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959B1 -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959B1
KR101009959B1 KR1020080094319A KR20080094319A KR101009959B1 KR 101009959 B1 KR101009959 B1 KR 101009959B1 KR 1020080094319 A KR1020080094319 A KR 1020080094319A KR 20080094319 A KR20080094319 A KR 20080094319A KR 101009959 B1 KR101009959 B1 KR 10100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dex
user
health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030A (ko
Inventor
이성일
김기영
문동주
김강은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9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생성되는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기본정보,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수의 측정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설문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인체지수를 산출하는 지수산출부; 산출된 인체지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인체지수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및 건강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상태 및 그에 알맞는 처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건강지수, 건강정보, 인체, 헬스케어

Description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health to measure,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implement thereof}
본 발명은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인체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생성되는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사람들의 식생활의 변화 및 스트레스의 증가라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는 운동부족이라는 또 다른 요인과 맞물려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큰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높아진 경제수준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건강한 삶을 위한 기기들이 개발되어 많은 가정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에는 간단한 조작으로도 인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상태 측정장치가 포함된다. 건강상태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인체정보에는 사 람의 몸무게, 심전도, 체지방 및 체온 외에도 다양한 인체정보가 포함된다. 사람들은 위와 같은 건강상태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자신의 인체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자료로써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서로 다른 단위로 특정 인체정보에 대한 값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들을 종합하여 자신의 상태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홈 헬스케어 기술이 각광받고 있는 때에 일반인이 쉽게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진단 및 예방을 위한 조언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생성되는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기본정보,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수의 측정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설문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인체지수를 산출하는 지수산출부;상기 산출된 인체지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인체지수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및 상기 건강정보를 출력하 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지수 측정 장치 및 방법은 기본정보, 설문정보 및 측정정보를 사용하여 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종합적인 건강상태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출된 건강상태에 다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상태 및 그에 대한 처방책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지수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기본정보,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수의 측정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100)와,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설문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인체지수를 산출하는 지수산출부(200)와, 산출된 인체지수를 저장하는 저장부(300)와, 저장된 인체지수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400)와, 건강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정보획득부(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기본정보에는 사용자의 키, 성별, 나이 및 체중 정보가 포 함된다.
정보획득부(100)는 사용자의 키 및 체중을 측정하는 신장측정계 및 체중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획득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설문정보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문진정보의 답변에 해당한다.
또한, 정보획득부(100)는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수의 측정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측정정보에는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혈압 체온, 체지방, 심박변이도(HRV), 가속도맥파(APG)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이를 위해, 정보획득부(100)는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측정계(미도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계(미도시),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계(미도시), 심박변이도(HRV), 가속도맥파(APG) 및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전도계(미도시)를 포함한다.
지수산출부(200)는 상기 각각의 측정정보를 기본정보와 가중치를 기초로 하여 합산하고, 상기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며, 상기 합산된 측정정보 및 합산된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함으로써 인체지수를 산출한다.
저장부(300)는 저장하고 있는 문진정보를 정보획득부(100)에 제공하고, 지수산출부(200)에서 산출되는 인체지수를 저장한다. 한편, 저장부(300)는 모든 사용자들로부터 측정된 인체지수를 각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정보생성부(400)는 지수산출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인체지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건강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정보생성부(400)는 저장 부(300)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측정되어 기 저장된 인체지수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책을 더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생성한다.
출력부(500)는 건강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출력부(500)가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은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및 음성출력장치(미도시) 외에 또 다른 출력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500)는 프린터 출력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방법은 먼저, 정보획득부(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기본정보,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수의 측정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01). 이때의 기본정보는 사용자의 키, 성별, 나이 및 체중을 포함하고, 설문정보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문진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포함하며, 측정정보는 혈압 체온, 체지방, 심박변이도(HRV), 가속도맥파(APG)를 포함한다.
한편, 문진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함에 있어 사용자의 인체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문진의 개념이다. 그리고, 문진정보는 동일한 설문내용에 대한 단편적인 느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형태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설문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인체지수를 산출한다(단계 S201).
단계 S201 에서는 각각의 측정정보를 기본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각각의 측정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다. 이어, 설문정보를 점수화하고, 점수화된 각각의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다. 이어, 합산된 측정정보 및 합산된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다.
예를 들어, 혈압은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및 맥압 등으로 분류되며 NIH/WHO 에서 분류한 일반적인 기준에 따라 보정한다. 하기의 표 1은 점수화된 혈압측정정보의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1
또한, 획득된 심박수에 적용되는 Karvonen공식이 아래에 예시되어 있다.
Karvonen 공식 : THR = (MHR - RHR) * 운동강도 + RHR
여기서 THR은 운동시 목표심박수, MHR은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공식(220-나이)을 기준으로 하는 최대심박수, RHR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안정시 심박수이다. 이때, 운동강도는 사용자가 쉬는 상태일 경우 0.4, 운동상태에 있을 경우는 0.6 ~ 0.8 을 적용한다.
심박수를 안정시 심박수(RHR) 및 운동시 목표심박수(THR) 등으로 분류되며, 획득되는 수치별로 보정된다. 하기의 표 2는 점수화된 심박수의 예시이다.
1점 0.5점 0점
안정시 심박수(RHR) 100 미만 100 이상 해당 없음
운동시 목표심박수(THR) MHR의 115% 미만 MHR의 115~130% 사이 MHR의 130% 이상
또한, 획득된 키 및 체중에 적용하여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하는 공식이 아래에 예시되어 있다.
체질량지수(BMI) = 체중(kg) / 키(m)2
이와 같은 공식에 따라 측정된 체질량지수(BMI)는 체질량지수(BMI)값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하는 미국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원의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하여 보정된다. 하기의 표 3은 점수화된 체질량지수(BMI)의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3
한편, 운동선수 및 보디빌더의 경우는 체질량지수(BMI)가 높아도 체지방이 낮으므로 예외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지방은 5살 단위로 분류하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Campell 대학의 Woolard 박사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보정한다. 하기의 표 4는 점수화된 체지방의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4
심박변이도(HRV)는 5단계로 분류하여 LF 및 HF 수치에 따라 보정한다. 이때, LF는 심장주기의 FFT를 0.04Hz ~ 0.15Hz까지 적분한 값의 자연로그(단위:msec**2)이고, HF는 심장주기의 FFT를 0.15Hz ~ 0.40Hz까지 적분한 값의 자연로그(단위:msec**2)이다. 하기의 표 5는 점수화 된 심박변이도(HRV)의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5
가속도맥파(APG)는 맥파의 압력하강지수(B) / 미분상승지수(A)값을 혈관나이의 지표로 하는 자료로써 5단계로 분류하여 보정한다. 이때, 나이에 따른 표준값은 압력하강지수(B) / 미분상승지수(A) = -0.0038*age + 1.39 이다.(Kenji Takazawa, Hypertension 1988, 32:p.365-370). 하기의 표 6은 점수화된 가속도맥파(APG)의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6
설문정보는 문진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정보로써 인체지수에 포함되는 심혈관지수, 스트레스지수 및 관리지수에 따라 다양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문진정보는 동일한 문진내용에 대한 단편적인 느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질문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진정보에 대한 답변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답변의 예시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의 답변선택에 따라 설문정보를 점수화한다. 하기의 표 7 내지 표 9는 인체지수에 포함되는 심혈관지수, 스트레스지수 및 관리지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문진정보의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7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8
Figure 112008067542859-pat00009
이어, 단계 S201에서는 합산된 측정정보 및 합산된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기본정보와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인체지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심혈관 지수는 각각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맥압, 심박수, 가속도맥파(APG), 심박변이도(HRV) 및 체질량지수등의 보정된 측정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하고, 각각의 점수화된 심혈관지수 설문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 두 값을 심혈관지수=체질량*(측정정보*0.6)+(설문정보*0.4) 의 공식에 대입하여 산출된다. 이때, 체질량은 보정된 값이고 측정정보 및 설문정보는 보정되어 합산된 값이다. 하기의 표 10은 심혈관 지수를 산출하는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10
예를 들어, 스트레스 지수는 각각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맥압, 심박수, 가속도맥파(APG) 및 심박변이도(HRV)등의 보정된 측정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하고, 각각의 점수화된 스트레스지수 설문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하여 이 두 값을 스트레스지수=(측정정보*0.6)+(설문정보*0.6) 의 공식에 대입하여 산출된다. 하기의 표 11은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는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11
관리 지수는 지난 일주일간 건강상태 측정장치를 사용한 횟수를 보정된 측정정보 산출하고, 각각의 점수화된 관리지수 설문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 두 값을 관리지수=(측정정보*0.2)+(설문정보*0.8) 의 공식에 대입하여 산출된다. 하기의 표 12는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12
비만 지수는 보정된 측정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체지방율 및 체질량지수(BMI)등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 두 값을 비만지수=(체질량*0.5)+(체지방*0.5)의 공식에 대입하여 산출된다. 하기의 표 13은 비만 지수를 산출하는 예시이다.
Figure 112008067542859-pat00013
한편, 심혈관지수, 스트레스지수, 관리지수, 비만지수가 모두 산출되면 바이오지수를 더 생성하여 인체지수에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지수는 심혈관지수, 스트레스지수, 관리지수 및 비만지수의 평균값을 산출한 값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점수로 알려주는 지수이다.
이어, 인체지수를 저장한다(단계 S301).
심혈관지수, 스트레스지수, 관리지수, 비만지수를 포함하는 인체지수는 저장부(300)에 곧바로 저장된다.
이후, 저장부(300)에에 인체지수가 저장되면, 저장부(300)에 기저장된 인체지수가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351). 즉, 동일한 사용자의 기 측정된 인체지수가 이미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
단계 S351에서의 판단결과, 저장부(300)에 사용자의 기 저장된 인체지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인체지수를 사용하여 건강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401).
이때, 건강정보는 각각의 심혈관지수, 스트레스지수, 관리지수 및 비만지수를 상, 중, 하로 분류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건강정보는 상, 중, 하로 분류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호, 비교적양호, 보통, 조금위험, 위험 등의 단계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건강상태를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건강정보에는 각 지수들에 따라 동맥경화, 부정맥, 중증비만과 같은 특별 위험에 대한 경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351에서의 판단결과, 저장부(300)에 사용자의 기 저장된 인체지수가 존재할 경우 처방정보를 더 포함한 건강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451).
이때, 처방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인체지수를 기 저장된 인체지수와 비교하여 각 지수들의 변화량 및 그에 따르는 처방을 포함한다.
이어, 건강정보를 출력부(500)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501).
이때, 건강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음성출력장치 및 인쇄장치(미도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영상, 음성, 문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건강상태 측정장치를 이용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은 기본정보, 설문정보 및 측정정보를 사용하여 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종합적인 건강상태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상태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
100 : 정보획득부 200 : 지수산출부
300 : 저장부 400 : 정보생성부
500 : 출력부

Claims (9)

  1.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상태 측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기본정보,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수의 측정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기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설문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인체지수를 산출하는 지수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인체지수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저장된 인체지수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건강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산출단계는,
    상기 각각의 측정정보를 상기 기본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각각의 측정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는 제 1 산출단계;
    상기 설문정보를 점수화하고, 점수화된 각각의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는 제 2 산출단계; 및
    상기 합산된 측정정보 및 합산된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는 제 3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키, 성별, 나이 및 체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문정보는 문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답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압, 심박수, 체온, 체지방, 심박변이도(HRV), 가속도맥파(APG) 및 체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측정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지수는 심혈관지수, 스트레스지수, 비만지수 및 관리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측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는 상기 산출되는 인체지수에 따른 처방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측정방법.
  6.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7.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상태 측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기본정보,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수의 측정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문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설문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인체지수를 산출하는 지수산출부;
    상기 산출된 인체지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인체지수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및
    상기 건강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산출부는 상기 각각의 측정정보를 기본정보와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하여 합산하고, 상기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며, 상기 합산된 측정정보 및 합산된 설문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합산하여 인체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측정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는 상기 산출되는 인체지수에 따른 처방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측정장치.
KR1020080094319A 2008-09-25 2008-09-25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00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19A KR101009959B1 (ko) 2008-09-25 2008-09-25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19A KR101009959B1 (ko) 2008-09-25 2008-09-25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030A KR20100035030A (ko) 2010-04-02
KR101009959B1 true KR101009959B1 (ko) 2011-01-20

Family

ID=4221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19A KR101009959B1 (ko) 2008-09-25 2008-09-25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9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555A (ko) * 2015-01-27 2016-08-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트레스 평가방법
KR20170029039A (ko) * 2015-09-04 2017-03-1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심박수 변이도 분석 방법 및 심박수 변이도 분석 시스템
KR20200136687A (ko) 2019-05-28 2020-12-08 이신재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
KR20240032370A (ko) 2022-09-02 2024-03-12 충남대학교병원 안면측정 방법, 안면측정장치,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8876A1 (en) * 2010-05-19 2011-11-24 Health Advocate System and method to assist health advocate professionals and employers
KR101221675B1 (ko) * 2011-04-22 2013-01-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 인덱스를 활용한 건강 검진 방법
KR101330404B1 (ko) * 2011-08-31 2013-11-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파를 이용한 건강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350120B1 (ko) * 2012-07-20 2014-01-08 (사)한국영양학회 영양 지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538231B1 (ko) * 2013-11-28 2015-07-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나이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403371B1 (ko) * 2015-08-03 2022-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98569B1 (ko) * 2016-05-10 2018-09-13 주식회사 스마티랩 사물인터넷 기반 건강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KR101970947B1 (ko) * 2016-12-06 2019-04-25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014358B1 (ko) * 2017-12-15 2019-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방법
KR102478102B1 (ko) * 2020-09-11 2022-12-15 주식회사 에임메드 불면증 치료방법
KR102530782B1 (ko) * 2020-12-31 2023-05-1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무호흡 위험의 예측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983A (ko) *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60064885A (ko) * 2004-12-09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5834A (ko) * 2006-01-16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쾌적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983A (ko) *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60064885A (ko) * 2004-12-09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5834A (ko) * 2006-01-16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쾌적도 측정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555A (ko) * 2015-01-27 2016-08-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트레스 평가방법
KR101664862B1 (ko) * 2015-01-27 2016-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트레스 평가방법
KR20170029039A (ko) * 2015-09-04 2017-03-1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심박수 변이도 분석 방법 및 심박수 변이도 분석 시스템
KR101726071B1 (ko) 2015-09-04 2017-04-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심박수 변이도 분석 방법 및 심박수 변이도 분석 시스템
KR20200136687A (ko) 2019-05-28 2020-12-08 이신재 모바일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한 개인별 건강행태자료 수집에 기초한 기업별 및 산업별 건강지수 생성방법 및 그에 따라 획득되는 빅데이터
KR20240032370A (ko) 2022-09-02 2024-03-12 충남대학교병원 안면측정 방법, 안면측정장치,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030A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959B1 (ko)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hilko et al. Еrgonomic assessment of sport skies based on analysis of athlet’s hemodynamics at loading test using tonometry and electrocardiography
Daida et al. Peak exercise blood pressure stratified by age and gender in apparently healthy subjects
CA2816517C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JP5676630B2 (ja) フィットネステストシステム
JP5600728B2 (ja) カフ圧脈波振動信号を用いて中央動脈の脈圧を推定する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
CN104217095A (zh) 人体健康功能状态评估模型
JP2004195204A (ja) 脈波測定装置
US6010452A (en) Articl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fitness age for an individual
US641647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dicator of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US201600299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rterial Compliance and Stiffness
Szucs et al. Effectiveness of a 4-week rehabilitation program on endothelial function, blood vessel elastic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unte et al. Hemodynamic changes during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stress testing in healthy subjects, aortic stenosis and aortic coarctation patients–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P6550440B2 (ja) 自律神経評価装置、自律神経評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3505191B (zh) 一种利用压脉带的压力脉波震荡讯号以预估中心主动脉脉搏压的方法及其装置
Sant Anna Junior et al.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CN107997755A (zh) 心肺测试方法及系统
US8401630B2 (en) Method of determining training intensity
Kinoshita et al. Modeling of longitudinal changes in left ventricular dimensions among female adolescent runners
JP2016506278A (ja) 心臓血管スクリーニング診断及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5296392B2 (ja) 自己組織化マップを用いた健康状態判定支援システム及び自己組織化マップ生成システム
Akova et al. Myocardial performance and aortic elastic properties in elite basketball and soccer players: relationship with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JP4453431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4011251B2 (ja) ステップテスト装置
JP4801473B2 (ja) 運動耐容能評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8