관리하고, 각 영양 성분 별로 하루 권장 섭취량을 준수하도록 안내하는 영양관리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루 중 섭취한 영양 성분 중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과다 섭취한 영양 성분을 배제하도록 하여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2349109호(선행문헌 2)에는 사용자에게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때에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각 구성 성분이 공인된 기관에 의해 설정된 최대 섭취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패키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선행문헌들에 따른 영양 성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영양제(건강보조식품 및 일반 의약품) 섭취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없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 성분 데이터에 관한 정보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제품에 관한 정보를 추천하는 것이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사용자가 복용하는 영양제의 종류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 역시 진행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해당 시장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사람들은 자신에게 충분한 영양소와 부족한 영양소가 무엇인지조차 알기가 어렵고, 자신에게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줄 수 있는 또 다른 영양제의 종류에 대해서도 알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고객의 건강 및 영양 섭취 상태를 분석하여 고객에게 부족한 영양소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 및 특정 영양소의 부족 원인과 함께 해당 영양소의 섭취를 보충할 수 있는 식품이나 영양제를 고객에게 추천해 줄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16-0050572호 (2016.05.11. 공개) 선행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2349109호 (2022.01.12. 공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와 사용자의 현재 영양제 섭취 상태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파악한 후, 상기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및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은, 문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가 산출되는 단계,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스캐닝을 통해서 사용자의 현재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양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에 대해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맞춤형 보조 제품이 추천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고 리뷰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가 현재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 스캔부,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문진 정보 저장부, 상기 이미지 스캔부와 상기 문진 정보 저장부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과 일반 의약품에 부착되는 고유 라벨 이미지를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일반 의약품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영양제의 종류 분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영양제의 섭취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므로 영양제의 기준 범위 이상의 과다 섭취 또는 기준 범위 이하의 미달 섭취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입하기 전에, 사용자는 약사 등의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전문 지식에 대한 심화 컨설팅 제공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가와의 채팅 상담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면 할인 쿠폰이 지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경제적인 만족도가 상승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기까지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현재 복용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일반 의약품의 종류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일반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스캔을 통해 영양제의 종류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맞춤형 보조 제품에 관하여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는 과정 및 상담 완료 후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와 현재 사용자의 영양제 섭취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 디스플레이에 최종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기까지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사용자가 현재 복용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일반 의약품의 종류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일반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스캔을 통해 영양제의 종류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보조 제품 추천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각종 문진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문진 데이터는 건강검진 결과 문진 데이터, 생활습관 문진 데이터 및 식습관 문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건강검진 결과 문진 데이터, 생활습관 문진 데이터 및 식습관 문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문진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준 영양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S100).
상기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는 혈압, 혈당 등 고객의 현 건강상태를 상태를 의학적 소견으로 해석한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생활습관 문진 데이터는 흡연, 음주, 운동 양이나 횟수 등 고객이 평소에 행하고 있는 습관을 수치적으로 수집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습관 문진 데이터는 설정된 기간 동안 섭취한 음식물과 평균 섭취 횟수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건강검진 결과 문진 데이터는 종합병원과 연계하여 본 시스템에서 직접 전달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석된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서버에 저장된다. 그 다음, 현재 사용자의 건강보조식품과 의약품의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가 수행된다(S200). 본 명세서에서 명칭하는 의약품은 별도의 처방 없이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구할 수 있는 일반 의약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건강보조식품과 의약품'은 통칭하여 영양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S200 단계의 상세한 절차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영양제에는 모두 고유의 라벨 이미지가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라벨 이미지를 통해 영양제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가 복용 중인 영양제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복용 중인 영양제의 고유 라벨 이미지를 스캔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210). 이러한 스캔 과정에 따라 영양제(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종류가 분석되는 과정이 실시되고(S220), 상기 분석 과정이 완료되면 영양제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S230).
영양제의 라벨 이미지 스캔 및 종류 분석 과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영양제의 라벨 이미지에는 제품의 성분 코드와 성분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성분 코드와 성분 번호는 서로 연계되어 있고, 상기 성분 번호를 통해 영양제의 제조 회사 및 상품 명 등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3)에는 각 영양제 마다 부여되어 있는 성분 코드에 관한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복용 중인 영양제의 라벨 이미지를 스캔 시, 해당 영양제의 성분 코드에 관한 내용이 서버(2)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서버(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되어 있는 성분 코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영양제의 성분 코드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가 복용 중인 영양제의 종류에 대해 분석하는 과정이 실시된다. 상기 분석 과정에 따라 영양제의 종류가 도출되면, 이러한 정보가 통신망(5)을 통해 사용자 디스플레이(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50)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PC, 스마트 폰 및 태블릿 등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양제에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고유 라벨 이미지를 스캔하는 과정만 수행하면, 상기 영양제의 성분 코드를 도출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복용 중인 영양제의 종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기 S100 단계와 S200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가 현재 복용 중인 영양제의 섭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기초로, 현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파악하는 과정이 실시된다(S300). 즉, 문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와, 라벨 이미지 스캔으로 획득한 사용자의 현재 복용 중인 영양제 섭취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조 제품이 추천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400). 만약, 현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이 칼슘과 식이섬유로 도출되면, 해당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칼슘과 식이섬유가 포함된 다른 영양제를 추천해 주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제품을 맞춤형 보조 제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고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500). 상기 전문가와의 상담 과정 및 맞춤형 보조 제품의 구매 과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버에서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맞춤형 보조 제품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절차가 진행된다(S510). 그 다음, 사용자와 전문 상담을 진행하기 위한 약사 등의 전문가에 관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즉, 서버에서는 전문가의 활동 지역 정보 및 전문 분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S520). 만약,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전문가의 활동 지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가 오프라인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위치에 관한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와 전문가 간의 건강 및 제품에 관한 심화 상담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전문 분야와 사용자의 상담 주제가 서로 일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와 전문가에 관한 데이터를 각각 수집 및 분석한 후, 분석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사용자와 전문가 간의 본격적인 매칭을 실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530). 사용자의 활동 범위 안에 속해 있고 상담 주제 역시 전문 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에게는 푸쉬 알람이 송출될 수 있다(S540). 상기 푸쉬 알람은 전문가의 스마트 폰 등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푸쉬 알람을 수신한 전문가는 사용자의 위치 및 상담 의뢰된 내용을 확인하고, 의뢰된 상담에 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550). 만약, 의뢰된 상담에 응하지 않는 경우, 전문가의 단말기에는 미 승낙 사유에 대해 기재할 수 있는 메모 창이 생성된다(S555). 이때, 전문가는 상기 메모 창을 활용하여 미 승낙 사유를 기재할 수도 있고, 따로 미 승낙 사유를 기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메모 창을 빈 칸으로 남길 수도 있다. 만약, 전문가가 미 승낙 사유를 기재 시, 해당 사유로 의뢰되는 상담 건은 더 이상 해당 전문가에게 알람 송출이 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S550 단계에서 전문가가 의뢰된 상담에 응하는 경우, 전문가와 사용자 간의 소통을 위한 채팅 창이 생성될 수 있다(S560). 상기 채팅 창은 전문가와 사용자 각각의 스마트 폰에 생성될 수 있다. 전문가와 사용자는 상기 채팅 창을 활용하여 편안하게 건강 및 제품 등에 관한 전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전문가와 직접 소통하는 것을 원하지 않은 경우, 챗봇을 통해 전문 상담을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담 내용이 매우 간단하고 심플한 답변만을 듣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채팅 창에 생성된 전문가와의 상담을 수락하지 않고 챗봇과의 상담을 진행하는 것으로 상담 전문가 대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채팅 창을 통해 챗봇과의 전문 상담을 진행하고 자유롭게 상담을 종료할 수도 있다.
상기 채팅 상담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는 리뷰를 작성하기 위한 페이지가 생성된다(S570). 사용자는 상기 채팅 창을 통하여 진행된 상담이 만족스러운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관한 리뷰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리뷰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는 소정의 할인 쿠폰 또는 적립금이 부여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자신에게 추천된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입하는 절차가 수행된다(S580). 이때, 사용자는 상기 리뷰 작성에 따라 부여된 할인 쿠폰이나 적립금을 활용하여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에는 이와 같은 과정들이 모두 저장되어 기록으로 남겨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와 현재 사용자의 영양제 섭취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건강검진 결과 문진 데이터, 생활습관 문진 데이터 및 식습관 문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문진 데이터를 입력하여 자신의 기준 영양 상태를 시스템에 기록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문진 정보 저장부(2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문진 정보 저장부(20)는 입력된 문진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준 영양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파악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용 중인 영양제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이미지 스캔부(10)에서는 스캔이 완료된 상기 영양제의 라벨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스캔부(10)에서 변환된 영양제의 고유 라벨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문진 정보 저장부(20)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기준 영양 상태 데이터는 연산부(30)로 전송된다. 상기 연산부(30)는 상기 이미지 스캔부(10)와 상기 문진 정보 저장부(20)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부족한 영양 성분에 대해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30)에서 산출한 사용자의 부족한 영양 성분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4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40)는 각 영양제 마다 부여되어 있는 성분 코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서버(2)와 서로 통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서버(2)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완할 수 있는 맞춤형 보조 제품을 도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에서 도출된 맞춤형 보조 제품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50)에 전송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일 예로 사용자의 스마트 폰 화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조 제품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면,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폰 등을 활용하여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도 6에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디스플레이에 최종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폰 디스플레이(50)에 최종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현재 복용 중인 영양제에 관한 제품 이미지 사진, 즉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이미지 삽입부(11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이미지 삽입부(110)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현재 복용 중인 영양제에 관한 제품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삽입부(110)의 하부에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설명부(12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현재 복용 중인 영양제에 관한 제품 설명 부분,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성분에 관한 내용을 담은 부분이 따로 추가되어, 사용자가 현재 영양 상태를 스스로 판단해 볼 수도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설명부(120) 하부에는 맞춤형 보조 제품 상세 페이지(130)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 상세 페이지(130)를 넘기면서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 및 이를 보충하기 위한 맞춤형 보조 제품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영양제의 섭취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므로 영양제의 기준 범위 이상의 과다 섭취 또는 기준 범위 이하의 미달 섭취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이미지 스캔부
20: 문진 정보 저장부
30: 연산부
40: 제어부
50: 디스플레이
110: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이미지 삽입부
120: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설명부
130: 맞춤형 보조 제품 상세 페이지

Claims (8)

  1. 문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가 산출되는 단계;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스캐닝을 통해서 사용자의 현재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양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에 대해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맞춤형 보조 제품이 추천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고 리뷰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고유 라벨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이 완료된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상기 맞춤형 보조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데이터 추출 단계;
    전문가의 활동 지역 정보와 전문 분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전문가 데이터 추출 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 추출 단계와 전문가 데이터 추출 단계로부터 파악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와 전문가 간의 매칭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매칭된 전문가에게 푸쉬 알람이 송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알람을 수신한 전문가가 상담에 응할 시,
    사용자와 전문가 간의 소통을 위한 채팅 창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
    상기 채팅 창을 통해 상담이 진행되고 사용자의 리뷰 작성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리뷰 작성에 따른 보상으로 사용자에게 할인 쿠폰이 지급되는 단계; 및
    상기 할인 쿠폰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맞춤형 보조 제품의 구입이 이루어지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알람을 수신한 전문가가 상담에 미 응답 시,
    전문가의 단말기에는 상기 상담을 미 승낙한 사유를 기재하기 위한 메모 창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6. 사용자가 현재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 스캔부;
    사용자의 기준 영양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문진 정보 저장부;
    상기 이미지 스캔부와 상기 문진 정보 저장부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맞춤형 보조 제품을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캔부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고유 라벨 이미지를 스캔하는 것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캔부로부터 분석된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종류에 관한 정보;
    상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성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산출되는 사용자의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맞춤형 보조 제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시스템.
KR1020220150430A 2022-11-11 2022-11-11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및 추천 시스템 KR20240069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03,406 US20240161906A1 (en) 2022-11-11 2023-01-30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nutritional supplement platform
US18/103,403 US20240161904A1 (en) 2022-11-11 2023-01-30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nutritional supplement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183A true KR20240069183A (ko) 2024-05-2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dersen et al. ASHP national survey of pharmacy practice in hospital settings: prescribing and transcribing—2016
Dunford et al.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oject to compare and monitor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processed foods
Shiv et al. Placebo effects of marketing actions: Consumers may get what they pay for
KR102005195B1 (ko) 건강관리 시스템
McGinnis et al. Vital signs: core metrics for health and health care progress
US20170319083A1 (en) Community based managed health kiosk and prescription dispensement system
Thomas et al. When internal reference prices and price expectations diverge: The role of confidence
US5542420A (en) Personalized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communication, analysis, and processing of health-related data
US860659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uring compliance
US86557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rding verifiable documentation
US11972469B2 (en) System and machine-readable media for selection of regulated products
US20220037002A1 (en) Health man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Mattes et al. Valuing the diversity of research methods to advance nutrition science
Kwan et al. Warning labels on fashion images: Short‐and longer‐term effects on body dissatisfaction, eating disorder symptoms, and eating behavior
Cai et al. A recipe for food promotion: effects of color brightness on food evalu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US20160154946A1 (en) Method for acquiring and analyzing a list of a patient's prescription medications
KR2002000771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 진단 및 그에 따른 식품판매 서비스방법
Grady et al.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 novel color range indicator in multiple blood glucose meters demonstrates improved glucose range interpretation and awareness in subjects with type 1 and type 2 diabetes
Viera et al. How and why do patients use home blood pressure monitors?
Kim et al. Consumer comprehension of the Nutrition Facts label: a comparison of the original and updated labels
Olson et al. Patient-Centered Care preferences & expectations in outpatient pharmacist practice: A three archetype heuristic
KR102360651B1 (ko) 의료분야 마이데이터를 이용한 목표질환 수치 개선용 개인 맞춤형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Rummo et al. Menu Labeling and Calories Purchased in Restaurants in a US National Fast Food Chain
Neuhofer et al. Association between visual attention to nutrition priming and subsequent beverage choice
Buls et al. Assessing utility of a lifestyle-based tool in the clinical setting as a primordial prevention strategy: The Healthy Heart S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