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687A -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 - Google Patents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687A
KR20200136687A KR1020190062552A KR20190062552A KR20200136687A KR 20200136687 A KR20200136687 A KR 20200136687A KR 1020190062552 A KR1020190062552 A KR 1020190062552A KR 20190062552 A KR20190062552 A KR 20190062552A KR 20200136687 A KR20200136687 A KR 2020013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questionnaire
health
indust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483B1 (ko
Inventor
이신재
Original Assignee
이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재 filed Critical 이신재
Priority to KR102019006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48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근로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회사생활 및 일생생활의 모바일과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개인별 건강행태인 개인의 음주 및 흡연 등 직무스트레스, 뇌심혈관발생 위험성평가, 근골격계 질환 발병 및 위험 평가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한 기업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하고 주기적 측정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지수 변화 자료가 빅데이터로 축적됨과 아울러 개인이 속한 기업별 건강지수 및 더 나아가 기업이 속한 산업군별 건강지수를 계상할 수 있는 빅데이터에 관한 발명으로서,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설문이 저장되는 데이터서버와, 상기 데이터서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기업 및 산업별 설문 데이터를 관리하고 건강관리지수를 생성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문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에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b) 상기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제공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가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평가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f) 상기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근골격계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g) 상기 작성된 설문을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로 분류하는 단계; (h) 상기 분류된 데이터로부터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a) 내지 (h)단계를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설문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The production method of industry and company healthcare index based on gathering of health behavior for person to use mobile and on-line questionaire and bigdata as to th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근로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회사생활 및 일생생활의 모바일과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개인별 건강행태인 개인의 음주 및 흡연 등 직무스트레스, 뇌심혈관발생 위험성평가, 근골격계 질환 발병 및 위험 평가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한 기업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하고 주기적 측정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지수 변화 자료가 빅데이터로 축적됨과 아울러 개인이 속한 기업별 건강지수 및 더 나아가 기업이 속한 산업군별 건강지수를 계상할 수 있는 빅데이터에 관한 발명이다.
고용노동부 및 산업안전보건공단 등은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향상하기 위해 많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주로 근로자 개인의 건강검진을 위주로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근로자 생활행태 및 기업의 건강문화를 바꾸는 시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근로자의 건강검진은 질병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개인의 건강행태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별 산업군별 건강지수향상이나 건강한 근로문화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로자 개인별 건강행태자료의 수집이 절실하다.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건강행태자료 수집은 근로자의 건강에 책임이 있는 기업주에 있다. 이에 따라 사업주에게는 근로자가 건강을 저해하는 행태를 개선하여 건강한 사업장을 만들고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책임이 있다. 예를들면 음주를 많이 하는 근로자가 많은 사업장은 음주에 지친 몸을 가진 근로자로 일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생산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음주가 과도한 사업장은 음주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38.8%으로 나타났다(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현재 우리나라는 기업의 생산성에 관련이 있는 중요한 건강행태자료를 수집 및 관리하는데 대한 인식이 미약하고, 기업의 안전보건담당자 등이 근로자의 건강행태자료를 수집 및 관리하기에 지식과 경험이 전무하다. 일부 기업에서 단편적으로 시행하는 종이 설문은 그 기록이 기업의 안전보건담당자의 손에 들어가 코드화 되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 및 비밀이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근로자의 사생활 및 비밀이 유지되면서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강행태자료 수집 및 관리 등을 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른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 종이로 하는 설문의 특성은 그 기록이 기업의 안전보건담당자의 손에 들어가 코드화 되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 및 비밀이 노출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6983호(2004.05.04.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009959호(2011.01.14.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674150호(2016.11.02.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577068호(2015.12.0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에 대한 건강관리 설문을 모바일 및 온라인상에서 작성하게 하고, 작성된 설문을 기초로 개인별 건강행태에 근거한 건강지수를 획득하고, 개인이 속한 기업별 건강지수를 획득함과 아울러 기업이 속한 산업별 건강지수를 획득하며,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 생성 및 관리에 용이한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바일 및 온라인 상의 설문 자료 수집 및 관리를 통해 개인의 사생활 및 비밀이 노출되지 않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설문이 저장되는 데이터서버와, 상기 데이터서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기업 및 산업별 설문 데이터를 관리하고 건강관리지수를 생성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문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에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b) 상기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제공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가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평가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f) 상기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근골격계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g) 상기 작성된 설문을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로 분류하는 단계; (h) 상기 분류된 데이터로부터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a) 내지 (h)단계를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설문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b)단계의 사용자 신체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연령 및 성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c)단계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설문은, 회사의 업무정보, 회사에서의 직무에 대한 정보 및 직무관련 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d)단계의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평가에 대한 설문은, 뇌·심혈관질환의 가족력, 흡연량 및 음주량과 음주회수, 뇌·심혈관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 및 작업과 관련된 설문으로 구성되고, 여성의 경우는 폐경 또는 자궁절제술 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e)단계의 생활습관관련 설문은, 흡연관련 사항, 음주관련 사항, 운동관련 사항, 아침식사관련 사항, 야식관련 사항 및 수면관련 사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f)단계의 근골격계질환 발생 및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은, 직장경력과 작업시간에 관한 사항, 취미/일상생활/질환에 관한 사항, 작업에 따른 육체부담 정도에 관한 사항 및 신체통증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g)단계의 개인별 분류단계는, 성별, 연령별, 직무/직능별 및 발병 질환별 분류되고, 상기 (g)단계의 기업별 분류단계는, 지역별, 직군별, 성별, 연령별, 근로자수별, 근로시간별 및 근로조건별로 분류되며, 상기 (g)단계의 산업별 분류단계는, 지역과 산업군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h)단계에서 건강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개인별 건강행태자료는 개인의 건강지수로 환산하여 표시하고, 기업별 건강지수는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지수의 평균값 및 기업별 성·연령 등의 변수에 다른 보정을 지수로 환산하고, 산업별 건강지수는, 산업별로 발생하는 산업재해 등을 감안하여 산업별로 속한 기업들의 평균 건강지수에서 특정 기업의 건강지수의 이산(離散)정도 따른 평가 지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으로 획득되는 빅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근로자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모바일 및 온라인을 통하여 개인에 대한 건강행태 설문을 작성하게 하고, 작성된 설문을 기초로 개인별 건강지수를 획득할 수 있고, 개인이 속한 기업별 건강지수를 획득함과 아울러 기업이 속한 산업별 건강지수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인별 설문을 일정주기로 계속 작성함으로써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기업 및 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함으로써 국가의 산업별 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프로그램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개발된 관리프로그램으로 평가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별 설문을 일정주기로 계속 작성함으로써,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국가단위에서 기업별 및 산업별로 근로자의 건강행태를 측정하는 빅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 및 관리가 모바일 및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 및 비밀이 노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 기업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 기업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습관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위험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설문에 따른 평가지수와 건강지수에 대하여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 기업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 기업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습관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발생 위험 평가를 위한 설문의 예시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설문에 따른 평가지수와 건강지수에 대하여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을 위한 시스템은, 관리서버(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설문이 저장되는 데이터서버(11)와, 데이터서버(11)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기업 및 산업별 설문 데이터를 관리하고 건강지수를 생성하는 관리서버(12)와, 관리서버(12)로부터 설문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13)로 구성되고, 각 서버는 모바일 또는 온라인 네트워크(14)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은, (a)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에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S1)와, (b) 상기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2)와, (c)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제공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S3)와,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S4)와, (e) 상기 사용자가 뇌·심혈관질환발병 위험평가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S5)와, (f) 상기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S6)와, (g) 상기 작성된 설문을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로 분류하는 단계(S7)와, (h) 상기 분류된 데이터로부터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8)와, (i) 상기 (a) 내지 (h)단계를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설문을 작성하는 단계(S9)로 이루어진다.
먼저 관리서버(12)를 통해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회원가입(S1)을 한다. 회원가입을 위한 정보로, 회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기업명, 기업이 속하는 산업군, 기업에서의 직무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한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S2)한다. 사용자의 신체정보에 대한 U/I도 관리서버(12)를 통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13)을 이용하여 입력한다.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키, 몸무게, 현재 질병 여부 그리고 과거 질병 여부에 대한 것을 입력한다.
신체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직무 스트레스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한다(S3). 직무 스트레스는 다양한 설문내용과 그에 따라 점수를 평가하도록 주어진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직무 스트레스의 설문에 대한 예시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다양한 질문과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점수화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한다. 스트레스는 다양한 형태로 주어지며, 회사의 분위기, 회사의 청결과 공기의 질 등 외적 요인과, 종업원 간에 발생하는 관계성에 따른 스트레스 등 내적 요인을 함께 평가한다.
직무 스트레스 평가에 대한 설문이 완료되면,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한다(S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심혈관 질환에 대한 설문은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 가족력, 흡연여부, 음주여부, 1회 음주량, 뇌·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질병의 유무 및 직무에 관한 사항들로 구성된다.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이 완료되면,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한다(S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은 신체정보에 대한 입력사항인 키와 몸무게를 통해 비만여부를 측정하게 되고, 흡연과 관련하여 흡연여부와 흡연량, 금연 시도여부 및 금연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설문을 작성한다. 음주에 관한 설문에서는 술을 마신 적이 있는지 여부, 술을 마시는 횟수와 주량에 대한 설문을 작성한다. 운동에 관한 설문에서는 유산소 운동가부, 최근 1주일간 하루 평균 30분 이상 걸은 날이 있는지 여부,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평균 30분 이상 달리기를 한 날이 며칠인지 여부, 최근 1주일 동안 근력 운동을 30분 이상 한 날이 며칠인지 여부 등을 설문한다. 아침식사에 대한 설문에서는 아침식사여부와 최근 1주일 동안 아침식사를 한 횟수를 설문한다. 야식에 대한 설문에서는 야식을 먹는지 여부와 야식을 최근 1주일 동안 몇회 하였는지 여부를 설문한다. 잠에 대한 설문에서는 하루 취침시간, 수면 도중 깨는지 여부 및 깨는 횟수 그리고 야간 교대 업무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설문을 한다.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근골격계 질환 발병 위험에 대한 평가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한다(S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골격계 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은, 직장경력과 작업시간에 관한 사항, 취미/일상생활/질환에 관한 사항, 작업에 따른 육체부담 정도에 관한 사항 및 신체통증에 관한 사항의 설문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현재 직장에서의 직장경력을 기간으로 표기하고, 작업부서 및 작업라인에 대한 사항과, 현재 수행작업의 기간과, 일일 근무시간 및 근무 중 휴식 횟수, 1회 휴식하는 시간, 이전 직장에서의 작업 내용 및 이전 직장의 작업기간, 규칙적인 여가 및 취미활동을 하는지 여부, 하루 평균 가사노동시간, 류머티스 관절염, 당뇨병, 루프스병, 통풍 및 알코올 중독의 질병에 대한 확진여부, 과거 운동 또는 사고로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목 , 허리, 다리/발 부위를 다친 적이 있는지 여부, 다쳤다면 그 부위가 어딘지 여부, 현재 작업의 육체적 부담정도,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목 , 허리, 다리/발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작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등을 느꼈는지 여부, 통증의 지속기간, 통증의 정도, 지난 1년 동안 통증으로 느낀 횟수, 통증으로 인하여 치료나 산재 등을 신청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사항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설문 작업이 완료되면 작성된 설문을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로 분류하는 단계(S7)를 거친다. 개인별 분류는 사용자가 작성한 직무 스트레스, 뇌·심혈관 질환, 생활습관 및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설문을 분류하는데, 각 설문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정성적인 값으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직무 스트레스를 각 설문에 대한 값을 1 ~ 5 점으로 점수로 환산하거나, 설문에 대한 값을 0 ~ 100의 백분율로 환산할 수도 있다. 또한, 뇌·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도에 대해서도 점수로 환산하여 발병의 위험도를 점수 또는 백분율로 환산할 수 있다. 또한, 생활습관의 경우에도 점수 또는 백분율로 환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의 발병 위험성에 대한 평가도 동일하다. 기업별 분류는 개인별 분류를 기초로 하여 각 기업의 종업원들의 값을 평균하여 1 ~ 5 점의 점수로 환산하거나 백분율로 환산하여 기업에 대한 각 설문에 대한 분류를 수 있으며, 각 직군들이 속한 산업별로도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하고 분류할 수 있다. 분류기준은, 개인별 분류인 경우에는 성별, 연령별, 직무/직능별 및 발병 질환별 분류되고, 기업별 분류단계는 지역별, 직군별, 성별, 연령별, 근로자수별, 근로시간별 및 근로조건별로 분류되며, 산업별 분류단계는 지역과 산업군별로 분류된다.
분류가 완료되면,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개인별로 분류된 환산 점수를 이용하여 건강지수를 산출해내고, 기업의 종업원을 기준으로 하여 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한다. 또한 기업을 기준으로 직군별로 된 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는 개인의 건강지수로 환산하여 표시하고, 기업별 건강지수는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지수의 평균값 및 기업별 성·연령 등의 변수에 다른 보정을 지수로 환산하고, 산업별 건강지수는, 산업별로 발생하는 산업재해 등을 감안하여 산업별로 속한 기업들의 평균 건강지수에서 특정 기업의 건강지수의 이산(離散)정도 따른 평가 지수로 표시한다. 도 7은 건강지수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역에 대한 건강지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종합적인 건강지수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의 개인별 설문은 일정주기 예를 들어 6개월 또는 1년을 주기로 계속하여 작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개인과 기업 및 산업별 평가지수와 건강관리지수는 지속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개인, 기업 및 산업별 다년에 걸친 빅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빅데이터는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위험도가 높은 직군별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예방활동도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개인이 다년에 걸쳐 마련된 설문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의 업무와 관련된 질병의 파악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마련되는 빅데이터는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의 삶의 질과 업무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 : 데이터서버 12 : 관리서버
13 : 사용자단말 14 : 네트워크
20 : 직무스트레스 평가 설문 30 : 뇌·심혈관질병 발병 위험 평가 설문
40 : 생활습관 평가 설문 50 : 근골격계질병 발병 위험 평가 설문
60 : 건강관리지수 도표

Claims (9)

  1.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설문이 저장되는 데이터서버와, 상기 데이터서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기업 및 산업별 설문 데이터를 관리하고 건강지수를 생성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설문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에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b) 상기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U/I를 통해 제공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가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평가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f) 상기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U/I에서 근골격계질환 발병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을 선택하고 작성하는 단계;
    (g) 상기 작성된 설문을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로 분류하는 단계;
    (h) 상기 분류된 데이터로부터 개인별,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a) 내지 (h)단계를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설문을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사용자 신체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연령 및 성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설문지는, 회사의 업무정보, 회사에서의 직무에 대한 정보 및 직무관련 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평가 설문은, 뇌·심혈관질환의 가족력, 흡연량 및 음주량과 음주회수, 뇌·심혈관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 및 작업과 관련된 설문으로 구성되고, 여성의 경우는 폐경 또는 자궁절제술 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의 생활습관관련 설문은, 흡연관련 사항, 음주관련 사항, 운동관련 사항, 아침식사관련 사항, 야식관련 사항 및 수면관련 사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의 근골격계질환 발생 및 위험 평가에 대한 설문은, 직장경력과 작업시간에 관한 사항, 취미/일상생활/질환에 관한 사항, 작업에 따른 육체부담 정도에 관한 사항 및 신체통증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의 개인별 분류단계는, 성별, 연령별, 직무/직능별 및 발병 질환별 분류되고,
    상기 (g)단계의 기업별 분류단계는, 지역별, 직군별, 성별, 연령별, 근로자수별, 근로시간별 및 근로조건별로 분류되며,
    상기 (g)단계의 산업별 분류단계는, 지역과 산업군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에서 건강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개인별 건강행태자료는 개인의 건강지수로 환산하여 표시하고,
    기업별 건강지수는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지수의 평균값 및 기업별 성·연령 등의 변수에 다른 보정을 지수로 환산하고,
    산업별 건강지수는, 산업별로 발생하는 산업재해 등을 감안하여 산업별로 속한 기업들의 평균 건강지수에서 특정 기업의 건강지수의 이산(離散)정도 따른 평가 지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으로 획득되는 빅데이터.
KR1020190062552A 2019-05-28 2019-05-28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KR10239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52A KR102397483B1 (ko) 2019-05-28 2019-05-28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52A KR102397483B1 (ko) 2019-05-28 2019-05-28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87A true KR20200136687A (ko) 2020-12-08
KR102397483B1 KR102397483B1 (ko) 2022-05-12

Family

ID=7377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552A KR102397483B1 (ko) 2019-05-28 2019-05-28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3619A (zh) * 2022-04-20 2022-07-12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用于疾病风险预测的调查问卷质量评价方法及系统
WO2023153557A1 (ko) * 2022-02-11 2023-08-17 주식회사 케이블러썸 노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4025058A1 (ko) * 2022-07-25 2024-02-01 (의)삼성의료재단 기업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68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KR20040036983A (ko)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00024696A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에버케어 직장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009959B1 (ko) 2008-09-25 2011-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39810B1 (ko) * 2014-05-07 2014-09-12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 직장단위 건강, 질병지표 생성 및 건강관리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1577068B1 (ko) 2015-07-27 2015-12-11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건강체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KR101674150B1 (ko) 2015-05-15 2016-11-08 성낙봉 원스톱 u-헬스 케어 시스템
KR20170003770A (ko) * 2015-06-30 2017-01-10 황대선 조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서비스 방법
KR20180052416A (ko) * 2016-11-10 2018-05-18 (의) 삼성의료재단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평가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68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역학적 결과에 근거한 개인별 질병위험정보 제공 방법
KR20040036983A (ko)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00024696A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에버케어 직장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009959B1 (ko) 2008-09-25 2011-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39810B1 (ko) * 2014-05-07 2014-09-12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 직장단위 건강, 질병지표 생성 및 건강관리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1674150B1 (ko) 2015-05-15 2016-11-08 성낙봉 원스톱 u-헬스 케어 시스템
KR20170003770A (ko) * 2015-06-30 2017-01-10 황대선 조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서비스 방법
KR101577068B1 (ko) 2015-07-27 2015-12-11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건강체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KR20180052416A (ko) * 2016-11-10 2018-05-18 (의) 삼성의료재단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평가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57A1 (ko) * 2022-02-11 2023-08-17 주식회사 케이블러썸 노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743619A (zh) * 2022-04-20 2022-07-12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用于疾病风险预测的调查问卷质量评价方法及系统
CN114743619B (zh) * 2022-04-20 2024-03-29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用于疾病风险预测的调查问卷质量评价方法及系统
WO2024025058A1 (ko) * 2022-07-25 2024-02-01 (의)삼성의료재단 기업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483B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gström et al. Does sickness presenteeism have an impact on future general health?
Davila et al. Physical discomfort, professional satisfaction, and burnout in vascular surgeons
Van Peursem et al. Health management performance: A review of measures andindicators
Van den Berg et al. The effects of work-related and individual factors on the Work Ability Index: a systematic review
Weisman et al. Determinants of hospital staff nurse turnover
Krueger et al. Organization specific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findings from a Canadian multi-site quality of work life cross-sectional survey
Verbrugge et al. Age differences and age changes in activities: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Mark et al. Does safety climate moderate the influence of staffing adequacy and work conditions on nurse injuries?
de Vroome et al. Burden of sickness absence due to chronic disease in the Dutch workforce from 2007 to 2011
Virtanen et al. Selection from fixed term to permanent employment: prospective study on health, job satisfaction, and behavioural risks
Leineweber et al. Work-related psychosocial risk factors and risk of disability pension among employees in health and personal care: a prospective cohort study
Marklund et al. Can individual health differences be explained by workplace characteristics?—A multilevel analysis
KR102397483B1 (ko)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McDonald et al. The future of community nursing in the United Kingdom: district nursing, health visiting and school nursing
Larsson et al. Perceptions of health and risk management among home care workers in Sweden
Ellenbecker Home health care nurses’ job satisfaction: a system indicator
Dansky et al. Discriminant analysis: a technique for adding value to patient satisfaction surveys
Biddle The economic cost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in the United States, 1980–97
Karhula et al. Workplace-level interventions and trials of working time reduction: A Scoping review
Weeks et al. Differences in the annual incomes of emergency physicians related to gender
Maestas et al. Applying Aspects of Disability Determination Methods From the Netherlands in the US
Hafner et al. The societal and economic burden of insomnia in adults
KAMAL et al. Quality of Work life Among the Paediatricians Graduated from Master of Medicine (MMed) of Universiti Sains Malaysia.
Prenissl et al. Hypertension screening,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in India
Purwaningsih Health Workers in Samarinda City: An Examination of Their Distribution Based on Strategic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